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1899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설립된 공학 학교로, 현재는 표트르 대제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로 불린다. 러시아의 산업화를 위해 프랑스의 에콜 폴리테크니크를 모델로 설립되었으며, 물리학, 수학, 산업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2015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기까지 여러 차례 학교 이름이 바뀌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여 서방 대학과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21개의 학부 및 연구소, 150개 이상의 학과, 3개의 분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만 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대학교 -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는 1724년 설립된 제국 과학 아카데미를 전신으로 하는 러시아 명문 국립 대학으로,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 교육 기관 중 하나이며 수많은 지도자를 배출하고 학문적 업적도 뛰어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입장으로 국제적 비판을 받고 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대학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1862년 안톤 루빈스타인이 설립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은 러시아 음악 협회와 협력하여 설립되었으며, 림스키코르사코프 등 저명한 음악가들이 교수로 재직하며 차이콥스키, 프로코피예프, 쇼스타코비치 등 세계적인 음악가를 배출한 러시아의 대표적인 음악 교육 기관이다. - 러시아의 연구소 - 쿠르차토프 연구소
쿠르차토프 연구소는 이고리 쿠르차토프의 지휘 아래 1943년 설립된 러시아의 핵 연구 기관으로, 초기 핵무기 개발, 원자력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핵융합 연구를 선도했으며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에서 활동하며 국제적인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한국과도 협력한 바 있다. - 러시아의 연구소 -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소
- 러시아 제국의 교육 - 바르샤바 대학교
바르샤바 대학교는 1816년에 설립되어 폴란드 분할,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등 격동의 시기를 거치며 여러 차례 폐쇄와 재건을 반복했고, 현재 25개의 학부와 126개의 건물을 소유하며 동아시아 연구, 특히 한국학과 일본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폴란드 바르샤바에 위치한 대학교이다. - 러시아 제국의 교육 - 러시아 국립도서관 (모스크바)
러시아 국립도서관은 1862년 모스크바에 설립되어 루먄체프 백작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시작, 소련 V. I. 레닌 국립도서관을 거쳐 현재 4,700만 점 이상의 자료를 소장하며 도서관학 연구 및 출판을 수행한다.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옛 이름 |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립 기술 대학교 |
로마자 표기 | Sankt-Peterburgskiy politekhnicheskiy universitet Petra Velikogo |
종류 | 공립 / 국가 연구 대학교 |
설립일 | 1899년 |
위치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캠퍼스 | 도시 중심부, 102 헥타르 |
별칭 | 폴리테크 |
상징 | 두 개의 머리를 가진 독수리 |
색상 | 녹색/금색 |
기부금 | 2억 9800만 미국 달러 |
행정 직원 | 1,940명 |
교수진 | 3,291명 |
총장 | 안드레이 I. 루드스코이 |
총장 | 미하일 P. 표도로프 |
학생 수 | 32,250명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주소 |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니체스카야 29, 195251 |
순위 | |
QS EECA | 2022년 46위 |
기관 | |
기관 목록 | 기관 |
2. 역사
대학의 정식 명칭은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Emperor Peter the Greateng, 1672년–1725년)의 이름을 따서 "표트르 대제의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етра Великого''rus, 약칭: СПбПУ,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eng, 약칭: SPbPU)이다. 소련 시대에는 혁명가 미하일 칼리닌을 기려 "칼리닌 레닌그라드 공과대학"이라고 불렸다.
2. 1. 러시아 제국 시기 (1899년 ~ 191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1899년 러시아의 공학 교육 발전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설립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당시 재무부 장관이었던 세르게이 비테 백작이었다. 그는 프랑스의 명문 공학 학교인 에콜 폴리테크니크를 모델로 삼아, 러시아의 산업화를 이끌 인재를 양성하고자 했다.초대 학장으로는 안드레이 가가린 공작이 임명되었다. 프랑스의 에콜 폴리테크니크와는 달리,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처음부터 민간 교육 기관으로 운영되었다. 다만 러시아 제국 시기에는 재무부 소속 기관으로 분류되었으며, 학생과 교직원은 재무부에서 정한 제복을 착용했다.
대학의 주요 캠퍼스는 당시 다차(별장) 지역이었던 '레스노예' 외곽의 농지에 건설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활동 공간을 수도인 상트페테르부르크 중심부와 어느 정도 분리하려는 의도였다. 1902년 10월 1일, 대학은 공식적으로 문을 열고 학생들을 맞이했다. 개교 당시에는 경제학과, 조선학과, 전기기계과, 야금학과의 4개 학과가 운영되었다.
