맨위로가기

마상체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상체조는 움직이는 말 위에서 곡예 및 춤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스포츠 또는 예술의 한 형태이다. 고대 로마 게임이나 고대 크레타의 황소 점프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되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기병 훈련의 한 형태로 발전했다. 1983년 국제 승마 연맹(FEI)에서 정식 종목으로 인정받았으며, 1984년 유럽 선수권 대회를 시작으로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마상체조는 개인, 페어, 팀으로 경쟁하며, 의무 운동과 프리스타일 운동으로 구성된다. 경기는 말의 움직임, 선수의 기술, 안전성 등을 심사하며, 유니타드와 같은 몸에 잘 맞는 복장을 착용해야 한다. 경쟁 외에도 예술, 레크리에이션, 치료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승마 - 궁기병
    궁기병은 말을 타고 활을 쏘는 병과로, 청동기 시대 전차를 대체하며 철기 시대에 발전하여 고대 유목민족의 주력 병과로 활약하며 다양한 제국에서 활용되었으나, 화기 발전으로 쇠퇴 후 현대에 스포츠 및 전통예술로 부활했다.
  • 승마 - 장애물 비월
    장애물 비월은 기승자와 말이 코스 내 다양한 장애물을 뛰어넘어 완주하는 승마 스포츠로, 여우 사냥에서 유래되었으며 올림픽 등 국제 대회에서 시행되고 기술 발전 및 안전 규정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곡예술 - 스트롱맨 (스포츠)
    스트롱맨은 엄청난 힘을 겨루는 스포츠로, 데드리프트, 스쿼트, 아틀라스 스톤 등 다양한 종목을 통해 순수한 힘을 시험하며, 전신 근력 강화 훈련과 특수 장비 사용, 고강도 식단을 포함한다.
  • 곡예술 - 공중그네
    공중그네는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쥘 레오타르에 의해 발전한 곡예의 한 종류로, 공중에 매달린 그네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술과 동작을 선보이는 서커스의 대표적인 연목이며, 영화나 문학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 체조 - 곡예
    곡예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시작된 오랜 역사를 가진 공연 예술로, 고대 그리스와 중세 유럽을 거쳐 서커스, 만국박람회, 영화, 아크로 댄스, 체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 체조 - 에어로빅 체조
    에어로빅 체조는 음악에 맞춰 고난도 동작을 수행하는 경쟁 체조의 한 종목으로, 개인전, 혼성 2인조, 3인조, 5인조 등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국제 체조 연맹의 규정을 따르며 올림픽 게임 종목 채택을 목표로 발전하고 있다.
마상체조
개요
종목마상 체조
영어 명칭Equestrian vaulting
별칭볼팅
주관 기관국제 승마 연맹(FEI)
특징
유형실내 또는 실외
장비
복대
롱징 장비
경기장일반적으로 말에게 적합한 흙 또는 유사한 바닥재가 있는 실내 경기장
참가 형태개인 및 다양한 수의 팀
성별남녀 모두 참가 가능
역사
올림픽1920년 안트베르펜 (유일)
IWGA1993년 (초청)
설명
설명승마 볼팅은 말 위에서 체조와 춤을 결합한 종목이다.
프리스타일 팀 볼팅
프리스타일 팀 볼팅

2. 역사

현대 마상체조는 전후 독일에서 어린이들에게 승마 스포츠를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했다.

1983년, 마상체조는 국제 승마 연맹(FEI)에서 인정하는 종목 중 하나가 되었다. 1984년 오스트리아 에브라이히스도르프에서 유럽 선수권 대회가 처음 개최되었으며, 1986년에는 스위스 에서 제1회 FEI 세계 마상체조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마상체조는 1990년 세계 승마 선수권 대회 (스톡홀름) 및 이후 모든 게임에 포함되었다. 1984년과 1996년 올림픽 경기에서 예술 종목으로 시연되었으며, 2006년부터는 아프리카 국가간 컵 대회에도 포함되었다.[9]

제1회 월드컵 마상체조 경기는 2011년 4월 29일~30일 라이프치히에서 개최되었다.[10]

