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천문연맹의 행성의 정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천문연맹의 행성 정의는 2006년 8월 24일 총회에서 채택되었으며, 태양계의 천체를 행성, 왜행성, 태양계 소천체로 분류하는 세 가지 범주를 정의한다. 행성은 태양을 공전하고,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하며, 궤도 주변을 청소해야 하며, 왜행성은 이 조건 중 궤도 청소를 하지 못하는 천체를 의미한다. 이 정의에 따라 명왕성은 왜행성으로 재분류되었으며, 해왕성 바깥 천체의 새로운 분류인 명왕성형 천체의 원형으로 지정되었다. 이 결정은 과학,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명왕성의 지위 변화는 대중문화에서도 큰 관심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과학 - 2006년 3월 29일 일식
    2006년 3월 29일에 발생한 개기 일식은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가려 브라질에서 시작하여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일부 지역을 지나며, 넓은 지역에서 부분 일식으로 관측되었고 사회적 영향도 있었다.
  • 2006년 과학 - 2006년 9월 22일 일식
    2006년 9월 22일 일식은 2006년 9월 22일에 발생한 금환 일식으로, 사로스 주기 144, 트리토스 주기, 이넥스 주기의 일부이며, 2006년 9월 7일의 부분 월식과 함께 일식 시즌을 이루었다.
  • 행성의 정의 - 중행성
    중행성은 아이작 아시모프가 행성과 소행성의 중간적 특징을 가진 천체를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한 용어로, 현대 천문학에서는 태양을 직접 공전하며 둥근 형태를 유지하지만 궤도 주변 천체를 깨끗하게 치우지 못한 명왕성, 에리스, 하우메아, 마케마케 등을 의미한다.
  • 행성의 정의 - 중수소 융합
    중수소 융합은 중수소 원자핵들이 결합하여 무거운 원자핵을 형성하는 핵융합 반응으로, 원시별의 온도 조절, 갈색 왜성의 에너지 생성, 거대 행성의 특징 결정에 중요하며 헬륨-3, 삼중수소, 헬륨-4, 리튬 동위 원소 등 다양한 핵종을 생성한다.
  • 왜행성 - 명왕성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된 왜소행성으로, 2006년 행성 정의 변경으로 인해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얇은 대기와 5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고, 2015년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이 근접 통과하여 상세 정보를 얻었다.
  • 왜행성 - 세레스 (왜행성)
    세레스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행성과 소행성으로 여겨지다 2006년에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돈 탐사선 탐사 결과 얼음 화산 활동 흔적과 소금물 바다 존재 가능성으로 과학적 관심을 받고 있다.
국제천문연맹의 행성의 정의
IAU 행성 정의
2006년 IAU 총회에서 결정된 행성 정의.
2006년 IAU 총회에서 결정된 행성 정의.
행성 정의 (2006년 국제천문연맹 총회)
천체 종류항성
갈색 왜성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태양계 외 천체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정의한 행성의 조건
1항성 또는 항성 잔해를 공전해야 한다.
2자체 중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구형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
3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청소"해야 한다.
정의 상세 내용
조건 1핵융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질량을 가져야 한다.
조건 2자신의 중력으로 둥근 모양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한다 (정역학적 평형).
마이크 브라운에 따르면 이 기준은 수성과 달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조건 3자신의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청소했어야 한다. 즉, 자신의 궤도에서 지배적인 천체여야 한다.
추가 정보
태양계 외 행성 정의

2. 배경

외행성(파랑)에 대한 카이퍼대 천체(초록)의 위치.


명왕성의 분류에 대한 논쟁은 1801년 1월 1일 세레스의 발견으로 시작됐던 논쟁과 유사했다.[122] 세레스는 발견 이후 화성과 목성 사이의 "잃어버린 행성"으로 발표되었으나, 4년 후 비슷한 크기와 궤도를 가진 천체 2개가 더 발견되면서 이러한 생각에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1851년에는 행성의 수가 23개까지 늘어났으며, 이후 더 많은 천체들이 발견될 것이 예측되자, 이러한 천체를 소행성으로 칭하기 시작했다.[118]

1930년 클라이드 톰보명왕성을 발견하면서 태양계는 9개의 행성과 수천 개의 소행성 및 혜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졌다. 당시 명왕성은 수성보다 클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톰보는 행성 X를 찾던 중 명왕성을 발견했으나, 발견 직후부터 명왕성이 정말 행성 X가 맞는지 의문이 제기되었다.[119]

1978년 명왕성의 위성 카론이 발견되었고, 카론의 공전 주기를 통해 명왕성의 질량을 계산한 결과 예상보다 작았다.[120] 세레스보다는 10배 이상 컸지만, 수성의 25분의 1밖에 되지 않아 가장 작은 행성이었을 뿐만 아니라, 보다도 작았다.