대학 운영 초기, 1905년 러시아 혁명의 여파로 학업이 중단되는 시련을 겪었다. 특히 1905년 1월 9일(율리우스력) 발생한 피의 일요일 사건 당시 학생 중 한 명인 M. 사빈코프가 희생되기도 했다. 학생 사회의 동요가 커지면서 대학은 약 2년간 문을 닫았다가 1906년 9월에야 수업을 재개할 수 있었다. 이 시기 혁명 운동에 참여했던 학생 중에는 훗날 볼셰비키의 주요 지도자가 되는 미하일 프룬제와 작가 예브게니 자먀틴 등이 있었다. 또한, 대학 교수진 중 4명(N.A. 그레데스쿨, N.I. 카레예프, A.S. 롬샤코프, L.N. 야스노폴스키)이 제1국가두마(러시아 제국 의회)의 대표로 선출되기도 했다.
1910년, 대학은 표트르 대제를 기리기 위해 '표트르 대제 폴리테크닉 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했다. 1914년에는 재학생 수가 6,000명에 달할 정도로 성장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많은 학생이 군에 징집되었고, 재학생 수는 3,000명 수준으로 급감했다. 훗날 소련의 저명한 군사 지휘관이 되는 레오니트 고보로프도 이 시기에 잠시 학교를 다녔다. 전쟁 중 대학 건물의 일부는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이름을 딴 병원으로 사용되기도 했지만,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대학의 연구 활동은 계속되었다.
1916년에는 물리학자 아브람 요페가 대학 내에서 자신의 물리학 세미나를 시작했다. 이 세미나는 이후 3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수많은 러시아의 저명한 물리학자들을 배출했으며, 훗날 요페 물리학기술연구소 설립의 기반이 되었다.
2. 2. 혁명과 소련 시대 (1917년 ~ 1991년)

1918년 6월 5일, 연구소는 제1 폴리테크닉 연구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2 폴리테크닉 연구소는 기존의 '여성 폴리테크닉 연구소'였다.) 같은 해 11월, 소브나르콤은 모든 형태의 과학 학위, 면허, 인증을 폐지했다. 교수진에게는 '교수'(3년의 공학 경력 필요)와 '강사'(자격 요건 없음) 두 직위만 남게 되었다. '학과'는 '학부'(факультеты|파쿨테티ru)로 바뀌었고, 학장은 총장이 되었다. 연구소 운영의 주요 권한은 11명의 교수와 15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소비에트'(평의회)에 주어졌다. 이 학생 중 한 명은 훗날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는 표트르 카피차였다. 당시 아브람 이오페가 이끌던 물리학 및 기계 학부는 원자 물리학과 고체 물리학 연구에 집중했다.
1918년에서 1919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기근으로 인한 식량 부족과 연료 부족으로 캠퍼스 난방이 중단되면서 많은 학생과 교수진이 굶주림과 추위로 목숨을 잃었다. 1919년 초에는 학생 수가 약 500명으로 급감했다. 1919년 8월 새 학기가 시작되었으나, 8월 24일 모든 학생이 니콜라이 유데니치 장군이 이끄는 군대와의 전투에 동원되었다. 연구소 건물은 말뚝과 철조망으로 둘러싸여 붉은 군대의 요새로 사용되었다. 1919년 12월 이후 연구소는 완전히 비게 되었다.
1920년 4월,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GOELRO 계획 팀에 합류하며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A. V. Wulf 교수는 RSFSR 북부 지역 전력화를 담당하는 그룹의 의장을 맡았다. 대학은 볼호프 수력 발전소(볼호프강)와 드네프르 수력 발전소(드네프르강) 프로젝트 개발에 참여했다. 1920년 가을, 추위와 난방 부족으로 일부 강의에는 학생이 한두 명만 참석하기도 했다. 이 어려운 시기에도 니콜라이 세묘노프와 표트르 카피차는 원자 핵의 자기장 측정 방법을 발견했다. 이 실험 장치는 이후 오토 슈테른과 발터 게를라흐에 의해 개선되어 슈테른-게를라흐 실험으로 알려지게 된다. 다른 실험실에서는 또 다른 학생인 레온 테레민이 전자 악기 개발에 몰두하여 1920년 11월 폴리테크닉 대학교에서 첫 테레민 시연회를 열었다.
