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보문고는 1980년 12월 설립되어 1981년 6월 종로1가에 첫 매장을 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서점이다. "사람이 책을 만들고, 책이 사람을 만든다"는 표어를 사용하며, 광화문점과 강남점을 중심으로 전국에 여러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단순한 서점을 넘어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 도서 판매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 행사와 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보생명그룹 - 교보생명보험
교보생명보험은 1958년 대한교육보험으로 설립되어 세계 최초로 교육보험을 판매한 대한민국의 생명보험 회사로, 사업 다각화, 금융 및 IT 사업 확장, 온라인 보험 시장 진출, 사회공헌 활동 강화, 자산운용 사업 확대 등을 통해 성장했으며 현재는 신창재 회장이 대표이사 회장직을 맡고 있다. - 교보생명그룹 - 교보증권
교보증권은 1949년 대한민국 최초의 증권사인 대한증권으로 시작하여 교보생명에 인수된 후 코스닥을 거쳐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증권 회사이다. - 대한민국의 서점 - 영풍문고
영풍문고는 전국 주요 도시에 45개 이상의 지점을 운영하는 대형 서점 체인으로, '북클럽 멤버십' 프로그램을 통해 등급별 할인 및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서점 - 종로서적 (1907년~2002년)
종로서적은 1907년 기독교 서점으로 시작하여 서울의 대표 서점으로 성장했으나, 경쟁 심화와 경영난으로 2002년 부도 처리되며 서점업계의 정신적 지주로서 긴 역사를 마감했다. - 온라인 서점 - 영풍문고
영풍문고는 전국 주요 도시에 45개 이상의 지점을 운영하는 대형 서점 체인으로, '북클럽 멤버십' 프로그램을 통해 등급별 할인 및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 - 온라인 서점 - YES24
YES24는 대한민국 온라인 서점으로서, 웹사이트 품질 및 서비스 품질에서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고교동문전 바둑 대회를 후원하고 바둑 꿈나무 후원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다.
교보문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주식회사 교보문고 |
영문 회사명 | Kyobo Book Centre Co., Ltd. |
로고 | Kyobo Logo.svg |
창립일 | 1980년 12월 24일 |
업종 | 소매업, 출판업 |
국가 | 대한민국 |
본사 위치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49 (문발동) |
상법 상 본점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 (종로1가) |
대표이사 | 안병현, 김상훈 |
사업 내용 | 서적 및 잡지류 소매업 |
주요 제품 | 도서 |
자본금 | 1,689,500,000원 (2018년 12월 기준) |
매출액 | 568,448,491,106원 (2018년) |
영업이익 | 4,957,584,253원 (2018년) |
순이익 | 5,889,215,185원 (2018년) |
자산 총액 | 282,156,479,548원 (2018년 12월 기준) |
주요 주주 | 교보생명보험 (100%) |
모기업 | 교보생명보험 |
자회사 | 교보핫트랙스 |
종업원 수 | 1,041명 (2018년 12월 기준) |
웹사이트 | 교보문고 공식 홈페이지 |
매장 정보 | |
매장 안내 | 교보문고 매장 안내 |
서비스 | |
온라인 주문 책 서비스 | 바로드림 서비스 |
기타 정보 | |
광화문점 정보 | 5만 년 된 대형 카우리 소나무 독서테이블 설치 |
![]() |
2. 역사
== 역사 ==
교보문고는 1980년 12월 교보문고주식회사에 의해 설립되었고, 6개월 후인 1981년 6월 종로1가(종로)에 위치한 교보생명 본사 건물 아래 첫 매장을 열었다. 당시 침체된 출판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91년에는 지하 공간을 약 9,000m²로 확장하는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를 거쳤다. 약 25km에 달하는 통로와 복도를 갖춘 광화문점은 23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형 서점 외에도 음반과 DVD를 판매하는 "핫트랙스" 매장과 대형 문구점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광화문점 정문에는 옛날체 한글로 "사람이 책을 만들고, 책이 사람을 만든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으며, 노벨상 수상자들의 사진과 미래의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를 위한 빈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포함한 노벨평화상 수상자들도 전시되어 있다.
