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트롱맨 (스포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트롱맨은 엄청난 힘을 과시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19세기 서커스 공연에서 힘을 선보이는 사람을 의미했다. 20세기 후반에는 스트렝스 육상 경기 참가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변화하여, 데드리프트, 스쿼트, 차량 당기기 등 다양한 종목을 통해 순수한 힘을 겨룬다. 주요 종목으로는 데드리프트, 스쿼트, 아틀라스 스톤 등이 있으며, 훈련은 전신 근력 강화, 특수 장비 사용, 고강도 식단을 포함한다. 국제 대회에서는 지드루나스 사비카스, 마리우스 푸지아노프스키 등이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한국에서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다. 스트롱맨은 파워리프팅, 보디빌딩과 혼동되기도 하며, 다양한 물체를 다루는 기술과 정신력까지 요구되는 종합적인 스포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예술 - 마상체조
    마상체조는 말을 타고 다양한 기술과 동작을 선보이는 승마 종목으로, 과거 기병 훈련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어린이 승마 교육과 레크리에이션, 치료 목적으로 활용되며 국제 대회도 개최된다.
  • 곡예술 - 공중그네
    공중그네는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쥘 레오타르에 의해 발전한 곡예의 한 종류로, 공중에 매달린 그네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술과 동작을 선보이는 서커스의 대표적인 연목이며, 영화나 문학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 스포츠 관련 직업 - 야구 코치
    야구 코치는 야구팀에서 선수들을 지도 및 훈련하고 감독을 보좌하며, 타격, 투구, 수비, 주루 등 각 분야별 전문성을 바탕으로 선수들의 기량 향상을 돕고 팀 전력 강화를 위해 전략 및 전술 수립에 참여하는 지도자를 말한다.
  • 스포츠 관련 직업 - 타임키퍼
    타임키퍼는 시계나 스톱워치를 사용하여 시간, 소요 시간, 남은 시간을 기록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스포츠 경기, 행사, 체스, 장기, 공장 생산 라인,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스트롱맨 (스포츠)
기본 정보
19세기에 스트롱맨은 서커스 공연자를 지칭했다. 최근에는, 스트롱맨 챔피언의 인기가 높아졌다.
19세기에 스트롱맨은 서커스 공연자를 지칭했다. 최근에는, 스트롱맨 챔피언의 인기가 높아졌다.
종류힘 스포츠
특징순수한 힘 겨루기
관련 웹사이트스트롱맨에 대하여 - Topend Sports 웹사이트
스트롱맨 스포츠의 기원, 힘과 도전의 이야기 - Kingsbox

2. 역사

19세기 스트롱맨이 서커스 덤벨을 사용하여 벤트 프레스를 하는 모습


스트롱맨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20세기 전반까지 스트롱맨은 주로 서커스 등에서 벤트 프레스(오늘날의 벤치 프레스와는 다른 동작이다), 강철 구부리기, 쇠사슬 끊기 등과 같은 다양한 괴력 묘기를 선보이는 사람을 의미했다. 이러한 묘기는 강력한 팔 힘뿐만 아니라 손목, 손, 힘줄, 그리고 외복사근의 힘을 복합적으로 요구했다.[7]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스트롱맨'이라는 용어는 점차 스트렝스 육상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현대의 스트롱맨 경기는 데드리프트, 스쿼트, 통나무 들어 올리기(로그 리프트), 무거운 돌 들기, 냉장고와 같은 무거운 물건 나르기, 차량 끌기 등 다양한 종목을 통해 순수한 기능적 힘을 겨루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월드 스트롱맨과 같은 국제적인 대회를 비롯하여[3] 전 세계 30개국 이상에서 국가별 스트롱맨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8]

2. 1. 고대 및 전통 스트롱맨

많은 자료에서 스트롱맨은 엄청난 힘을 지니고 놀라운 묘기를 선보이는 사람으로 설명된다.[4][5] 고대 아이슬란드 사가에 등장하는 오름 스토롤프슨이나 그레티르 아스문다르손과 같은 인물들의 이야기는 초인적인 힘을 가진 인물에 대한 오랜 관심을 보여준다.

