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국교통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한국교통대학교는 1962년 충주공업초급대학으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의 교명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현재의 종합대학교가 되었다. 충주캠퍼스, 증평캠퍼스, 의왕캠퍼스를 운영하며, 각 캠퍼스별 특성화된 교육을 제공한다. 충주캠퍼스는 공학, 인문, 사회,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증평캠퍼스는 보건, 의료, 생명 관련 학과를, 의왕캠퍼스는 철도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운영한다. 또한, 국내외 여러 대학과 국제 교류를 맺고 있으며, 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캠퍼스존'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왕시의 학교 - 의왕정음학교
의왕정음학교는 2021년 3월 1일에 개교한 학교이다.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철도대학
1905년 철도이원양성소로 시작한 한국철도대학은 철도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립 전문대학이었으나, 2012년 한국교통대학교에 통합되어 현재는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로 운영되고 있다. - 한국교통대학교 - 충주대학교
1965년 충주공업초급대학으로 개교하여 충주산업대학교를 거쳐 1999년 교명을 변경한 충주대학교는 2005년 청주과학대학과, 2012년 한국철도대학과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이다.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표어 | 진리 추구 미래 창조 인류 봉사 |
설립일 | 2012년 |
유형 | 국립 |
총장 | 윤승조() |
위치 | 충주시 증평군 의왕시 |
캠퍼스 | 교외 |
캠퍼스 면적 (충주 캠퍼스) | 861,033m² |
웹사이트 | 한국교통대학교 영어 웹사이트 |
학교 구성원 | |
교직원 수 | 696명 |
학부생 수 | 12,130명 |
대학원생 수 | 630명 |
주 색상 | |
메인 색상 (버건디) | #701E20 |
파란색 | #0055A5 |
은색 | #8F8E93 |
한국어 명칭 | |
한글 | 한국교통대학교 |
한자 | 韓國交通大學校 |
로마자 표기 | Hanguk Gyotong Daehakgyo |
일본어 명칭 | |
대학명 | 한국교통대학교 |
일본어 표기 | ハングッキョトンデハッキョ |
로마자 표기 | Hanguk Gyotong Daehakgyo |
캠퍼스 정보 | |
캠퍼스 | 충주 (충청북도 충주시) 증평 (충청북도 증평군) 의왕 (경기도 의왕시) |
조직 | |
대학 | 공과대학 건설교통대학 첨단과학기술대학 인문예술대학 사회과학대학 보건생명대학 국제사회대학 철도대학 |
대학원 | 일반대학원 교통대학원 글로벌융합대학원 교육대학원 |
2. 발자취
1962년 2년제 학교인 충주공업초급대학으로 개교했다. 1965년 5년제 과정의 충주공업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71년 국립대학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1974년 다시 2년제 전문대학으로 변경되었다. 1982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11년 뒤인 1993년에는 4년제 대학교인 충주산업대학교로 승격되었다. 2006년 3월 청주과학기술대학 (현재 증평캠퍼스)과 통합되었다.
'''충주대학교''' 시절인 2005년 6월 17일, 청주과학대학과 통합 합의서를 조인하고, 이듬해 3월에 공식적으로 통합했다. 충청북도 증평군에 있는 구 청주과학대학 캠퍼스는 증평캠퍼스가 되었으며, 보건생명대학과 국제사회정보대학이 설치되었다.
2012년 3월에는 한국철도대학을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가 되었다. 구 한국철도대학 캠퍼스는 의왕캠퍼스가 되었으며, 철도대학이 설치되어 있다.
2. 1. 통합 이전
1962년 6월 5일 충주공업초급대학으로 개교했다. 1966년 3월 충주공업고등전문학교(5년제)로 변경되었다. 1974년 3월 충주공업전문학교(2년제)로 변경되었다. 1979년 3월 1일 '''충주공업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2년 3월 현재의 충주캠퍼스로 이전하였다. 1993년 3월 1일 '''충주산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3월 산업대학원을 설치하였다. 1999년 3월 1일 '''충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4년 3월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을 설치하였다. 2006년 3월 청주과학기술대학과 통합되었다.1948년 3월 도립 청주병원 부속 고등간호학교로 설립되었다. 1953년 7월 청주간호고등기술학교로 개칭되었다. 1974년 3월 청주간호전문학교가 되었다. 1979년 1월 청주간호전문대학이 되었다. 1982년 2월 15일 2년제 청주전문대학이 되었다. 1999년 3월 1일 청주과학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같은 해 11월 김치식품과학과 설치 인가를 받았다. 2000년 2월 증평군으로 이전하였다.