2003년 5월에는 국내 최대 규모(11,900m²)의 강남점을 강남 교보타워 지하에 개점했다. 세계 최초로 서점에 도입된 "북마스터 전용 열람석"과 자동화된 도서 배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2009년 7월부터는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과 연결되었다.[2] 2004년 8월 기준, 약 32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장을 합쳐 하루 약 18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했다. 다양한 도서 관련 행사와 매달 열리는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통해 독자들과 소통하며, 한국산업고객만족도(KCSI)에서 "대형서점" 부문 1위를 8년 연속 기록하는 등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창업자는 신용호이며, 회사 설립은 1980년 12월이다. "교보(KYOBOK)"는 "대한교육보험"의 약자이다. 2016년 현재, 다수의 매장과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다.
2. 1. 설립 및 초기 성장
1980년 12월, 교보문고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6개월 뒤인 1981년 6월, 모회사인 교보생명 본사 건물 아래, 종로1가(1 종로)에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 서점인 광화문점이 문을 열었다. 중심지에 위치한 교보문고는 당시 침체된 출판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1991년에는 약 9,000m² 규모의 지하 공간을 확장하는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를 거쳐, 통로와 복도의 총 길이가 25km에 달하는 대형 서점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종로 3가에서 들어가는 광화문점 정문은 "사람이 책을 만들고, 책이 사람을 만든다"라는 옛날체 한글 글귀와 무거운 대문으로 이어지는 계단으로 유명하며, 내부에는 노벨상 수상자들의 사진과 함께 미래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를 위한 빈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 또한 노벨평화상 수상자로서 그곳에 포함되어 있다. 약 230만 권의 장서와 함께 음반, DVD, 문구류, 사무용품, 장식품 등을 판매하는 핫트랙스 매장과 대형 문구점도 운영하고 있다. 2003년 5월에는 강남에 국내 최대 규모(11,900m²)의 서점인 강남점(서울 3번째 지점)을 개점하였으며, 세계 최초로 서점에 "북마스터 전용 열람석"과 자동화된 도서 배송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2009년 7월부터는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과 연결되었다.[2] 2004년 8월 기준, 교보문고는 약 32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온·오프라인을 합쳐 하루 약 18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하는 등 "국민서점"으로서의 명성을 유지하며 다양한 도서 관련 행사, 특히 매달 열리는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한국산업고객만족도(KCSI) 대형서점 부문에서 8년 연속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창업자는 신용호이다. "교보(KYOBOK)"는 "대한교육보험(大韓教育保險)"의 약자이다.2. 2. 사업 확장
1981년 6월 1일,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 서적 소매점인 교보문고 광화문점이 개점했습니다. 교보생명 본사 건물 아래 종로1가에 위치한 이 서점은 침체된 출판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1991년에는 지하 공간을 약 9,000m²로 확장하는 대대적인 개보수를 거쳤는데, 이는 약 25km에 달하는 통로와 복도를 포함한 대규모 공사였습니다. 개보수된 광화문점은 약 23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형 서점 외에도 음반과 DVD를 판매하는 "핫트랙스" 매장, 그리고 문구류와 사무용품을 판매하는 대형 문구점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화문점 입구, 특히 종로 3가에서 들어가는 정문은 옛날체 한글로 "사람이 책을 만들고, 책이 사람을 만든다"라는 글귀가 새겨진 무거운 대문과 계단으로 유명하며, 노벨상 수상자들의 사진과 미래의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를 위한 빈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같은 노벨평화상 수상자들도 전시되어 있습니다.2003년 5월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서점인 교보문고 강남점이 개점했습니다. 강남 교보타워 지하 11,900m² 규모에 자리 잡은 강남점은 세계 최초로 서점에 도입된 "북마스터 전용 열람석"과 자동화된 도서 배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2009년 7월부터는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과 연결되었습니다. 2004년 8월 기준, 교보문고는 약 32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장을 합쳐 하루 약 18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 국민서점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 교보문고는 다양한 도서 관련 행사, 특히 매달 열리는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며, 한국산업고객만족도(KCSI)에서 "대형서점" 부문 1위를 8년 연속 기록하는 등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 3. 온라인 및 디지털 전환
