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도 제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광역시도 제1호선은 광주광역시의 주요 도로 중 하나로, 충장로라고 불린다. 이 도로는 과거 광주 읍성의 북문으로 통하는 길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본정'으로 불리며 전남도청 등 주요 통치기구가 위치했다. 광복 후 '충장로'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광주 학생 항일 운동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장소로 기억된다. 현재는 '광주의 명동거리'로 불리며, 차량 통행이 제한된 구간이 있다. 매년 10월에는 '7080 추억의 충장축제'가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관광지 - 충장로
충장로는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번화한 상업 지구로, 일제강점기 주요 통치 기구가 집중 배치되었던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는 의류 상가와 한복 거리가 조성되어 있고 매년 추억의 축제가 열린다. - 광주 북구의 교통 - 충장로
충장로는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번화한 상업 지구로, 일제강점기 주요 통치 기구가 집중 배치되었던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는 의류 상가와 한복 거리가 조성되어 있고 매년 추억의 축제가 열린다. - 광주 북구의 교통 - 광주역
광주역은 1922년 개업하여 경전선과 호남선의 중요 정차역이었으나, KTX 운행이 광주송정역으로 이관된 후 현재는 일반 열차만 운행하며, 도시철도 연계 부족과 셔틀열차 폐지로 환승이 불편하다. - 광주광역시의 도로 - 충장로
충장로는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번화한 상업 지구로, 일제강점기 주요 통치 기구가 집중 배치되었던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는 의류 상가와 한복 거리가 조성되어 있고 매년 추억의 축제가 열린다. - 광주광역시의 도로 - 호남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순천에서 충청남도 천안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로, 1973년 전 구간 개통 후 확장 및 개선 공사를 거쳐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통합되었으며,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 등 이용객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도 제1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종류 | 광주광역시도 |
노선 번호 | 광주광역시도 제1호선 |
총 연장 | 1.66km |
노선 정보 | |
기점 |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5가 |
종점 | 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동 |
주요 경유지 | 해당 사항 없음 |
주요 교차 도로 | 독립로 문화전당로 서석로 중앙로 |
2. 역사
광주 읍성의 북문으로 통하는 길이었던 충장로는 우다방사거리에서 북문 터인 충장치안센터 앞까지 '북문안거리'(현 충장로2~3가 일대), 그 너머는 '북문밖거리'(현 충장로4가 이후)로 불렸다. 충장로1가 일대는 '남문안거리'로 불렸다.[1]
일제강점기 초기에는 북문안거리를 '북문통', 남문안거리를 '남문통'으로 불렀으며, 지금의 충장로 4~5가 일대(북문밖거리)는 수기옥정(須奇屋町)이라 불렸다. 수기옥정이라는 명칭은 광주 읍성 북문 밖에 있었던 '공수'와 '기례'라는 두 면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었다.[1] 1930년 광주 읍성 일대가 광주읍으로 승격될 때, 북문통과 남문통 일부를 합쳐 '중심지'를 의미하는 본정(本町)이라 불렀으며, 전남도청, 헌병대 본부, 경찰서, 검찰청 등 주요 통치 기구가 이 도로를 중심으로 배치되었다.[1] 이 시기에 수기옥정은 4, 5정목(丁目)이라 하여 본정에 포함되었는데, 이는 이후 충장로 1~5가의 기초가 되었다.
8.15 광복 후 1946년에 충장로1가부터 3가까지는 관풍동(觀風洞), 4가는 취인동(聚仁洞), 5가는 창선동(暢善洞)으로 명명했다. 그러나 1년 후인 1947년에 명칭을 수정해 본정을 '충장로'로, 정목은 '가'로 수정했다.[1]
이후 광주 학생 항일 운동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장소이다.