2. 1. 1. 국립충주대학교
1962년 6월 5일 충주공업초급대학으로 개교했다. 1966년 3월 충주공업고등전문학교(5년제)로 변경되었다. 1974년 3월 충주공업전문학교(2년제)로 변경되었다. 1979년 3월 1일 '''충주공업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2년 3월 현재의 충주캠퍼스로 이전하였다. 1993년 3월 1일 '''충주산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3월 산업대학원을 설치하였다. 1999년 3월 1일 '''충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4년 3월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을 설치하였다. 2006년 3월 청주과학기술대학과 통합되었다. 2012년 3월 한국철도대학을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1]2. 1. 2. 국립청주과학대학
1948년 3월 도립 청주병원 부속 고등간호학교로 설립되었다. 1953년 7월 청주간호고등기술학교로 개칭되었다. 1974년 3월 청주간호전문학교가 되었다. 1979년 1월 청주간호전문대학이 되었다. 1982년 2월 15일 2년제 청주전문대학이 되었다. 1999년 3월 1일 청주과학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같은 해 11월 김치식품과학과 설치 인가를 받았다. 2000년 2월 증평군으로 이전하였다.2. 1. 3. 국립한국철도대학
2. 2. 통합 과정
2005년 충주대학교와 청주과학대학은 대학 경쟁력 강화 및 지역사회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양 대학 통합에 합의하였고,[2] 2006년 '''국립충주대학교'''로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청주과학대학은 증평캠퍼스가 되었다. 통합 당시 충주시를 지역구로 둔 윤진식 의원(한나라당)은 대학 통합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지역 여론과 교육부의 압박으로 결국 통합이 진행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2] 통합 이후, 국립충주대학교는 기존의 3개 단과대, 24개 학과에서 4개 단과대 7개 학부 19개 학과로 개편되었고, 모집 정원은 1988명으로 조정되었다.한국철도전문대학은 대학자산 증대, 수도권 진입 가능, 대학 역량 지표 향상 등의 이유를 들어 고려대학교와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국립4년 충주대학교가 흡수 통합을 시도하였다. 충주대학교 측은 통합 준비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당시 충주시 국회의원이었던 윤진식 (한나라당)은 두 대학의 통합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는 충주대학교가 제시한 한국교통대학교 설립안을 통과시켰고, 2012년 충주대학교가 한국철도전문대학을 흡수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가 출범하였다. 한국철도대학은 의왕캠퍼스가 되었다.[3] 이러한 통합 과정은 윤진식 의원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지역 발전과 대학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2. 2. 1. 국립충주대학교와 국립청주과학대학
2005년 충주대학교와 청주과학대학은 대학 경쟁력 강화 및 지역사회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양 대학 통합에 합의하였고,[2] 2006년 '''국립충주대학교'''로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청주과학대학은 증평캠퍼스가 되었다. 통합 당시 충주시를 지역구로 둔 윤진식 의원(한나라당)은 대학 통합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지역 여론과 교육부의 압박으로 결국 통합이 진행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2] 통합 이후, 국립충주대학교는 기존의 3개 단과대, 24개 학과에서 4개 단과대 7개 학부 19개 학과로 개편되었고, 모집 정원은 1988명으로 조정되었다.2. 2. 2. 국립충주대학교와 국립한국철도전문대학
한국철도전문대학은 대학자산 증대, 수도권 진입 가능, 대학 역량 지표 향상 등의 이유를 들어 고려대학교와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국립4년 충주대학교가 흡수 통합을 시도하였다. 충주대학교 측은 통합 준비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당시 충주시 국회의원이었던 윤진식 (한나라당)은 두 대학의 통합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는 충주대학교가 제시한 한국교통대학교 설립안을 통과시켰고, 2012년 충주대학교가 한국철도전문대학을 흡수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가 출범하였다. 한국철도대학은 의왕캠퍼스가 되었다.[3] 이러한 통합 과정은 윤진식 의원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지역 발전과 대학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3. 캠퍼스
3. 1. 충주캠퍼스 (스마트자동차·항공·차세대 에너지 부품소재, IT기술, 사회기반 및 건설, 환경, 인문사회, 스포츠, 예술)
충청북도 충주시 대학로 50에 위치하고 있으며, 6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화공생명공학과, 에너지시스템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안전공학과, 환경공학과, 항공·기계설계학과, 신소재공학과, 나노화학소재공학과
- 건설교통대학: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도시·교통공학과, 건축학과(5년제)
- 첨단과학기술대학: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정보통신공학전공, 소프트웨어전공