1981년 6월 1일,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 서적 소매점인 광화문점 개점을 시작으로 교보문고는 오프라인 서점 사업을 확장해왔다.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본점의 전면 개보수를 통해 시설을 현대화하였고, 2003년에는 단일 매장으로는 한국 최대 규모의 강남점을 개점하며 오프라인 사업의 기반을 굳건히 다졌다. 2016년 기준으로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온라인 서점을 통해서도 적극적으로 서적 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디지털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교보문고의 전략을 보여주는 사례이다.3. 주요 특징
== 주요 특징 ==
교보문고는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라는 표어를 사용한다.[13] 이는 교보생명 창립자인 대산 신용호 회장이 교보문고 개장 당시 국민들의 독서 장려를 위해 만든 표어로, 매장에서도 볼 수 있다. 교보문고는 단순한 서점을 넘어, 다양한 지점과 서비스를 통해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지점인 광화문점은 1981년 개점 이후 대한민국 서점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으며, 넓은 규모와 다양한 장르의 도서, 쾌적한 환경을 자랑한다. 특히 과거에는 민주화 운동 관련 책 판매와 행사 개최를 통해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상업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이러한 정치, 사회적 역할이 약화되었다는 우려도 있다. 강남점은 국내 최대 규모로, 다양한 장르의 도서와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교보문고는 자체 멤버십 카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포인트 카드와의 중복 적립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현대백화점 H포인트는 중복 적립이 불가능하다. 아울러, 작가와의 만남, 북 콘서트, 강연회, 독서 관련 세미나 등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하여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를 위한 인문학, 사회, 예술 분야의 행사를 통해 진보적인 가치관을 지닌 독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행사 참여 접근성 향상 및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위한 노력, 그리고 행사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3. 1. 매장 특징
교보문고는 단순한 서점을 넘어,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넓은 공간에 다양한 장르의 도서를 풍부하게 비치하고 있으며, 편리한 검색 시스템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서점 내부는 독서 공간, 카페, 전시 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고객들이 책을 읽거나 휴식을 취하며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하고, 작가와의 만남 등을 통해 독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또한, 온라인 서점과의 연계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객에게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일부 매장은 어린이들을 위한 특화된 공간을 마련하여, 가족 단위 고객들에게도 매력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높은 임대료 등으로 인해, 일부 매장은 수익성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보문고는 지속적인 매장 운영 방식 개선 및 다각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3. 1. 1. 광화문점
교보문고의 상징과도 같은 광화문점은 1981년 개점 이후 대한민국 서점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했다. 단순한 서점을 넘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다양한 문화 행사와 강연을 개최하며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공간이 되었다. 특히, 넓은 규모와 다양한 장르의 도서, 그리고 쾌적한 환경은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요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서점의 부상과 변화하는 독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고민도 필요한 상황이다.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건물 외관은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유산으로 여겨지며, 많은 시민들에게 추억을 선사한다. 광화문 광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서울의 중심부에서 문화적 만남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지속적인 리뉴얼과 새로운 시도를 통해 교보문고 광화문점은 앞으로도 대한민국 대표 서점으로서의 역할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에는 이곳에서 수많은 민주화 운동 관련 책들이 판매되고, 관련 행사들이 열리기도 했으며, 이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정치, 사회적인 역할보다는 상업적인 측면이 더 강조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3. 1. 2. 강남점
