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 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저우 군구는 1955년 창설되어 2016년 개편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구이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후난성, 후베이성을 관할했으며, 육군, 해군, 공군, 무장경찰 부대로 구성되었다. 역대 지휘관으로는 황융성, 쉬스유, 장완녠 등이 있다. 2016년 군구 개편으로 남부전구, 중부전구, 동부전구로 재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저우시 - 공행
공행은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청나라 광저우에서 서양 상인과의 무역을 중개하며 관세 징수와 무역 독점 역할을 하던 상인 조직이다. - 광저우시 - 광저우 봉기
광저우 봉기는 1927년 중국 공산당이 코민테른의 지시와 지원으로 광저우에서 소비에트 정권 수립을 목표로 일으킨 무장 봉기였으나 국민혁명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많은 공산주의자들이 희생되었으며, 조선인 공산주의자들도 참여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구 - 란저우 군구
란저우 군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의 7대 군구 중 하나였으며, 란저우시에 사령부를 두고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시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을 관할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구 - 베이징 군구
베이징 군구는 수도 방위를 담당하며 허베이성, 베이징시,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톈진시를 관할했던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구였으나, 시진핑 정부의 군사 개혁에 따라 북부전구와 중부전구로 분리되었다. - 2016년 해체된 단체 - 국민생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회는 대한민국 생활 체육 장려 단체로서, 지역 생활체육회와 종목별 연합회 관리 및 지원, 생활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세계한민족축전 개최를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과 민족 화합에 기여한다. - 2016년 해체된 단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는 1972년 설치된 북한의 국가 권력 기관으로, 김정일 시대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으나 김정은 시대에 국무위원회로 대체되어 폐지되었다.
광저우 군구 | |
---|---|
개요 | |
![]() | |
정보 | |
활동 기간 | 1949년 ~ 2016년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소속 | 인민해방군 |
종류 | 대군구 |
본부 | 광둥성 광저우시 |
지휘부 | |
주요 지휘관 | 알 수 없음 |
2. 역사
1955년 황융성이 광저우 군구의 초대 사령관으로 취임하여 1968년까지 재임했다.[1] 이후 리톈유, 딩성, 쉬스유(1973년~1980년),[1] 우커화(1980년~1982년),[1] 유타이중(1982년~1987년),[1] 장완녠 등이 사령관직을 역임했다.[1]
광저우 군구는 광둥성 군구, 광시 군구, 하이난성 군구, 후난성 군구, 후베이성 군구를 관할하였다.
2016년, 7개 군구가 5대 전구 체제로 개편되면서 광저우 군구는 대부분 남부전구로 재편되었고, 일부 지역은 중부전구와 동부전구로 편입되었다.[1]
3. 관할 구역 및 편성
3. 1. 성급 군구
광둥성 군구, 광시 군구, 하이난성 군구, 후난성 군구, 후베이성 군구를 관할한다.
3. 2. 부대
광저우 군구는 육군, 해군, 공군, 무장경찰 부대로 구성되었다.[1][2][4]3. 2. 1. 육군
제41집단군 (사령부: 류저우)은 2개 사단과 3개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1]
제42집단군 (사령부: 후이저우)은 3개 사단과 2개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이난 군구 예하에는 제132보병여단이 있다.
3. 2. 2. 해군
남해함대
3. 2. 3. 공군
광저우 군구 공군 사령관은 한루이지 중장, 정치위원은 왕지롄 중장이었다.[4] 부사령관은 장수톈 소장이었다. 광저우 군구 공군은 우한 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제7 항공군, 제15공수군(공정 부대), 우한 기지 소속 사단을 관할했다. 7개 항공 사단, 3개 공정 사단으로 편성되었다.
3. 2. 4. 무장경찰
무장경찰 제126사단3. 2. 5. 기타
중국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1]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2]
4. 역대 지휘관
구분 | 이름 | 비고 |
---|---|---|
군구 사령원 | 쉬펀린상장 | 1953년 7월 ~ , 장쑤성 진탄 출신 |
군구 정치위원 | 웨이량상장 | 1953년 2월 ~ , 장쑤성 가오춘 출신 |
군구 부사령원 | 자오샤웨이중장 (1953년 4월 ~ , 산둥성 칭저우 출신) | |
천자오하이중장 (생년월일 불명, 후베이성 톈먼 출신) | ||
싱수청소장 (1952년 12월 ~ , 산둥성 원덩 출신) | ||
왕샤오쥔중장 (1952년 9월 ~ , 허베이성 관타오 출신) | ||
선진룽소장<해군> (1956년 10월 ~ , 상하이시 난후이 출신) | ||
쉬안샹중장<공군> (1956년 4월 ~ , 장쑤성 창저우 출신) | ||
군구 부정치위원 | 류창인중장 (1952년 ~ , 후베이성 다우 출신) | |
양위원중장 (1955년 8월 ~ , 산둥성 신타이 출신) | ||
류밍리소장<해군> (1956년 ~ , 랴오닝성 출신) | ||
후슈탕중장<공군> (1955년 3월 ~ , 산둥성 창산 출신) | ||
군구 참모장 | 류샤오우소장 | 1960년 1월 ~ , 후베이성 이창 출신 |
군구 정치부 주임 | 저우웨이민소장 | 1954년 11월 ~ , 허베이성 핑취안 출신 |
군구 연근부 부장 | 가이룽윈소장 | 1958년 7월 ~ , 산둥성 라이양 출신 |
군구 장비부 부장 | 주칭성소장 | 1959년 ~ , 후베이성 한단 출신 |
4. 1. 사령관
취임 년도 | 이름 |
---|---|
1955년 3월 | 황융성 |
리톈유 | |
1969년 7월 | 딩셩 |
1973년 12월 | 쉬스유 |
1980년 1월 | 우커화 |
1982년 10월 | 유타이중 |
1987년 12월 | 장완녠 |
1990년 4월 | 주둔파 |
1992년 10월 | 리시린 |
1996년 1월 | 타오보쥔 |
2002년 1월 | 류전우 |
2007년 6월 | 장친성 |
2009년 12월 | 쉬펀린 |
4. 2. 정치위원
이름 | 비고 |
---|---|
타오주 | 제1정치위원 |
류싱위안 | 제2정치위원 |
웨이궈칭 | 제1정치위원 |
자오쯔양 | 제3정치위원 |
쿵스취안 | 선임 제4정치위원, 후임 제3정치위원 |
런쓰충 | |
웨이쭈전 | |
화궈펑 | |
쿵스취안 | 제2정치위원 |
자오쯔양 | |
장핑화 | |
쿵스취안 | |
샹중화 | |
시중쉰 | 선임 제2정치위원, 후임 제1정치위원 |
왕멍 | |
장중셴 | |
스위샤오 | |
류수톈 | |
양더칭 | |
장양 | |
웨이량 | [1] 韦亮|웨이랑중국어, 상장 (1953년 2월 ~ , 장쑤성 가오춘 출신) |
참조
[1]
웹사이트
Guangzhou Military Region
http://www.china-def[...]
China Defence
2008-05-16
[2]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06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3]
웹사이트
PLA Rapid Reaction Units - SinoDefence.com
http://www.sinodefen[...]
2008-11-09
[4]
간행물
Origins of PLAAF MRAFs, Air Corps, Command Posts, Bases, Air Divisions, and Independent Regiments
R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