- 인문예술대학: 영어영문학과, 비즈니스영어전공, 중어중문학과, 음악학과, 국어국문학과, 스포츠학부(스포츠건강관리학전공, 스포츠산업학전공)
-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행정정보학과, 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항공서비스학과, 항공운항학과
- 보건생명대학: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응급구조학과, 식품공학과, 생명공학과, 의료IT공학과, 식품영양학과
- 국제사회대학: 유아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국제통상학과, 유아특수교육학과, IT응용융합학과
- 철도대학: 철도경영물류학과, 철도운전시스템공학과, 철도차량시스템공학과, 철도시설공학과, 철도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정보공학과
- 교양학부
- 자유전공학부
- 융합교육학부
'''●자유전공학부/교양학부/창의융합학부'''
(※2023.4.11.학칙개정 내용 반영)
-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과 및 항공우주공학과 (기계자동차항공공학부)
- 전자공학과 및 전기공학과 (전자·전기공학부)
- 컴퓨터공학과 (컴퓨터학부)
- AI 로봇공학 (AI로봇공학과)
- 생체공학 (바이오메디컬융합학과)
- 건설환경도시교통공학부
- 응용화학에너지공학부
- 산업경영·안전공학부
- 건축학부
- 디자인학부
- 글로벌어문학부
- 경영·통상·복지학부
- 행정학부
- 음악학과
- 스포츠학부
- 항공서비스학과
- 항공운항학과
- 유아교육학과
- 미디어&콘텐츠학과
- 스마트전기에너지공학과
- 건설환경융합공학과
- 안전융합공학과
- 스포츠복지학과
- 스마트철도교통공학과
- 복지·경영학과
3. 2. 증평캠퍼스 (보건·의료·생명)
증평캠퍼스는 충청북도 증평군 대학로 61에 위치해 있다. 2023년 4월 11일 학칙 개정 내용이 반영되었다.학부 및 대학원 과정은 6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제공된다.
- 간호학과 (Department of Nursing)
- 식품생명학부 (Division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물리치료학과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 응급구조학과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 유아특수교육학과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IT응용융합학과 (Division of IT Application Convergence)
- 보건생명대학
- *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응급구조학과, 식품공학과, 생명공학과, 의료IT공학과, 식품영양학과
- 국제사회대학
- * 유아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국제통상학과, 유아특수교육학과, IT응용융합학과
3. 3. 의왕캠퍼스 (철도교통 및 물류산업)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는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57에 위치하고 있다. 3개의 캠퍼스 중 유일하게 수도권에 위치하며, 철도대학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철도대학은 철도공학부, 철도경영·물류학과, 인공지능(AI) 데이터 엔지니어링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교양학부, 자유전공학부, 창의융합학부가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의왕캠퍼스에는 철도대학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단과대학이 있다: 공과대학, 건설교통대학, 첨단과학기술대학, 인문예술대학, 사회과학대학, 보건생명대학, 국제사회대학.
4. 국제 교류
국립한국교통대학교는 국내 19개 산업대학교를 포함한 다수의 국내 자매 결연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미국 (새크라멘토 대학교), 방글라데시 (발전 대안 대학교), 중국 (베이징 공업대학교, 연변 대학교, 연변과기대학교, [http://www.xzit.edu.cn/en/ 쉬저우 공과대학교] 및 상하이 대학교), 필리핀 (데 라 살 대학교-마닐라), 일본 (오이타 대학교 및 규슈 공업 대학교), 카자흐스탄 (알 파라비 대학교 및 파블로다르 국립 대학교), 우즈베키스탄 ([https://web.archive.org/web/20100909114353/http://samdchti.uz/siteeng/index.html 사마르칸트 외국어 대학교]), 인도 (델리 대학교), 캐나다 (노바 스코샤 농업 대학),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교) 및 호주 (디킨 대학교) 등 15개국 30개 대학과 국제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5. 커뮤니티
2010년 한국교통대학교 'http://www.campuszone.net/ 캠퍼스존'이 운영을 시작하여 현재 가장 활동이 많은 커뮤니티 사이트이다.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대학 주변의 원룸이나 상가 정보와 시간표, 강의평가와 같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모바일에서는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 '캠퍼스존'이라는 전용 앱을 통해 이용하거나 http://m.campuszone.net/ 모바일 웹 사이트로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韓国鉄道大学 - 忠州大学校」統合承認"
http://www.krc.ac.kr[...]
한국철도대학
2011-09-28
[2]
뉴스
국립충주대·청주과학대 내년 3월 통합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5-06-17
[3]
뉴스
국립4년 충주대학교는 청주과학대 이어 철도대까지 통합 추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