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원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로원표는 도로의 거리 측정을 시작하는 지점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1914년 총독부 고시에 따라 처음 설치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인천, 부산 등 주요 도시의 시가지 원표 위치가 고시되었다. 현재 볼 수 있는 도로원표는 1997년에 설치된 것이다. 1914년 설치 당시 서울의 도로원표는 광화문통에 설치되었고, 1997년 세종로 네거리에 다시 설치되었다. 북한의 경우 평양 김일성광장 주석단 아래에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나라의 경우, 일본은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각각 다른 종류의 도로원표를 설치했으며, 도쿄 니혼바시에 일본국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주요 국도의 기점 역할을 한다. 미국은 워싱턴 D.C. 백악관 앞에 제로마일스톤을 설치했고, 프랑스는 노트르담 대성당 앞에 제로 포인트를 설치했다. 이 외에도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도로원표를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차로 - 트라팔가 광장
트라팔가 광장은 1805년 트라팔가 해전 승전을 기념하여 조성되었으며, 넬슨 제독 기념비, 분수, 국립 미술관 등이 있고, 정치적 시위와 문화 행사의 장으로 활용되다가 2003년 재개발을 통해 보행자 중심 공간으로 변화했다. - 교차로 - 회전교차로
회전교차로는 도로 중앙의 교통섬을 중심으로 차량이 회전하도록 설계된 교차로로, 교통 흐름 개선과 사고 감소 효과를 위해 1960년대 영국에서 재설계되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2014년 도로교통법 개정 후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 도로 구조물 - 볼라드
볼라드는 본래 선박 계류용 말뚝이었으나, 현대에는 보행자 및 차량 안전 확보와 교통 흐름 제어를 위한 차량 방지턱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되어 기능과 디자인을 고려하고, 충격 흡수 기능이 추가된 제품도 개발되고 있으며, 건물 보호, 주차 공간 확보, 교통 유도, 예술 작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도로 구조물 - 소화전
소화전은 화재 시 소방 활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시설로, 설치 위치에 따라 지상식, 지하식, 옥내식, 옥외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소방법 및 상수도법에 따라 수도사업 관리자가 설치, 유지 및 관리하고 급수 능력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효율적인 소방 활동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와 유지보수가 필수적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도로원표 |
---|
2.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1914년에 도로원표가 처음 설치되었다. 1914년 4월 11일 총독부고시 제135호에 따라 경성(지금의 서울특별시)을 비롯한 인천, 군산, 대구, 부산, 마산, 평양, 진남포, 원산, 청진 등 10개 도시에 시가지 원표 위치가 결정, 고시되었다.[37] 당시 도로원표에는 10개 도시의 주요 도로들을 골라 1등 또는 2등의 도로 등급도 표시했는데, 이는 고려 시대부터 사용해오던 대로, 중로, 소로와 같은 전통적 개념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었으며, 그 기준도 모호하였다고 한다.[37] 현재 볼 수 있는 도로원표는 1997년에 설치된 것이다.[37]
충청북도에서는 1998년 1월 옥천군에 가장 먼저 설치되었다. 청주시는 2000년 5월 상당공원 앞 사거리에 진표를 설치하고, 여기서 52m 떨어진 시민헌정탑 앞 도로에 이표를 설치했다.[38]
일본의 경우, 메이지 시대에 설치된 '''이정원표'''가 다이쇼 시대 도로원표의 전신이다. 1919년(다이쇼 8년) 구 도로법 제정 후 도로 시행령에 따라 각 시정촌에 하나씩 도로원표를 설치하도록 했다.[35] 1952년(쇼와 27년) 새로운 도로법 시행으로 구 도로법은 무효가 되었고, 현재 도로원표는 도로의 부속물로만 취급된다.[35] 도쿄 니혼바시에는 "일본국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에, 프랑스 노트르담 성당 앞, 미국 백악관 앞 등 세계 주요 국가에도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있다.
2. 1. 한국의 도로원표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1914년에 도로원표가 처음 설치되었다. 1914년 4월 11일, 총독부고시 제135호에 따라 경성(지금의 서울특별시)을 비롯한 인천, 군산, 대구, 부산, 마산, 평양, 진남포, 원산, 청진 등 10개 도시에 시가지 원표의 위치가 결정, 고시되었다.[37] 당시 도로원표에는 10개 도시의 주요 도로들을 골라 1등 또는 2등의 도로 등급도 표시했는데, 이는 고려 시대부터 사용해오던 대로, 중로, 소로와 같은 전통적 개념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었으며, 그 기준도 모호하였다고 한다.[37] 현재 볼 수 있는 도로원표는 1997년에 설치된 것이다.[37]충청북도에서는 1998년 1월 옥천군에 가장 먼저 설치되었다. 청주시는 2000년 5월 상당공원 앞 사거리에 진표를 설치하고, 여기서 52m 떨어진 시민헌정탑 앞 도로에 이표를 설치했다.[38]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진표)는 1914년 설치 당시 경성부 광화문통(지금의 세종대로) 중앙에 설치되었다.[40] 이후 1935년 칭경기념비전 옆으로 옮겨졌다가 1997년에 세종로네거리(세종대로와 종로가 나누어지는 네거리 중심점, 교보빌딩 앞)에 새로 설치되었다. 이표는 세종문화회관 앞 세종로파출소에 설치되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도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과 달리 '나라길 시작점'이라 칭한다. 평양의 도로원표는 김일성광장 주석단 아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37] 본래 1990년 초까지 평양 중구역 중성동 해방산여관 앞 마당에 비석 형태로 세워져 있었지만, 이후 평양성 중성의 출입문인 함구문으로 위치를 변경했다. 1996년에 현 위치로 이전했다고 한다.[42][43]
2. 2. 세계의 도로원표 역사
일본의 도로원표는 니혼바시에 설치되어 있다. 니혼바시에는 국도 제1호선을 비롯하여, 4, 6, 14, 15, 17, 20호선 등 7개의 국도 노선이 모인다. 혼초 교차로, 고자 십자로 등에도 도로원표가 있다.