2. 1. 고대 기원

마상체조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일부에서는 고대 로마 게임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데, 당시 곡예사들은 질주하는 말 위에서 자신의 기량을 선보였다. 다른 사람들은 마상체조가 고대 크레타에서 시작되었으며, 그곳에서 황소 점프가 유행했다고 믿는다. 어느 경우든, 사람들은 2,000년 이상 움직이는 말이나 동물 위에서, 또는 넘어서 곡예적이고 춤과 같은 동작을 수행해 왔다.[6]

르네상스와 중세 시대 역사에는 마상체조 또는 이와 유사한 활동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있다. 현재 스포츠/예술의 이름은 프랑스어 "la voltige"에서 유래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기병의 승마 훈련과 민첩성 운동의 한 형태로 사용되면서 이 이름을 얻게 되었다.[8]

2. 2. 중세와 르네상스

일부에서는 마상체조의 기원이 고대 로마 게임에서 유래되었다고 믿는데, 당시 곡예사들은 질주하는 말 위에서 기량을 선보이곤 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마상체조가 고대 크레타에서 시작되었으며, 그곳에서 황소 점프가 유행했다고 믿는다. 어느 경우든, 사람들은 2,000년 이상 움직이는 말/동물의 등 위에서(또는 넘어서) 곡예적이고 춤과 같은 동작을 수행해 왔다.[6]

르네상스와 중세 시대 역사에는 마상체조 또는 유사 활동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있다. 현재 스포츠/예술의 이름은 프랑스어 "la voltige"에서 유래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기병의 승마 훈련과 민첩성 운동의 한 형태로 사용되면서 이 이름을 얻게 되었다.[8]

2. 3. 현대 마상체조의 발전

마상체조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주장이 있다. 일부에서는 고대 로마 게임에서 곡예사들이 질주하는 말 위에서 기량을 선보이던 것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은 황소 점프가 유행했던 고대 크레타에서 시작되었다고 믿는다. 어느 경우든, 사람들은 2,000년 이상 움직이는 말이나 동물 위에서 곡예와 춤과 같은 동작을 수행해 왔다.[6]

르네상스와 중세 시대 역사에는 마상체조 또는 유사 활동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있다. 현재 스포츠/예술의 이름은 프랑스어 "la voltige"에서 유래되었는데, 르네상스 시대에 기병의 승마 훈련과 민첩성 운동의 한 형태로 사용되면서 이 이름을 얻게 되었다.[8]

현대 마상체조는 전후 독일에서 어린이들에게 승마 스포츠를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했다. 1983년, 마상체조는 국제 승마 연맹(FEI)에서 인정하는 종목 중 하나가 되었다. 유럽 선수권 대회는 1984년 오스트리아 에브라이히스도르프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제1회 FEI 세계 마상체조 선수권 대회는 1986년 스위스 에서 개최되었다. 마상체조는 1990년 세계 승마 선수권 대회 (스톡홀름) 및 이후 모든 게임 판에 포함되었다. 1984년과 1996년 올림픽 경기에서 예술 종목으로 시연되었다. 2006년부터 아프리카 국가간 컵 대회에도 포함되었다.[9] 제1회 월드컵 마상체조 경기는 2011년 4월 29일~30일 라이프치히에서 개최되었다.[10]

2. 4. 국제 스포츠로의 발전

일부에서는 마상체조의 기원이 고대 로마 게임에서 유래되었다고 믿는데, 당시 곡예사들은 질주하는 말 위에서 기량을 선보이곤 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마상체조가 고대 크레타에서 시작되었으며, 그곳에서 황소 점프가 유행했다고 믿는다. 어느 경우든, 사람들은 2,000년 이상 움직이는 말/동물의 등 위에서(또는 넘어서) 곡예적이고 춤과 같은 동작을 수행해 왔다.[6]

르네상스와 중세 시대 역사에는 마상체조 또는 유사 활동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있다. 현재 스포츠/예술의 이름은 프랑스어 "la voltige"에서 유래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기병의 승마 훈련과 민첩성 운동의 한 형태로 사용되면서 이 이름을 얻게 되었다.[8]

현대 마상체조는 전후 독일에서 어린이들에게 승마 스포츠를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했다.

