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립중앙과학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중앙과학관은 과학기술의 보급 및 확산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과학기술 관련 계획 수립 및 시행, 전시관 운영,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료 수집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1927년 은사기념과학관으로 시작하여, 한국 전쟁으로 건물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나 재건을 거쳐 1990년 국립중앙과학관으로 개편되었으며, 대전으로 이전하였다. 주요 시설로는 상설전시관, 천체관, 생물탐구관 등이 있으며, 야외전시, 기획전시 등 다양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이며,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박물관 - 대전선사박물관
    대전선사박물관은 2007년 3월 29일에 개장하여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이다.
  • 대전광역시의 박물관 -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은 화폐 관련 사료를 전시하여 화폐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돕고 화폐문화에 기여하고자 1988년 개관한 무료 박물관으로, 화폐 역사, 위조 방지 기술, 한국조폐공사 제작품 등을 전시하며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연휴, 정부 지정 임시공휴일에는 휴관한다.
  • 1990년 설립된 박물관 -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은 1990년에 개관하여 상설전시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4만 점 이상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1990년 설립된 박물관 - 바사 박물관
    바사 박물관은 스톡홀름 유르고르덴 섬에 위치하며 1628년 침몰한 바사호를 전시하고, 1961년 인양된 바사호와 17세기 스웨덴의 역사 및 문화를 소개하는 박물관이다.
  • 대한민국의 과학 박물관 - 국립부산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은 부산시의 과학관 유치 운동으로 설립되어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동남권 주력 산업을 주제로 한 과학기술 체험관이며, 2013년 착공하여 2015년 6월에 준공되었고,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출연하는 국립과학관법인으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과학 박물관 - 국립과천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은 2008년 경기도 과천시에 개관한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과학관으로, 기초과학, 자연사, 전통과학, 첨단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천문우주관과 야외 전시관을 포함하고 전국 과학관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수행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있다.
국립중앙과학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
한글국립중앙과학관
한자國立中央科學館
로마자 표기Gungnip Jungang Gwahakgwan
일반 정보
유형과학박물관
국가대한민국
소재지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 (구성동)
개관일1990년 10월 9일
운영자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건축가김수근
방문객 수1,795,076 명 (2017년 기준)
홈페이지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

2. 직무

국립중앙과학관은 과학기술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아래와 같은 직무를 수행한다.[1]


  • 과학기술 보급 계획 수립 및 시행
  • 과학기술관, 천체관, 사이언스홀, 생물탐구관, 특별전시관, 과학캠프관, 과학교육관, 자기부상열차, 자연사관, 창의나래관 등 운영
  • 전국과학전람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및 대한민국 국제청소년과학창의제전(KISEF) 관련 사항
  •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운영 및 각종 과학행사
  • 과학기술 자료 수집·발굴·조사·연구·보존·제작 및 전시
  • 과학기술 보급 관련 특별 전시
  • 과학기술 전시·연구·교육 정보화
  •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개발 성과 전시·확산·홍보
  • 과학기술 자료 종합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
  • 과학기술 유산 발굴·조사 및 확산
  • 겨레과학기술응용개발사업 추진
  •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한국위원회 및 한국사무국 운영
  • 전국 국·공·사립 과학관 지원·자문, 국내외 과학관 협력 증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위임 업무
  • 과학관 운영 관련 부대사업 및 수탁사업
  • 기타 국립중앙과학관 목적 달성을 위한 사업

2. 1. 과학기술 보급 및 확산


  • 과학기술 보급 계획을 수립·시행한다.
  • 과학기술관, 천체관, 사이언스홀, 생물탐구관, 특별전시관, 과학캠프관, 과학교육관, 자기부상열차, 자연사관, 창의나래관 등을 운영한다.
  • 전국과학전람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대한민국 국제청소년과학창의제전(KISEF) 등을 개최한다.
  • 과학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운영하며, 각종 과학 행사를 개최한다.
  • 과학기술 자료를 수집·발굴·조사·연구·보존·제작 및 전시한다.
  • 과학기술 보급 관련 특별 전시에 관한 사항을 담당한다.
  • 과학기술 전시·연구·교육에 관한 정보를 전산화한다.
  •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개발 성과를 전시·확산·홍보한다.
  • 과학기술 자료 종합관리계획을 수립 및 시행한다.
  • 과학기술 유산을 체계적으로 발굴·조사 및 확산한다.
  • 겨레과학기술응용개발사업을 추진한다.
  •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한국위원회 및 한국사무국을 운영한다.
  • 전국 국·공·사립 과학관에 대한 지원·자문과 국내외 과학관과의 협력을 증진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위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 과학관 운영과 관련된 부대사업 및 수탁사업을 진행한다.
  • 기타 국립중앙과학관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을 수행한다.