19세기에 들어 '스트롱맨'이라는 용어는 주로 서커스 공연에서 대중에게 힘을 과시하는 엔터테이너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6] 이 시기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스트롱맨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힘을 증명해 보였다. 대표적인 예로는 한 팔을 뻗어 머리 위로 상당한 무게를 들어 올리는 벤트 프레스(오늘날의 벤치 프레스와는 다른 동작이다), 강철 막대 구부리기, 쇠사슬 끊기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묘기는 단순히 팔 힘뿐만 아니라 강력한 손목, 손, 힘줄의 힘과 더불어 엄청난 외복사근의 힘까지 요구했다.[7] 이 시대의 유명한 스트롱맨으로는 루이 시르, 유진 샌도우 등이 있다.

2. 2. 현대 스트롱맨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스트롱맨'이라는 용어는 스트렝스 육상 경기에 참가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미가 변화했다. 이는 데드리프트, 스쿼트, 오버헤드 로그 리프트, 돌 들기, 냉장고 나르기, 무거운 차량 끌기, 무게 던지기 또는 싣기와 같은 운동을 통해 경쟁자들이 자신의 순수한 기능적 힘을 보여주는 더욱 현대적이고 절충적인 힘 경쟁이다.

이러한 현대 스트롱맨 경기 중 가장 유명한 대회로는 월드 스트롱맨, 아놀드 스트롱맨 클래식, 유럽 스트롱맨, 스트롱맨 챔피언스 리그, 월드 얼티메이트 스트롱맨, 월드 스트롱기스트 바이킹, 월드 머슬 파워 클래식, 포르티시무스, 퓨어 스트렝스, 로그 인비테이셔널, 쇼 클래식, 자이언츠 라이브, IFSA 세계 선수권 대회, 스트롱맨 슈퍼 시리즈, 그리고 월드 스트롱맨 챌린지 등이 있다.[3] 또한, 30개 이상의 국가에서도 국가 수준의 스트롱맨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8]

3. 주요 종목

브라이언 쇼가 2017년 아놀드 스트롱맨 클래식에서 엘리펀트 바 데드리프트를 수행하고 있다.


경쟁적인 스트롱맨(Strongman) 종목은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국제 무대에서 자주 등장하는 몇 가지 주요 종목들이 있다.[10] 이러한 종목들은 극한의 근력과 지구력, 그리고 기술을 시험하며, 크게 무게를 들어 올리는 리프팅 계열, 무거운 물체를 특정 거리까지 옮기는 운반 계열, 그리고 물체를 던지거나 특정 자세를 유지하는 등 그 외 다양한 방식으로 힘을 겨루는 종목들로 나눌 수 있다. 각 종목의 세부적인 규칙과 형태는 대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리프팅



경쟁적인 스트롱맨 종목은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무게를 들어 올리는 리프팅 계열 종목은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등장하는 핵심적인 부분이다.[10] 주요 리프팅 종목은 다음과 같다.

  • 데드리프트: 바닥에 놓인 무거운 바벨을 들어 올리는 기본적인 리프팅 종목으로, 전신의 힘을 측정한다. 일반적인 바벨 외에도 더 길거나 두꺼운 엘리펀트 바, 무게 중심이 다른 해머 타이어, 높이를 조절하는 실버 달러, 실제 자동차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 스쿼트: 바벨을 어깨에 짊어지고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으로, 주로 하체와 코어 근력을 평가한다. 일반적인 스쿼트 외에도 거대한 자이언트 바벨이나 배럴 등을 이용한 변형 종목이 있다.
  • 스톤 리프팅: 무거운 돌을 들어 올리는 종목으로, 악력과 코어 근력이 중요하다.
  • 아틀라스 스톤맨후드 스톤(Manhood Stones): 여러 개의 무거운 구형 돌(아틀라스 스톤)이나 특정 지역의 전통적인 돌(맨후드 스톤)을 들어 올려 플랫폼 위에 놓거나 옮기는 종목이다.
  • 내추럴 스톤: 후사펠 스톤, 디니 스톤, 인버 스톤, 스테인스토센, 오드 하우겐 툼스톤 등 실제 자연석이나 특정 형태의 무거운 돌을 들어 옮기거나 들어 올리는 종목들을 포함한다.
  • 프레스 (Press): 다양한 형태의 무게를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종목이다.
  • 로그 프레스: 통나무(Log) 형태의 기구를 바닥에서 가슴까지 들어 올린(클린) 후, 머리 위로 밀어 올리는(프레스) 종목이다.
  • 액슬 프레스: 일반 바벨보다 두꺼워 잡기 어려운 액슬 바(Axle Bar)를 이용한 오버헤드 프레스이다.
  • 바이킹 프레스: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기구를 반복적으로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종목이다.
  • 덤벨 프레스: 서커스 덤벨, 사이르(Cyr) 덤벨, 인치 덤벨 등 매우 크고 무거운 덤벨을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들어 올리는 종목이다.