미국에는 제로마일스톤(Zero Milestone, Kilometre zero)이라는 도로원표가 있다. 워싱턴 D.C. 백악관 앞에 설치되어 있다.[37]

프랑스의 도로원표는 제로 포인트(Zero Point, Point zéro (topographie)프랑스어)라고 불린다. 노트르담 성당 앞에 설치되어 있다.[37]

아르헨티나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콩그레소 광장에 있는 기념비로 킬로미터 제로를 표시한다. 1935년 10월 2일 설치되었고, 1944년 5월 18일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고속도로는 주와 특별구에서 건설 및 유지 관리한다.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는 고속도로 거리가 1818년 프랜시스 그린웨이가 디자인한 시드니의 매쿼리 플레이스에 있는 사암 오벨리스크에서 측정되었다.[2] 오벨리스크에는 뉴사우스웨일스주의 다양한 위치까지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다.[3] 철도에서는 중앙역 1번 플랫폼에 있다.
멜버른 총 우체국 건물은 빅토리아주에서 이 역할을 한다.[4]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도로 거리가 퍼스의 대성당 애비뉴와 세인트 조지 테라스 코너에 있는 옛 재무부 건물 옆에 있는 "0 지점"에서 측정된다.[5]

- *좌표:
- *고도: 14.02m
-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 서쪽 종점은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빅토리아의 밴쿠버 섬 남쪽에 있다.
- 캐나다 트레일의 0마일 지점은 뉴펀들랜드의 세인트 존스에 있는 철도 해안 박물관 인근에 있다.
- *좌표:
- *고도: 4.5m
- 앨래스카 하이웨이의 0마일 지점은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Dawson Creek에 있다.
- 올드 카리부 로드의 0마일 지점은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릴루엣에 있다.
- *좌표:
- *고도: 250m

칠레 수도인 산티아고에서 모든 국도 거리는 시내 중심가의 주요 광장인 아르마스 광장의 ''Km. 0'' 표지판에서 시작한다. (좌표: .)
칠레의 아우토피스타 센트랄 – 에헤 노르테-수르 (산티아고를 통과하는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동쪽 구간)의 킬로미터 제로는 수도의 주요 간선 도로인 알라메다 델 리베르타도르 베르나르도 오히긴스와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좌표: .)

3. 법적 근거
도로원표는 도로법 제2조 2항 바호에 의해 도로의 부속물로 정해져 있으며, 도로법 시행령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39]
도로원표(道路元標), 수선 담당 구역표 및 도로경계표 | 도로법 시행령 제3조 9항 |
도로원표는 도로법 시행령 제50조에 따라 각 시·군에 1개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인천광역시는 강화군에 추가로 설치하여 2개소를 설치할 수 있다. 도로원표의 위치는 도로법 시행규칙 제23조를 통해 정해지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39]
도로법 시행규칙 제23조에 따른 도로원표 위치 기준 |
---|
다만,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는 도로법 시행령 제50조 2항에 따라 그 위치를 광화문광장의 중앙으로 규정하고 있다.
4. 형태 및 구성
도로원표는 3단 기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높이는 약 1.3~1.4m이다. 가장 상단에는 사각뿔과 유사한 모양으로 "도로원표"라고 표시하고 있으며, 중간 기단에는 주요 도시명 및 거리를 km로 표시하고 있다. 이때 거리는 도로원표 간 거리로 하되, 직선 거리가 아니라 상급도로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를 합산해 표기하며, 섬의 경우에는 도로로 표기하기 어려우므로 직선 거리로 표기한다. 가장 하단 기단에는 도로관리청 명칭 및 설립일자, 진표의 위치를 기록하고 있다. 도로원표는 내구성 있는 석재를 이용해 제작한다.[39]
5. 진표와 이표
도로원표는 각 시·군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교차로를 도로원표 기준으로 정했을 경우 차도 중앙에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도로 노면과 같게 동판으로 도로원점(진표)임을 알리는 표식을 설치하여 관리하고, 인근에 조형물(이표)을 설치하여 도로원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32][33][34][35] 진표의 표식이 되는 동판의 크기는 직경 50cm이며, 표면에 "도로원표", "해당 시·군"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6. 대한민국의 도로원표
대한민국의 도로원표는 각 지역의 도로 거리를 측정하는 기준점 역할을 한다. 1997년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가 재설치된 이후, 다른 지역에도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도로 관리 및 교통 정보 제공에 활용되고 있다.