강남점은 국내 최대 규모의 서점으로, 다양한 장르의 도서와 함께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넓은 면적에 걸쳐 문학, 경제,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폭넓게 보유하고 있으며, 편리한 검색 시스템과 친절한 직원들의 도움으로 원하는 책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넓은 휴식 공간과 카페, 그리고 다양한 문화 행사가 정기적으로 개최되어 독서와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도 인기가 많다. 최근에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전자책 및 오디오북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편리한 서비스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높은 임대료와 인건비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최근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다시 활기를 띠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강남 지역의 높은 상권 가치를 활용하여,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 행사를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3. 2. 멤버십 서비스
교보문고는 자체 멤버십 카드를 운영하며, 다양한 포인트 카드와의 중복 적립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H포인트는 중복 적립이 불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3. 3. 문화 행사
교보문고는 단순한 서점을 넘어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독자들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매장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주로 작가와의 만남, 북 콘서트, 강연회, 독서 관련 세미나 등이 정기적으로 열린다. 특히, 유명 작가를 초청하는 작가와의 만남은 독자들에게 직접 책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주제를 다루는 강연회나,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다양한 주제의 북 콘서트도 자주 개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보문고는 단순히 책을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 지적이고 문화적인 만남의 장으로서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의 독자들을 위해 인문학, 사회, 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문화 행사를 기획하고 있으며, 이는 진보적인 가치관을 지닌 젊은층의 독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다만, 행사 참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더욱 다양한 계층의 독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교보문고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행사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작가 선정 및 프로그램 기획 등에 대한 투자가 더욱 필요하다.4. 지점 현황
== 지점 현황 ==
교보문고는 전국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다수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 경기 지역을 비롯하여 부산, 대구, 인천 등 광역시와 몇몇 도 지역에도 지점이 있으며, 대학 내에 위치한 교내 서점도 운영하고 있다. 각 지점의 개점 연도와 위치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단, 과거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폐점 또는 이전한 지점의 경우에는 별도로 과거 운영했던 지점 항목에 정리하였다.
'''서울특별시'''에는 광화문점, 강남점, 영등포점, 잠실점, 목동점, 이화여대점, 서울대점 등 여러 지점이 있다. 광화문점은 1981년 개점한 교보문고의 모태이자 플래그십 스토어로, 노벨상 수상자 초상화를 전시하고 있다. 강남점은 단일 매장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영등포점은 타임스퀘어에 입점해 있으며, 잠실점, 목동점, 이화여대점, 서울대점은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에는 성남점, 분당점, 안양점, 부천점 등이 있다. 성남점과 안양점은 과거 운영되었던 지점으로 현재는 폐점 또는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
'''부산광역시'''에는 부산점, 센텀시티점, 부산대점 등이 있다. 부산점은 서면에 위치하며, 센텀시티점은 센텀시티 내에 위치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랑한다. 부산대점은 부산대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다.
'''대구광역시'''에는 대구점이 있다. 대구점은 대구 시내 중심부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다.
'''인천광역시'''에는 인천점이 있으며, 남동구 구월동에 위치해 있다.
'''울산광역시'''에는 울산점이 있으며, 삼산동 UP스퀘어 쇼핑몰 지하에 위치하고 있다.
'''그 외 지역'''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시의 천안점, 전라북도 전주시의 전주점, 경상북도 포항시의 포항공대점, 경상남도 창원시의 창원점 등이 있다.