1990년대 들어 명왕성 정도로 먼 거리에 있는 카이퍼대 천체가 발견되기 시작했다.[121] 대부분은 명왕성과 궤도가 비슷해 명왕성족으로 불렸으며, 이 중 명왕성이 제일 컸다. 명왕성의 찌그러지고 기울어진 궤도는 행성치고는 상당히 이상했지만 카이퍼대 천체의 특성과는 잘 부합했다. 이때부터 일부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을 행성으로 칭하지 않기 시작했다.[122][123]

2000년을 시작으로 명왕성과 크기와 궤도가 비슷한 콰오아, 세드나, 에리스가 발견되었고, 비슷한 천체가 다수 발견될 것도 확실했기 때문에, 전부 행성으로 부르거나 명왕성을 재분류해야 함이 명확해졌다. 2006년 에리스의 부피를 최초로 측정한 결과 명왕성보다 약간 큰 것으로 나타났고,[124] "행성"의 지위를 받을 자격이 된다고 간주되었다.[122]

새 행성은 자주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국제천문연맹에는 행성의 정의와 명명에 대한 아무런 장치가 없었다. 세드나의 발견 이후, 2005년 행성의 정의를 논의하기 위해 이완 윌리엄스를 의장으로 하여 19명이 포함된 위원회가 조직되었으며, 행성에 대한 기준 세 가지를 제시했다.[125]

  • 문화적: 많은 사람이 행성이라고 칭함.
  • 구조적: 대기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큼.
  • 역학적: 충분히 커 주변의 다른 천체가 궤도를 떠나도록 유도할 수 있음.

3. 행성 정의 논의 과정



명왕성의 분류에 대한 논쟁은 1801년 1월 1일 세레스 발견으로 시작되었던 논쟁과 비슷하게 반복되었다.[122] 세레스 발견 직후 천문학계는 세레스를 화성과 목성 사이의 "잃어버린 행성"으로 발표했지만, 4년 후 비슷한 크기와 궤도를 가진 천체 2개가 더 발견되면서 이러한 생각에 의문을 갖게 되었다. 1851년에는 행성의 수가 23개까지 늘어났고(현재의 8개와 소행성 15개), 천문학자들은 수백 개가 더 발견될 것이라고 예측했기 때문에, 이러한 천체를 따로 분류하여 행성 대신 소행성으로 부르기 시작했다.[118]

1930년 클라이드 톰보명왕성을 발견하면서 태양계는 9개의 행성과 수천 개의 소행성 및 혜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졌다. 당시 명왕성의 크기는 수성보다 클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톰보는 행성 X의 존재를 믿었던 퍼시벌 로웰이 세웠던 로웰 천문대에서 행성 X를 찾던 중 명왕성을 발견했다. 하지만 발견 직후부터 천문학계에서는 계산을 통해 산출되는 행성 X의 성질과의 차이를 들어 명왕성이 정말 행성 X가 맞는지 의문을 제기했다.[119]

1978년 명왕성의 위성 카론이 발견되었고, 카론의 공전 주기를 측정함으로서 명왕성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었다. 계산 결과 명왕성의 질량은 예상보다 작았는데,[120] 가장 큰 소행성인 세레스보다는 10배 이상 컸지만, 수성의 25분의 1밖에 되지 않아 가장 작은 행성이었을 뿐만 아니라, 보다도 작았다.

1990년대 들어 명왕성 정도로 먼 거리에 있는 카이퍼대 천체가 발견되기 시작했다.[121] 대부분은 명왕성과 궤도가 비슷해 명왕성족으로 불렸으며, 이 중 명왕성이 제일 컸다. 명왕성의 찌그러지고 기울어진 궤도는 행성치고는 상당히 이상했지만 카이퍼대 천체의 특성과는 잘 부합했다. 이 시점에서 천문학자 일부는 명왕성을 행성으로 칭하지 않기 시작했다.[122][123]

2000년을 시작으로 명왕성과 크기와 궤도가 비슷한 천체 3개(콰오아, 세드나, 에리스)가 발견되었고, 비슷한 천체가 다수 발견될 것도 확실했기 때문에, 전부 행성으로 부르거나 명왕성을 재분류해야 함이 명확해졌다. 2006년 에리스의 부피를 최초로 측정한 결과 명왕성보다 약간 큰 것으로 나타났고,[124] 동등히 "행성"의 지위를 받을 자격이 된다고 간주되었다.[122]

새 행성은 자주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국제천문연맹에는 행성의 정의와 명명에 대한 아무런 장치가 없었다. 세드나의 발견 이후, 2005년 행성의 정의를 논의하기 위해 이완 윌리엄스를 의장으로 하여 19명이 포함된 위원회가 조직되었으며, 행성에 대한 기준 세 가지를 제시했다.[125]

이후의 자세한 논의 과정은 #초기 제안, #대안 및 수정, #최종 정의 채택 문단을 참고하라.

3. 1. 초기 제안

명왕성, 카론, 세레스, 지구의 크기 비교.


2005년 국제천문연맹은 행성 정의를 논의하기 위해 이완 윌리엄스를 의장으로 하는 19명의 위원회를 조직했다. 위원회는 행성에 대한 세 가지 기준을 제시했다.[125]

;문화적: 많은 사람이 행성이라고 칭함.

;구조적: 대기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큼.

;역학적: 충분히 커 주변의 다른 천체가 궤도를 떠나도록 유도할 수 있음.

초안을 나타낸 도표.


