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요한 7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7세는 705년부터 707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칼라브리아 주 로사노 출신으로, 동로마 제국 공직자의 아들로서는 최초로 교황이 되었다. 랑고바르드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유스티니아누스 2세 황제가 소집한 퀴니섹스트 공의회의 결정에 대해서는 거부 의사를 표명했다. 로마에 여러 기념 건물을 건설하고, 수비아코 수도원을 재건하는 등 건축 사업에도 힘썼다. 707년 10월 18일에 사망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07년 사망 - 몬무 천황
    문무 천황은 15세에 즉위한 일본의 제43대 천황으로, 다이호 율령을 완성하여 일본 법제를 정비하고 국호를 왜에서 일본으로 변경하는 등 국가 체제 기틀을 마련했다.
  • 707년 사망 - 이다조
    이다조는 당나라 장군으로 동돌궐, 실위, 거란 토벌에 공을 세웠고 장간지와 함께 쿠데타에 가담했으나, 위황후 제거 시도 실패 후 살해당했으며, 사후 복권되었고 말갈족 또는 고구려 출신이라는 설이 있다.
  • 650년 출생 - 교황 시신니오
    교황 시신니오는 통풍을 앓던 시리아 출신으로 708년 1월 15일부터 20일간 제87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코르시카 주교 임명과 로마 방벽 수리를 계획했으나 실행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 650년 출생 - 교황 세르지오 1세
    교황 세르지오 1세는 687년부터 701년까지 재임한 84대 교황으로, 시리아계 혈통으로 로마 교회의 독립성을 주장하고 교회 내 변화를 주도했으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코센차도 출신 - 마우로 피오레
    마우로 피오레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미국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다양한 장르 영화의 촬영 감독으로 활동하며, 특히 안톤 후쿠아 감독과 협업했고, 영화 "아바타" 촬영으로 아카데미 촬영상을 수상한 촬영감독이다.
  • 코센차도 출신 - 보에몽 1세
    보에몽 1세는 1차 십자군에 참여하여 안티오키아 공국을 건설하고 지도자가 되었으나, 다니슈멘드에게 패배하여 포로가 되기도 했으며, 동로마 제국 공격에 실패한 후 사망했다.
교황 요한 7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705년경 요한 7세의 비잔틴 모자이크
705년경 요한 7세의 비잔틴 모자이크
이름요한 7세
직책로마 주교
교회가톨릭 교회
재임 시작705년 3월 1일
재임 종료707년 10월 18일
이전 교황요한 6세
다음 교황시신니오
출생일650년
출생지동로마 제국 칼라브리아 로사노
사망일707년 10월 18일 (56–57세)
개인 정보
본명요한

2. 생애

교황 요한 7세는 이탈리아에 거주하던 그리스인 출신으로, 칼라브리아 주 로사노에서 태어났다.[1][2][14] 그의 아버지 플라토는 동로마 제국의 관리였으며, 요한 7세는 동로마 제국 공직자의 아들로는 처음으로 교황이 된 인물이다.[16][3]

705년 3월 1일, 전임자 교황 요한 6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4][13] 재임 기간 동안 이탈리아 대부분을 차지했던 랑고바르드족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10] 동로마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2세 황제와는 692년 퀴니섹스트 공의회 문제로 인해 관계가 순탄치 않았다.[10] 요한 7세는 유스티니아누스 2세가 승인을 요구한 공의회 결정들을 사실상 거부했다.[8]

또한 요한 7세는 로마에 여러 기념 건물을 세우도록 지시했는데, 팔라티노 언덕의 산타 마리아 안티콰 성당과 옛 성 베드로 대성전 안의 천주의 성모 경당(요한 7세 경당) 등이 대표적이다.[17][10]

"아기 예수 세례," 요한 7세 경당의 모자이크 조각. 705-707.


이 경당의 모자이크 파편은 오늘날 바티칸 동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또한 601년 랑고바르드족에 의해 파괴되었던 수비아코 수도원을 재건하기도 했다.

707년 10월 18일에 선종하였으며,[9][13] 유해는 성 베드로 대성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경당에 안치되었다.[19][9] 그의 뒤를 이어 교황 시시니우스가 즉위했다.[10]

2. 1. 초기 생애

요한 7세는 이탈리아에 거주하던 그리스인 출신으로, 칼라브리아 주의 로사노에서 태어났다.[1][2][14] 그의 아버지 플라토(620년경 ~ 686년)는 동로마 제국 황제를 위해 팔라티노 언덕의 관리자(큐레이터)를 지냈다.[15][3] 이로 인해 요한 7세는 동로마 제국 공직자의 아들로서는 최초로 교황으로 선출된 인물이 되었다.[16][3] 그의 어머니는 블라타(627년경 ~ 687년)였다.[16][3] 친할아버지는 655년 동로마 제국 상원의원을 지낸 테오도루스 킬라스(600년경 ~ 655년)이다.[15]

