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곽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곽율은 1531년 현풍에서 출생하여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이다. 1558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관직에 나아가 조지서 별제, 김천도 찰방, 홍산 현감 등을 역임하며 치적을 쌓았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초계 가군수로 임명되어 의병을 이끌고 낙동강 도하를 차단하는 등 활약했으나 1593년 초계 관사에서 사망했다. 사후 도동서원 별사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 《예곡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31년 출생 - 등자룡
    등자룡은 명나라의 무신으로 정유재란 당시 조선에 파병되어 노량 해전에서 전사하였으며, 여러 반란 진압과 따웅우 왕조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이순신과 함께 노량 해전에서 용맹하게 싸우다 전사하여 조선에서도 그의 충성심과 용맹을 기리고 있다.
  • 1531년 출생 - 아고스티노 라멜리
  • 현풍 곽씨 - 곽상욱
    곽상욱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오산시장에 당선되었다.
  • 현풍 곽씨 - 곽대훈
    곽대훈은 대구 달서구청장을 세 번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제26대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으로 활동한다.
  • 1593년 사망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93년 사망 - 오기마치 천황
    오기마치 천황은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재위하며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비호 아래 쇠퇴했던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들의 영향력 아래 양위를 요구받기도 했던 일본의 제106대 천황이다.
곽율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곽율
한자 표기郭𧺝
출생일1531년
출생지조선 경상도 현풍현 (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사망지조선 경상도 초계군 (현 경상남도 합천군)
사망일1593년
사망 원인병사
거주지조선 경상도 현풍현, 경상도 초계
국적조선
별명자(字)는 태정(泰靜), 호(號)는 예곡(禮谷)
학력한학 수학
직업학자, 문신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청주 정씨
자녀영희(永禧)
부모참봉 곽지인(부), 창녕 조씨 부인(모)

2. 생애

1531년 경상도 현풍(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에서 태어났다.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558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대과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564년 진극원을 찾아갔다.[1]

1572년 성균관의 천거로 조지서 별제에 임명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573년 김천도 찰방으로 전임되었고, 1580년 내섬시 직장, 1585년 송라도 찰방, 1586년 홍산 현감에 제수되었다. 홍산현감으로 재직하며 치적을 쌓아 군자감 판관, 예천군수로 승진하였다.[2]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성일에 의해 초계 가군수(假郡守)로 임명되었고, 곧이어 정식 초계군수가 되었다. 초계 의병군의 참모장으로 낙동강 도하를 차단하여 경상우도 지역을 보전하는데 기여하였다.[3] 1593년 초계 관사에서 병사하였다. 1695년 도동서원 별사에 제향되었다.

2. 1. 수학

김해 산해정에 있던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58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대과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564년 월와 진극원을 찾아갔는데, 이때 수족당 전우가 함께 하였다.[1]

2. 2. 관직 생활

1572년(선조 5년) 42세에 성균관의 천거로 조지서 별제에 임명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1] 1573년 봄, 어버이를 모시기 위해 김천도 찰방으로 전임되었다. 1580년 내섬시 직장에 임명되었고, 1585년 송라도 찰방, 1586년 홍산 현감에 제수되었다. 홍산현감으로 재직한 6년 동안 많은 치적을 쌓아 이후 군자감 판관, 예천군수로 승진하였다.[2]

2. 3. 임진왜란과 의병 활동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안음현으로 피신하였는데, 그때 초유사(招諭使)로 파견된 김성일에 의해 초계 가군수(假郡守)로 임명되었고, 곧이어 정식으로 초계군수가 되어 왜적과 맞서 싸웠다. 당시 초계 지역의 의병은 순수의병제에서 관민연합제로 전환하는 과정이었으며, 곽율 자신도 초계 의병군의 참모장으로 수많은 전투에 참여하여 낙동강 도하를 차단하여 초계 지방과 경상우도 지역을 보전할 수 있었다.[3]

2. 4. 사망

1593년 초계 관사에서 병사하였다.[3] 1695년 지역 유림에 의해 세워진 도동서원 별사에 제향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증조부곽승양(郭承陽)
할아버지곽당(郭塘)
할머니한양 조씨(漢陽趙氏) - 이조정랑 조덕생(趙德生)의 손녀, 사과 조건(趙建)의 딸, 김일손의 생질
아버지곽지인(郭之仁)
어머니창녕 조씨(昌寧曺氏)
동생곽익(郭𧾰)
부인청주 정씨(淸州鄭氏) - 정사성(鄭思誠)의 딸


4. 교유

5. 저서

禮谷集|예곡집중국어

참조

[1] 문서 월와일고(月窩逸稿)
[2] 서적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들 보고사 2012
[3] 문서 용사일기(龍蛇日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