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스웨덴인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1906년 창당된 핀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 중 하나이다. 핀란드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의 권익 보호를 주요 목표로 하며, 핀란드 의회에서 꾸준히 의석을 확보해왔다. 이념적으로는 자유주의적 성향을 띠며, 핀란드의 나토 가입을 지지한다. 핀란드 의회 선거와 유럽 의회 선거에 참여하고 있으며, 대통령 선거에도 후보를 출마시킨 경험이 있다. 1956년 이후 여러 차례 연립 정부에 참여했으나, 2015년 총선 이후 야당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 설립된 정당 - 핀란드 중앙당
핀란드 중앙당은 1906년 전신 조직을 거쳐 1908년 농민당으로 결성된 정당으로, 농촌과 지방 소도시를 기반으로 성장하며 핀란드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지지율 하락을 겪고 있다. - 1906년 설립된 정당 - 전인도 무슬림 연맹
전인도 무슬림 연맹은 1906년 영국령 인도 내 무슬림 권익 신장을 목표로 설립되어 반영 성향 강화, 파키스탄 건설 선언, 인도 분할 주도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파키스탄 독립 후 쇠퇴했으나 여러 국가에 영향력을 남겼다. - 핀란드의 정당 - 녹색동맹
1987년 핀란드에서 환경 운동가와 페미니스트들의 대중 운동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초로 집권 연정에 참여한 녹색당인 녹색동맹은 중도좌파 성향의 진보적인 정책과 다소 보수적인 면모를 동시에 보이는 특징을 가진 정당이다. - 핀란드의 정당 - 핀란드 의회
핀란드 의회는 핀란드의 입법 기관으로, 2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이며, 4년 임기의 의원을 비례대표제로 선출하고, 핀란드 헌법에 따라 입법권을 행사하며, 예산 결정, 인사권, 행정 통제 등 광범위한 권한을 갖는다. - 1996년 설립된 정당 - 노동당 (미국)
노동당(미국)은 1996년 여러 노동조합의 연합으로 설립되었으나, 2000년대 이후 쇠퇴하여 2007년 전국적 활동을 중단했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지부는 사우스캐롤라이나 노동자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여 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 1996년 설립된 정당 - 사회민주당 (일본)
사회민주당 (일본)은 1996년 일본사회당에서 개칭된 정당으로,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며 헌법 9조 수호, 사회복지 확대, 평화주의, 탈핵 등을 정책으로 삼고 있으며, 현재는 후쿠시마 미즈호가 당수이다.
핀란드 스웨덴인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06년 |
본부 | 헬싱키, 시몬카투 8A, 00100 |
국가 | 핀란드 |
회원 수 | 30,000명 |
회원 수 기준 년도 | 2016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신문 | |
청년 조직 | 스벤스크 웅돔 |
여성 조직 | 스벤스카 크빈노페르분데트 |
정치 | |
의장 | 안데르스 아들레르크로이츠 |
총무 | 한나 세패 |
이념 | 스웨덴어 사용 핀란드인 소수 민족 이익 자유주의 |
정치적 위치 | 중도 ~ 중도우파 |
국제 연합 |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유럽 연합 | 유럽 자유 민주 동맹 |
유럽 의회 | 리뉴 유럽 |
노르딕 제휴 | 중앙 그룹 |
색상 | 파란색 (공식) 빨간색 검은색 |border=darkgray}} 밝은 노란색 |
의회 의석 | |
국회 | }} |
유럽 의회 | }} |
지방 자치체 | }} |
카운티 의석 | }} |
지도부 | |
부의장 | 산드라 베르크비스트 |
당 평의회 의장 | 에바 비아우데 |
추가 정보 | |
로마자 표기 | Suomen ruotsalainen kansanpuolue |
이전 당명 | 스웨덴인당 |
2. 역사와 선거 기반
핀란드 스웨덴인당의 역사적 뿌리는 1870년부터 1906년까지 활동한 스웨덴당에 있다.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1906년 스웨덴당 당대회에서 공식적으로 창당되어, 핀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 중 하나로 꼽힌다.