지역 | 도시 | 진표 | 이표 |
---|---|---|---|
서울 | 세종로네거리 | 세종로파출소 앞 | |
인천 |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 |
강화 | 미설치 | 미설치 | |
대전 | 서대전네거리 | 대전광역시청 | |
광주 | 충장로 구성로 교차로 | 광주광역시청 평화공원 | |
부산 | 옛부산시청 교차로 | 부산광역시청 | |
대구 | 중앙로역 북편 네거리 | 경상감영공원[41] | |
울산 | 문화의거리 중앙길 | 울산광역시청 | |
세종 | 죽림삼거리 | 죽림삼거리 | |
경기 | 가평 | 가평군청 | 가평군청 |
고양 | 고양시청 | 고양시청 | |
과천 | 관문사거리 | 관문사거리 | |
광명 | 광명시청 | 광명시청 | |
광주 | 광주시청 | 광주시청 | |
구리 | 교문사거리 | 교문사거리 | |
군포 | 중앙공원사거리 | 중앙공원사거리 | |
김포 | 김포시청 | 김포시청 | |
남양주 | 남양주시청 | 남양주시청앞 교차로 | |
동두천 | 동두천시청 | 정장사거리 | |
부천 | 부천 중앙공원 | 부천중앙공원 | |
성남 | 성남종합운동장 | 성남종합운동장 | |
수원 | 중동사거리 | 중동사거리 | |
시흥 | 시흥시청 | 시흥시청 | |
안산 | 안산시청 | 안산시청 | |
안성 | 봉산로터리 | 안성시청 | |
안양 | 안양시청 | 안양시청 | |
양주 | 양주시청 | 양주시청 | |
양평 | 양평군청 | 양평군청 | |
여주 | 시청삼거리 | 시청삼거리 | |
연천 | 연천군청 | 연천군청 | |
오산 | 운동장사거리 | 운동장사거리 | |
용인 | 처인구청 | 처인구청입구삼거리 | |
의왕 | 의왕시청 | 시청사거리 | |
의정부 | 의정부시청 | 시청앞교차로 | |
이천 | 이천종합복지타운 | 이천종합복지타운 | |
파주 | 시청앞네거리 | 시청앞사거리 | |
평택 | 평택역 | 평택역오거리 | |
포천 | 포천시청 | 신읍사거리 | |
하남 | 신장지하차도 비너스사우나 앞 (하남대로 760 앞) | 신장지하차도 | |
화성 | 화성시청 | 화성시청 | |
강원 | 강릉 | 강릉시청 | 강릉시청 |
고성 | 고성군청 | 고성군청 | |
동해 | 천곡사거리 | 천곡사거리 | |
삼척 | 삼척시청 | 삼척시청 | |
속초 | 속초시청 | 속초시청 | |
양구 | 송죽모텔 앞 (관공서로 6 앞) | ||
양양 | 양양군청 | 군청사거리 | |
영월 | 과거 영월읍사무소(현재 영월농협)사거리 | 영월군청 | |
원주 | 원주종합운동장 | 남부시장사거리 | |
인제 | 인제군청 | 인제문화원 앞 교차로 | |
정선 | 정선교육지원청 | 정선교육지원청 | |
철원 | 철원군청 | 철원군청 | |
철원 (구) | 철원 노동당사 근처 | 철원 노동당사 근처 | |
춘천 | 중앙로터리 기업은행앞 | 중앙로터리 | |
태백 | 황지교사거리 | 태백시청 | |
평창 | 평창군청 | 평창우체국앞 사거리 | |
홍천 | 홍천사거리 LG베스트샵 앞 (홍천로 308 앞) | 홍천사거리 | |
화천 | 화천군청 | 화천군청 | |
횡성 | 횡성군청 | 횡성군청 | |
충북 | 괴산 | 금산삼거리 | 금산삼거리 |
단양 | 별곡사거리 | 별곡사거리 | |
보은 | 이평교사거리 | 이평교사거리 | |
영동 | 부용사거리 | 부용사거리 | |
옥천 | 옥천군청 | 옥천군청 | |
음성 | 중앙로 예술로 분기점 | ||
제천 | 중앙공원 | 제천시민회관앞 사거리 | |
증평 | 증평군청 | 증평군청 | |
진천 | 중앙동로 대촌길 분기점 | 중앙동로 대촌길 분기점 | |
청주 | 상당공원 충북도민헌장탑 앞 | 중앙초등학교앞 사거리 | |
충주 | 근린공원 | 근린공원 | |
충남 | 계룡 | 계룡시청 | 계룡시청 |
공주 | 금강둔치 교차로 | 중동 교차로 | |
금산 | 금산읍사무소사거리 | ||
논산 | 논산오거리 | 논산오거리 | |
당진 | 당진1교 교차로 | 당진1교 교차로 | |
보령 | 수청사거리 | 수청사거리 | |
부여 | 부여군청 | 부여군청 | |
서산 | 석림사거리 | 석림사거리 | |
서천 | 오석사거리 | 오석사거리 | |
아산 | 동신사거리 | 동신사거리 | |
예산 | 터미널사거리 (산성리사거리) | 터미널사거리 (산성리사거리) | |
천안 | 도로원점삼거리 | 도로원점삼거리 | |
청양 | 읍내사거리 | 읍내사거리 | |
태안 | 태안시외버스터미널 앞 | 태안시외버스터미널 앞 | |
홍성 | 홍주교 남쪽 하상주차장 (홍성읍 오관리 299-4) | 홍주교 남쪽 하상주차장 | |
전북 | 고창 | 석교사거리 | 석교사거리 |
군산 | 군산시청 | 군산시청 | |
김제 | 김제시청 | 김제시청 | |
남원 | 향교오거리 | 향교오거리 | |
무주 | 무주우체국 | 무주우체국 | |
부안 | 부안군청 | 부안군청 | |
순창 | 중앙로사거리 | ||
익산 | 익산시청 | 익산시청 | |
임실 | 봉황로 운수로 분기점 | 봉황로 운수로 분기점 | |
장수 | 장수군도로관리사무소 (시장로 50-18) | 장수군도로관리사무소 | |
전주 | 기업은행 전주지점 | 전주시청 | |
정읍 | 정읍시의회 정읍시청 | 정읍시의회 정읍시청 | |
진안 | 진안로터리 군민의탑 | 진안로터리 | |
전남 | 강진 | 동성사거리 | 동성사거리 |
고흥 | 보떼 고흥점 앞 (고흥로 1737) | 보떼 고흥점 앞 | |
곡성 | 경찰서사거리 | 경찰서사거리 | |
광양 | 시청사거리 | 시청사거리 | |
구례 | 구례경찰서앞 로터리 | 구례경찰서앞 로터리 | |
나주 | 나주시청 완사천 | 나주시청 완사천 | |
담양 | 중파사거리 | 중파사거리 | |
목포 | 유달동 교차로 | 유달동 교차로 | |
무안 | 무안군청 | 무안군청 | |
보성 | 보성역 | 보성역 | |
순천 | 중앙사거리 | ||
신안 | 장산도 북강선착장 (국도 제2호선 기점) | 장산도 북강선착장 (국도 제2호선 기점) | |
여수 | 여수시청 | 여수시청 | |