=== 과거 운영했던 지점 ===
과거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폐점 또는 이전한 지점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대전점, 부산대점(교내서점), 성남점, 전주점, 센텀시티점, 가톨릭대점(교내서점), 안양점, 광교 월드스퀘어점 등이 있다. 폐점 이유와 이전 경위 등은 각 지점별로 상황이 다르다. 폐점된 지점의 경우, 그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에 대한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각 지점의 상세한 운영 기간 및 이전/폐점 사유는 추가적인 정보 확인을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15]
4. 1. 현재 운영 중인 지점
서울특별시에는 광화문점(1981년 6월 1일 개점, 종로구 종로 1(종로1가)), 강남점(2003년 5월 3일 개점, 서초구 강남대로 465, 교보타워, 서초동), 잠실점(2006년 2월 22일 개점, 송파구 올림픽로 269, 신천동, 롯데캐슬골드), 목동점(2007년 7월 6일 개점, 양천구 목동서로 159-1, CBS B/D 지하1층, 목동), 영등포점(2009년 9월 16일 개점, 영등포구 영중로 15, 타임스퀘어 멀티플렉스 2층, 영등포동4가), 디큐브시티 바로드림센터(2015년 1월 16일 개점, 구로구 경인로 662, 타워동 지하1층, 신도림동, 디큐브시티), 수유 바로드림센터(2015년 6월 26일 개점, 강북구 도봉로 348, 교보생명빌딩 B1, 번동), 동대문 바로드림센터(2016년 3월 9일 개점, 중구 장충단로13길 20, 지하1층, 을지로6가, 현대시티타워), 은평 바로드림센터(2016년 12월 1일 개점, 은평구 통일로 1050, 롯데몰 은평점 3층, 진관동), 서울대점(2007년 12월 28일 개점,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학생회관 구내서점, 신림동), 이화여대점(2008년 2월 21일 개점,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ECC센터 지하4층, 대현동), 숙명여대점(2010년 8월 27일 개점,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숙명여자대학교 학생회관 1층, 청파동2가), 청량리 바로드림센터(2017년 4월 12일 개점, 동대문구 왕산로 214, 롯데백화점 지하 1층, 전농동), 합정점(2017년 4월 21일 개점, 마포구 월드컵로1길 14, A동 지하2층, B동 지하1층, 합정동, 마포한강푸르지오), 가든파이브 바로드림센터(2017년 5월 26일 개점, 송파구 충민로 66, 가든파이브 라이프 리빙관 현대시티몰 4층, 문정동), 천호점(2019년 2월 개점, 강동구 올림픽로 664 대우한강베네시티 지하 1층, 천호동) 등 16개 점포가 있다.광주광역시에는 상무센터점(2018년 3월 25일 개점, 서구 상무중앙로 58, 광주 타임스퀘어 3F, 치평동) 1개 점포가 있다.
부산광역시에는 부산점(2002년 5월 1일 개점, 부산진구 중앙대로 658, 교보생명빌딩 지하1층, 부전동), 센텀위브리드샵점(2018년 4월 16일 개점,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79, 센텀사이언스파크 1층, 우동), 경성대ㆍ부경대센터점(2017년 6월 22일 개점, 남구 수영로 324, 지하 2층), 센텀시티점(2016년 10월 28일 개점, 해운대구 센텀남대로 59,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7층, 우동), 해운대 바로드림센터(2016년 4월 30일 개점, 해운대구 해운대로 799, 부산해운대시티코아 지하1층, 좌동) 등 5개 점포가 있다.
대구광역시에는 대구점(2000년 9월 30일 개점, 중구 국채보상로 586, 교보타워 지하1층~지상3층, 동성로2가), 반월당 바로드림센터(2016년 10월 27일 개점, 중구 달구벌대로 2077, 현대백화점 대구점 지하2층, 계산동2가), 칠곡 센터(2017년 1월 25일 개점, 북구 동암로 104, LG전자베스트샵 칠곡점 3층, 동천동) 등 3개 점포가 있다.
인천광역시에는 인천점(2004년 7월 16일 개점, 남동구 예술로 138, 이토타워 지하1층, 구월동), 송도 바로드림센터(2016년 4월 29일 개점, 연수구 송도국제대로 123,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지하1층, 송도동) 등 2개 점포가 있다.
대전광역시에는 대전점(2016년 7월 8일 개점, 서구 대덕대로 226, 명동프라자 3층, 둔산동) 1개 점포가 있다.
울산광역시에는 울산점(2016년 3월 25일 개점, 남구 화합로 185, 업스퀘어 지하1층, 삼산동) 1개 점포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세종 바로드림센터(2017년 3월 30일 개점, 갈매로 363, 파이낸스센터 1층, 어진동) 1개 점포가 있다.