주요 선거 기반은 핀란드 전체 인구의 약 5.5%를 차지하는 스웨덴어 사용 소수 민족이다.[17][25] 당의 역사 동안 스웨덴어 사용 인구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 지지율 역시 꾸준히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창당 직후인 1907년 총선에서는 전국 득표율 12%를 기록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7% 수준으로 떨어졌고, 2011년 총선에서는 4.3%의 득표율을 얻었다. 다만, 스웨덴어 사용 인구가 다수인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여전히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다.
핀란드 의회 내 소수 정당임에도 불구하고,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핀란드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우르호 케코넨 대통령이 선출된 1956년 이후 거의 모든 연립 내각에 참여하며 오랜 기간 정부 운영에 참여했다. 이러한 장기간의 정부 참여는 2015년 총선 이후 잠시 중단되어 야당 시기를 보냈으나,[18] 2019년 다시 연정에 복귀했다.[19]
또한 핀란드 의회에서 올란드 대표는 당적과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핀란드 스웨덴인당 의회 그룹에 속해 활동하는 특징이 있다.
2. 1. 창당 배경 및 초기 역사

핀란드 스웨덴인당의 직접적인 전신은 1870년부터 1906년까지 활동했던 '''스웨덴당'''이다. 이 정당은 당시 핀란드 의회 의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엘리트 정당이었다. 스웨덴당은 스베코만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었으며, 주요 목표는 페노만 운동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언어 문제 외 다른 사안에 대해 비교적 자유주의적이었던 페노만들과 달리, 스베코만들은 보수주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악셀 릴레(Axel Lille)와 악셀 올로프 프뢰덴탈(Axel Olof Freudenthal)은 종종 스베코만 운동의 주요 창립 인물로 꼽힌다. 1880년대에 기존의 자유당이 사실상 해체되면서, 그 구성원 대부분이 스웨덴당으로 흡수되었다.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1906년 스웨덴당의 당대회 결정을 통해 공식적으로 창당되었으며, 이는 핀란드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정당 중 하나이다. 초대 당수는 악셀 릴레가 맡았다. 창당 초기부터 당의 주요 지지 기반은 핀란드 인구의 약 5.5%를 차지하는 스웨덴어 사용 소수 민족이었다.[17][25] 1907년에 치러진 첫 총선에서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전국적으로 1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 2. 20세기 초반의 활동
핀란드 스웨덴인당의 역사적 전신은 1870년부터 1906년까지 존재했던 '''스웨덴당'''이다. 이 정당은 핀란드 의회 의원들을 기반으로 한 엘리트 정당이었으며, 스베코만 운동의 일부로서 페노만 운동에 반대하는 것을 주요 정책으로 삼았다.
언어 문제를 제외한 다른 사안에서 대체로 자유주의적 성향을 보였던 페노만들과 달리, 스베코만들은 보수주의적인 입장을 취했다. 악셀 릴레(Axel Lille)와 악셀 올로프 프뢰덴탈(Axel Olof Freudenthal)은 종종 스베코만 운동의 주요 "창립자"로 언급된다. 1880년대 자유당이 해체된 후, 당원 대부분은 스웨덴당에 합류했다.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1906년 스웨덴당 당대회에서 공식적으로 창당되었으며, 이는 핀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 중 하나로 기록된다. 스웨덴당의 초대 당수는 악셀 릴레가 맡았다. 창당 직후인 1907년 총선에서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전국 득표율 12%를 기록하며 의회에 진출했다.
2. 3. 장기간의 연립 정부 참여 (1956-2015)
핀란드 의회의 소수 정당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핀란드 스웨덴인당(SPP)은 종종 집권 연립 내각을 구성하는 파트너 중 하나였다. 우르호 케코넨이 대통령으로 선출된 1956년 이후, 당은 거의 지속적으로 정부에 참여해 왔다.이 기간 동안 유일한 주요 예외는 파시오 제1차 내각(1966년~1968년)으로, 이 내각에는 사회민주당(SDP), 분리된 SDP 파벌인 노동자 및 소작농 사회민주 연합, 핀란드 인민민주동맹 등 사회주의 정당들과 중앙당만이 포함되었다. 또한, 단일 정당 소수 정부(미에투넨 내각(1961년~1962년, 중앙당)과 파시오 제2차 내각(1972년, SDP))와 무당파 임시 정부의 단기 집권 시기에도 정부 참여가 중단되었다.