러시아 내전이 끝나자 많은 학생이 대학으로 돌아왔다. 1922년 봄에는 학생 수가 2,800명에 달했다. 1926년 소브나르콤은 "기술자" 칭호를 부활시키고, 이전에는 노동자와 그 자녀에게만 허용되었던 고등 교육 기관 입학을 "노동 인텔리겐차의 자녀"에게도 허용했다. 이로 인해 폴리테크닉 대학교의 등록 학생 수는 1914년 수준인 6,000명까지 회복되었고, 1928년에는 8,000명에 이르렀다.
1930년 6월 30일, 소브나르콤은 고도로 전문화된 공학 학교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결정하면서 폴리테크닉 대학교를 폐쇄하고, 그 자리에 다음과 같은 독립적인 학교들을 설립했다.
학교명 (한국어) | 학교명 (러시아어) | 비고 |
---|---|---|
수력 기술 학교 |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й|기드로테흐니체스키ru | |
산업 토목 공학 학교 |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ов промышлен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인스티투트 인제네로프 프로미실렌노고 스트로이텔스트바ru | 현재의 군사 공학 기술 대학교 |
조선 학교 | Кораблестроительный|코라블레스트로이텔니ru | |
항공 학교 | Авиационный|아비아치온니ru | |
전기 기술 학교 |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й|엘렉트로테흐니체스키ru | |
화학 기술 학교 | Хими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히미코-테흐놀로기체스키ru | |
야금 학교 |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메탈루르기체스키ru | |
기계 공학 학교 |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마시노스트로이텔니ru | |
산업 농업 학교 | Индустриального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인두스트리알노고 셀스코고 호쟈이스트바ru | |
물리학 및 역학 학교 | Физико-механического|피지코-메하니체스코고ru | |
금융 및 경제 학교 | Финансово-экономический|피난소보-에코노미체스키ru | |
보일러 및 터빈 학교 | Всесоюзный котлотурбинный|프세소유즈니 코틀로투르빈니ru |
이후 "기계 공학" 학교에서 "군사 역학 연구소"가 추가로 분리되었다.
1934년 4월, 분리되었던 학교 대부분은 레닌그라드 산업 대학교로 다시 통합되었다. 1940년 11월, 대학은 거의 원래 이름에 가깝게 복원되었으나,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이었던 미하일 칼리닌의 이름을 따 칼리닌 폴리테크닉 대학교(Ленинград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Калинина|레닌그라드스키 폴리테흐니체스키 인스티투트 이메니 칼리니나ru)로 명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 전선이 시작되자 3,500명의 학생이 군에 입대했고, 수백 명은 대학 자체의 요새 건설에 참여했다. 본관은 병원으로, 다른 건물들은 탱크 학교로 개조되었으며, 대학 공장은 군수품 생산 계약을 이행했다. 1941년 9월 8일 레닌그라드 포위전이 시작되었다. S. S. 골루슈케비치, P. P. 코베코, N. M. 레이만, A. R. 슐먼 등 교직원들의 얼음 강도 연구는 얼어붙은 라도가 호수를 가로질러 물자를 수송하는 생명의 길 운영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 연구는 포위된 도시에 유일한 보급로였던 생명의 길의 가장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43년 1월, 일부 학부와 학생들은 타슈켄트로 피난하여 수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 1943년 11월에는 레닌그라드에서도 수업이 재개되었으며, 당시 레닌그라드에는 250명의 학생과 90명의 교사가 있었다. 칼리닌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포위된 도시 내에서 칸디다트(박사 학위 후보자) 및 이학 박사 논문을 심사할 권한이 있는 유일한 교육 기관이었으며, 포위가 끝나기 전까지 군사 방어와 관련된 19편의 논문을 심사했다.
전후 복구와 발전을 거쳐 1952년에는 "전파 물리학" 학과가 신설되었다. 1988년에는 요페 물리 기술 연구소를 모델로 한 새로운 "물리 기술"(Физико-Технический|피지코-테흐니체스키ru) 학과가 설립되었다. 이 학과는 요페 연구소 소장이자 200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조레스 알표로프가 이끌었다.