영광 | 영광군청 영광군의회 | 군청사거리 | |
영암 | 영암실내체육관 | 정류장 교차로 남단 | |
완도 | 완도 교차로 | 완도 교차로 | |
장성 | 장성군청 | 장성군청 | |
장흥 | 장흥군민회관 | 장흥군민회관 | |
진도 | 중앙한의원 앞 사거리 (남문길 34 앞) | 중앙한의원 앞 사거리 | |
함평 | 중앙길 영수길 분기점 (광성당 앞) (중앙길 119) | 중앙길 영수길 분기점 (광성당 앞) (중앙길 119) | |
해남 | 해남군청 하늘재공원 | 해남군청 하늘재공원 | |
화순 | 대광아파트 교차로 | 대광아파트 교차로 | |
경북 | 경산 | 경산시청 | 경산시청 |
경주 | 팔우정삼거리 | 팔우정삼거리 | |
고령 | 대가야박물관 | 대가야박물관 | |
구미 | 수출산업의탑 | 원평공원 | |
군위 | 군위군청 | 군위군청 | |
김천 | 삼각로터리 분수대 | 삼각로터리 | |
문경 | 문경시청 | 문경시청 | |
봉화 | 봉화군보건소 | 봉화군보건소 | |
상주 | 상주시의회 | 상주시의회 | |
성주 | 군청삼거리 | 군청삼거리 | |
안동 | 제일생명삼거리 | 영호대교북단 교차로 | |
영덕 | 영덕버스터미널 뒤편 청련교 동단 | 영덕버스터미널 뒤편 청련교 동단 | |
영양 | 농협사거리 | 영양군청 건너편 | |
영주 | 영주초등학교 교차로 | 영주초등학교 | |
영천 | 영천시청 | 영천시청 | |
예천 | 남본 교차로 (개심사지 오층석탑) | 남본 교차로 (개심사지 오층석탑) | |
울진 | 에너지프라자 울진LPG충전소 (울진북로 331 앞) | 에너지프라자 울진LPG충전소 (울진북로 331 앞) | |
의성 | 의성군청 | 의성군청 | |
청도 | 청도군청 | 청도군청 | |
청송 | 청송읍사무소 앞 교차로 | ||
칠곡 | 칠곡군청 | 칠곡군청 | |
포항 | 육거리 | 육거리 | |
경남 | 거제 | 6번 교차로 | 고현항 부산행 여객선터미널 |
거창 | 법원사거리 | 거창군청 | |
김해 | 김해차량등록사업소 | 김해차량등록사업소 | |
마산합포구청 (구 마산시청) | 마산합포구청 (구 마산시청) | ||
밀양 | 밀양시청 | 밀양시청 | |
사천 | 2호광장 | 2호광장 | |
산청 | 산청군보건의료원 건너편 (친환경로2720번길) | 산청군보건의료원 건너편 | |
양산 | 남부사거리 | 남부사거리 | |
의령 | 의령로 의령로24길 분기점 | ||
진주 | (구) 진주역 | 진주역 | |
진해이동우체국 | 진해이동우체국 | ||
창녕 | 오리정사거리 | 오리정사거리 | |
창원 | 창원광장 | 창원시청 | |
통영 | 통영시청 | 무전사거리 | |
하동 | 비파삼거리 | 비파삼거리 | |
함양 | 동문사거리 중앙 | 동문사거리 | |
제주 | 제주 | 제주시청 | 제주시청 |
서귀포 | 서귀포터미널삼거리 | 서귀포터미널삼거리 |
6. 1. 서울특별시 도로원표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진표)는 1914년 설치 당시 경성부 광화문통(지금의 세종대로) 중앙[40](해발 30.36m, 동경 126도 58분 44.8018초, 북위 37도 34분 2.7474초)에 가로 90cm, 세로 30cm, 높이 70cm의 화강암 원표였다. 당시 도로원표 전면에는 '道路元標(도로원표)'라 새겨져 있었고, 측면에는 전국 18개 주요 도시 간 거리가 일본식 한자로 음각되어 있었다.[37] 이후 1935년 칭경기념비전 옆으로 옮겨졌다가 1997년에 세종로네거리(세종대로와 종로가 나누어지는 4거리 중심점, 교보빌딩 앞)에 새로 설치하였다. 이표는 세종로파출소 앞에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새로 설치된 도로원표는 처음 설치된 곳에서 남쪽으로 약 151m 떨어진 위치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는 국도 및 지방도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광화문 교차로 중앙에 도로원표가 있다. 1997년에 세워진 최초의 표석은 동화면세점 건물 근처, 경찰서 옆, 신한은행 건물 앞(광화문역)에 있으며, 정확한 지점으로부터 151m 떨어져 있다.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만은 도로법 시행령 제50조 2항을 통해 그 위치를 세종로광장의 중앙으로 못박아 두었다.
6. 2. 대한민국 주요 도시의 도로원표
지역 | 도시 | 진표 | 이표 |
---|---|---|---|
서울 | 세종로네거리 | 세종로파출소 앞 | |
인천 |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 |
강화 | 미설치 | 미설치 | |
대전 | 서대전네거리 | 대전광역시청 | |
광주 | 충장로 구성로 교차로 | 광주광역시청 평화공원 | |
부산 | 옛부산시청 교차로 | 부산광역시청 | |
대구 | 중앙로역 북편 네거리 | 경상감영공원[41] | |
울산 | 문화의거리 중앙길 | 울산광역시청 | |
세종 | 죽림삼거리 | 죽림삼거리 | |
경기 | 가평 | 가평군청 | 가평군청 |
고양 | 고양시청 | 고양시청 | |
과천 | 관문사거리 | 관문사거리 | |
광명 | 광명시청 | 광명시청 | |
광주 | 광주시청 | 광주시청 | |
구리 | 교문사거리 | 교문사거리 | |
군포 | 중앙공원사거리 | 중앙공원사거리 | |
김포 | 김포시청 | 김포시청 | |
남양주 | 남양주시청 | 남양주시청앞 교차로 | |
동두천 | 동두천시청 | 정장사거리 | |
부천 | 부천 중앙공원 | 부천중앙공원 | |
성남 | 성남종합운동장 | 성남종합운동장 | |
수원 | 중동사거리 | 중동사거리 | |
시흥 | 시흥시청 | 시흥시청 | |
안산 | 안산시청 | 안산시청 | |
안성 | 봉산로터리 | 안성시청 | |
안양 | 안양시청 | 안양시청 | |
양주 | 양주시청 | 양주시청 | |
양평 | 양평군청 | 양평군청 | |