이러한 오랜 기간의 정부 참여 때문에, SPP는 스웨덴어의 지위라는 핵심 이익이 보장되는 한 다른 모든 정책은 거의 수용하는 단일 이슈 정당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반하넨 제1내각이 상급 중등학교 입학 시험에서 스웨덴어를 선택 과목으로 변경했을 때도 SPP는 정부에 남았다. 이는 2002년 새로운 원자력 발전소 건설 결정 후 정부를 탈퇴한 녹색연합의 사례와 대조된다.
SPP의 거의 60년간 이어진 지속적인 핀란드 내각 참여는 2015년 핀란드 총선 이후 시필래 내각 구성에서 제외되면서 끝났다.[18] 이로써 당은 약 50년 만에 야당이 되었다.
2. 4. 야당 시기 (2015-2019)
핀란드 스웨덴인당(SPP)은 핀란드 정치사에서 오랜 기간 연립 정부에 참여해 온 정당이다. 특히 우르호 케코넨이 대통령으로 선출된 1956년 이후로는 거의 모든 내각에 참여했으며, 예외는 핀란드 사회민주당(SDP), 핀란드 중앙당 등이 참여했던 라파엘 파시오 제1차 내각(1966년-1968년) 정도였다.그러나 이러한 오랜 정부 참여 기록은 2015년 핀란드 총선 이후 깨졌다. 핀란드 중앙당, 진정한 핀란드인, 국민연합당의 3당 연정으로 구성된 유하 시필래의 시필래 내각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면서, SPP는 약 50년 만에 야당으로 밀려났다.[18] 이 야당 시기는 2019년까지 이어졌다.
2019년 6월, SPP는 안티 린네가 주도한 린네 내각에 참여하면서 다시 정부로 복귀했다. 이 내각에서 SPP는 법무장관과 북유럽 협력 및 평등 장관, 두 개의 장관직을 확보했다.[19]
2. 5. 린네 내각 참여와 현재 (2019-)
우르호 케코넨 대통령 시기인 1956년 이후 거의 모든 연립 내각에 참여하며 오랜 기간 여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2015년 총선 이후 출범한 시필래의 시필래 내각에는 참여하지 않아 약 50년 만에 야당이 되었다.[18]
그러나 2019년 총선 이후, 2019년 6월 린네 총리가 이끄는 린네 내각에 참여하면서 다시 정부 여당으로 복귀했다.[19] 당시 당수였던 안나-마야 헨리크손 하에서 법무장관과 북유럽 협력 및 평등 장관직을 확보했다.[19]
최근 스웨덴인당은 당 강령의 자유주의적 측면을 강조하며 전통적인 스웨덴어 사용 유권자층을 넘어 지지 기반을 확장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0년에는 당의 공식 핀란드어 명칭에 "Suomen"("핀란드의")이라는 단어를 추가하기도 했다.
핀란드 의회 내 올란드 대표는 당적과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스웨덴인당 의회 그룹에 속해 활동한다. 현재 당수는 안데르스 아들레르크로이츠(Anders Adlercreutz)이다.[16]
2. 6. 역대 당수

이름 | 재임 기간 |
---|---|
악셀 릴레(Axel Lille) | 1906–1917 |
에릭 폰 레티그(Eric von Rettig) | 1917–1934 |
에른스트 폰 보른(Ernst von Born) | 1934–1945 |
랄프 퇴르그렌(Ralf Törngren) | 1945–1955 |
에른스트 폰 보른(Ernst von Born) | 1955–1956 |
라르스 에릭 탁셀(Lars Erik Taxell) | 1956–1966 |
얀-마그누스 얀손(Jan-Magnus Jansson) | 1966–1973 |
크리스티안 게스트린(Kristian Gestrin) | 1973–1974 |
칼 올로프 탈그렌(Carl Olof Tallgren) | 1974–1977 |
파르 스텐벡(Pär Stenbäck) | 1977–1985 |
크리스토퍼 탁셀(Christoffer Taxell) | 1985–1990 |
올레 노르백(Ole Norrback) | 1990–1998 |
얀-에릭 에네스탐(Jan-Erik Enestam) | 1998–2006 |
스테판 발린(Stefan Wallin) | 2006–2012 |
칼 하글룬드(Carl Haglund) | 2012–2016 |
안나-마야 헤리크손(Anna-Maja Henriksson) | 2016–2024 |
안데르스 아들러크로이츠(Anders Adlercreutz) | 2024–현재 |