1983년, 마상체조는 국제 승마 연맹(FEI)에서 인정하는 종목 중 하나가 되었다. 유럽 선수권 대회는 1984년 오스트리아 에브라이히스도르프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제1회 FEI 세계 마상체조 선수권 대회는 1986년 스위스 에서 개최되었다. 마상체조는 1990년 세계 승마 선수권 대회 (스톡홀름) 및 이후 모든 게임 판에 포함되었다. 1984년과 1996년 올림픽 경기에서 예술 종목으로 시연되었다. 2006년부터 아프리카 국가간 컵 대회에도 포함되었다.[9]

제1회 월드컵 마상체조 경기는 2011년 4월 29일~30일 라이프치히에서 개최되었다.[10]

3. 경기

최고 수준의 마상체조 대회로는 격년으로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와 대륙 선수권 대회, 그리고 4년마다 열리는 세계 승마 경기 대회(WEG)가 있다. 많은 국가에서 마상체조 협회를 통해 매년 전국, 지역 및 지방 단위의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최소 24개국에 이러한 조직이 존재했다.[11]

3. 1. 경기 방식

경쟁적인 마상체조에서 선수들은 개인, 페어(''파 드 되'') 및 팀으로 경쟁한다. 초보 선수들은 워킹(walk)으로 경기를 하고 숙련된 선수들은 구보로 경기를 한다. 마상체조 은 최소 15m 직경의 원을 그리며 움직이며, 중앙에 서 있는 롱거(또는 "롱저")가 지시한다. 경쟁적인 마상체조에서는 기수와 말 모두 1점에서 10점까지의 척도로 평가를 받는다.[11]

마상체조 경기는 의무 운동과 음악에 맞춰 안무된 프리스타일 운동으로 구성된다. 의무 운동에는 마운트, 기본 앉기, 플래그, 밀, 시저스, 스탠드, 플랭크의 7가지가 있다. 각 운동은 0점에서 10점까지의 척도로 점수를 받는다. 말 역시 점수를 받으며, 움직임의 질과 행동을 평가받는다.[11]

선수들은 팀, 파 드 되, 개인 부문에서 경쟁한다. 개인 프리스타일(퀠이라고도 함)은 1분, 파 드 되 퀠은 2분, 팀은 4분 동안 음악에 맞춰 안무를 진행한다. 프리스타일 마상체조 루틴의 구성 요소에는 마운트 및 디스마운트, 물구나무, 무릎 꿇기, 서기, 공중 동작(점프, 도약, 텀블링 기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중 많은 부분은 최고 수준에서만 볼 수 있다. 어린이 또는 초보자를 위한 일반적인 루틴은 간단한 무릎 꿇기와 플랭크의 변형을 포함할 가능성이 더 높다. 팀은 또한 다른 선수를 공중으로 들어 올리거나, 던지기도 한다. 심사는 기술, 수행 능력, 형태, 난이도, 균형, 안전성, 말에 대한 배려를 기준으로 하며, 말도 점수를 받으며 전체 점수의 25%를 차지한다.[11]

마상체조 말은 안장을 착용하지 않지만, 서싱글(또는 롤러)과 두꺼운 등 패드를 착용한다. 서싱글에는 선수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수 손잡이와 "코사크 스트럽"이라고 불리는 가죽 루프가 있다. 말은 굴레와 사이드 레인을 착용한다. 런지 라인은 일반적으로 안쪽 비트 링에 부착된다.[11]

마상체조 말은 일반적으로 왼쪽 고삐(반시계 방향)에서 움직이지만, 일부 경기에서는 다른 방향으로 구보를 할 수 있다. 2단계 경쟁 클래스는 말의 오른쪽 운동도 포함한다. 많은 유럽 클럽들은 오른쪽으로 경쟁하지 않지만, 말과 선수에게 유익하다고 믿으며 집에서는 양쪽 방향으로 균등하게 훈련한다.[11]

3. 2. 경기 종목

마상체조는 개인, 파 드 되(2인조), 팀 부문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다. 초보 선수는 워킹(walk)으로, 숙련된 선수는 구보로 경기를 진행한다. 마상체조에 사용되는 은 최소 15미터 직경의 원을 그리며 움직이고, 중앙에 있는 롱거(말을 끄는 사람)가 말을 조종한다. 선수와 말 모두 1점에서 10점 사이의 점수로 평가받는다.

