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는 국가 암관리 정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2011년에 출범했다. 국가암등록 통계사업, 국민 암 예방 수칙 제정 및 홍보, 국가암검진사업 지원 등의 활동을 하며, 국가 차원의 금연운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사업, 의료비지원사업, 지역암센터 운영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암빅데이터센터와 국가암정보센터를 운영하며 암 정보를 수집·관리하고 있으며, 암관리정책부, 암등록감시부, 암예방사업부, 암검진사업부, 여러 센터 및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암센터 - 미국 국립암연구소
미국 국립암연구소는 1937년 설립되어 암 연구를 주도하며, 원인과 치료법 연구, 정보 수집 및 배포, 연구 인프라 확대, 항암제 개발 등 암 관련 광범위한 분야를 지원하는 미국의 주요 기관이다.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
현지어 이름 | 國立癌─國家癌管理事業本部 |
영어명 | National Cancer Center Control Institute |
약칭 | 해당사항 없음 |
설립일 | 2011년 |
설립 근거 | 해당사항 없음 |
전신 | 해당사항 없음 |
해산일 | 해당사항 없음 |
후신 | 해당사항 없음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23 |
직원 | 해당사항 없음 |
예산 | 해당사항 없음 |
모토 | 해당사항 없음 |
기관장 직책 | 국립암센터원장 |
기관장 성명 | 서홍관 |
기관장2 직책 | 본부장 |
기관장2 성명 | 임정수 |
상급기관 | 보건복지부 |
산하기관 | 해당사항 없음 |
웹사이트 |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웹사이트 |
2. 연혁
연도 | 내용 |
---|---|
2000년 | 국립암센터 암정복추진기획단 출범 |
2002년 | 전국민 대상 국가암검진사업 시작 |
2005년 | 국내 최초 국가 암 발생 통계 산출, 국가암정보센터(www.cancer.go.kr) 개설 |
2006년 | 국민 암 예방 수칙 제정, 금연상담전화서비스(1544-9030) 개설 |
2015년 | 7대암 검진 권고안 발표 |
2017년 | 중앙호스피스센터 지정 |
2. 1. 2000년대
2000년 국립암센터 암정복추진기획단이 출범하였다. 2002년 전국민 대상 국가암검진사업을 시작하였다. 2005년 국내 최초로 국가 암 발생 통계를 산출하고, 국가암정보센터(www.cancer.go.kr)를 개설하였다. 2006년 국민 암 예방 수칙을 제정하고, 금연상담전화서비스(1544-9030)를 개설하였다.2. 2. 2010년대
2015년 7대암 검진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2017년 중앙호스피스센터로 지정되었다.3. 국가암관리사업본부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는 국가 암관리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011년에 출범하였다. 국가암등록 통계사업, 국민 암예방 수칙 제정 및 홍보, 국가암검진사업 지원, 국가 차원의 금연운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사업,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지역암센터 운영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암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관리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암빅데이터센터와 국가암정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3. 1. 국가암등록 통계사업
2000년 9월 한국중앙암등록본부를 국립의료원에서 국립암센터로 이관하면서 시작되었다. 2003년 5월 암관리법 제정을 통해 암등록통계사업 시행 근거를 마련하였고, 2004년 12월에는 보건복지부가 중앙암등록본부 및 지역암등록본부를 지정하였다.2005년 8월부터 최초로 국가 암 발생률을 산출하기 시작했으며, 암 발생률, 생존율 등 국가 암등록통계를 산출하고 있다. 2007년 7월 첫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를 발간한 이후,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국가 암등록통계를 산출하고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3. 2. 암 예방 사업
국민 암예방 수칙 홍보 및 실천지침서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2006년 '국민 암예방 수칙'을 제정 공표하였으며, 2019년 12월 31일에는 암종별(11종) 및 위험요인별(8종) 등 암예방 실천지침서 19종 개정판을 발행하였다.2007년부터 대국민 암예방 인식 및 실천 행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는데, 암예방 인식도는 2007년 53%에서 2018년 60.2%로 상승하였다.