핀란드 스웨덴인당(SPP)은 핀란드의 공용어 중 하나인 스웨덴어의 지위를 보호하고 강화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삼는다. 이 정당은 이념적으로 매우 폭넓고 절충적인 성향을 보여, 스웨덴어 사용 인구는 물론 다양한 배경의 지지자들을 아우른다. 주요 지지층으로는 해안 지역 주민, 도시 거주자, 자유주의 성향 유권자, 진보적 중산층 등이 있다. 또한, SPP는 핀란드의 나토(NATO) 가입을 지지하는 입장을 밝혔다.[22]
3. 이념 및 정책
3. 1. 스웨덴어 사용자의 권익 보호
스웨덴어는 핀란드어와 함께 핀란드의 두 공용어 중 하나이다. 핀란드 스웨덴인당(SPP)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핀란드의 스웨덴어가 가진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지키고 더욱 강화하는 것이다.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핀란드의 여러 정당 중에서도 이념적으로 가장 폭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당원과 지지자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핀란드에서 스웨덴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는 사실 자체가 정치적인 불리함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대통령 후보들이 상당한 지지를 얻거나 당선된 사례가 여러 차례 있었다.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핀란드의 나토(NATO) 가입 신청을 지지했다.[22]
3. 2. 자유주의적 가치
스웨덴어는 핀란드의 두 가지 공용어 중 하나이며, 핀란드 스웨덴인당(SPP)의 주요 목표는 핀란드의 스웨덴어 지위를 보호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핀란드의 모든 정당 중에서 가장 절충적인 이념적 성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당원과 지지자들은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해안 지역의 어부와 농부, 인접한 스웨덴어 사용 지역 및 이중 언어 사용 도시의 소도시 주민, 핀란드 스웨덴어 사용 인구의 상당 부분, 좌익 성향의 중산층 사람들, 그리고 일반적인 자유주의자들로 구성된다. 특히, 현재 핀란드 의회에 자체 대표가 없는 자유주의자들은 SPP가 추구하는 자유주의적인 가치로부터 정치적 영향을 받기도 한다.
SPP는 핀란드의 소수 민족인 스웨덴어 사용자를 대표하지만, 모국어가 스웨덴어라는 점이 정치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대통령 후보들이 상당한 지지를 얻은 사례는 여러 차례 있었다.
연도 | 인물 | 소속 정당 (당시) | 결과/비고 |
---|---|---|---|
1944년 | 카를 G.E. 만네르헤임 | 무소속 | 스웨덴계 핀란드인으로 핀란드 제6대 대통령 당선 |
1956년 | 칼-아우구스트 파거홀름 | 사회민주당 | 스웨덴어 사용자로, 우르호 케코넨에게 한 표 차이로 패배 |
1994년 | 엘리자베스 레인 | 핀란드 스웨덴인당 (SPP) | 사회민주당 마르티 아티사리에게 46.1% 대 53.9%로 패배 |
2024년 | 알렉산더 스투브 | NCP | 스웨덴어 사용자이자 핀란드 제13대 대통령 당선 |
또한, SPP는 핀란드의 나토(NATO) 가입 신청을 지지했다.[22]
3. 3. 포괄적 이념 성향
스웨덴어는 핀란드의 두 공용어 중 하나이며, 핀란드 스웨덴인당(SPP)의 주요 목표는 핀란드의 스웨덴어 지위를 보호하고 강화하는 것이다.핀란드 스웨덴인당은 핀란드의 모든 정당 중에서 가장 절충적인 이념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당원과 지지자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집단으로 구성된다.
-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해안 지역의 어부와 농부
- 인접한 스웨덴어 사용 지역과 이중 언어 사용 도시의 소도시 주민
- 핀란드 스웨덴어 사용 인구의 상당 부분
- 환경 보호 등에 관심 있는 좌익 성향의 중산층 지식인
-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자유주의 성향 유권자들. 이들은 현재 핀란드 의회에 자체 대표가 없어 SPP의 주로 자유주의적인 가치로부터 이익을 얻는 경향이 있다.