선수들은 팀, 파 드 되, 개인 부문에서 경쟁한다.

마상체조 말은 안장 대신 서싱글(또는 롤러)과 두꺼운 등 패드를 착용한다. 서싱글에는 선수가 특정 동작을 할 때 도움이 되는 특수 손잡이와 "코사크 스트럽"이라 불리는 가죽 고리가 달려있다. 말은 굴레, 사이드 레인, 런지 라인을 착용하며, 런지 라인은 주로 안쪽 비트 링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마상체조 말은 왼쪽(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일부 경기에서는 다른 방향으로 구보를 하기도 한다. 2단계 경기에서는 말의 오른쪽 움직임도 포함된다. 유럽의 많은 클럽은 오른쪽으로 경기하지 않지만, 말과 선수에게 모두 유익하다고 여겨 양방향으로 훈련을 진행한다.

최고 수준의 마상체조 대회로는 격년으로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와 대륙 선수권 대회, 그리고 4년마다 개최되는 세계 승마 경기 대회(WEG)가 있다. 여러 국가에서 마상체조 협회를 통해 매년 전국, 지역, 지방 단위의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최소 24개국에 이러한 조직이 존재했다.[11]

3. 2. 1. 의무 운동

마상체조 경기는 의무 운동과 음악에 맞춰 안무된 프리스타일 운동으로 구성된다. 의무 운동에는 마운트, 기본 앉기, 깃발, 밀, 시저스, 스탠드, 플랭크의 7가지가 있다.[12][13] 각 운동은 0점에서 10점까지의 척도로 점수를 받는다. 말 역시 점수를 받으며, 움직임의 질과 행동을 평가받는다.