2. 2. 과학관 운영 및 지원

국립중앙과학관은 과학기술 보급 및 과학관 운영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한다.

  • 전국 국·공·사립 과학관 지원·자문 및 국내외 과학관과의 협력 증진[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위임 업무[1]
  • 과학관 운영 관련 부대사업 및 수탁사업[1]
  • 기타 국립중앙과학관 목적 달성을 위한 사업[1]

3. 역사

국립중앙과학관의 역사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에 이른다.

1927년 5월 재단 법인 조선과학재단이 남산 기슭에 설립한 '은사기념과학관'이 시초였다.[5] 광복 후 국립과학박물관, 정부 수립 후 국립과학관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대부분 소실되었다.[5]

1949년 7월 14일 문교부 소속으로 국립과학관이 설치되었으나,[12] 한국 전쟁으로 건물이 소실되었다. 1962년 8월 30일 국립과학관이 다시 문을 열었고,[7] 1969년 4월 3일 과학기술처 소속으로 변경되었다.[13] 1972년 9월 8일에는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상설전시장이 문을 열었고,[9][10] 1979년 7월 19일에는 산업기술관이 개관하였다.[11]

1990년 4월 17일 국립중앙과학관으로 개편되었고,[14] 같은 해 6월 8일 대전직할시 유성구로 이전하여 10월 9일에 다시 문을 열었다. 이후 탐구관, 첨단과학관, 생물탐구관, 우주체험관, 창의나래관, 가족캠핑장, 꿈아띠체험관, 우주과학공원 등이 차례로 개관하였다.

소속 부처는 1998년 2월 28일 과학기술부,[15] 2008년 2월 29일 교육과학기술부,[17] 2013년 3월 23일 미래창조과학부,[18] 2017년 7월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변경되었다.[19] 2000년 1월 1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었다.[16]

3. 1. 설립 초기 (일제강점기)

1927년 5월 재단법인 조선과학재단에서 남산 기슭에 '은사기념과학관'(恩賜記念科學館)이라는 이름으로 과학관을 만들었다.[5] 이것이 국립중앙과학관의 시작이다. 이 과학관은 광복 후에는 국립과학박물관, 정부 수립 후에는 국립과학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처음 국립과학관은 2885평의 땅에 1천 평 정도 되는 목조 건물이었고, 10만 점이 넘는 동식물 표본, 실험기구, 연구실이 있었다. 그러나 한국 전쟁으로 대부분이 불타 없어지고, 수십 평의 서류 창고만 남았다.[5]

3. 2. 해방 이후

광복 후 국립과학박물관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정부 수립 후에는 국립과학관으로 변경되었다.[5] 1949년 7월 14일 문교부 소속으로 국립과학관이 설치되었다.[12] 한국 전쟁으로 대부분 소실되어 수십 평의 서류창고만 남았다.[5] 1950년 9월 27일 한국 전쟁으로 건물이 소실되었다.[12]

3. 3. 재건 및 발전

1962년 8월 30일, 국립과학관이 재개관하였다.[7] 1969년 4월 3일 과학기술처 소속으로 변경되었고,[13] 1972년 9월 8일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상설전시장이 개관하였다.[9][10] 1979년 7월 19일 산업기술관이 개관하였다.[11]

1990년 4월 17일 국립중앙과학관으로 개편되었고,[14] 같은 해 6월 8일 대전직할시 유성구로 이전하여 10월 9일 재개관하였다. 이후 1994년 12월 22일 탐구관, 2007년 4월 27일 첨단과학관, 2008년 4월 28일 생물탐구관, 2009년 1월 21일 우주체험관, 2011년 7월 23일 창의나래관, 2012년 7월 23일 가족캠핑장, 2012년 12월 27일 꿈아띠체험관, 2013년 5월 6일 우주과학공원이 개관하였다.