3. 2. 운반

스트롱맨 경기에는 다양한 운반 종목이 포함된다. 이 종목들은 선수가 무거운 물체를 들거나, 메거나, 끌고 정해진 거리를 이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주요 운반 종목은 다음과 같다.[10]

  • 파머스 워크 (Farmer's Walk): 양손에 무거운 손잡이가 달린 물체(예: 프레임, 실린더)를 들고 최대한 빨리 정해진 거리를 걷는 종목이다. 팀버 캐리(Timber Carry)와 같이 유사한 형태의 변형 종목도 있다.
  • 요크 (Yoke): 어깨에 H자 모양의 무거운 철제 구조물(요크)을 짊어지고 정해진 거리를 이동하는 종목이다. 슈퍼 요크(Super Yoke), 베일 토트(Bale Tote), 프레임 캐리(Frame Carry) 등이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 차량 당기기 (Vehicle Pull): 트럭, 버스, 비행기 등 매우 무거운 차량에 하네스를 연결하여 몸으로 끌어당기는 종목이다.
  • 로딩 메들리 (Loading Medley): 다양한 형태와 무게의 물체들(예: 아틀라스 스톤, 자루, 통)을 정해진 지점에서 들어 올려 다른 위치(플랫폼 등)로 옮겨 싣는 종목이다. 제한 시간 안에 얼마나 많은 물체를 옮기거나, 모든 물체를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운반 관련 종목들이 있다.[10]

  • 파워 계단 (Power Stairs): 무거운 물체를 들고 계단을 오르는 종목이다.
  • 덕 워크 (Duck Walk): 다리 사이에 무거운 물체를 끼우거나 안고 뒤뚱거리며 걷는 종목이다.
  • 코난의 휠 (Conan's Wheel) / 바스크 서클 (Basque Circle): 무거운 바벨이나 구조물을 팔로 안고 축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도는 종목이다.
  • 자동차 뒤집기 (Car Flip) / 타이어 뒤집기 (Tyre Flip): 거대한 타이어나 자동차를 들어 올려 앞으로 뒤집으며 이동하는 종목이다.

3. 3. 기타



경쟁적인 스트롱맨(Strongman) 종목은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국제 무대에서 자주 등장하는 몇 가지 주요 종목이 있다.[10]

  • 데드리프트 (및 변형: 엘리펀트 바/ 해머 타이어/ 실버 달러/ 디피싯/ 자동차/ 배럴 등)
  • 스쿼트 (및 변형: 자이언트 바벨/ 배럴/ 더블-T 캠버 바 등)
  • 아틀라스 스톤 및 매 manhood stones
  • 내추럴 스톤 (후사펠 스톤, 디니 스톤, 인버 스톤, 스테인스토센, 오드 하우겐 툼스톤 등)
  • 로그 클린 앤 프레스/ 액슬 오버헤드 프레스/ 바이킹 프레스
  • 서커스/ 사이르/ 인치 덤벨
  • 차량 당기기
  • 슈퍼 요크/ 베일 토트/ 프레임 캐리
  • 파머스 워크/ 팀버 캐리
  • 케그 던지기
  • 바 넘기기
  • 파워 계단/ 덕 워크
  • 핑갈의 핑거/ 노르스 해머
  • 로딩 메들리
  • 헤라클레스 홀드/ 프론트 홀드/ 데드리프트 홀드
  • 코난의 휠/ 바스크 서클
  • 자동차 뒤집기/ 타이어 뒤집기
  • 바 벤딩
  • 악력 종목