여주 | 시청삼거리 | 시청삼거리 | |
연천 | 연천군청 | 연천군청 | |
오산 | 운동장사거리 | 운동장사거리 | |
용인 | 처인구청 | 처인구청입구삼거리 | |
의왕 | 의왕시청 | 시청사거리 | |
의정부 | 의정부시청 | 시청앞교차로 | |
이천 | 이천종합복지타운 | 이천종합복지타운 | |
파주 | 시청앞네거리 | 시청앞사거리 | |
평택 | 평택역 | 평택역오거리 | |
포천 | 포천시청 | 신읍사거리 | |
하남 | 신장지하차도 비너스사우나 앞 (하남대로 760 앞) | 신장지하차도 | |
화성 | 화성시청 | 화성시청 | |
강원 | 강릉 | 강릉시청 | 강릉시청 |
고성 | 고성군청 | 고성군청 | |
동해 | 천곡사거리 | 천곡사거리 | |
삼척 | 삼척시청 | 삼척시청 | |
속초 | 속초시청 | 속초시청 | |
양구 | 송죽모텔 앞 (관공서로 6 앞) | ||
양양 | 양양군청 | 군청사거리 | |
영월 | 과거 영월읍사무소(현재 영월농협)사거리 | 영월군청 | |
원주 | 원주종합운동장 | 남부시장사거리 | |
인제 | 인제군청 | 인제문화원 앞 교차로 | |
정선 | 정선교육지원청 | 정선교육지원청 | |
철원 | 철원군청 | 철원군청 | |
철원 (구) | 철원 노동당사 근처 | 철원 노동당사 근처 | |
춘천 | 중앙로터리 기업은행앞 | 중앙로터리 | |
태백 | 황지교사거리 | 태백시청 | |
평창 | 평창군청 | 평창우체국앞 사거리 | |
홍천 | 홍천사거리 LG베스트샵 앞 (홍천로 308 앞) | 홍천사거리 | |
화천 | 화천군청 | 화천군청 | |
횡성 | 횡성군청 | 횡성군청 | |
충북 | 괴산 | 금산삼거리 | 금산삼거리 |
단양 | 별곡사거리 | 별곡사거리 | |
보은 | 이평교사거리 | 이평교사거리 | |
영동 | 부용사거리 | 부용사거리 | |
옥천 | 옥천군청 | 옥천군청 | |
음성 | 중앙로 예술로 분기점 | ||
제천 | 중앙공원 | 제천시민회관앞 사거리 | |
증평 | 증평군청 | 증평군청 | |
진천 | 중앙동로 대촌길 분기점 | 중앙동로 대촌길 분기점 | |
청주 | 상당공원 충북도민헌장탑 앞 | 중앙초등학교앞 사거리 | |
충주 | 근린공원 | 근린공원 | |
충남 | 계룡 | 계룡시청 | 계룡시청 |
공주 | 금강둔치 교차로 | 중동 교차로 | |
금산 | 금산읍사무소사거리 | ||
논산 | 논산오거리 | 논산오거리 | |
당진 | 당진1교 교차로 | 당진1교 교차로 | |
보령 | 수청사거리 | 수청사거리 | |
부여 | 부여군청 | 부여군청 | |
서산 | 석림사거리 | 석림사거리 | |
서천 | 오석사거리 | 오석사거리 | |
아산 | 동신사거리 | 동신사거리 | |
예산 | 터미널사거리 (산성리사거리) | 터미널사거리 (산성리사거리) | |
천안 | 도로원점삼거리 | 도로원점삼거리 | |
청양 | 읍내사거리 | 읍내사거리 | |
태안 | 태안시외버스터미널 앞 | 태안시외버스터미널 앞 | |
홍성 | 홍주교 남쪽 하상주차장 (홍성읍 오관리 299-4) | 홍주교 남쪽 하상주차장 | |
전북 | 고창 | 석교사거리 | 석교사거리 |
군산 | 군산시청 | 군산시청 | |
김제 | 김제시청 | 김제시청 | |
남원 | 향교오거리 | 향교오거리 | |
무주 | 무주우체국 | 무주우체국 | |
부안 | 부안군청 | 부안군청 | |
순창 | 중앙로사거리 | ||
익산 | 익산시청 | 익산시청 | |
임실 | 봉황로 운수로 분기점 | 봉황로 운수로 분기점 | |
장수 | 장수군도로관리사무소 (시장로 50-18) | 장수군도로관리사무소 | |
전주 | 기업은행 전주지점 | 전주시청 | |
정읍 | 정읍시의회 정읍시청 | 정읍시의회 정읍시청 | |
진안 | 진안로터리 군민의탑 | 진안로터리 | |
전남 | 강진 | 동성사거리 | 동성사거리 |
고흥 | 보떼 고흥점 앞 (고흥로 1737) | 보떼 고흥점 앞 | |
곡성 | 경찰서사거리 | 경찰서사거리 | |
광양 | 시청사거리 | 시청사거리 | |
구례 | 구례경찰서앞 로터리 | 구례경찰서앞 로터리 | |
나주 | 나주시청 완사천 | 나주시청 완사천 | |
담양 | 중파사거리 | 중파사거리 | |
목포 | 유달동 교차로 | 유달동 교차로 | |
무안 | 무안군청 | 무안군청 | |
보성 | 보성역 | 보성역 | |
순천 | 중앙사거리 | ||
신안 | 장산도 북강선착장 (국도 제2호선 기점) | 장산도 북강선착장 (국도 제2호선 기점) | |
여수 | 여수시청 | 여수시청 | |
영광 | 영광군청 영광군의회 | 군청사거리 | |
영암 | 영암실내체육관 | 정류장 교차로 남단 | |
완도 | 완도 교차로 | 완도 교차로 | |
장성 | 장성군청 | 장성군청 | |
장흥 | 장흥군민회관 | 장흥군민회관 | |
진도 | 중앙한의원 앞 사거리 (남문길 34 앞) | 중앙한의원 앞 사거리 | |
함평 | 중앙길 영수길 분기점 (광성당 앞) (중앙길 119) | 중앙길 영수길 분기점 (광성당 앞) (중앙길 119) | |
해남 | 해남군청 하늘재공원 | 해남군청 하늘재공원 | |
화순 | 대광아파트 교차로 | 대광아파트 교차로 | |
경북 | 경산 | 경산시청 | 경산시청 |
경주 | 팔우정삼거리 | 팔우정삼거리 | |
고령 | 대가야박물관 | 대가야박물관 | |
구미 | 수출산업의탑 | 원평공원 | |
군위 | 군위군청 | 군위군청 | |
김천 | 삼각로터리 분수대 | 삼각로터리 | |
문경 | 문경시청 | 문경시청 | |
봉화 | 봉화군보건소 | 봉화군보건소 | |
상주 | 상주시의회 | 상주시의회 | |
성주 | 군청삼거리 | 군청삼거리 | |
안동 | 제일생명삼거리 | 영호대교북단 교차로 | |
영덕 | 영덕버스터미널 뒤편 청련교 동단 | 영덕버스터미널 뒤편 청련교 동단 | |
영양 | 농협사거리 | 영양군청 건너편 | |
영주 | 영주초등학교 교차로 | 영주초등학교 | |
영천 | 영천시청 | 영천시청 | |
예천 | 남본 교차로 (개심사지 오층석탑) | 남본 교차로 (개심사지 오층석탑) | |