경기도에는 부천점(2001년 12월 22일 개점, 부천시 소사구 부천로 1, 부천역사 7층, 심곡본동), 일산점(2016년 5월 3일 개점,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고양종합터미널 지하1층, 백석동), 판교 바로드림센터(2015년 8월 21일 개점,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146번길 20, 지하2층, 백현동, 현대백화점), 평촌점(2017년 6월 9일 개점,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180, 롯데백화점 평촌점 6층, 호계동), 가천대점(2010년 8월 23일 개점, 성남시 수정구 성남대로 1342, 가천대학교 비전타워 B3F, 복정동), 성균관대점(2013년 2월 18일 개점,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복지회관 2층, 천천동), 분당점(2017년 10월 27일 개점,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312번길 26, B1, 서현동), 광교점(2018년 8월 23일 개점, 수원시 영통구 광교중앙로 145, 엘포트몰 지하1층, 이의동) 등 7개 점포가 있다.
충청남도에는 천안점(2007년 12월 7일 개점, 천안시 동남구 만남로 43, 신세계백화점 충청점 3층, 신부동) 1개 점포가 있다.
전라북도에는 전주 바로드림센터(2015년 10월 30일 개점,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4길 24-47, NC웨이브 B관 지하1층, 고사동), 전북대점(2009년 8월 26일 개점,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전북대학교 제1학생회관 1층, 음암동) 등 2개 점포가 있다.
경상북도에는 포항공대점(2008년 6월 10일 개점, 포항시 남구 청암로 77, 포항공과대학교 학생회관 1층, 지곡동) 1개 점포가 있다.
경상남도에는 창원점(2006년 2월 28일 개점,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 104, 마이우스빌딩 지하1층, 상남동) 1개 점포가 있다.[14]
4. 1. 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에는 여러 교보문고 지점이 있다. 대표적인 지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광화문점 (종로구): 1981년 6월 1일 교보생명빌딩 지하 1층에 문을 열었다. 2010년 4월 대규모 리노베이션을 위해 잠시 문을 닫았다가 5개월간의 리모델링 공사 후 2010년 8월 27일 재개장했다.[3][4]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4번과 5번 출구에서 접근 가능하다.[5] 단일층 개가식 매장으로, 서울교통공사 5호선 광화문역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본점에는 노벨상 수상자 초상화가 있으며,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 이후 그의 초상화가 걸리게 되었다. 현재는 두 번째 한국인 수상자를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 강남점 (강남구): 광화문점과 비슷한 규모의 두 번째 서점으로, 교보강남타워 지하 1~2층에 위치한다. 2003년 5월 3일 개업했으며, 3600평 규모로 단일 매장으로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이다. 서울교통공사 2호선 강남역 6번 출구에서 도보 약 8분, 서울시메트로 9호선 신논현역 7번 출구에서 도보 1분 거리에 있다.
- 잠실점 (송파구): 2006년 2월 22일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7-18에 개업했다.
- 목동점 (양천구): 2007년 7월 6일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17-1에 개업했다.
- 이화여대점 (서대문구): 2008년 2월 21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 구내에 개업했다.
- 서울대점 (관악구): 2007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9동 서울대학교 구내에 개업했다.
4. 1. 2.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에는 교보문고 지점이 없습니다. 본문에 제시된 정보는 서울, 경기, 부산 등 다른 지역의 교보문고 지점 정보입니다. 광주광역시에 교보문고가 진출하지 않은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까지는 관련 정보가 확인되지 않습니다. 추가적인 정보 확보를 통해 광주광역시 관련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습니다.4. 1. 3.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에는 다음과 같은 교보문고 지점이 있다.- 부산점: 2002년 5월 1일 개업. 부산광역시의 번화가 서면(부산진구 부전2동)에 위치한다. 서면은 부산의 대표적인 상업 중심지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활기 넘치는 분위기를 자랑한다. 교보문고 부산점은 이러한 서면의 활기를 바탕으로 많은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 센텀시티점: 2009년 3월 3일 개업.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센텀시티 내에 위치한다. 센텀시티는 부산의 대표적인 복합쇼핑몰 및 업무단지로, 첨단 산업과 문화가 조화된 공간이다. 교보문고 센텀시티점은 센텀시티의 고급스러운 분위기와 어울리는 고급스럽고 넓은 공간을 자랑한다.