4. 훈련

스트롱맨 훈련은 단순히 체육관에서 근력 운동을 하는 것을 넘어, 실제 시합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도구를 다루는 기술적인 숙련도 향상까지 포함한다. 전반적인 신체 능력 강화를 위해 스쿼트, 데드리프트, 오버헤드 프레스와 같은 기본적인 근력 운동과 함께 역도 스타일의 훈련을 통해 폭발적인 힘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강한 악력과 정신력, 고통을 견디는 인내심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9]

일반적인 근력 운동 외에도, 스트롱맨 시합에 사용되는 내추럴 스톤(자연석), 통나무(로그 리프트용), 파머스 워크 프레임, 요크 등 특수한 장비를 이용한 종목별 훈련이 필요하며, 이는 일반 체육관에서는 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불어, 높은 수준의 신체 능력을 유지하고 발달시키기 위해 하루에 약 8,000에서 10,000 칼로리에 달하는 고강도 식단 관리 또한 훈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4. 1. 근력 운동

스트롱맨 훈련은 체육관에서 전반적인 근력을 키우는 것과 실제 시합 도구를 사용하여 훈련하며 숙련도를 높이는 것을 포함한다. 체육관에서는 특히 스쿼트, 데드리프트, 오버헤드 프레스와 같은 운동의 다양한 변형을 통해 전신 근력을 단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발휘하는 폭발적인 힘 또한 중요하며, 이는 역도 스타일의 리프트 훈련과 심혈관 조절 능력을 통해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물건을 강하게 쥐는 힘인 악력을 키우고, 정신력과 고통에 대한 인내심을 향상시키는 것도 필수적인 훈련 요소이다.[9]

4. 2. 종목별 훈련

스트롱맨 훈련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일반적인 체육관에서 전반적인 근력을 키우는 것이고, 둘째는 실제 시합에서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기술적인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다.

체육관에서는 전신 근력 강화를 목표로 하며, 특히 스쿼트, 데드리프트, 오버헤드 프레스와 같은 복합 운동의 다양한 변형을 통해 훈련한다. 순간적인 힘을 내는 폭발력 또한 중요한 요소인데, 이는 역도 스타일의 리프트 훈련과 심혈관 단련을 통해 발달시킬 수 있다. 강한 악력을 기르는 것과 정신력 및 고통을 견뎌내는 인내심을 향상시키는 것 역시 필수적이다.[9]

일반적인 근력 운동은 일반 체육관에서도 가능하지만, 스트롱맨 시합에 특화된 훈련을 위해서는 일반 체육관에서 찾기 어려운 특수 장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비들은 스트롱맨 시합에서 직접 사용되는 것들로, 내추럴 스톤(자연석), 통나무(로그 리프트용), 파머스 워크 프레임, 요크, 케그(맥주통), 다양한 종류의 차량 등이 포함된다. 이 장비들은 직접 제작하거나 스트롱맨 전문 훈련 시설을 찾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트롱맨 훈련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고강도의 영양 섭취 계획이다. 최상위권의 스트롱맨 선수들은 신체 능력 유지 및 발달을 위해 하루에 약 8,000에서 10,000 칼로리에 달하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섭취해야 한다.

4. 3. 식단

스트롱맨 훈련의 또 다른 부분은 강도 높은 식단이다. 가장 큰 스트롱맨 선수들은 하루에 약 8,000~10,000 칼로리를 섭취해야 한다.

5. 주요 선수

스트롱맨 역사에는 시대를 대표하는 수많은 강자들이 존재해왔다. 초기 서커스 공연에서의 힘 자랑꾼부터 현대 스트렝스 육상 경기의 전문 선수에 이르기까지, '스트롱맨'의 의미는 변화해왔다. 아래에서는 시대별 주요 선수들을 소개한다.