마상체조 선수는 자신이 참가하는 카테고리와 등급에 따라 다음 목록에서 다른 필수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설명
올라타기올라타기는 말 위에서 앞쪽으로 앉는 자세로 이어진다. 두 발로 뛰어 올라간 후, 오른쪽 다리는 즉시 최대한 높이 들어올려 머리보다 골반을 높이 들어올리는 동시에 왼쪽 다리는 아래로 뻗는다. 어깨와 엉덩이는 말의 어깨 축과 평행을 이룬다. 골반이 최대한 높은 지점에 도달하면, 마상 체조 선수는 뻗은 오른쪽 다리를 낮추고 상체를 세운 상태에서 말 위에 정중앙으로 부드럽게 착지한다.
기본 앉기양다리를 벌리고 앉는 자세 (마상 체조 선수는 마치 기수처럼 말 위에 앉는다)로, 양팔은 옆으로 벌리고 손은 귀 높이로 올린다. 손가락을 모으고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게 하며 손가락은 약간 위로 구부려야 한다. 다리는 말의 몸통을 감싸고, 발바닥은 뒤를 향하게 하며, 발가락은 아래로, 발은 아치형으로 한다. 마상 체조 선수는 이 자세를 4보 동안 유지한다.
깃발양다리를 벌리고 앉은 자세에서, 마상 체조 선수는 무릎을 꿇고 오른쪽 다리를 뒤로 쭉 뻗어 머리 위로 약간 들어올려 다리가 말의 등뼈와 평행을 이루도록 한다. 다른 다리는 정강이와 발을 통해 압력이 분산되어야 하며, 무릎을 말의 등에 박히지 않도록 발목 뒤쪽에 무게 중심을 둔다. 그런 다음 왼팔을 오른쪽 다리와 거의 같은 높이로 앞으로 쭉 뻗는다. 손은 기본 앉기 자세(손바닥 아래로, 손가락 모으기)와 같이 잡아야 한다. 오른쪽 발은 아치형이어야 하고 발바닥은 하늘을 향해야 한다. 이 동작은 팔과 다리를 올린 후 4보 동안 유지해야 한다.
양다리를 벌리고 앉은 자세에서, 마상 체조 선수는 오른쪽 다리를 말의 목 위로 넘긴다. 다리를 넘길 때 잡았던 손잡이를 놓고 다시 잡아야 한다. 그런 다음 왼쪽 다리를 말 엉덩이 위로 완전히 아치형으로 넘기며, 다시 손잡이를 바꾸고, 오른쪽 다리가 따라오도록 한 후, 왼쪽 다리를 목 위로 움직여 마상 체조 선수가 완전히 한 바퀴 돌도록 한다. 마상 체조 선수는 각 다리 동작을 4보로 수행하여, 밀 동작을 16보로 완료한다. 다리를 넘기는 동안, 다리는 완벽하게 펴고 발가락을 뻗어야 한다. 다리가 말의 같은 쪽에 있을 때는 서로 밀착시켜야 한다. 마상 체조 선수는 좋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수직에서 최대 10% 뒤로 기댈 수 있다.
가위 1단계양다리를 벌리고 앉은 자세에서, 마상 체조 선수는 물구나무 자세로 전환한다. 정점에서, 마상 체조 선수의 몸은 롱어(말을 끄는 사람)를 향해야 하며 안쪽 다리는 바깥쪽 다리 위로 교차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마상 체조 선수는 내려와 말의 꼬리 방향을 향하도록 뒤로 착지한다.
가위 2단계말 위에서 뒤를 보고 앉은 자세에서, 마상 체조 선수는 바깥쪽 다리를 안쪽 다리 위로 들어올려 다시 앞을 향해 착지한다. 마상 체조 선수가 말의 등 위로 세게 착지하면 심한 벌점을 받는다. 가위 동작은 동작의 높이로 심사한다.
스탠드마상 체조 선수는 양다리를 벌리고 앉은 자세에서 정강이로 이동한 다음 즉시 두 발로 이동하여 손잡이를 놓는다. 그런 다음 두 무릎을 구부리고 엉덩이를 앞으로 집어넣은 상태에서 기본 앉기 자세처럼 손을 잡고 똑바로 선다. 마상 체조 선수는 이 자세를 4보 동안 유지해야 한다.
플랭크 1단계양다리를 벌리고 앉은 자세에서, 다리를 앞으로 흔들어 추진력을 만든 다음, 뒤로 흔들어 몸을 펴고 엎드려 누우며, 다리를 완전히 뻗어 마상 체조 선수가 거의 물구나무 자세에 도달하도록 한다. 정점에서, 마상 체조 선수는 몸을 재주 넘기듯 접어 안쪽으로 돌린 후 옆으로 앉는 자세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마상 체조 선수는 자세, 착지, 높이로 심사한다.
스윙 오프양다리를 벌리고 앉은 자세에서, 마상 체조 선수는 다리를 모으고 팔을 뻗어 최대한 높이 물구나무 자세로 스윙한다. 팔을 최대한 뻗은 상태에서, 마상 체조 선수는 손잡이를 밀어 어깨 반동의 결과로 추가적인 높이와 최대 비행을 얻어 말 안쪽으로 앞으로 착지한다.



필수 동작 깃발

3. 2. 2. 프리스타일 운동

프리스타일 운동은 음악에 맞춰 안무되며, 개인, 파 드 되(2인조), 팀 부문으로 나뉜다. 개인 프리스타일(퀠)은 1분, 파 드 되는 2분, 팀은 4분 동안 진행된다.[11] 프리스타일 연기에는 마운트(말 위에 올라타기) 및 디스마운트(말에서 내려오기), 물구나무서기, 무릎 꿇기, 서기, 점프나 도약, 텀블링 기술과 같은 공중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11]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대부분 최고 수준의 선수들에게서 볼 수 있으며, 어린이 또는 초보자를 위한 일반적인 루틴은 간단한 무릎 꿇기와 플랭크(엎드리기) 자세의 변형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11] 팀 연기에서는 다른 선수를 공중으로 들어 올리거나 던지는 동작도 선보인다.[11]

심사는 기술, 수행 능력, 동작의 형태, 난이도, 균형, 안전성, 그리고 말에 대한 배려 등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말의 점수도 전체 점수의 25%를 차지한다.[11]

개인 프리스타일


팀 자유 연기

3. 3. 심사

경쟁적인 마상체조에서 선수들은 개인, 페어(''파 드 되'') 및 팀으로 경쟁하며, 기수와 말 모두 1점에서 10점까지의 척도로 평가를 받는다. 마상체조 경기는 의무 운동과 음악에 맞춰 안무된 프리스타일 운동으로 구성된다. 선수들은 팀, 파 드 되, 개인 부문에서 경쟁하며, 심사는 기술, 수행 능력, 형태, 난이도, 균형, 안전성, 말에 대한 배려를 기준으로 한다. 말도 점수를 받으며 전체 점수의 25%를 차지한다.[11]

