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철도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대학은 1905년 5월 인천 제물포에 철도이원양성소로 개교하여 철도 전문 인력을 양성해왔다. 1998년 한국철도대학으로 개칭되었으며, 2012년 3월 1일 한국교통대학교로 통합되어 폐교되었다. 철도운수경영과 등 2년제 및 3년제 학과를 운영했으며, 부속 시설로는 본관, 실습관, 100주년관, 전산관, 백인관, 학생회관 등이 있었다. 2007년부터 사립대학으로의 인수 논의가 있었으나, 고려대학교와의 협상 결렬 이후 충주대학교와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교통대학교 - 충주대학교
    1965년 충주공업초급대학으로 개교하여 충주산업대학교를 거쳐 1999년 교명을 변경한 충주대학교는 2005년 청주과학대학과, 2012년 한국철도대학과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이다.
  • 한국교통대학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은 교내에 위치하여 역사, 민속, 인류학 자료를 수집, 보관, 전시, 고증하며 운영위원회와 학예부를 통해 소장품 관리, 연구,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하며 학교 지정일에 휴관한다.
  • 2012년 폐교 - 탐라대학교
    1996년 동원산업대학교로 설립되어 1997년 탐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사립대학교였던 탐라대학교는 2012년 제주산업정보대학과 통합하여 제주국제대학교가 됨으로써 폐교되었으며, 캠퍼스 부지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에 의해 매각 추진 중이다.
  • 2012년 폐교 - 건동대학교
    1992년 안동산업전문대학으로 개교한 건동대학교는 안동정보대학을 거쳐 4년제 대학으로 전환되었으나, 정부재정지원 제한 등으로 인해 2012년 폐교된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 1905년 개교 - 용산철도고등학교
    용산철도고등학교는 1905년 철도 이원 양성소로 설립되어 운수학교, 교통고등학교, 용산공업고등학교를 거쳐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철도 관련 학과와 유관 학과를 운영하여 철도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이다.
  • 1905년 개교 - 로마린다 대학교
    로마린다 대학교는 1905년 재림교회에 의해 설립된 미국의 사립 대학으로, 캘리포니아주 로마린다에 위치하며, 보건 및 의료 분야의 교육기관으로 성장했다.
한국철도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개요
대학명한국철도대학
한국어 표기한국철도대학
한글 표기한국철도대학
한자 표기韓國鐵道大學
히라가나 표기かんこくてつどうだいがく
가타카나 표기ハングクチョルトデハク
영어 표기Korea National Railroad College
학교 종류국립 전문대학
폐교일2012년 3월 1일
설립일1905년 5월
창립일1974년
폐교 연도2012년
설치자해당 정보 없음
본부 위치경기도 의왕시
위치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57 (월암동 374-18)
상징해당 정보 없음
표어백인(百忍)·지성(至誠)·실력(實力)
대학 약칭해당 정보 없음
캠퍼스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옛 한국철도대학, 현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2013년 1월)
조직
학부철도운송경영과
철도경영정보과
철도운전기전과
철도차량기계과
철도전기제어과
철도차량전기과
대학원해당 정보 없음
교수진해당 정보 없음
학교 법인해당 정보 없음
웹사이트
웹사이트http://www.krc.ac.kr/

2. 연혁

1905년 5월 철도이원양성소가 인천 제물포에 개소되었다. 이후 중앙교통종사원양성소, 1967년 철도고등학교, 1977년 철도고등학교 부설 전문부, 1979년 철도전문대학 및 기존 학교는 부속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1985년 서울 용산에서 경기도 의왕시(현 위치)로 이전하였고, 1986년에는 철도전문대학 부속고등학교가 폐지되었다. 1998년 한국철도대학으로 개칭하였다. 2002년 철도운수경영과와 철도경영정보과를 제외한 전 학과를 3년제로 전환하고, 철도차량전기과를 신설하였다. 2005년 운영주체가 철도청에서 건설교통부로 이관 및 국비생 제도가 폐지되었다. 2011년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22호에 의거 철도차량운전면허(제2종) 교육훈련기관으로 지정(2011-1호)되었다. 2012년 3월 1일 한국교통대학교로 개편되면서 폐교되었다.

3. 학과


  • 철도운수경영과 (2년제) : 입학정원 40명
  • 철도경영정보과 (2년제) : 입학정원 40명
  • 철도운전기전과 (3년제) : 입학정원 32명
  • 철도차량기계과 (3년제) : 입학정원 24명
  • 철도시설토목과 (3년제) : 입학정원 32명
  • 철도전기제어과 (3년제) : 입학정원 32명
  • 철도차량전기과 (3년제) : 입학정원 24명
  • 철도 경영·물류·컴퓨터 학부
  • 철도 공학부
  • 자유 전공 학부
  • 철도경영물류학과
  • 철도 인프라 시스템 공학과
  • 철도 운전 시스템 공학과
  • 철도 전기전자 공학과
  • 철도 차량 시스템 공학과
  • 컴퓨터 정보 공학과