5. 1. 전통 스트롱맨 (출생 연도순)



많은 자료에서 스트롱맨은 엄청난 양의 힘을 지닌, 놀라운 묘기를 선보이는 사람이라고 설명한다.[4][5] 19세기에 '스트롱맨'은 서커스 공연에서 힘을 과시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였다.[6] 20세기 전반에 스트롱맨들은 벤트 프레스(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벤치 프레스와 혼동하지 말 것)와 같이 팔을 뻗어 머리 위로 상당한 무게를 지탱하거나, 강철 구부리기, 쇠사슬 끊기 등 다양한 괴력을 선보였다. 이러한 묘기를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손목, 손, 그리고 힘줄의 힘이 필요했으며, 엄청난 외복사근의 힘 또한 필요했다.[7]

아래는 출생 연도순으로 나열된 전통적인 스트롱맨 목록이다.

  • 오름 스토롤프슨
  • 그레티르 아스문다르손
  • 토마스 토팜
  • 앵거스 그레이엄
  • 스노리 비외르손
  • 피터 프란시스코
  • 브린요울푸르 에게르트손
  • 오토 에버스타트
  • 찰스 반시타트
  • 앵거스 맥아스킬
  • 도널드 디니
  • 루이 아틸라
  • 존 홀텀
  • 에드윈 체크리
  • 시뇨르 라완다
  • 코카 유수프
  • 루이 '아폴론' 유니
  • 피에르 가스니에
  • 루이 시르
  • 조지 레바쇠르
  • 마일로 브린
  • 길먼 로우
  • 유진 샌도우
  • 윌리엄 뱅키어
  • 이반 포두브니
  • 워렌 링컨 트래비스
  • 게오르그 루리치
  • 게오르그 하켄슈미트
  • 아서 색슨
  • 위대한 가마
  • 스타니슬라우스 즈비슈코
  • 몬테 살도
  • 구스타프 프리슈텐스키
  • 토마스 인치
  • 맥스 식
  • 칼 스보보다
  • 코디 람무르티 나이두
  • 프랭크 살도
  • 존 B. 가뇽
  • 폴 트라펜
  • 윌리엄 풀럼
  • 알렉산더 자스
  • 헤르만 괴르너
  • 조지 F. 조웨트
  • 블라덱 즈비슈코
  • 조 그린스타인
  • 지셰 브라이트바르트
  • 에드 제르처
  • 칼 노르베르그
  • 칼 뫼르케
  • 헨리 '마일로' 스타인본
  • 돈 아탈도
  • 조 보노모
  • 지크문트 클라인
  • 샤를 리그롤로
  • 조 롤리노
  • 군나르 살로몬손
  • 이안 고든 배철러
  • 위대한 안토니오
  • 더그 헵번
  • 맷 타잔
  • 폴 앤더슨
  • 오토 아크론
  • 잭 섕크스
  • 테리 토드
  • 존 마시스
  • 존 콜
  • 더글라스 에드먼즈
  • 발렌틴 디쿨
  • 리처드 소린
  • 그레그 마토닉
  • 이냐키 페루레나

5. 2. 현대 스트롱맨 (수상 경력순)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스트롱맨'이라는 용어는 스트렝스 육상 경기에 참가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로 변화했다. 이들은 데드리프트, 스쿼트, 오버헤드 로그 리프트, 돌 들기, 냉장고 나르기, 무거운 차량 끌기, 무게 던지기 또는 싣기와 같은 운동을 통해 순수한 기능적 힘을 겨루는 현대적인 힘 경쟁에 참여한다. 가장 유명한 대회로는 월드 스트롱맨(WSM), 아놀드 스트롱맨 클래식(ASC), 유럽 스트롱맨, 스트롱맨 챔피언스 리그, 월드 얼티메이트 스트롱맨, 월드 스트롱기스트 바이킹, 월드 머슬 파워 클래식(WMPC), 포르티시무스, 퓨어 스트렝스, 로그 인비테이셔널, 쇼 클래식, 자이언츠 라이브, IFSA 세계 선수권 대회, 스트롱맨 슈퍼 시리즈, 그리고 월드 스트롱맨 챌린지 등이 있다.[3] 30개 이상의 국가에서도 자체적인 스트롱맨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8]