울진 | 에너지프라자 울진LPG충전소 (울진북로 331 앞) | 에너지프라자 울진LPG충전소 (울진북로 331 앞) | |
의성 | 의성군청 | 의성군청 | |
청도 | 청도군청 | 청도군청 | |
청송 | 청송읍사무소 앞 교차로 | ||
칠곡 | 칠곡군청 | 칠곡군청 | |
포항 | 육거리 | 육거리 | |
경남 | 거제 | 6번 교차로 | 고현항 부산행 여객선터미널 |
거창 | 법원사거리 | 거창군청 | |
김해 | 김해차량등록사업소 | 김해차량등록사업소 | |
마산합포구청 (구 마산시청) | 마산합포구청 (구 마산시청) | ||
밀양 | 밀양시청 | 밀양시청 | |
사천 | 2호광장 | 2호광장 | |
산청 | 산청군보건의료원 건너편 (친환경로2720번길) | 산청군보건의료원 건너편 | |
양산 | 남부사거리 | 남부사거리 | |
의령 | 의령로 의령로24길 분기점 | ||
진주 | (구) 진주역 | 진주역 | |
진해이동우체국 | 진해이동우체국 | ||
창녕 | 오리정사거리 | 오리정사거리 | |
창원 | 창원광장 | 창원시청 | |
통영 | 통영시청 | 무전사거리 | |
하동 | 비파삼거리 | 비파삼거리 | |
함양 | 동문사거리 중앙 | 동문사거리 | |
제주 | 제주 | 제주시청 | 제주시청 |
서귀포 | 서귀포터미널삼거리 | 서귀포터미널삼거리 |
7. 다른 나라의 도로원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도로원표가 '나라길 시작점'이라는 명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평양의 도로원표는 김일성광장 주석단 아래 중앙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1990년대 초까지 평양 중구역 중성동 해방산여관 앞마당에 비석 형태로 설치되었으나, 이후 평양성 중성의 출입문인 함구문으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이는 "과거 고구려가 평양으로 도읍을 옮긴 후 평양성을 쌓았고, 당시 파발들이 이 문을 통해 이동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1996년에 현재 위치로 다시 이전되었다.[42][43]
프랑스의 도로원표는 제로 포인트(Zero Point, Point zéro (topographie)|프앵 제로프랑스어)라고 불리며,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앞에 설치되어 있다.[37]
미국의 도로원표는 제로마일스톤(Zero Milestone)이라고 불리며, 워싱턴 D.C. 백악관 앞에 설치되어 있다.[37]
7. 1. 일본의 도로원표
일본의 도로원표는 니혼바시에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는 국도 제1호선을 비롯하여 4, 6, 14, 15, 17, 20호선 등 7개의 국도 노선이 모인다.[35] 혼초 교차로, 고자 십자로 등에도 도로원표가 있다.日本国道路元標|니혼코쿠 도로 겐표일본어는 일본 도쿄 니혼바시 다리 중앙에 있다. 도쿄역은 국철의 기점으로, 역에서 출발하는 노선의 킬로미터 제로를 나타내는 표지판과 기념물이 있다.
1972년, 니혼바시 중앙에 있던 도쿄시 도로원표는 도쿄도전 혼도리선의 가선주로 사용되었지만, 도덴 폐지 후 도로 개수와 함께 니혼바시 북서쪽 갓길로 이전되었다.[35] 이때 도쿄시 도로원표가 있던 자리에 50cm 크기의 '''일본국 도로원표'''가 설치되었다. "일본국 도로원표" 글자는 당시 총리 사토 에이사쿠가 썼다. 니혼바시 차도 위에 있어 가까이 보기 위험해 다리 갓길에 레플리카가 전시되어 있다. 일본국 도로원표 위를 지나는 수도고속도심환상선 고가교 위에도 도쿄시 도로원표와 비슷한 모뉴먼트(도로원표 지점비)가 설치되어 있다.
원표는 모뉴먼트적인 것으로 법령에 직접 준거하지 않지만, 그 근거는 도쿄시 도로원표가 있던 위치이므로 다이쇼 시대 구 도로 시행령의 도로원표 규정, 1873년(메이지 6년) 도로 이정 조사에 관한 태정관 달에 기인한다. 니혼바시를 일본 도로 기점으로 정한 것은 에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부내비고』에서 "이 다리는 에도의 중앙이며, 여러 나라로부터의 여정도 이곳에서 정해지기 때문에 니혼바시라는 이름이 있다"라는 전언에 따른다.
7. 2. 미국의 도로원표
미국에도 도로원표가 있으며 명칭은 제로마일스톤(Zero Milestone)이다. 워싱턴 D.C. 백악관 앞에 설치되어 있다.[37]
피에르 샤를 랑팡은 워싱턴 D.C.의 초기 설계자였으며,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동쪽으로 약 1.61km 떨어진 곳에 기준 표지 기둥을 제안했지만 실제로 건설되지는 않았다.
1919년에 백악관 근처에 Zero Milestone이 제안되었고, 1923년 굿 로드 운동의 자금 지원을 받아 연방 정부에 의해 영구적인 표지 기둥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워싱턴 D.C. 외의 미국 도로에서는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다.
뉴욕 시에서는 센트럴 파크의 남서쪽 모퉁이에 있는 컬럼버스 서클이 모든 공식 거리를 측정하는 전통적인 지점이며,[28] 구글 지도에서는 뉴욕 시청을 이 목적으로 사용한다.[29]
시카고와 그 교외 지역에서는 State와 Madison의 교차점이 정의된 기준점이다.[30]
로스앤젤레스에서는 Main Street와 1st Street의 교차점이 정의된 기준점이다. 할리우드 자체의 기준점은 Hollywood Boulevard와 Highland Avenue의 교차점에 있다.
아마도 미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마일 제로'는 미국 1번 국도의 남쪽 종점인 플로리다주키웨스트에 있다.