2. 3. 현대 (1991년 이후)
1991년 9월 레닌그라드가 역사적인 이름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름을 되찾자, 이 학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기술 대학교'''로 개칭되었다. 2002년에는 '기술'이라는 단어가 '폴리테크닉'으로 변경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015년에는 현재의 이름인 '''표트르 대제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етра Великогоrus, 약칭: СПбПУ;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eng, 약칭: SPbPU)로 변경되었다.[7] 이 정식 명칭은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 Emperor Peter the Greateng, 1672년–1725년)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소련 시대에는 혁명가 미하일 칼리닌을 기려 '칼리닌 레닌그라드 공과대학'이라고 불렸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이 대학교는 러시아의 행동을 강력히 지지하는 공식 성명을 발표하여 해당 공격을 "비나치화 작전"이라고 칭하고, 우크라이나 지도부가 러시아와 "인류 전체"의 안보와 존립을 위협한다고 비난했다.[8][9] 안드레이 루드스코이(Andrey Rudskoy) 총장에 따르면, 수십 년에 걸쳐 발전해 온 서방 대학과의 과학 협력이 침공 이후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외국 대학들이 이 대학과의 관계를 중단했다.[10]
3. 학문 및 연구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설립 초기 경제학과, 조선학과, 전기 기계과, 야금학과 등 4개 학과를 중심으로 공학 교육을 시작했다.
1905년 러시아 혁명 당시 학생 운동이 활발했으며, 이 과정에서 1905년 1월 9일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학생 M. 사빈코프가 희생되기도 했다. 당시 학생 중에는 훗날 볼셰비키 지도자가 된 미하일 프룬제나 작가 예브게니 자먀틴 같은 인물도 있었다. 또한 교수 중 니콜라이 그레데스쿨, 니콜라이 카레예프, A.S. 롬샤코프, L.N. 야스노폴스키 4명이 제1국가두마 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많은 학생이 군에 입대하여 학생 수가 급감했으나, 대학 건물 일부가 병원으로 사용되는 등 전쟁 중에도 연구 활동은 계속되었다. 특히 1916년 아브람 요페가 개설한 물리학 세미나는 이후 3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많은 저명한 러시아 물리학자들을 배출했으며, 요페 물리학기술연구소의 모태가 되었다.
소비에트 시대 초기에는 학문 및 행정 시스템에 변화가 있었다. 1918년 11월, 소브나르콤의 결정으로 모든 과학 학위 및 자격증이 폐지되었고, 교수진은 '교수'와 '강사' 두 직위로 단순화되었다. 학과는 '학부'(факультеты|파쿨테티rus)로, 학장은 '총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1명의 교수와 15명의 학생(그중 한 명이 훗날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되는 표트르 카피차)으로 구성된 '소비에트'(평의회)가 대학 운영의 주요 권한을 가졌다. 당시 아브람 요페가 이끌던 물리학 및 기계 학부는 원자 물리학과 고체 물리학 연구에 집중했다.
러시아 내전 시기인 1918-1919년 겨울에는 기근과 연료 부족으로 캠퍼스 난방이 중단되어 많은 학생과 교수진이 어려움을 겪었다. 1919년에는 학생들이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유데니치 군대와의 전투에 동원되고 대학 건물이 붉은 군대의 요새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1920년 4월, 대학은 GOELRO 계획의 계획 팀에 합류하며 다시 활동을 재개했고, RSFSR 북부 지역 전력화 계획과 볼호프 수력 발전소, 드네프르 수력 발전소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이 어려운 시기에도 니콜라이 세묘노프와 표트르 카피차는 원자 핵의 자기장 측정 방법을 발견하는 중요한 연구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는 훗날 슈테른-게를라흐 실험으로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다. 또한 학생이었던 레온 테레민은 초기 전자 악기인 테레민을 개발하여 1920년 11월 대학에서 시연했다.
thumb 얼음 강도 연구]]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닌그라드 포위전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도 대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S. S. 골루슈케비치, P. P. 코베코, N. M. 레이만, A. R. 슐먼 등 교수진의 얼음 강도 연구는 얼어붙은 라도가 호수를 가로지르는 보급로인 생명의 길 운영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들은 가장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43년 일부 학부와 학생들은 타슈켄트로 피난하여 교육을 지속했으며, 그해 11월에는 레닌그라드에서도 수업이 재개되었다. 포위된 도시 내에서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유일하게 Kandidat(박사 학위 후보) 및 이학 박사 논문을 심사할 권한을 가졌고, 포위 기간 동안 군사 방어와 관련된 19개의 논문을 평가했다.