- 부산대점: 2007년 7월 13일 개업.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30번지 부산대학교 구내에 위치한다. 부산대학교는 부산을 대표하는 국립대학교로, 많은 학생과 교수들이 이용하는 편리한 위치에 있다. 교보문고 부산대점은 학생들에게 양질의 도서를 제공하며, 학문과 지식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4. 1. 4.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에는 2000년 9월 30일에 개업한 교보문고 대구점이 있다.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2가 88-25에 위치해 있다.4. 1. 5.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에는 교보문고 인천점이 있다. 2004년 7월 16일에 개업했으며,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1456에 위치해 있다. [3] [4] [5] [6] [7]4. 1. 6.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에는 교보문고 지점이 없습니다. 현재 교보문고는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구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지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위에 언급된 지점들은 대전광역시가 아닌 다른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4. 1. 7. 울산광역시
울산점은 2016년 삼산동 UP스퀘어 쇼핑몰 지하에 문을 열었다.4. 1. 8.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교보문고 지점이 없습니다. 현재 교보문고는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지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위에 제시된 정보는 세종특별자치시가 아닌 다른 지역의 교보문고 지점 정보입니다.4. 1. 9. 경기도
경기도 내 교보문고 지점은 다음과 같다.- 성남점: 1994년 12월 3일 개업.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 5542.
- 분당점: 2006년 12월 15일 개업.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66-1.
- 안양점: 2005년 5월 4일 개업.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4동 676-1.
- 부천점: 2001년 12월 22일 개업.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심곡본동 312-2번지 부천역 빌딩 7층.
4. 1. 10. 충청남도
충청남도에는 천안점이 있다. 천안점은 2009년 3월 3일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개업하였다.4. 1. 11. 전라북도
전라북도에는 전주시 완산구에 전주점이 있다. 2006년 6월 9일에 개업하였다.4. 1. 12. 경상북도
경상북도에는 포항공과대학교 내에 위치한 포항공대점이 있다. 2008년 6월 10일에 개업하였으며,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항공과대학교 구내에 위치하고 있다.[3]4. 1. 13. 경상남도
경상남도에는 창원시 상남동에 위치한 창원점이 있다. 2006년 2월 28일에 개업하였다.[3]4. 2. 과거 운영했던 지점
대전점은 1994년 4월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69(선화동) 교보생명 빌딩 지하에 문을 열었으나, 공간 협소와 천안점 이전으로 2007년 10월 15일 영업을 중단했다. 이후 2016년 7월 8일 둔산동에 재개점했다.[15] 부산대점(교내서점)은 2007년 7월 13일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부산대학교 교수회관 1층에 개점하여 운영되었다. 성남점은 1994년 12월 3일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정로 150(신흥동) 교보생명빌딩에 문을 열었지만, 2012년 3월 19일 영업을 종료하고 분당점, 가천대점(교내서점)과 통합되었다. 전주점은 2006년 6월 9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5길 35 엔데피아B/D 1층에 개점했으나, 2012년 3월 19일 영업을 종료했다가 2015년 10월 30일 재개점했다. 센텀시티점은 2009년 3월 3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남대로 35 신세계 센텀시티점 5층에 문을 열었으나,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7층으로 이전했다. 가톨릭대점(교내서점)은 2009년 8월 28일 경기도 부천시 지봉로 43 가톨릭대학교 김수환 추기경 국제관 1층에 개점했으나, 2016년 12월 12일 영업을 종료하고 부천점과 통합되었다. 안양점은 2005년 5월 4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311 CGV 1번가 5, 6층에 문을 열었으나, 2017년 4월 30일 폐점하고 롯데백화점 평촌점 6층으로 이전했다. 광교 월드스퀘어점은 2016년 9월 28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센트럴타운로 107 광교 월드스퀘어 B1층(이의동)에 개점했으나 2024년 3월 11일 폐점했다.5. 대중문화 속 교보문고
광화문 교보문고는 2007년 방영된 MBC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의 촬영 장소로 사용되었다. 극중 최한결(공유 분)이 고은찬(윤은혜 분)을 바리스타로 키우기 위해 커피 관련 서적을 구입하는 장면이 교보문고 내부 및 외부에서 촬영되었다.[8]
5. 1. 드라마
광화문 교보문고는 2007년 MBC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극중 최한결(공유 분)이 고은찬(윤은혜 분)을 바리스타로 키우기 위해 커피 관련 서적을 구입하는 장면이 교보문고 내부와 외부에서 촬영되었다.[8]참조
[1]
웹사이트
English BookStores Korea Expat BLog
http://koreaexpatblo[...]