암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암의 예방·치료 및 관리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암 예방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매년 3월 21일은 '암 예방의 날'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는 국민들에게 암 예방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국가암관리사업 유공자를 축하하며 건강생활 실천을 유도하여 암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3. 3. 국가암검진사업
1999년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대상으로 국가암검진을 시작한 이래 2003년 간암, 2004년 대장암을 추가하여 5대 암 검진체계를 운영하였고, 2019년 폐암검진을 추가하여 6대암 검진체계를 새롭게 구축하였다. 암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한 ‘암검진수검행태조사’를 2004년부터 실시해오고 있다.
3. 4.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는 저소득층 암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암 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암 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연도별 지원 인원은 다음과 같다.연도 | 지원 인원 |
---|---|
2016년 | 39.6천 명 |
2017년 | 40.7천 명 |
2018년 | 38.4천 명 |
2019년 | 48.0천 명 |
2020년 | 40.3천 명 |
3. 5. 지역암센터 운영 지원
지역 내 암 예방, 진료, 관리, 연구 거점기관 육성 및 국가암관리사업(암 예방 교육·홍보사업, 말기암환자·재가암환자 지원사업, 암검진사업, 암등록통계사업 등)의 중추적인 역할 수행을 위하여 12개 지역암센터를 지정하여 지원하고 있다.3. 6. 호스피스 완화의료사업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는 호스피스 전문기관(입원형)을 2008년 19개소에서 2020년 86개소로 늘려 지정하고 관리하여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매년 10월 둘째 주 토요일은 호스피스의 날로 지정하여, 홍보와 격려를 위한 기념식 및 행사를 개최한다.3. 7. 국가암정보센터 운영
2005년 6월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www.cancer.go.kr)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암 정보 상담 전화(1577-8899)를 운영하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3. 8. 암생존자 통합지지사업
중앙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및 권역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총 13개소, 소아청소년 암생존자통합지지 시범사업 총 3개소를 운영 지원하고 있다. 매년 6월 첫 번째 주 암생존자 주간을 맞이하여 암생존자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홍보를 위한 캠페인을 개최하고 있다.3. 9. 암 빅데이터 사업
국가 암 DB를 바탕으로 암 관련 데이터를 연계·활용하기 위한 개방형 데이터 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사업이다.세부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립암센터 내에서 수집된 암 관련 정보를 암종별로 체계적으로 수집·저장 활용할 수 있는 국가 암 DB를 구축하였다.
- 국립암센터 중심의 암 빅데이터 네트워크를 구성(전국 10개 의료기관)하고, 플랫폼을 구축하여 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3. 10. 국가금연지원서비스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는 금연상담전화사업 및 온라인 금연지원서비스(금연길라잡이)를 운영하고 있다. 금연상담전화는 대표전화(1544-9030)를 통해 다채널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 및 모바일앱을 운영하여 흡연예방 및 금연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015년부터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 및 금연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2015년 3월, 단기금연캠프 기본모형 개발 시범사업을 운영하고 경기북부금연지원센터를 지정하였다. 같은 해부터 전문치료형 금연캠프(4박 5일), 입원환자 금연지원서비스,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4. 조직
부서 | 팀 |
---|---|
국가암데이터센터·암빅데이터센터 | 데이터 활용팀 |
데이터 구축팀 | |
데이터 결합팀 | |
데이터 운영팀 | |
암지식정보센터 | 암관리지원팀 |
암정복추진기획단사무국 | |
중앙호스피스센터 | 호스피스정책기획팀 |
호스피스질향상교육팀 | |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 암생존자정책기획팀 |
암생존자지원팀 | |
암관리정책부 | |
암등록감시부 | |
암예방사업부 | |
암검진사업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