전후 대학은 지속적으로 학문 분야를 확장하고 연구 역량을 강화해왔으며, 러시아 연방 및 독립 국가 연합(CIS) 국가의 최고 연구 기관 중 하나로 여겨진다. 물리학, 수학, 산업 공학, 화학 공학, 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명성을 쌓아왔다.[17]
3. 1. 학과 구성
1930년 6월 30일, 소브나르콤은 고도로 전문화된 공학 학교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기존의 폴리테크닉 대학교를 폐쇄하고, 그 자리에 여러 독립적인 학교들을 설립했다. 이 조치는 당시 소련의 산업 발전에 필요한 특정 분야의 전문가를 집중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다.분야 | 학교명 (러시아어) | 비고 |
---|---|---|
수력 기술 |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йru | |
산업 토목 공학 |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ов промышлен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ru | 현재 군사 공학 기술 대학교 |
조선 | Кораблестроительныйru | |
항공 | Авиационныйru | |
전기 기술 |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йru | |
화학 기술 | Хими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ru | |
야금 |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ru | |
기계 공학 |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ru | 이후 군사 역학 연구소가 분리됨 |
산업 농업 | Индустриального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ru | |
물리학 및 역학 | Физико-механическогоru | |
금융 및 경제 | Финансово-экономическийru | |
보일러 및 터빈 | Всесоюзный котлотурбинныйru |
그러나 이러한 분리 체제는 오래가지 못했고, 1934년 4월 대부분의 학교들이 다시 '''레닌그라드 산업 대학교'''라는 이름 아래 통합되었다. 이는 전문화된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다시 종합적인 공과대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1940년 11월, 대학교는 미하일 칼리닌의 이름을 따 '''칼리닌 폴리테크닉 대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시간이 흘러 대학교는 학문적 범위를 더욱 확장했다. 1952년에는 "전파 물리학" 학과가 신설되었고, 1988년에는 요페 물리 기술 연구소를 모델로 한 새로운 "물리 기술" (Физико-Технический|피지코-테흐니체스키ru) 학과가 설립되었다. 이 학과는 요페 연구소의 소장이자 200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조레스 이바노비치 알표로프가 직접 이끌며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
현재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러시아 연방 및 독립 국가 연합(CIS) 국가의 최고 연구 기관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특히 물리학, 수학, 산업 공학, 화학 공학, 우주 공학 등의 분야에서 명성이 높다. 이 때문에 러시아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로 비유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모스크바 물리 기술 연구소는 "러시아의 MIT"로 불린다.)
오늘날 대학교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21개의 학부 및 연구소
- 150개 이상의 학과
- 120개 이상의 연구 및 교육 실험실
- 26개 이상의 연구 및 교육 센터
- 3개의 분교 및 6개의 대표 사무소
- 상트페테르부르크 정보 관리 대학
또한 프스코프, 체복사리, 체레포베츠, 소스노비 보르, 스몰렌스크, 아나디리에 위치한 6개의 부속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학문 분야별 학생 등록 비율은 다음과 같다 (등록 인원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 경제 및 경영학 – 23%
- 에너지, 전력 공학 및 전기 공학 – 17%
- 금속 공학, 기계 및 재료 가공 – 10%
대학교는 크게 다음 3개의 연구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17]
- 공학 기술 연구소
- 물리학 연구소
- 경제 인문 연구소
4. 캠퍼스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이 시작되면서 본관은 병원으로, 다른 건물은 탱크 학교로 개조되었다. 레닌그라드 포위전 중에는 대학 직원들의 얼음 강도 연구가 얼어붙은 라도가 호수를 가로지르는 수송 경로인 생명의 길의 안전한 경로 선택에 기여했다. 이 경로는 포위된 도시에 유일한 접근로를 제공했다.