1998년 2월 28일 과학기술부,[15] 2008년 2월 29일 교육과학기술부,[17] 2013년 3월 23일 미래창조과학부,[18] 2017년 7월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19] 2000년 1월 1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었다.[16]

4. 전시 및 시설

국립중앙과학관은 다양한 주제의 전시와 체험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상설전시, 기획전시, 야외전시 등이 있으며, 주요 시설로는 상설전시관, 천체관, 생물탐구관, 우주체험관, 창의나래관, 사이언스홀, 특별전시관, 야외전시장, 과학캠프관, 자기부상열차, 워터사이언스파크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세계 3번째로 만들어진 자기부상열차가 전시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설비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한국전력공사의 전기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4. 1. 상설전시

국립중앙과학관 상설전시관에서는 다음 주제들을 다룬다.

  • 우주에서 인간까지
  • 한국의 자연사
  • 한국과학 기술사
  • 해양에서 꿈꾸는 미래
  • 포유류 돋보기
  • 우리 배
  • 도자과학
  • 기초과학
  • 산업기술
  • 우주체험관
  • 생물탐구관
  • 옥외전시품

4. 2. 기획전시

과학기술 특별 주제를 다룬 수시 기획전이 열린다.

4. 3. 야외전시

4. 4. 주요 시설

상설전시관, 천체관, 생물탐구관, 우주체험관, 창의나래관, 사이언스홀, 특별전시관, 야외전시장, 과학캠프관, 자기부상열차, 워터사이언스파크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세계 3번째로 만들어진 자기부상열차가 전시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설비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한국전력공사의 전기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5. 조직

국립중앙과학관은 관장 아래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효율적인 운영을 돕는다.

5. 1. 관장

관장은 경영기획과, 운영지원과, 과학교육과, 과학문화홍보팀, 전시연구단을 통해 업무를 처리한다.[20][21][22]

참조

[1]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Empas/EncyKorea 2008-04-11
[2] 웹사이트 Brief History http://www.science.g[...] National Science Museum 2018-03-25
[3] 웹사이트 http://www.science.g[...] National Science Museum 2018-03-25
[4] 문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23조
[5] 뉴스 韓囯의 科学実態는 어떠한가 (5) 國立科學舘 <上> http://newslibrary.n[...] 1958-06-19
[6] 뉴스 科學舘別舘着工 http://newslibrary.n[...] 1961-11-09
[7] 뉴스 科學의殿堂 國立科學舘 http://newslibrary.n[...] 1962-08-30
[8] 뉴스 學生展못벗은 年例行事 제16회 科學展의 초라한面貌 http://newslibrary.n[...] 1970-10-15
[9] 뉴스 國立科學館 개관 http://newslibrary.n[...] 1972-09-08
[10] 뉴스 再建된 國立科學舘 1,500坪에 3層건물,8日 開舘 http://newslibrary.n[...] 1972-09-05
[11] 뉴스 國立科學舘 http://newslibrary.n[...] 1980-10-20
[12] 문서 대통령령 제146호
[13] 문서 대통령령 제3855호
[14] 문서 대통령령 제12987호
[15] 문서 대통령령 제15720호
[16] 문서 대통령령 제16490호
[17] 문서 대통령령 제20740호
[18] 문서 대통령령 제24444호
[19] 문서 대통령령 제28210호
[20] 문서 서기관·기술서기관·학예연구관·공업연구관·농업연구관·해양수산연구관·기상연구관 또는 환경연구관으로 보한다.
[21] 문서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시설사무관·전산사무관·학예연구관·공업연구관·농업연구관·해양수산연구관·기상연구관 또는 환경연구관으로 보한다.
[22]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23] 문서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31조제1항에 따른 평가대상 조직으로 평가기간은 2020년 5월 9일까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