7. 3. 프랑스의 도로원표
프랑스의 도로원표는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앞에 제로 포인트(Zero Point, Point zéro (topographie)|프앵 제로프랑스어)라는 명칭으로 설치되어 있다.[37] 프랑스 국도의 0km 지점은 파리 노트르담 광장 - 장 폴 2세 광장에 있으며, 노트르담 대성당 정문 맞은편에 1924년에 설치된 메달이 있다. 이는 1769년 4월 루이 15세에 의해 지정되었다.[7] 자유의 길을 기념하는 0km 지점은 1944년 6월 6일 미국 공수부대에 의해 해방된 생트 메르 에글리즈에 세워졌다.[8]
7. 4. 기타 국가
아르헨티나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콩그레소 광장에 있는 기념비를 킬로미터 제로로 지정하였다. 이 기념비는 북쪽에 루한의 성모 이미지, 남쪽에 아르헨티나 부조 지도, 서쪽에 호세 데 산 마르틴 기념 명판, 동쪽에 관련 당국 이름 등이 새겨져 있다.[2]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주와 특별구에서 고속도로를 건설 및 유지 관리한다.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는 시드니 매쿼리 플레이스 공원의 사암 오벨리스크가, 빅토리아 주에서는 멜버른 총 우체국 건물이,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에서는 퍼스의 옛 재무부 건물 옆 "0 지점"이 도로원표 역할을 한다.[3][4][5]
캐나다는 지역별로 다양한 도로원표를 가지고 있다.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의 동쪽 기점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세인트존스에, 서쪽 종점은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빅토리아에 있다. 캐나다 트레일의 0마일 지점은 세인트 존스에, 앨래스카 하이웨이의 0마일 지점은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Dawson Creek에, 올드 카리부 로드의 0마일 지점은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릴루엣에 있다.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는 모든 국도 거리가 시내 중심가의 주요 광장인 아르마스 광장의 ''Km. 0'' 표지판에서 시작한다.
중국의 경우, 중국철도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은 베이징 외곽 펑타이 구의 베이징-광저우 철로에, 고속도로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은 톈안먼 광장에 있다.
쿠바의 킬로미터 제로는 아바나의 엘 카피톨리오에 있는 다이아몬드 복제품이다.
덴마크의 경우, 코펜하겐 시청 광장(구 베스터포트)은 코르쇠르나 뢰드뷔와 같은 남쪽과 서쪽에서 오는 도로의 0km 지점이고, 외스테르포트는 헬싱괴르나 힐레뢰드와 같은 북쪽에서 오는 도로의 0km 지점이다.[6]
이집트의 킬로미터 제로는 카이로 압델 할리크 사르와트 파샤 거리 1번지에 위치한 아타바 광장 우체국에 있다.
에티오피아의 킬로미터 제로는 아디스아바바의 메넬리크 2세 광장에 있다.
핀란드의 킬로미터 원표는 헬싱키 중심부 에로타야 광장에 있다.
독일의 경우, 베를린으로 왕래하는 모든 프로이센 도로의 기점은 시내 중심부의 뢴호프 광장(1730–1875)에 있었다.

영국 런던 채링크로스 중심부에는 "현재 찰스 1세 동상이 있는 부지에 원래의 엘레노어 여왕의 십자가가 세워졌으며, 런던에서부터의 거리는 원래 십자가가 있던 자리에서 측정된다."라는 명판이 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에든버러로부터의 거리가 프린스 스트리트에 있는 GPO 건물 앞 볼라드에서 측정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거리를 아테네 고대 아고라에 있는 열두 신 제단에서 측정했다. 오늘날 그리스 고속도로의 킬로미터 제로는 아테네 국립 천문대이다.
과테말라의 킬로미터 0 지점은 과테말라 시티의 국립 궁전에 있다.
홍콩의 경우, 가스산 도로, 타이포 로드, 클리어워터 베이 로드의 이정표는 구룡의 스타 페리 선착장에서부터 거리를 측정했다.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의 영 킬로미터 석은 세체니 다리에 있다. 케치케메트 시에도 코슈트 광장에 영 킬로미터 석이 있다.
인도에서 제로 마일 스톤은 마하라슈트라 주나그푸르 시에 있다. 뭄바이에서 제로 지점은 성 토마스 대성당에 있었지만, 현재는 호르니만 서클에 있다.[11] 첸나이에서 킬로미터 제로는 포트 세인트 조지의 남서쪽에 있는 첸나이 포트 기차역 근처의 무투스와미 로드의 무투스와미 다리 중간 지점에 있다.[12]
인도네시아의 킬로미터 제로는 아체주의 웨섬에 있는 기념비로 표시된다.[13][14][15]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 위치한 자유의 탑이 킬로미터 제로 지점 역할을 한다.
- -|]]|thumb|upright=0.6|호스는 더블린 중앙우체국에서 약 14.48km 떨어져 있다.
아일랜드에서는 수도 더블린으로부터의 거리가 오코넬 거리에 있는 중앙우체국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예루살렘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은 야파 게이트에 있다.
이탈리아의 킬로미터 제로는 로마에 있는 카피톨리노 언덕 꼭대기에 있다.

키르기스스탄의 0킬로미터 표지점은 수도 비슈케크에 있다.
마다가스카르 수도 안타나나리보의 주요 도로 킬로미터 제로는 소아라노 기차역 앞 광장에 있다.

말레이시아 반도의 도로 및 고속도로의 킬로미터 제로는 조호르 바루 중앙 우체국 앞에 있다.[16] 쿠알라룸푸르는 자체적인 제로 마일 표지판을 가지고 있다. 사라왁에서는, 판 보르네오 고속도로의 킬로미터 제로가 텔록 멜라노에서 시작한다. 사바에서는, 코타키나발루 시의 킬로미터 제로 시작 지점이 영국 식민지 시대에 우체국이었던 사바 관광청 건물 앞에 위치해 있다.
멕시코의 킬로미터 제로는 멕시코시티 대성당 옆 멕시코시티에 있다.[17]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출발하는 도로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은 Observatoriegata 1에 있다.
파나마의 킬로미터 제로는 수도 파나마 시티의 시몬 볼리바르 가(대륙 횡단 고속도로)의 마틴 소사 다리에 있다.
파키스탄의 도로원표는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에 있는 제로 포인트 인터체인지이다.
필리핀 수도 마닐라의 리잘 공원에 있는 리잘 기념비 근처의 작은 오벨리스크는 루손섬의 킬로미터 제로 역할을 한다.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는 예루살렘대로와 마르샤우코프스카 거리 교차로에 다른 주요 도시까지의 거리가 표시된 표지판이 있다.
포르투갈은 물리적인 킬로미터 원표가 없지만, 호시우 광장을 킬로미터 원점으로 사용한다.
- -|]]|thumb|upright|부쿠레슈티]]
루마니아의 킬로미터 제로는 부쿠레슈티에 있는 성 조지 교회 옆의 기념비로 표시되어 있다.
러시아의 킬로미터 제로를 표시하는 청동 현판은 모스크바에 있으며, 이베리아 문과 예배당 바로 앞에 있다.

싱가포르의 킬로미터 제로는 더 풀러턴 호텔(The Fullerton Hotel) 입구에 위치해 있다.