SPP는 핀란드의 소수 민족을 대표하지만, 모국어가 스웨덴어라는 것이 그 자체로 정치적 불리함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대통령 후보들이 상당한 지지를 얻은 사례가 여러 차례 있었다.
- 1944년, 핀란드 독립의 영웅으로 평가받는 스웨덴계 핀란드인 카를 G.E. 만네르헤임이 핀란드의 제6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 1956년, 사회민주당 소속의 스웨덴어 사용자 칼-아우구스트 파거홀름은 당선에 필요한 표가 단 한 표 부족하여 농업당의 우르호 케코넨에게 패배했다.
- 1994년, SPP의 후보였던 엘리자베스 레인은 사회민주당 후보 마르티 아티사리에게 46.1% 대 53.9%의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
- 2024년, 국민연합당(NCP) 소속의 알렉산더 스투브가 핀란드 제13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SPP는 핀란드의 나토(NATO) 가입 신청을 지지했다.[22]
3. 4. 유럽 통합 지지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어 작성할 수 없습니다.)3. 5. 핀란드의 NATO 가입 지지
핀란드 스웨덴인당(SPP)은 핀란드의 나토 가입 신청을 지지했다.[22]4. 선거 결과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핀란드의 주요 선거인 핀란드 의회 선거, 유럽 의회 선거,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고 있다.
핀란드 의회 선거에서는 핀란드 스웨덴어 사용자 소수 민족을 기반으로[17] 꾸준히 의석을 확보하며 연립 정부 참여 경험이 많다. 다만, 핀란드 스웨덴어 사용자 인구 감소로 장기적인 득표율 하락 추세가 나타난다.[17] 유럽 의회 선거에서도 꾸준히 의석을 확보하고 있으며, 대통령 선거에서는 여러 후보를 냈으나 당선된 적은 없다.
각 선거별 상세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핀란드 의회 선거
핀란드 스웨덴인당(SPP)은 핀란드 인구의 약 5.5%를 차지하는 스웨덴어 사용 소수 민족을 주요 지지 기반으로 한다.[17][25] 당의 역사 동안 스웨덴어 사용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지지율 역시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1907년 첫 핀란드 총선에서 전국 득표율 12%를 기록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7%대로 감소했고, 2000년대 이후로는 4%대의 득표율을 유지하고 있다. 2011년 핀란드 총선에서는 4.3%의 득표율로 9석을 확보했다. 지방 선거에서는 스웨덴어 사용 인구가 다수인 지역에서 높은 득표율을 보인다.
핀란드 의회에서 SPP는 소수 정당에 속하지만, 우르호 케코넨 대통령 시기인 1956년 이후 대부분의 기간 동안 연립 정부에 참여해왔다. 예외적으로 라파엘 파시오 제1차 내각(1966~68)에는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 내각은 사회주의 정당들(사회민주당, 노동자 및 소작농 사회민주 연합, 핀란드 인민민주동맹)과 핀란드 중앙당만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단일 정당 소수 정부(미에투넨 내각, 파시오 제2차 내각)나 임시 정부 기간에도 연정에서 제외되었다. 이러한 오랜 연정 참여 역사 때문에 SPP는 스웨덴어 지위 유지라는 핵심 이익만 보장된다면 다른 정책에는 비교적 유연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실제로 바하넨 제1내각이 고등학교 입학 시험에서 스웨덴어를 선택 과목으로 변경했을 때도 SPP는 연정에 잔류했다.
SPP의 장기간에 걸친 연정 참여는 2015년 핀란드 총선 이후 시필래 내각 구성에서 제외되면서 약 40년 만에 야당이 되었다.[18] 그러나 2019년 핀란드 총선 이후 린네 내각에 참여하며 다시 여당이 되었고, 법무장관과 북유럽 협력 및 평등 장관직을 맡았다.[19]
아래는 역대 핀란드 의회 선거 결과이다.
