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기마치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기마치 천황은 1557년 고나라 천황의 사망으로 즉위한 일본 천황이다. 재정난으로 즉위식을 늦게 거행했으나, 센고쿠 다이묘 모리 모토나리의 헌금으로 치렀다. 오다 노부나가의 교토 장악 이후 황실 재정을 지원받았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간파쿠 임명을 받았다. 1586년 손자 고요제이 천황에게 양위하고 159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일본의 군주 - 고카시와바라 천황
    고카시와바라 천황은 일본의 104대 천황으로, 오닌의 난 이후 재정난 속에서 즉위하여 22년 만에 즉위식을 올렸으며, 재정 부족에도 조선과의 관계 개선과 백성을 위한 마음을 проявлял.
  • 16세기 일본의 군주 - 고나라 천황
    고나라 천황은 일본 전국시대 혼란과 재정난 속에서 즉위식을 늦게 치렀으나 검소하고 백성을 위한 마음으로 정치를 펼쳤으며 학문에도 능통하여 서예 작품을 팔아 재정에 보탰고, 재위 기간 중에는 서양 문물이 전래되고 조정 기록이 소실되는 사건도 있었다.
  • 1517년 출생 - 이지함
    이지함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사회 사상가로, 서경덕에게 학문을 배우고 실용적인 면을 강조하며 유랑 학자로서 백성들의 삶을 체험하고 관직에 나아가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쳤으며, 실학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517년 출생 -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
    파울루스 헥토르 마이어는 갑옷 제작자 아들로 태어나 고대 무기와 무술을 연구하고 자신만의 검술 시스템을 집대성한 『무술 대강』을 집필했지만, 시 금고 횡령으로 교수형에 처해진 비극적인 인물이다.
오기마치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기마치 천황의 초상화, 작가 미상, 16세기 후반
미치히토 (方仁)
묘호오기마치인 (正親町院) 또는 오기마치 천황 (正親町天皇)
출생일1517년 6월 18일
사망일1593년 2월 6일
사망 장소센토 황궁, 교토.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묻힌 곳후카쿠사노 기타노 미사사기 (深草北陵), 교토
아버지고나라 천황
어머니마데노코지 (후지와라) 에이시 (만리소로영자)
재위
재위 기간1557년 11월 17일 – 1586년 12월 17일
즉위1560년 2월 22일
선대 천황고나라 천황
후대 천황고요제이 천황
가계
자녀마사히토 왕자
왕가
왕가일본 황실
쇼군
쇼군아시카가 요시테루
아시카가 요시히데
아시카가 요시아키

2. 생애

고지 3년(1557년), 고나라 천황이 사망하자 오기마치 천황이 일본 천황 자리에 올랐다(践祚|센소일본어). 그러나 당시 일본 황실은 극심한 재정난을 겪고 있었다. 오기마치 천황은 센고쿠 다이묘 모리 모토나리가 금을 헌상할 때까지 3년 동안 즉위식도 올리지 못할 정도였다.

에이로쿠 3년(1560년) 5월, 스루가의 다이묘 이마가와 요시모토가 상락을 개시하였으나, 오와리오다 노부나가에게 반격당하여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패배하고 요시모토 역시 전사하였다. 에이로쿠 8년(1565년)에는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마쓰나가 히사히데 등에 의해 살해당하고(에이로쿠의 변), 에이로쿠 11년(1568년) 9월, 요시테루의 뒤를 이은 쇼군 아시카가 요시히데가 전염병으로 사망하였다. 잇따른 정국의 불안정으로 천황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지고, 황실의 권위는 더욱 추락하였다.

이후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정권을 잡는 동안, 이들은 천황의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천황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닌의 난 이후 실추되었던 천황가의 권위가 다시 회복되었다.

덴쇼 14년(1586년), 오기마치 천황은 손자 가즈히토 친왕(和仁親王, 후의 고요제이 천황)에게 양위하고 센토 어소(仙洞御所)로 은퇴하였고, 분로쿠 2년(1593년) 1월 5일에 사망하였다.

2. 1. 즉위

고지 3년(1557년), 고나라 천황이 사망하자 오기마치 천황이 일본 천황 자리에 올랐다(践祚|센소일본어). 그러나 당시 일본 황실은 극심한 재정난을 겪고 있었다. 오기마치 천황은 즉위 후 3년 동안 즉위식도 올리지 못할 정도였다.[3]

에이로쿠 3년(1560년) 1월, 센고쿠 다이묘 모리 모토나리가 막대한 헌금을 통해 오기마치 천황의 즉위식을 지원하였다. 오기마치 천황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모리 가문에게 종오위하 우마노스케(右馬頭) 관직을 내리고, 황실 문장인 국화(菊花)오동나무(桐) 문양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12] 혼간지(本願寺)의 법주 겐뇨(顕如)도 막대한 돈을 헌납하여, 천황에게서 문적(門跡) 칭호를 받았다. 이후 혼간지의 세력은 더욱 강대해졌다.