3. 4. 마상체조 말

마상체조 말은 안장을 착용하지 않지만, 서싱글(또는 롤러)과 두꺼운 등 패드를 착용한다. 서싱글에는 선수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수 손잡이와 "코사크 스트럽"이라고 불리는 가죽 루프가 있다. 말은 굴레와 사이드 레인을 착용한다. 런지 라인은 일반적으로 안쪽 비트 링에 부착된다.[11]

마상체조 말은 일반적으로 왼쪽 고삐(반시계 방향)에서 움직이지만, 일부 경기에서는 다른 방향으로 구보를 할 수 있다. 2단계 경쟁 클래스는 말의 오른쪽 운동도 포함한다. 많은 유럽 클럽들은 오른쪽으로 경쟁하지 않지만, 말과 선수에게 유익하다고 믿으며 집에서는 양쪽 방향으로 균등하게 훈련한다.[11]

4. 복장 규정

국제 승마 연맹(FEI)은 마상 체조 경기의 복장 규정을 관리한다. 2~3년마다 새로운 지침이 발표되며, 이 지침은 마상 체조 선수가 신체의 윤곽과 형태를 가리지 않으면서,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선수 간의 안전한 상호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몸에 잘 맞는 유니폼을 착용해야 한다고 일관적으로 명시한다.[14] 이러한 이유로 벨트, 망토, 모자와 같은 액세서리는 금지된다. 또한 남성의 바지는 발목에서 고정되어야 한다. 의상은 경기에 적합해야 하며, 노출된 효과를 주어서는 안 된다. 마상 체조 선수들이 가장 흔하게 착용하는 몸에 잘 맞는 유니폼은 유니타드이다.[15]

5. 비경기 마상체조

마상체조는 경기 외에도 예술, 레크리에이션, 엔터테인먼트의 한 형태이다. 마상체조 선수들의 연령대는 일반적으로 7세에서 30세 이상이며, 개인 및 단체 기술과 루틴을 연습한다. 가장 어린 선수들은 걷는 보법으로 시작하여 힘, 키, 말에 오르는 능력, 말 위에서 기술을 수행하는 능력에 따라 속보, 구보로 발전한다.[16]

마상체조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말 및 팀 구성원과 상호 작용하고 "스포터"의 도움을 받아 간단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마상체조는 마상체조 시연을 통해, 그리고 가끔 지역 퍼레이드에서 레크리에이션 수준으로 자주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Voltiging Federation of Ontario https://web.archive.[...] Horses of the Sun, Canada
[2] 웹사이트 Equestrian Vaulting Australia http://www.equestria[...]
[3] 서적 The golden age of the circus https://books.google[...] Smithmark
[4]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books.google[...]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5] 웹사이트 About us – standards http://www.horsespor[...] Fédération Équestre Internationale
[6] 웹사이트 Alumni Only - American Vaulting Association https://www.american[...]
[7] 뉴스 Equestrian Vaulting Gains Fans in the Northeast https://www.nytimes.[...] 2010-03-25
[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Vaulting https://web.archive.[...] British Equestrian Vaulting
[9] 웹사이트 Inter-Africa Cup http://vaulting4afri[...]
[10] 웹사이트 LOOSER AND WIEGELE TAKE INAUGURAL FEI WORLD CUP™ VAULTING TITLES http://www.horsespor[...] Fédération Équestre Internationale 2011-04-30
[11] 웹사이트 Link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Vaulting Club
[12] 웹사이트 FEI Vaulting Rules 10th Edition https://inside.fei.o[...] 2024-02-10
[13] 웹사이트 FEI Vaulting Rules https://inside.fei.o[...] 2024-02-10
[14] Webarchive http://www.fei.org/s[...] 2012-08-01
[15] 웹사이트 FEI Vaulting Rules 8th Edition, Chapter II, Article 713 http://www.fei.org/d[...] 2012-12-27
[16] 웹사이트 Vaulting https://iveyranch.co[...] 2024-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