캠퍼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1]
구분 | 내용 |
---|---|
건물 | 112개 |
학생 기숙사 | 15개 건물 |
학생 수 | 30,197명 (외국인 학생 2,916명 포함) |
교직원 수 | 3,300명 |
대학 직원 수 | 5,274명 |
5. 동문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폴리테크닉 대학교는 설립 이후 15만 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했다.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
- 노벨상 수상자:
- 표트르 카피차 (노벨 물리학상)
- 니콜라이 세묘노프 (노벨 화학상)
- 조레스 알표로프 (노벨 물리학상)
- 과학자 및 학자:
- 이고르 쿠르차토프 (핵물리학자)
- 아나톨리 리베르만 (학자)
- 게오르기 플료로프 (핵물리학자)
- 알렉산드르 레이푼스키 (물리학자)
- 야코프 젤도비치 (물리학자)
- 율리 하리톤 (핵무기 설계자, 물리학자)
- 니콜라이 두호프 (핵무기 설계자)
- 아나톨리 알렉산드로프 (물리학자, 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장)
- 레온 테레민 (물리학자, 테레민 발명가)
- 공학자 및 설계자:
- 올레크 안토노프 (항공기 설계자)
- 니콜라이 폴리카르포프 (항공기 설계자)
- 게오르기 베리에프 (항공기 설계자)
- 미하일 코시킨 (T-34 전차 설계자)
- 악셀 베르그 (해군 제독, 공학자)
- 규바라 노리에바 (아제르바이잔 최초의 여성 전문 야금학자)
- 군사 및 우주:
- 레오니트 고보로프 (소련 군 지휘관)
- 유리 가가린 (최초의 우주 비행사)
- 정치 및 사회:
- 미하일 프룬제 (볼셰비키 지도자)
-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
- 그리고리 스피리도노비치 페트로프 (신학 강사)
- 문학 및 언론:
- 예브게니 자먀틴 (작가)
- 보리스 가브릴로비치 가브릴로프 (작가)
- 다니일 그라닌 (작가)
- 맷 타이비 (미국 언론인)
- 체스:
- 다비드 브론슈테인 (체스 그랜드마스터)
- 디나 벨렌카야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체스 그랜드마스터)
- 스포츠:
- 키로브스 립만스 (라트비아 아이스하키 임원)
6. 공식 명칭 변천
이 대학은 설립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이 변경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간 | 러시아어 명칭 (원어) | 한국어 명칭 |
---|---|---|
1899–1910 |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rus | 상트페테르부르크 공과학교 |
1910–1914 |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ператора Петра Великогоrus | 표트르 대제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공과학교 |
1914–1922 | Петроград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ператора Петра Великогоrus | 표트르 대제의 페트로그라드 공과학교 |
1922–1923 | Первый Петроград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М. И. Калининаrus | 칼리닌 제1 페트로그라드 공과학교 |
1923–1924 | Петроград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М. И. Калининаrus | 칼리닌 페트로그라드 공과학교 |
1924–1930 | Ленинград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М. И. Калининаrus | 칼리닌 레닌그라드 공과학교 |
1930–1934 | 다양한 명칭 | 여러 단과대학 및 분교로 분리 |
1934–1940 | Ленинградский индустриальный институтrus | 레닌그라드 산업학교 |
1940–1990 | Ленинград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М. И. Калининаrus | 칼리닌 레닌그라드 공과학교 |
1990–1991 | Ленин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rus | 레닌그라드 국립 기술대학교 |
1991–2002 |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rus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기술대학교 |
2002–2015 |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rus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공과대학교 |
2015년 2월 12일 이후 |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етра Великогоrus | 표트르 대제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공과대학교 |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1672년–1725년)의 이름을 따서, 현재 대학의 정식 명칭은 "표트르 대제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공과대학교"(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етра Великогоrus, 약칭: СПбПУ,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eng, 약칭: SPbPU)이다. 소련 시대에는 혁명가 미하일 칼리닌을 기려 "칼리닌 레닌그라드 공과학교"라고 불리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acts & Figures
https://english.spbs[...]
2022-07-25
[2]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Emerging Europe & Central Asia
https://www.topunive[...]
2023-01-15
[3]
웹사이트
Institutes
http://www.spbstu-en[...]
2019-07-31
[4]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
https://www.usnews.c[...]
[5]
웹사이트
University Rankings and Student Reviews :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 (SPbPU)
https://www.mastersp[...]
2022-07-25
[6]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 Ranking 2019-2020
https://cwur.org/201[...]
[7]
Webarchive
Decision N 407 of the Russian Ministry for Education and Science (2017)
http://www.spbstu.ru[...]
2017-09-18
[8]
웹사이트
Message from the Rector of SPbPU in connection with the situation in Ukraine
https://www.spbstu.r[...]
2022-03-05
[9]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Rector of SPbPU in connection with the situation in Ukraine
https://english.spbs[...]
2022-07-25
[10]
웹사이트
Russian universities rapidly losing cooperation with West
https://www.universi[...]
[11]
웹사이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Петра Великого - Высшее образование в России
https://www.spbstu.r[...]
[12]
뉴스
Наследником Туркменбаши может стать следователь московской прокуратуры
https://www.kp.ru/da[...]
2006-12-22
[13]
서적
Персидские принцы из дома Каджаров 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Старая Басманная
2009
[14]
웹사이트
Kirovs Lipmans
http://www.latvijass[...]
2021-08-29
[15]
문서
http://www.arwu.org/[...]
[16]
문서
[17]
문서
http://www.spbstu-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