2. 2. 오다 노부나가와의 관계

오다 노부나가1568년에 오기마치 천황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교토에 입성(상락)하였다.[13] 노부나가는 궁핍한 조정의 재정을 여러 정책과 원조로 회복시키는 한편,[14] 천황의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의 적대 세력에게 칙령을 내려 강화를 실현시켰다. 1570년아사쿠라 요시카게·아자이 나가마사와의 싸움, 1573년아시카가 요시아키와의 싸움, 1580년이시야마 혼간지와의 싸움 등에서 맺어진 강화는 모두 오기마치 천황의 칙령에 따른 것이다.

예수회 선교사는 일본에 오기마치 천황과 오다 노부나가, 두 명의 통치자가 있다고 보고서에 기록했다.[15] 프란시스코 하비에르의 후임인 포교 책임자 코스메 데 토레스는 1570년에 일본의 권력 분립을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16]

1577년에 노부나가는 우다이진(우대신)에 임명되었다.

오기마치 천황이 오다 노부나가에게 양위를 강요받았다는 설이 있다. 1573년 무렵부터 오다 노부나가는 오기마치 천황에게 여러 차례 양위를 요구했다. 같은 해 12월 8일의 『효친일기』에 그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노부나가는 장래의 천황인 사네히토 친왕을 빨리 천황으로 삼아, 더욱 손쉽게 조정의 권위를 이용하려는 속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천황은 끝까지 그것을 거부했다. 혼노지의 변에 관한 설로서 조정 개입설이 제기되는 것도 이러한 사정 때문이다.

반대로, 오기마치 천황이 퇴위를 희망했고 오다 노부나가가 이에 반대했다는 설도 있다. 궁중 내부 자료인 『오유도노노우에 일기』에 따르면, 1581년 노부나가가 교토에서 대규모 교토 오우마조로에를 실시한 직후 3월 9일에 오기마치 천황으로부터 퇴위 의향이 노부나가에게 전달되었다. 같은 해 3월 24일에 퇴위가 일단 조정에서 결정되었고, 이 일을 “경사다, 경사다”라고까지 기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네미쿄키』 4월 1일 조에 갑자기 중지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당시에는 센토고쇼가 없었고, 천황과 노부나가 중 누가 퇴위를 희망했더라도 “퇴위 후 거처”라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어떤 형식으로든 센토고쇼를 마련하지 않는 한 퇴위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퇴위 관련 제의식이나 퇴위 후 상황의 고쇼 조영 등에 드는 막대한 경비를 충당할 수 있는 유일한 권력자인 노부나가가 퇴위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3.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관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미천한 출신이었지만, 명나라를 정복하여 황제가 되겠다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임진왜란, 정유재란). 그러나 히데요시는 천황이 되려고는 하지 않고, 많은 황금을 헌상하는 등 천황의 비호자로 행동하였다. 덴쇼 13년(1585년)에 오기마치 천황은 히데요시를 최고위직인 간파쿠에 서임했다.[17] 이처럼 천황가와 오다-도요토미 정권은 서로를 이용하는 관계였으며, 그 과정에서 오닌의 난 이후 실추된 천황가의 권위가 많이 회복되었다.

도요토미씨로 정권이 이양된 후에도 히데요시는 어료지와 황금을 헌상하며 오기마치 천황을 정권의 보호막으로 삼았다. 당시 히데요시는 중국·조선과 동남아시아 진출이라는 웅대한 야망을 품고 있었다(문록의 역). 명나라를 정복한 후에는 "영려"를 명나라로 옮기고, 그 후의 "일본 제위의 의식"을 비롯한 궁정 인사에 대해서도 구상하고 있었다고 한다.[17] 그러나 이 계획은 조선 출병의 실패로 인해 중단되었지만, 그 후에도 황실과 오다-도요토미 정권의 상호 관계는 계속되어 결과적으로 황실의 권위는 높아졌다.

2. 4. 양위와 죽음

덴쇼 14년(1586년), 오기마치 천황은 손자 가즈히토 친왕(和仁親王, 후의 고요제이 천황)에게 양위하고 센토 어소(仙洞御所)로 은퇴하였다.[7] 분로쿠 2년(1593년) 1월 5일에 77세[8]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오기마치 천황은 교토 후시미구의 ''후카쿠사 북릉''(深草北陵)에 있는 황릉에 합장되었다.[8]

3. 연호

4. 가계

고나라 천황(Go-Nara)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마데노코지 히데후사의 딸 궁녀 마데노코지 후사코(万里小路 房子)이다.[9]


  • 아버지: 고나라 천황(Go-Nara)
  • 어머니: 궁녀 (나이시노스케(Naishi-no-Suke)) 마데노코지 후사코(万里小路 房子, ? ~ 1580), 세이코인(清光院)

4. 1.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자녀
궁녀 (나이시노스케): 마데노코지(후지와라) 후사코 (万里小路 房子, ? ~ 1580), 세이코인(清光院). 만리소로 히데후사의 딸
궁녀 (나이시노스케): 아스카이 마사츠나의 딸
궁녀 (나이시노스케): 다이나이시(大典侍), 마데노코지 카타후사의 딸


4. 2. 공경(公卿)

공경(公卿)은 메이지 시대 이전 일본 천황의 궁중에 소속된, 매우 소수의 최고 권력자들을 일컫는 총칭이다. 궁중의 실질적인 영향력이 궁궐 밖으로 미치는 정도가 미미했던 시대에도, 계층적인 조직은 유지되었다.