아래 목록은 1977년 이후 월드 스트롱맨(WSM), 1985년부터 2004년까지 월드 머슬 파워 클래식(WMPC), 그리고 2002년 이후 아놀드 스트롱맨 클래식(ASC)에서 시상대(1위, 2위 또는 3위)에 오른 주요 선수 75명이다. 선수들은 시상대에 처음 오른 연대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들 중 24명은 WSM에서, 11명은 WMPC에서, 9명은 ASC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7명의 선수(카즈마이어, 케이프스, 시그마르손, 리브스, 마그누손, 아홀라, 칼센)는 WSM과 WMPC에서 모두 우승했으며, 5명의 선수(사비카스, 쇼, 비에르손, 리시스, 후퍼)는 WSM과 ASC에서 모두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주요 대회 시상대 입상자 (1977년 이후, 연대순)
이름월드 스트롱맨 (WSM) 우승월드 머슬 파워 클래식 (WMPC) 우승아놀드 스트롱맨 클래식 (ASC) 우승
브루스 빌헬름
밥 영
켄 파테라
돈 레인하우트
라스 헤들룬드
빌 카즈마이어
제프 케이프스
데이브 와딩턴
톰 매기
존 갬블
욘 포르 팔 시그마르손
시몬 울프세
압 볼더스
세스 데 브레우그드
마크 히긴스
제이미 리브스
흐얄티 아르나손
O.D. 윌슨
일카 누미스토
마그누스 베르 마그누손
헤닝 토르센
게리 테일러
테드 반 데르 파레
리쿠 키리
만프레드 호에베를
안톤 부처
게리트 바덴호르스트
마르코 바라라티
포브스 코완
토르피 올라프손
요우코 아홀라
마그누스 사무엘손
라이몬즈 베르그마니스
플레밍 라스무센
마크 필리피
레긴 바가달
우트 질스트라
얀네 비르타넨
스벤 칼센
위고 지라드
폴 스미츠
마크 헨리
필 피스터
마리우시 푸지아노프스키
지르드루나스 사비카스
바실 비라스트유크
글렌 로스
제시 마룬데
도미닉 필리우
미하일 코클랴에프
돈 포프
안드루스 무루메츠
세바스티안 웬타
테리 홀란즈
데릭 파운드스톤
데이브 오스런드
트래비스 오트마이어
브라이언 쇼
마이크 젠킨스
비타우타스 랄라스
하프토르 율리우스 비에르손
마이크 버크
마테우시 키엘리시코프스키
에디 홀
제리 프리체트
미하일 시블리야코프
마틴스 리시스
올렉시 노비코프
톰 스톨트먼
JF 카론
막심 부드롤
바비 톰슨
루크 스톨트먼
미첼 후퍼
에반 싱글턴



또한 다음 50명의 스트롱맨은 월드 스트롱맨 대회, 월드 머슬 파워 클래식, 아놀드 스트롱맨 클래식에서 4위 또는 5위에 오른 경력이 있다.


  • 루 페리뇨
  • 프랑코 콜롬부
  • 존 콜브
  • 거스 레트비쉬
  • 비숍 돌레기에비츠
  • 제리 해넌
  • 크레이그 울플리
  • 어니 해켓
  • 해미시 데이비슨
  • 루돌프 쿠에스터
  • 조지 헥터
  • 댄 마르코비치
  • 장-피에르 브룰로아
  • 톰 호크
  • 라슬로 페케테
  • 에이드리언 스미스
  • 베렌드 베네베르크
  • 하인츠 올레시
  • 피에터 데 브루인
  • 마틴 무르
  • 웨인 프라이스
  • 네이선 존스
  • 빌 린든
  • 조니 페리
  • 브라이언 벨
  • 아르비다스 핀티나스
  • 앤디 볼턴
  • 스티브 키릿
  • 빌 피터크
  • 사미 헤이노넨
  • 야렉 디메크
  • 브라이언 스쿤벨드
  • 오드 하우겐
  • 브라이언 시더스
  • 베네딕트 마그누손
  • 올렉산드르 페카노프
  • 마크 펠릭스
  • 타르모 미트
  • 비다스 블레카이티스
  • 스테판 쇨비 페테르손
  • 로렌스 샬라이
  • 크시슈토프 라지코프스키
  • 디미타르 사바티노프
  • 콘스탄틴 자나샤
  • 마티아즈 벨삭
  • 롭 카니
  • 트레이 미첼
  • 토마스 에반스
  • 매튜 래그
  • 트리스탄 호아스