선거 | 득표수 | % | 의석 수 | ± | 정부 참여 여부 |
---|---|---|---|---|---|
1907년 | 112,267 | 12.60 | 24 | 신규 | 야당 |
1908년 | 103,146 | 12.74 | 24 | 0 | 야당 |
1909년 | 104,191 | 12.31 | 25 | +1 | 야당 |
1910년 | 107,121 | 13.53 | 26 | +1 | 야당 |
1911년 | 106,810 | 13.31 | 26 | 0 | 야당 |
1913년 | 94,672 | 13.07 | 25 | -1 | 야당 |
1916년 | 93,555 | 11.76 | 21 | -4 | 야당 |
1917년 | 108,190 | 10.90 | 21 | 0 | 여당 |
1919년 | 116,582 | 12.13 | 22 | +1 | 여당 (1919) |
야당 (1919-1920) | |||||
여당 (1920-1921) | |||||
야당 (1921-1922) | |||||
1922년 | 107,414 | 12.41 | 25 | +3 | 야당 |
1924년 | 105,733 | 12.03 | 23 | -2 | 여당 (1924-1925) |
야당 (1925-1927) | |||||
1927년 | 111,005 | 12.20 | 24 | +1 | 야당 |
1929년 | 108,886 | 11.45 | 23 | -1 | 야당 |
1930년 | 113,318 | 10.03 | 20 | -3 | 여당 |
1933년 | 115,433 | 10.42 | 21 | +1 | 여당 |
1936년 | 131,440 | 11.20 | 21 | 0 | 야당 (1936-1937) |
여당 (1937-1939) | |||||
1939년 | 124,720 | 9.61 | 18 | -3 | 여당 |
1945년 | 134,106 | 7.90 | 14 | -4 | 여당 |
1948년 | 137,981 | 7.34 | 13 | -1 | 야당 (1948-1950) |
여당 (1950-1951) | |||||
1951년 | 130,524 | 7.20 | 14 | +1 | 여당 |
1954년 | 135,768 | 6.76 | 12 | -2 | 여당 (1954) |
야당 (1954-1956) | |||||
여당 (1956-1958) | |||||
1958년 | 126,365 | 6.50 | 13 | +1 | 여당 (1958-1961) |
야당 (1961-1962) | |||||
1962년 | 140,689 | 6.11 | 13 | 0 | 여당 |
1966년 | 134,832 | 5.69 | 11 | -2 | 여당 |
1970년 | 135,465 | 5.34 | 11 | 0 | 여당 |
1972년 | 130,407 | 5.06 | 9 | -2 | 야당 (1972) |
여당 (1972-1975) | |||||
1975년 | 128,211 | 4.66 | 9 | 0 | 여당 |
1979년 | 122,418 | 4.23 | 9 | 0 | 여당 |
1983년 | 137,423 | 4.61 | 10 | +1 | 여당 |
1987년 | 152,597 | 5.30 | 12 | +2 | 여당 |
1991년 | 149,476 | 5.48 | 11 | -1 | 여당 |
1995년 | 142,874 | 5.14 | 11 | 0 | 여당 |
1999년 | 137,330 | 5.12 | 11 | 0 | 여당 |
2003년 | 128,824 | 4.61 | 8 | -3 | 여당 |
2007년 | 126,520 | 4.57 | 9 | +1 | 여당 |
2011년 | 125,785 | 4.28 | 9 | 0 | 여당 |
2015년 | 144,802 | 4.88 | 9 | 0 | 야당 |
2019년 | 139,640 | 4.53 | 9 | 0 | 여당 |
2023년 | 133,318 | 4.31 | 9 | 0 | 여당 |
4. 2. 유럽 의회 선거
wikitext선거 | 득표수 | % | 의석수 | 증감 | 유럽 의회 의원단 |
---|---|---|---|---|---|
1996년 | 129,425 | 5.75 (#6) | 1 / 16 | 신규 | ELDR |
1999년 | 84,153 | 6.77 (#6) | 1 / 16 | 0 | |
2004년 | 94,421 | 5.70 (#6) | 1 / 14 | 0 | ALDE |
2009년 | 101,453 | 6.09 (#6) | 1 / 13 | 0 | |
2014년 | 116,747 | 6.76 (#7) | 1 / 13 | 0 | |
2019년 | 116,033 | 6.34 (#7) | 1 / 13 | 0 | RE |
2024년 | 112,245 | 6.14 (#7) | 1 / 15 | 0 |
4. 3. 대통령 선거
wikitext선거 | 후보 | 1차 투표 | 결선 투표 | 결과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
1994년 | 엘리사베트 레른(Elisabeth Rehn) | 702,211 | 22.0 (#2) | 1,476,294 | 46.1 (#2) | 낙선 |
2000년 | 241,877 | 7.9 (#4) | 결선 진출 못함 | 낙선 | ||
2006년 | 헨리크 락스(Henrik Lax) | 48,703 | 1.6 (#7) | 결선 진출 못함 | 낙선 | |
2012년 | 에바 비오데(Eva Biaudet) | 82,598 | 2.7 (#7) | 결선 진출 못함 | 낙선 | |
2018년[20] | 닐스 토르발즈(Nils Torvalds) | 44,776 | 1.5 (#8) | 결선 진출 못함 | 낙선 | |
2024년[21] | 출마하지 않음 |
4. 4. 올란드 제도
핀란드 의회에서 올란드 대표는 당적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스웨덴인당(SPP) 의회 그룹에 포함된다. 올란드의 정당은 본토의 정당과는 별개이지만, 스웨덴어 문제에 대한 공통된 관심으로 인해 국가 정치에 관한 한 스웨덴인당 그룹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http://www.sfp.fi/sv[...]