3. 1. 한국어 위키 기준 학과


  • 철도경영물류학과
  • 철도 인프라 시스템 공학과
  • 철도 운전 시스템 공학과
  • 철도 전기전자 공학과
  • 철도 차량 시스템 공학과
  • 컴퓨터 정보 공학과

3. 2. 일본어 위키 기준 학과


  • 철도경영물류학과
  • 철도 인프라 시스템 공학과
  • 철도 운전 시스템 공학과
  • 철도 전기전자 공학과
  • 철도 차량 시스템 공학과
  • 컴퓨터 정보 공학과

4. 부속 시설

본관은 학사행정을 위한 업무공간과 교수 사무실 및 강의실, 도서관, 동아리실이 있는 한국철도대학의 중추 시설이다. 실습관에는 공학계열 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장비들이 있으며, 운전시뮬레이터실 등이 있다. 100주년관은 한국철도대학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건축되었으며 역사관, 강의실 등이 있다. 본관 측면에 증축된 전산관에는 인터넷카페, 매점, 전산실, 어학실 등이 있다. 백인관(기숙사)은 권역 외 학생들을 위한 기숙시설로 1~3층은 남학생, 4층은 여학생이 거주한다. 학생회관은 재학생들의 레크리에이션과 여가를 위한 시설이며 테니스장과 운동기구 등이 있다.

5. 한국교통대학교와의 통합 과정

대한민국 국토해양부는 국립 전문대학이었던 한국철도대학을 사립 4년제 대학교의 단과대학으로 개편하는 사업 계획을 확정하고 2007년 3월 여러 사립 대학교로부터 인수 제의서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전주대학교, 한세대학교, 서경대학교 등이 철도대학 인수 인계를 희망했으며, 국토부는 동년 5월 8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를 철도대학 인수 인계 1순위 대학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2007년 6월 27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는 한국철도대학을 인수 인계하기 위해 철도대학 측과의 본격적인 협상을 개시하였다. 양측은 실무진이 부분별로 협상을 벌여 2008년까지는 끝마칠 계획이었다. 고려대학교에서는 철도대학의 인수 인계가 완료되면 가칭 ‘철도물류대학’을 신설, 2009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고 2015년의왕시를 떠나 신행정도시로 캠퍼스를 옮길 계획을 세운 상태였다.

한편 의왕시에서는 철도대학이 사립대학으로 인수 인계되면서 캠퍼스 이전이 확실시되자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의왕시 측에서는 동년 3월 27일 국토해양부에 경영권만 사립대학에 편입시키고 캠퍼스는 그대로 의왕시에 둘 것을 요구했고, 의왕시의회도 4월 23일 철도대학 이전을 반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같은 달 철도대학이 위치한 부곡동 주민자치위원회는 "철도대학 이전 반대" 현수막을 내걸고 서명 운동에 돌입했다.

6월 12일 고려대학교와 철도대학의 캠퍼스 이전 협상은 결렬되었다. 이는 경기도의왕시 주민, 그리고 내부적으로도 반발이 많았고, 정부의 예산 지원 문제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협상의 결렬로 귀결되었다.

고려대학교와의 협상이 결렬된 이후, 2010년 상반기 기준으로 한국철도대학은 국토해양부를 통해 서울산업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충남대학교, 한밭대학교, 한경대학교, 공주대학교, 충주대학교 등 절대다수의 국립대학으로부터 인수 인계 제의를 받았다.

학내에 설치된 '철도대학 발전 심의위원회(이하 심의위)'에 의해 2010년 4월 14일에 충주대학교가 1순위로 선정되었으나, 해당 심의위의 객관성 논란과 더불어 학내 구성원의 반대여론이 끊임없이 제기되었던 데다가 철도대학의 국립대 통합 의견을 가진 국토해양부와 예산권한을 가진 기획재정부 간의 이견차로 인해 계속해서 논의가 지연되었다. 그러나 충청북도 충주시 지역구 국회의원인 윤진식 의원의 개입으로 정부 부처간 이견을 상당히 좁혀 2011년도 4월 21일에 충주대학교와 통합 협상 MOU를 체결하여 통합내용 및 조건 등에 관한 협상절차가 진행되었다.

2011년 7월 31일 충주시가 충주대학교와 한국철도대학(이하 철도대학)의 현 통합(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2] 충청북도도 양 대학 통합에 부정적 입장을 드러내 향후 통합추진에 난항이 예상되었으나[2] 국토해양부는 2011년 8월 25일 수도권정비 실무위원회를 열어 충주대와의 통합을 사실상 최종 승인하고[3] 교통/물류/철도분야의 특성화 대학으로서 2012년 3월 '한국교통대학교'로 통합되어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로 새롭게 출범하였다.[3]

6. 교통

한국철도공사의왕역 2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 영동고속도로부곡 인터체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참조

[1] 문서
[2] 뉴스 충주시· 충북도, 철도대 중심 통합안 반대 http://www.unn.net/N[...] 한국대학신문 2011-07-31
[3] 뉴스 충주대ㆍ철도대 통합 확정…한국교통대 내년 3월 출범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1-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