2019-05-14
[2]
뉴스
ko:국내 최대 서점 문연다…교보문고 강남점 1800여평
http://news.naver.co[...]
2011-06-25
[3]
뉴스
Kyobo to Close Gwanghwamun Bookstore for Renovation
http://english.chosu[...]
2013-03-07
[4]
뉴스
Gwanghwamun Kyobo opens after revamp
https://koreatimes.c[...]
2013-03-07
[5]
뉴스
13 things you've got to do in Seoul
http://travel.cnn.co[...]
2013-02-26
[6]
뉴스
Giant Seoul mall to open tomorrow
http://koreajoongang[...]
2013-03-07
[7]
뉴스
Location still the recipe for success
http://koreajoongang[...]
2013-03-07
[8]
웹사이트
'The First Shop Of Coffee Prince'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2-06-28
[9]
기타
[10]
웹인용
교보문고 매장 안내
http://www.kyobobook[...]
2019-01-13
[11]
뉴스인용
교보문고, 온라인 주문책 ‘바로드림’ 서비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6-21
[12]
뉴스인용
교보문고 광화문점, 5만 년 된 대형 카우리 소나무 독서테이블 설치
http://www.readersne[...]
2015-11-28
[13]
블로그
https://blog.naver.c[...]
[14]
기타
[15]
웹사이트
교보문고 핫트랙스 대전점 8일 오픈
https://www.kyoboboo[...]
2018-05-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책 읽는 아파트’···GS건설, 교보문고 ‘큐레이션 전자도서관’ 선보여
GS건설, 교보문고와 함께 입주민 전용 ‘큐레이션 전자도서관’ 선봬
[뉴블더]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 신간, 베스트셀러 1위
음식물처리기 기업이 책 낸 까닭은…“생활 속 문제 함께 고민”
뮤지션 한로로 소설 ‘자몽살구클럽’ 베스트셀러 4위 약진
히가시노 게이고 ‘가공범’···3주 연속 베스트셀러 1위
히가시노 게이고 ‘가공범’ 베스트셀러 1위
SK이노, 농어촌 아동에 책 기부
SK이노 “농어촌 아동에 책 선물하세요”…나눔 문화 앞장
만들어진 판보다 만드는 재미…“100년 가는 출판사가 꿈이죠”
성해나 소설집 ‘혼모노’ 2주째 베스트셀러 1위···‘어남선생’ 류수영 요리책 4위
한강 새책 ‘빛과 실’ 베스트셀러 1위
예금토큰 실험 한 달 5.7만 명 참여…결제 3건 중 1건 '땡겨요'
교황 선종에 자서전 ‘희망’ 종교 부문 베스트셀러 1위
“진짜 간편결제처럼 편할까?” CBDC로 배달음식 시켜봤습니다[엠블록레터]
“베스트셀러·신간 바로 본다” 광진구 ‘구독형 전자책’ 사업 시작[서울25]
4월8일 알림
케이엘큐브, 중소벤처기업부 ‘2025 도약(Jump-Up) 프로그램’ 선정
'미분양 무덤' 지방의 반전…포항서 최고 4.53대1
지방 분양 시장에서 브랜드 단지와 특화된 주거 서비스, 입지를 강점으로 내세운 단지들이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미분양 무덤'이라는 지방 부동산 시장의 반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