2016-08-04
[2]
웹사이트
Markus Blomquist ny ordförande för SFP i Åbo
https://news.abounde[...]
2019-02-14
[3]
서적
Scandinavian Politics Today
https://archive.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
서적
Nordic Moral Climates: Value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Denmark, Finland, Norway, and Sweden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5]
서적
Constitutional Law of 15 EU Member States
https://books.google[...]
Kluwer
[6]
서적
Transition to Democracy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Springer
[7]
웹사이트
Finland
http://parties-and-e[...]
2019-04-15
[8]
서적
Equal Democracies?: Gender and Politics in the Nordic Countries
https://books.google[...]
Nordic Council of Ministers
[9]
학술지
Out and Elected: Political Careers of Openly Gay and Lesbian Politicians in Germany and Finland
2016-05-01
[10]
서적
Riding the populist wave: Europe's mainstream right in crisi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1]
서적
Origin, Ideology and Trans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East-Central and Western Europe Compared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12]
서적
The Nordic Countries: Compromise and Corporatism in the Welfare 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웹사이트
Finland MPs vote to keep Swedish in schools
https://www.thelocal[...]
2021-12-21
[14]
웹사이트
SFP:s Riksdag ValsProgram 2019
https://sfp.fi/polit[...]
2019-04-18
[15]
웹사이트
Biografiskt lexikon för Finland: Federley, Alex
http://www.blf.fi/ar[...]
2016-11-10
[16]
웹사이트
Swedish People's Party elects Adlercreutz as new chair after Wickström drops out of race
https://yle.fi/a/74-[...]
yle.fi
2024-06-16
[17]
웹사이트
Tilastokeskus - Population
http://www.stat.fi/t[...]
Stat.fi
2013-12-23
[18]
뉴스
Perusporvarihallitus on Juha Sipilän valinta
http://www.hs.fi/kot[...]
2015-05-08
[19]
웹사이트
Government of Prime Minister Rinne appointed
https://valtioneuvos[...]
[20]
웹사이트
Presidential election 2018 / Results / Whole country
https://tulospalvelu[...]
2018-06-11
[21]
웹사이트
SFP ställer inte upp kandidat i presidentvalet – men stöder inte heller Stubb
https://svenska.yle.[...]
2023-09-07
[22]
뉴스
RKP on nyt virallisesti Nato-puolue
http://yle.fi/uutise[...]
Yle
2016-06-12
[23]
뉴스
Perussuomalaisilla hurja tahti: "Jäseniä tulee ovista ja ikkunoista"
http://www.kauppaleh[...]
Kauppalehti
2015-08-16
[24]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http://www.parties-a[...]
2015-08-16
[25]
웹사이트
Population
http://www.stat.fi/t[...]
Statistics Finland
2015-08-16
[26]
뉴스
Perussuomalaisilla hurja tahti: "Jäseniä tulee ovista ja ikkunoista"
http://www.kauppaleh[...]
2011-04-20
[27]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The database about parliamentary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in Europe, by Wolfram Nordsieck
http://www.parties-a[...]
[28]
서적
Origin, Ideology and Trans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East-Central and Western Europe Compared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9]
서적
The Nordic Countries: Compromise and Corporatism in the Welfare 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