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요한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요한 1세는 523년부터 526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동고트족의 테오도리크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파견되어 아리우스파에 대한 유스티누스 1세의 칙령 완화를 요청했으나, 임무를 완수하지 못하고 귀국 후 테오도리크의 의심을 받아 체포되어 옥사했다. 요한 1세는 순교 성인으로 추앙받으며, 한국 가톨릭 교회에서도 그의 순교 정신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70년 출생 - 교황 요한 2세
    교황 요한 2세는 메르쿠리우스라는 이름으로 선출된 후 개명한 최초의 교황으로, 갈리아 주교에게 악명 높은 주교를 가두도록 명령하고, 네스토리우스주의를 지지하는 수도승들을 파문했으며, 아리우스주의에 빠진 주교들의 지위 문제를 교황에게 제출받았다.
  • 시에나도 출신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시에나도 출신 - 교황 비오 2세
    교황 비오 2세는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의 이름으로 1458년부터 1464년까지 재임한 210대 교황으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 원정을 추진하고 학자 및 작가로 활동했으며, 코르시냐노를 피엔차로 재개발하여 도시 계획을 시행했다.
  • 526년 사망 - 테오도리쿠스 대왕
    테오도리쿠스 대왕은 488년 이탈리아를 정복하고 로마 문화를 부흥시킨 동고트족의 왕으로, 아리우스파 신자였으며 라벤나를 수도로 삼아 통치하다가 말년에 종교적 갈등을 겪었다.
  • 526년 사망 - 대부인 (백제)
    대부인은 백제 무령왕의 부인으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유물과 은팔찌의 명문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사후 태비 또는 왕태비로 추존되어 529년 무령왕릉에 합장되었다.
교황 요한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 1세
요한
직책
직책로마 교황
재임 시작523년 8월 13일
재임 종료526년 5월 18일
선임자호르미스다
후임자펠릭스 4세
개인 정보
출생470년경
출생지서로마 제국, 토스카나
사망526년 5월 18일
사망 장소동고트 왕국, 라벤나
서품ca. 495
서품자젤라시오 1세
성직 계급사제
기타 정보
기념일5월 18일

2. 초기 생애

요한은 로마의 부제였으며, 대립교황 라우렌티우스를 지지했다. 506년 교황 심마쿠스에게 탄원서를 써서 과거의 잘못을 고백하고 알티눔의 베드로와 라우렌티우스를 비난하며 용서를 구했다.[2] 499년과 502년 로마 시노드 교회 간행물에 서명한 "부제 요한"으로 추정되는데, 당시 로마 교회에 부제가 7명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2] 그는 또한 6세기 철학자 보에티우스가 512년과 520년 사이에 쓴 다섯 편의 종교 논문 중 세 편을 헌정한 "부제 요한"일 수도 있다.[3]

3. 교황 선출 배경

서로마 제국 멸망 후, 그 지역의 지배자는 동고트족의 테오도리크였다. 그는 아리우스파였지만, 동로마 제국유스티누스 1세가 아리우스파를 탄압하기 시작하자, 양 진영의 화해를 위해 요하네스를 교황으로 임명하여 사절단과 함께 동로마 제국으로 파견했다.[4]

4. 동로마 제국 파견과 투옥

교황 요한 1세는 교황으로서는 처음으로 동로마 제국을 방문하여 유스티누스 1세로부터 환대를 받았다. 동고트족의 왕 테오도리크 대왕의 명을 받아 동로마 제국으로 파견된 요한 1세는, 유스티누스 1세에게 아리우스파에 대한 탄압을 완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 유스티누스 1세는 아리우스파에서 개종한 이들이 가톨릭 성직 계층 지위를 유지하는 것을 제외한 다른 요청은 모두 약속하였다.[6]

요한 1세는 테오도리크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두고 귀국하였다. 테오도리크는 요한 1세가 유스티누스 1세와 공모했다고 의심하여 그를 라벤나에 체포하고 투옥했다. 요한 1세는 즉위 당시 이미 고령이었고, 장거리 여행과 투옥 생활로 인해 쇠약해져 옥사하였다.[4][5] 14세기 라벤나의 산타 마리아 인 포르토 포리 교회 프레스코화에는 테오도리크가 교황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모습이, 15세기 세밀화에는 직접적인 "처형"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5. 사망과 유산

요한 1세는 즉위 당시 이미 고령이었고, 장거리 여행과 노쇠로 인해 테오도리크의 처분을 받기 전에 옥사했다. 교황의 죽음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14세기에 만들어진 라벤나의 산타 마리아 인 포르토 포리 교회 프레스코화에서는 테오도리크가 교황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고, 15세기에는 직접적인 "처형" 장면을 그린 세밀화가 그려져 있다.

6. 시성

코임브라 대성당의 유물 흉상


교황 요한 1세는 예술 작품에서 감옥의 쇠창살 너머를 바라보거나 부제보제와 함께 갇힌 모습으로 묘사된다. 라벤나와 토스카나에서 공경받는다. 축일은 5월 18일(사망일)이다. (과거에는 5월 27일)

참조

[1] 간행물 Pope St. John I CathEncy
[2] 논문 "The Last Years of Theoderic" https://www.jstor.or[...] 1983
[3] 기타
[4] 서적 Anonymus Valesianus Harvard: Loeb Classical Library 1972
[5] 서적 The Book of Pontiffs (Liber Pontificalis) University of Liverpool Press 1989
[6] 서적 Anonymus Valesianus
[7] 서적 The Book of Pontiffs (Liber Pontificalis)
[8] 웹사이트 Pope Saint John I http://saints.sqpn.c[...] 2009-05-21
[9] 논문 "The Last Years of Theoderic" http://www.jstor.org[...] 1983
[10] 기타
[11] 서적 Anonymus Valesianus Harvard: Loeb Classical Library 1972
[12] 서적 The Book of Pontiffs (Liber Pontificalis) University of Liverpool Press 1989
[13] 서적 The Book of Pontiffs (Liber Pontifical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