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은 학교정보시스템의 보안 및 상호 연계성 문제 해결과 교육행정 업무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도입되었다. 1996년부터 필요성이 제기되어 1997년 학교행정관리시스템(SIMS)이 개발, 보급되었고, 2001년에는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11대 중점 과제 중 하나로 선정되어 구축이 결정되었다. 2002년 시스템 설계 완료 후 1단계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2006년에는 대국민 민원 서비스가 개통되었다. 2010년 시·도 교육청 단위로 통합 운영 계획 발표 후, 차세대 나이스가 구축되어 2011년부터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2014년 대국민 서비스 확대 개편, 2023년 4세대 지능형 나이스가 개통되었다. 개인 정보 유출, 사생활 침해, 시스템 오류, 과도한 행정 업무 부담 등의 비판과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 시스템 - 추천 시스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나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알고리즘과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정확도와 개인화 수준을 높이고 있으며, 여러 서비스에서 활용되면서 정확도 외 다양성,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다.
  • 정보 시스템 - 정보 관리
    정보 관리는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데이터, 정보,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적 과정으로, 정보 기술 발전과 함께 전략적으로 진화했으며, 의사결정, 정보 시스템 구축, 프레임워크 활용, 조직 설계 등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인 복합적인 관리 활동이다.
  • 한국의 교육 -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은 정부 수립 후 교육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규정하는 국가 수준의 문서로, 일제강점기 조선교육령 시행 후 광복을 거쳐 1954년 제1차 교육과정 제정 이후 시대적 요구와 교육 철학 변화를 반영하여 현재까지 개정되어 왔다.
  • 한국의 교육 - 고입선발고사
    대한민국에서 중학교 졸업생의 고등학교 입학을 위해 시행되었던 고입선발고사는 전국적으로 시행되다가 1998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지되어 2019년 제주를 끝으로 모든 지역에서 폐지되었으며, 9과목으로 구성되어 중학교 전 과정을 범위로 객관식으로 출제되었고, 폐지 후에는 내신 성적만으로 입학이 결정된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색동회
    색동회는 1923년 방정환을 중심으로 창립되어 어린이들에게 다채로운 꿈과 희망을 주고자 아동 문화 운동을 펼친 단체로, 잡지 발간, 어린이날 제정,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아동문학과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광복 후 활동을 재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며 아동 교육에 공헌한 사람들을 시상하는 색동회상을 제정했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사법연수원
    사법연수원은 법원조직법에 따라 설립된 법조인 양성 기관으로, 사법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법률 이론 및 실무 교육을 실시하며,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고 2년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법조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개요
종류정보 시스템
분야교육행정
상세 정보
개발대한민국 교육부
운영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
목적교육 행정 업무 효율성 증대, 교육 정보 공동 활용
기능인사
급여
예산
회계
학생 관리
교원 인사 관리
시설 관리
학교 운영 지원
특징전국 단위의 교육 행정 정보 시스템
웹 기반 시스템
다양한 사용자 권한 관리
문제점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
시스템 오류 발생 가능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필요
관련 법규
관련 법률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기타
영문 명칭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2. 역사

2. 1. 도입 배경 (1996년 ~ 2001년)

1996년부터 학교정보시스템(S∙A, C/S)의 보안 및 상호연계성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 교육행정기관의 업무를 유기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97년 나이스의 전신인 학교행정관리시스템(SIMS)이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2000년 전국 초·중등학교의 IT 인프라 구축이 완료되었다. 2001년, 2단계 교육정보화 발전방안 수립의 일환으로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이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11대 중점 추진 과제 중 하나로 선정되면서 도입이 결정되었다.

2. 2. 초기 구축 및 서비스 개시 (2002년 ~ 2006년)

1996년부터 시작된 학교정보시스템의 보안 및 상호연계성 문제 해결과 전 교육행정업무의 유기적 처리를 위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이하 나이스)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97년 나이스의 전신인 학교행정관리시스템(SIMS)이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2000년 전국 초·중등학교 IT 인프라 구축이 완료되었고, 2001년에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이 전자정부 구현 11대 중점 추진 과제 중 하나로 선정되며 도입이 결정되었다.

2002년 3월 시스템 설계를 완료하고, 6월 삼성 SDS와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11월, 1단계 서비스 시범 실시와 함께 22개 영역의 일반행정 업무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2003년에는 5개 영역의 교무학사 업무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2004년에는 교무, 학사, 보건의 3개 영역을 분리 구축하고 온라인 대입전형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2006년에는 대국민 민원서비스가 구축, 개통되어 민원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학부모 서비스가 처음 시작되었다. 그러나 과도한 사생활 침해[7][8], 개인 정보 수집 및 유출 가능성에 대한 문제 제기와 전교조 등의 반발로 인해 초·중학교는 20개 이하 학교 그룹 단위, 고등학교는 단독 학교 단위로 나이스를 운영하였다.

2. 3. 차세대 나이스 구축 및 통합 (2010년 ~ 2013년)

2010년 교육부(당시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을 다시 시도교육청 단위로 통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차세대 나이스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에 따라 차세대 나이스 업무 프로그램 개편 및 운영 인프라 구축이 진행되었다.[9]

2011년 2월, 차세대 나이스 구축이 완료되어 시·도 단위 통합 운영이 시작되었다.[9] 2011년 3월부터는 차세대 나이스 서비스가 개시되어 홈에듀 민원서비스, 교원능력개발평가, 방과후학교 온라인 신청 서비스 등을 제공하였다. 나눔포털 자료를 나이스로 연계하는 기능도 추가되었다.[9]

2013년 7월 1일, 학생 서비스가 개통되었다.[9]

2. 4. 기능 개선 및 고도화 (2014년 ~ 현재)

2014년 대국민서비스 확대 개편을 시작하였다. 2018년에는 나이스 학생·학부모 모바일 서비스 시범 운영을 시작하였다. 2023년 6월 21일, 4세대 지능형 나이스가 개통되었다.

3. 비판 및 논란

3. 1. 개인정보 유출 및 사생활 침해

3. 2. 시스템 오류 및 보안 문제

3. 3. 과도한 행정 업무 부담

참조

[1] 뉴스 네이스, 나이스, NEIS…논란 만큼이나 명칭도 제각각 http://www.journalis[...] 한국기자협회 2003-06-04
[2] 뉴스 NEIS 논쟁은 교육개혁 발목 잡기(?)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3-05-31
[3] 뉴스 전교조 경북지부, "네이스를 저지하라"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4] 뉴스 새학기 'NEIS 대란' 비상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5] 뉴스 전교조, 28일 나이스 거부 연가투쟁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6] 뉴스 520억짜리 교육정보망 반쪽 개통…전교조 ″정보유출…중단하라″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7] 뉴스 NEIS, 인권침해 삭제권고는 여전히 검토 중?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3-07-23
[8] 뉴스 선결과제 빠뜨린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3-04-01
[9] 뉴스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시도단위로 통합 http://korea.kr/news[...] 공감코리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