6. 국제 대회 및 한국의 현황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스트롱맨'이라는 용어는 스트렝스 육상 경기에 참가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미가 변화했다. 이는 데드리프트, 스쿼트, 오버헤드 로그 리프트, 돌 들기, 냉장고 나르기, 무거운 차량 끌기, 무게 던지기 또는 싣기와 같은 운동을 통해 경쟁자들이 자신의 순수한 기능적 힘을 보여주는 더욱 현대적이고 절충적인 힘 경쟁이다.[7]

이러한 현대 스트롱맨 경기는 월드 스트롱맨, 아놀드 스트롱맨 클래식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여러 국제 대회를 통해 그 힘을 겨룬다.[3] 또한, 30개 이상의 국가에서도 자체적인 국가 수준의 스트롱맨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8]

6. 1. 국제 대회



현대 스트롱맨 경기는 순수한 기능적 힘을 보여주는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힘을 겨루는 가장 유명한 국제 대회는 다음과 같다.[3]

  • 월드 스트롱맨 (World's Strongest Man, WSM): 가장 인지도가 높고 권위 있는 스트롱맨 대회 중 하나로 꼽힌다.
  • 아놀드 스트롱맨 클래식 (Arnold Strongman Classic, ASC):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주최하는 대회로, 높은 상금과 명성을 자랑한다.
  • 스트롱맨 챔피언스 리그 (Strongman Champions League, SCL): 전 세계 여러 국가를 순회하며 개최되는 시리즈 형태의 대회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주요 국제 대회들이 있다.

  • 유럽 스트롱맨 (Europe's Strongest Man)
  • 월드 얼티메이트 스트롱맨 (World's Ultimate Strongman)
  • 월드 스트롱기스트 바이킹 (World's Strongest Viking)
  • 월드 머슬 파워 클래식 (World Muscle Power Classic)
  • 포르티시무스 (Fortissimus)
  • 퓨어 스트렝스 (Pure Strength)
  • 로그 인비테이셔널 (Rogue Invitational)
  • 쇼 클래식 (Shaw Classic)
  • 자이언츠 라이브 (Giants Live)
  • IFSA 세계 선수권 대회 (IFSA World Championship)
  • 스트롱맨 슈퍼 시리즈 (Strongman Super Series)
  • 월드 스트롱맨 챌린지 (World Strongman Challenge)


또한,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자체적인 국가 수준의 스트롱맨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8]

다음 표는 현대 스트롱맨 역사상 가장 많은 '''국제 대회 우승'''을 기록한 상위 50명의 선수 경력을 요약한 것이다 (1위 기록만 집계 / 체급 및 연령 제한 없음).[11]