2. 2. 교황 선출

그리스 출신인 요한 7세는 705년 3월 1일, 역시 그리스인이었던 교황 요한 6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4][13] 그는 당시 이탈리아 대부분을 통치하던 롬바르드족과는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비잔티움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2세 황제와의 관계는 순탄치 않았는데, 이는 692년 퀴니섹스트 공의회 이후 악화된 비잔티움과의 교황 관계 때문이었다.[10]

2. 3. 재임 기간

705년 3월 1일, 전임자 교황 요한 6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4][13] 그는 당시 이탈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던 랑고바르드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10]

그러나 동로마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2세 황제와의 관계는 퀴니섹스트 공의회(692년) 문제로 인해 순탄치 않았다.[10]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교황 세르지오 1세가 거부했던 퀴니섹스트 공의회의 결정들을 로마에서 다시 심의하도록 요구하며 동방 교회 주교 두 명을 사절로 보냈다. 하지만 요한 7세는 이 결정들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돌려보냄으로써 사실상 거부 의사를 표시했다.[8] 이 공의회 조항에 대한 요한 7세의 정확한 입장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논쟁이 있으며,[5][6][7] 당시 기록인 《교황 연대표》는 그가 조항들에 서명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8]

요한 7세는 재임 기간 동안 로마에 여러 기념 건물을 세우도록 지시했다. 대표적으로 팔라티노 언덕에 있는 산타 마리아 안티콰 성당을 들 수 있으며, 이 언덕에서는 요한 7세 시대의 주교좌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17] 또한 옛 성 베드로 대성전 안에 천주의 성모에게 봉헌된 기도실(경당)을 만들도록 지시했으며, 이때 제작된 모자이크 장식 조각들은 오늘날 바티칸 지하 동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에 있는 거대한 성모자 상본(Madonna della Clemenzait) 역시 요한 7세의 후원으로 설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더불어 그는 601년 랑고바르드족에 의해 파괴되었던 수비아코의 수도원을 재건했다.

707년 10월 18일에 선종하였으며,[9][13] 유해는 성 베드로 대성전 내 복되신 동정 마리아 경당에 안치되었다.[19][9] 그의 뒤를 이어 교황 시시니우스가 교황직을 계승했다.[10]

3. 업적

요한 7세는 로마에 여러 기념 건물을 세우도록 지시하였다.[10] 가장 주목할 만한 곳은 팔라티노 언덕 기슭에 있는 산타 마리아 안티콰 성당이다.[10][17] 팔라티노 언덕에서는 요한 7세 시대 주교좌 궁전인 에피스코피움의 유물이 발견되기도 하였다.[11][17] 요한 7세는 또한 구 성 베드로 대성전 안에 테오토코스(천주의 성모)에게 봉헌한 기도실(요한 7세 경당)을 지을 것을 지시하였다.[11] 당시 모자이크 장식 조각들은 오늘날 바티칸 동굴에서 찾아볼 수 있다.[11]

뿐만 아니라,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에 있는 거대한 성모자 상본인 ''마돈나 델라 클레멘자''는 요한 7세의 후원을 받아 설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8] 더불어 요한 7세는 601년 랑고바르드족에 의해 파괴된 수비아코의 수도원을 재건하였다.[12]

4. 평가

교황 요한 7세의 재임 기간 동안 남겨진 여러 기념물은 그의 문화적 기여를 보여준다. 로마팔라티노 언덕 기슭에 있는 산타 마리아 안티콰 교회가 대표적이다.[10] 또한 팔라티노 언덕에서는 요한 7세와 관련된 주교 궁전인 에피스코피움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다.[11] 그는 구 성 베드로 대성전 안에 테오토코스(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된 요한 7세 경당을 건설했으며, 이곳을 장식했던 모자이크 파편 일부는 오늘날 바티칸 동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에 보관된 ''마돈나 델라 클레멘자''라는 이름의 큰 성상 역시 요한 7세의 후원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2] 그는 또한 601년 롬바르드족에 의해 파괴되었던 수비아코 수도원을 복원하는 등 건축과 예술 분야에 대한 후원을 통해 로마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참조

[1] 서적 Returning home to Rome: the Basilian monks of Grottaferrata in Albania Analekta Kryptoferris
[2] 서적 Cities of Southern Italy and Sicily Smith, Elder & Co.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Popes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Pope John VII
[5] 논문 Evidence for the Nature of Relations between Pope John VII and the Byzantine Emperor Justinian II
[6] 문서 Constantinople on the Tiber
[7] 서적 Early Medieval Rome and the Christian West Leiden
[8] 서적 The Book of Pontiffs: the ancient biographies of the first ninety Roman bishops to AD 715 Liverpool University Press
[9]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10] 웹사이트 John VII (pope) EB1911
[11] 서적 Il Palatino nel Medioevo Roma
[12] 논문 Icons designed for the display of sumptuous votive gifts
[13] 서적 歴代法王表
[14] 서적 Cities of Southern Italy and Sicily READ BOOKS
[15] 웹사이트 Bernd Josef Jansen Genealogy http://wc.rootsweb.a[...]
[1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Popes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Il Palatino nel Medioevo Roma
[18] 논문 Icons designed for the display of sumptuous votive gifts
[19]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