일반적으로 이 엘리트 집단은 한 시대에 3~4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세습적인 궁중 귀족으로, 경험과 배경을 바탕으로 인생의 정점에 도달한 인물들이었다. 오기마치 천황 재위 시대, 대정관(太政官)의 정점에 있던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재임 기간
관백(성년 천황의 섭정)고노에 사키히사(近衛信熙)1554년–1568년
니조 하루요시(二条晴良)1569년–1578년
구조 카네타카(九条兼隆)1579년–1581년
이치조 우치모토(一条内基)1581년–1585년
니조 아키자네(二条昭実)1585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1585년–1592년
대정대신 (좌승상)고노에 사키히사(近衛信熙)158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1586년–1598년
사대신 (좌대신)고노에 사키히사(近衛信熙)1554년–1557년
사이온지 킨토모(西園寺公朝)1557년–1576년
구조 카네타카(九条兼隆)1576년–1577년
이치조 우치모토(一条内基)1577년–1585년
니조 아키자네(二条昭実)1585년
고노에 노부타다(近衛信孝)1585년–1592년
우대신 (우대신)가자노인 이에스케(賀陽院家輔)1557년–1574년
구조 카네타카(九条兼隆)1574년–1576년
이치조 우치모토(一条内基)1576년–1577년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1577년–1578년
니조 아키자네(二条昭実)1579년–1585년
이마데가와 하루스에(今出川晴季)1585년–1595년
나이다이진 (내대신)나카노인 미치타메(中野院道民)1565년
가주지 타다토요(勧修寺忠豊)1572년
마데노코지 코레후사(待賢門院経房)1573년
이치조 우치모토(一条内基)1575년–1576년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1576년–1577년
니조 아키자네(二条昭実)1577년–1579년
산조니시 사네키(三条西実季)1579년
이마데가와 하루스에(今出川晴季)1579년–1580년
도쿠다이지 킨후사(徳大寺公房)1580년
이마데가와 하루스에(今出川晴季)1580년
고노에 노부타다(近衛信孝)1580년–1585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1585년–1587년


5. 오기마치 천황이 등장하는 작품

=== 영화 ===


  • 리큐 (1989년, 쇼치쿠) - 배우: 도모토 나오로
  • 리큐에게 묻다 (2013년, 도에이) - 배우: 후쿠모토 세이조


=== 텔레비전 드라마 ===

  • 적은 본노지에 있다 (2007년, TV 아사히) - 배우: 카시마 준
  • 노부나가의 셰프 (2013년, TV 아사히) - 배우: 모리모토 레오
  • 노부나가 협주곡 (2014년, 후지 TV) - 배우: 에다미츠 토시오
  • 노부나가 타오르다 (2016년, TV 도쿄) - 배우: 안베 류타로
  • 기린이 온다 (2020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스도 루이 → 5대째 반도 타마사부로

5. 1. 영화


  • 리큐 (1989년, 쇼치쿠) - 배우: 도모토 나오로
  • 리큐에게 묻다 (2013년, 도에이) - 배우: 후쿠모토 세이조

5. 2. 텔레비전 드라마


  • 적은 본노지에 있다 (2007년, TV 아사히) - 배우: 카시마 준
  • 노부나가의 셰프 (2013년, TV 아사히) - 배우: 모리모토 레오
  • 노부나가 협주곡 (2014년, 후지 TV) - 배우: 에다미츠 토시오
  • 노부나가 타오르다 (2016년, TV 도쿄) - 배우: 안베 류타로
  • 기린이 온다 (2020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스도 루이 → 5대째 반도 타마사부로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2] 서적 Imperial House
[3] 서적 Jinnō Shōtōki
[4] 서적
[5] 서적
[6] 서적 Turning Point: Oribe and the Arts of Sixteenth-century Japan https://books.google[...]
[7] 문서 Following Ōgimachi, no other emperor remained on the throne past the age of 40 until 1817, when Emperor Kōkaku abdicated at age 47.
[8]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9]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10] 간행물 戦国大名毛利氏の和平政策―芸・雲和平の成立をめぐって―
[11] 서적 毛利元就卿伝 マツノ書店
[12] 서적 武家政権はなぜ天皇を立て続けたのか
[13] 서적
[14] 서적 信長と天皇―中世的権威に挑む覇王 講談社
[15] 서적
[16] 서적 足利時代史 明治書院
[17] 문서 豊臣秀次宛「二十五箇条の覚書」(前田尊経閣文庫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