#이름국적활동대회우승우승 %
1지드루나스 사비카스리투아니아1996–20221477953.74%
2마리우스 푸지아노프스키폴란드2000–2009614370.49%
3하프토르 율리우스 비요른손아이슬란드2010–703144.29%
4브라이언 쇼미국2007–2023652741.54%
5아이바르스 슈마우스텔리스라트비아2014–762634.21%
6크르지슈토프 라지코프스키폴란드2005–20191122421.43%
7어빈 카토나세르비아2003–2015991717.17%
8위고 지라드캐나다1998–2008371540.54%
9다이니즈 자게리스라트비아2009–2022871517.24%
10미첼 후퍼캐나다2022–231460.87%
11욘 파울 시그마르손아이슬란드1982–1992291344.82%
12마그누스 베르 마그누손아이슬란드1987–2005481225.00%
13마그누스 사무엘손스웨덴1995–2008631219.05%
14요코 아홀라핀란드1994–2002221150.00%
15리쿠 키리핀란드1987–1999251144.00%
16마테우시 키엘리슈코프스키폴란드2014–441125.00%
17올렉시 노비코프우크라이나2016–451124.44%
18미하일 코클랴예프러시아2005–2014501122.00%
19마티아즈 벨사크슬로베니아2014–2020641117.19%
20JF 캐런캐나다2007–2023731013.70%
21제프 캡스영국1979–198820945.00%
22스벤 칼센노르웨이1996–200667913.43%
23빌 카즈마이어미국1979–199018844.44%
24데릭 파운드스톤미국2006–201722836.36%
25마틴스 리시스미국2015–24833.33%
26비타우타스 랄라스리투아니아2007–201830826.67%
27켈빈 드 루이터네덜란드2011–40820.00%
28얀네 비르타넨핀란드1998–200950816.00%
29로렌스 샤라에이영국2007–202155814.55%
30트래비스 오트마이어미국2005–202351713.72%
31만프레드 훼베를오스트리아1990–199618633.33%
32바실 비라스트유크우크라이나2002–200828621.43%
33안드루스 무루메츠에스토니아2003–200940615.00%
34레이노 넬남아프리카 공화국2023–6583.33%
35아담 로즈코프스키폴란드2021–19526.32%
35플레밍 라스무센덴마크1995–200119526.32%
37미하일 스타로프우크라이나2004–200624520.83%
38파블로 코르디야카우크라이나2017–25520.00%
39에반 싱글턴미국2018–29517.24%
40요하네스 아르셰스웨덴2007–201739512.82%
41미하일 시블랴코프러시아2011–202144511.36%
41스토얀 토도르체프불가리아2005–201744511.36%
43라이비스 비지스라트비아2002–200946510.87%
43야레크 디메크폴란드2000–201046510.87%
45오스카르 지올코프스키폴란드2020–13430.77%
46마이크 버크미국2011–201519421.05%
47디지스 자리뉴라트비아2011–23417.39%
48트레이 미첼미국2016–26415.38%
49톰 스톨트먼영국2016–32412.50%
50글렌 로스영국1997–201133412.12%


  • '''범례''':      활동 중인 선수
  • 2024년 11월 24일 기준

7. 비판적 시각 및 오해

(내용 없음)

7. 1. 파워리프팅, 보디빌딩과의 혼동

'스트롱맨'이라는 용어는 종종 파워리프팅, 역도 또는 보디빌딩 선수와 혼동되어 사용되곤 한다. 역사적으로 19세기에 '스트롱맨'은 서커스 공연에서 힘을 과시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며[6], 많은 자료에서 이들을 엄청난 힘으로 놀라운 묘기를 선보이는 인물로 묘사한다.[4][5] 특히 19세기 서커스나 엔터테인먼트 무대에 섰던 보디빌더들은 공연 중간 휴식 시간에 관중 앞에서 카드 찢기, 못 구부리기 등 근력 시범을 통해 단순히 근육의 대칭미나 크기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힘을 과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스트롱맨과 다른 근력 기반 스포츠 간의 구분이 모호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ho is the World's Strongest Man? Ranking the top five Strongest Men in History https://www.sportske[...] 2022-11-02
[2] 웹사이트 About Strongman - competitors are tested for their pure strength https://www.topendsp[...] 2024-09-10
[3] 웹사이트 The origins of Strongman sport, a story of strength and challenge https://kingsbox.com[...] 2023-06-15
[4] 웹사이트 Strongman https://www.collinsd[...] 2024-09-10
[5] 웹사이트 Strongman https://www.dictiona[...] 2024-09-10
[6] 웹사이트 STRONGMAN https://erafit.co.uk[...] 2019-09-05
[7] 웹사이트 Notable Strongmen and their fascinating feats of strength https://www.thevinta[...] 2017-05-20
[8] 웹사이트 STRONGMAN CONTESTS https://strongmanarc[...] 2022-04-13
[9] 웹사이트 Strongman Training at Home https://www.ironmast[...] 2024-09-10
[10] 웹사이트 Strongman Events http://www.strongman[...] strongman.org 2012-12-28
[11] 웹사이트 Strongman Archives - Athletes https://strongmanarc[...] 2022-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