슬로바키아의 킬로미터 제로는 수도인 브라티슬라바의 미하우 게이트(Michalská veža, 성 미하엘 탑) 아래에 있다.
스페인의 킬로미터 제로는 마드리드의 태양문에 있다.
- -|]]|섬네일|위로|콜롬보 포트 시계탑
스리랑카에서는 수도 콜롬보에서 모든 거리가 킬로미터로 측정되며, 이는 포트 시계탑에서부터 시작한다.
스웨덴에서는 스톡홀름의 구스타브 아돌프 광장 중앙에 있는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기마상이 도로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으로 사용된다.
스위스의 연방 철도망의 '''킬로미터 제로'''는 올텐에 있다.

타이베이시 중정구의 중샤오 동로와 중산 북로 교차로는 타이완 성도(省道)의 기점이다.[26]

태국은 수도인 방콕에 두 곳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을 지정하고 있다. 국도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은 민주 기념탑 근처에 있으며, 철도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은 방콕 기차역 앞의 에라완 코끼리 기념비이다.
캄팔라의 캄팔라 로드에 있는 중앙 우체국 건물은 우간다에서 모든 거리의 킬로미터 제로 지점을 표시한다.[27]
우크라이나의 킬로미터 제로, "날개 달린 지구"는 키이우의 마이단 네잘레즈노스티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hio Lincoln Highway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http://www.iup.edu/g[...]
2007-04-22
[2]
웹사이트
History in the making for Macquarie Place Obelisk
http://www.sydneymed[...]
2009-05-09
[3]
웹사이트
State Heritage Register: Macquarie Place Precinct (Draft)
http://www.heritage.[...]
2009-05-09
[4]
웹사이트
Former General Post Office
http://vhd.heritage.[...]
National Trust
2018-11-27
[5]
웹사이트
Point Zero
https://www.cathedra[...]
2018-10-06
[6]
웹사이트
Kilometersten – billedgalleri
https://www.vejhisto[...]
Dansk Vejhistorisk Selskab
[7]
간행물
Paris Vous Aime Magazine
Paris Aéroport
2023-04-01
[8]
웹사이트
Born of the Liberty Road - Kilometre 0
https://www.tracesof[...]
2021-02-09
[9]
웹사이트
Zero Mile
http://www.maharasht[...]
[10]
뉴스
Zero miles stone
http://hindu.com/200[...]
2011-11-21
[11]
서적
Zero Point Bombay: In and Around Horniman Circle
Lotus Collection, Roli Books
2008
[12]
뉴스
City explorer: Ever crossed this milestone?
https://www.thehindu[...]
2014-10-28
[13]
뉴스
Menjejakkan Kaki di Tugu Nol Kilometer Sabang
http://travel.kompas[...]
Kompas
2013-02-11
[14]
웹사이트
Weh Island: Diving the Untouched Edge
http://www.indonesia[...]
[15]
뉴스
Sabang: Indonesia at KM 0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2013-01-13
[16]
웹사이트
Info Majlis Bandaraya Johor Bahru
https://www.mbjb.gov[...]
2021-03-08
[17]
뉴스
Where is kilometer ZERO the exact point from which all the roads of the Mexico start
https://mexicodailyp[...]
2023-05-31
[18]
웹사이트
Lonely highways: On the road in Kim Jong Un's North Korea
https://apnews.com/a[...]
2021-12-05
[19]
법령
Updating the Kilometer Stationings of All Roads
https://www.official[...]
2022-12-24
[20]
웹사이트
Marawi City, Philippines. 04th July, 2016. Kilometer Zero in Mindanao starts in Marawi City
https://www.alamy.co[...]
2022-12-24
[21]
웹사이트
Where are the Kilometer 0s in the Philippines?
https://penfires.com[...]
2019-09-23
[22]
웹사이트
Iloilo landmarks obtain historical, cultural citations
https://mb.com.ph/20[...]
2023-07-18
[23]
웹사이트
PH Kilometer Zero: Reference Point – Rebuilding After Disasters
https://penfires.com[...]
2019-09-23
[24]
웹사이트
ROAD AND BRIDGE INFORMATION APPLICATION
https://dpwh.maps.ar[...]
2023-12-30
[25]
뉴스
Domondon: Historical background of kilometer '0' in Baguio requested
https://www.sunstar.[...]
2023-05-27
[26]
웹사이트
台灣公路原點 就在監察院前人行道
http://www.libertyti[...]
The Liberty Times
2012-10-07
[27]
웹사이트
The road that carries memories for Kampala
https://www.newvisio[...]
2024-12-17
[28]
웹사이트
The New Time Warner Center
http://www.traveland[...]
2017-10-12
[29]
뉴스
The Sign Says You've Got 72 Miles to Go Before the End of Your Road Trip. It's Lying.
http://www.citylab.c[...]
2017-10-12
[30]
웹사이트
Chicago's Grid System
https://chicagostudi[...]
University of Chicago
2024-02-22
[31]
웹사이트
Kilómetro cero en Plaza Cagancha
http://www.juntamvd.[...]
Junta Departamental de Montevideo
2011-07-21
[32]
문서
法令全書(明治6年)
国立国会図書館
[33]
웹사이트
里程
http://dictionary.go[...]
goo辞書
[34]
웹사이트
里程標樹立、1873(明治6)年12月20日 太政官日誌
https://www.soumu.me[...]
東京都公文書館
2010-01-21
[35]
웹사이트
(4)道路元標について
http://www.hrr.mlit.[...]
国土交通省新潟国道事務所
2010-01-21
[36]
웹사이트
RUSSIA & USSR / Moscow - 道路元標識
https://www.asahi-ne[...]
[37]
뉴스
도로원표가 설치되다
http://www.cnews.co.[...]
건설경제
2010-10-11
[38]
뉴스
시·군 간 거리 기준점 도로원표 아시나요?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6-17
[39]
문서
2014년 기준으로 강화군에는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40]
문서
현재 이순신 장군 동상 위치다.
[41]
문서
이표에는 {{좌표|35|52|9|N|128|35|37|E}}로 표시되어 있는데, 잘못된 좌표이다.
http://cfile262.uf.d[...]
[42]
저널
서울 광화문 네거리 명물, 도로원표
http://olv.moazine.c[...]
[43]
뉴스
북한,도로원표 김일성광장에 이전 설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6-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