2. 1. 일제강점기 이전
충장로는 본래 광주 읍성의 북문으로 통하는 길이었다. 우다방사거리에서 북문 터인 충장치안센터 앞까지는 '북문안거리'(현 충장로2~3가 일대), 그 너머는 '북문밖거리'(현 충장로4가 이후)로 불렸다. 충장로1가 일대는 '남문안거리'로 불렸다.[1]2. 2.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초기에는 북문안거리는 '북문통', 남문안거리는 '남문통'으로 불렸으며, 지금의 충장로 4~5가 일대(북문밖거리)는 수기옥정(須奇屋町)이라 불렸다. 수기옥정이라는 명칭은 광주 읍성 북문 밖에 있었던 '공수'와 '기례'라는 두 면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었다.[1] 1930년 광주 읍성 일대가 광주읍으로 승격될 때, 북문통과 남문통 일부를 합쳐 '중심지'를 의미하는 본정(本町)이라 불렀으며, 전남도청, 헌병대 본부, 경찰서, 검찰청 등 주요 통치 기구가 이 도로를 중심으로 배치되었다.[1] 이 시기에 수기옥정은 4, 5정목(丁目)이라 하여 본정에 포함되었다. 이는 이후 충장로 1~5가의 기초가 되었다.2. 3. 광복 이후
8.15 광복 후 개명 작업에 착수해 1946년에 충장로1가부터 3가까지는 관풍동(觀風洞), 4가는 취인동(聚仁洞), 5가는 창선동(暢善洞)으로 명명했다. 그러나 1년 후인 1947년에 명칭을 수정해 본정을 '충장로'로, 정목은 '가'로 수정했다.[1]이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난 장소 중 하나이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장소이다.
3. 거리
'광주의 명동거리'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광주 지역에서 가장 번화한 곳이다. 충장로1가~3가 구간은 대형 패션몰 및 의류 상가가 많아 젊은이들이 많이 찾으며, 충장로4가~5가 구간은 한복을 취급하는 상가들이 주로 입점하고 있다. 충장로가 구성로와 만나는 교차로에는 광주광역시의 도로 기준이 되는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있다.
4. 차량 통행 제한
충장로는 1996년부터 충장로 1가∼5가에 이르는 895m 구간이 차량통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차량이 이 도로를 이용할 수 없다. 다만 상품 운반을 목적으로 하는 2ton 미만의 차량에 한해 밤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통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무시하고 차량 통행을 강행하는 운전자와 상인들이 있어 지속적인 민원의 원인이 되고 있다.[2]
5. 문화
2003년부터 '7080 추억의 충장축제'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대표적인 도심 거리축제로, 매년 10월 5일부터 6일까지 열리며 1970년대와 1980년대를 주제로 하여 당시의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갖가지 공연·경연·전시·체험프로그램과 부대행사가 펼쳐진다. 또한 축제기간 동안에는 충장로 일대가 1970~80년대의 모습을 재현한 추억의 거리로 조성된다.
6. 사회사적 평가
1996년 전남대 강사였던 정호기는 '지배와 저항, 그리고 도시공간의 사회사-충장로 금남로 중심으로'라는 논문을 통해 "일제의 지배기구가 집중된 곳이었기 때문에 당시 청년들에게 광주학생운동을 통해 해방을 위한 반드시 점령해야 할 공간으로 인식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역사성이 작용해 충장로 및 금남로가 민주화운동의 거리로 명성을 쌓을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1]
7. 사건 및 사고
2014년 10월 11일, 한 복권 당첨자가 SNS를 통해 돈을 뿌릴 것을 예고한 후 실제로 한 건물 옥상에 올라가 돈을 뿌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때 돈을 주우려는 사람들이 뒤엉켜 혼잡이 발생하였다.[3]
참조
[1]
뉴스
충장로-금남로 역사적 의미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9-03-05
[2]
뉴스
충장로 차량통행 상인도 행인도 ‘짜증’
http://www.kwangju.c[...]
광주일보
2012-12-18
[3]
뉴스
'하늘에서 내린 돈벼락'…광주서 복권당첨자 돈다발 뿌려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4-10-13
[4]
간행물
광주광역시청 도로현황 (2014년)
https://www.gwangju.[...]
광주광역시청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