국제천문연맹은 2006년 8월 16일 정의 제안 원본을 발표했다.[126] 이 제안은 위원회에서 제안했던 조건 3개 중 2개를 느슨하게 따랐다.[126]

이 정의에 따르면, 기존의 9개 이외에도 추가로 3개가 더 인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세레스: 발견 당시에는 행성으로 간주되었으나 이후 소행성으로 취급됨
  • 카론: 명왕성의 위성으로, 명왕성-카론을 이중 행성으로 간주
  • 에리스: 산란원반의 천체


물리적 특성이 자세히 밝혀짐에 따라 위의 12개 이외에 다른 행성이 추가로 추가되었을 수도 있다. 세드나의 발견자인 마이클 E. 브라운은 이 조건을 만족하는 천체가 53개는 있으며, 철저히 조사하면 200개 이상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128]

원본 정의에 따른 12개의 "행성 후보"로, 마지막 3개(베스타, 팔라스, 히기에이아)는 소행성대 천체이다.


이 정의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었던 천체는 다음과 같다.



이중 행성 또한 질량중심이 천체 바깥에 있었다면 이 정의를 만족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의 실제 사례는 명왕성과 카론밖에 없다.[129]

"소행성체"(Minor planet)를 "태양계 소천체"(Small Solar System body)로 대체하고, 새 분류인 명왕성형 천체(Pluton)를 도입하였다.[130] 태양계 소천체는 구형이 아닌 천체를 칭하고, 명왕성형 천체는 공전 주기 200년 이상이고 궤도 경사와 이심률이 큰 행성을 가리키는 용어로 명왕성이 이 분류의 첫 천체였다. 왜행성이라는 용어도 여덟 개의 "고전적 행성"보다 작은 행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아직 국제천문연맹의 공식 사항은 아니었다.[131] 이 정의 제안에 대한 표결은 2006년 8월 24일로 예정되었다.[127]

8월 18일 미국 천문학 협회의 행성과학 부문 위원회는 제안 초안을 승인했다.[133]

국제천문연맹에서 채택되지 않은 결의안 중에서는 정역학적 평형이 이루어지는 시점을 질량 5×1020 kg 이상이나 지름 800 km 이상으로 보자는 내용도 있는데,[131] 이는 암석질인 소행성대 소행성에만 적용되는 사항이며 얼음으로 이루어진 카이퍼대 지역은 이보다 작은 크기에서도 정역학적 평형이 이루어진다는 반론에 부딪혔다.[134]

물리적 성질(구형)을 정의에 포함했다는 점은 천문학계에서 지지를 받았으며, 다른 정의안에서는 인위적인 수치적 제한을 둔 데 비해,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자연적"인 기준을 통해 행성을 정의했다는 점 또한 장점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35]

또한 이 정의안에 따르면 명왕성은 행성의 지위를 유지했는데, 이는 명왕성의 발견자 클라이드 톰보가 미국인이라는 사실로부터 미국 지역에서 특히 지지를 받았다.[136]

3. 2. 대안 및 수정

2006년 8월 18일, 오언 깅거리치는 자신이 받은 서신에서 초안에 대한 찬반 의견이 고르게 나뉘었다고 밝혔다.[142] 같은 날 마이클 브라운은 라디오 프로그램 "Science Friday"에서 이 문제가 "대륙"이라는 단어와 비슷하며, "대륙이라는 단어 자체는 과학적 의미가 없는 문화적인 단어일 뿐이고, 자신은 지질학계에서 대륙이라는 단어의 엄밀한 정의를 부여하려고 하지 않은 것이 잘 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하였다.[141]

초안은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천문학자 필 플래이트와 NCSE 작가 닉 마츠케는 행성이 항성 궤도 바깥으로 밀려나거나 떠돌이 행성처럼 항성 궤도상에서 형성되지 않았다면 행성이라고 부르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했다.[137][138] 또한 이중행성의 정의도 반론이 있었는데, 조석 가속으로 지구-달의 질량중심이 지구 바깥으로 밀려나면 달 또한 행성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이 과정은 태양이 적색거성이 되어 지구와 달 모두 소멸되기까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139][140]

공개 토론에서 8개의 고전적 행성만 남기고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자는 의견이 다수 지지를 얻었다.

3. 3. 최종 정의 채택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행성에 대한 최종 정의가 채택되었다.[47][48] 이 정의에 따르면, 행성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태양 주위를 공전해야 한다.

# 정역학적 평형 상태(거의 둥근 모양)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질량을 가져야 한다.

# 자신의 궤도 주변에서 다른 천체들을 일소해야 한다.

왜행성은 행성과 유사하지만, 세 번째 조건(궤도 주변 천체 일소)을 만족하지 못하는 천체이다.

명왕성은 이 정의에 따라 왜행성으로 재분류되었으며, 해왕성 바깥 천체의 새로운 분류(명왕성형 천체)의 원형이 되었다.[46]

최종 정의 및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47][48]

국제천문연맹은... 태양계 내의 위성을 제외한 행성 및 기타 천체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범주로 정의하기로 결정한다.
(1) 행성[1]은 (a)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이며, (b) 자체 중력이 강체력을 극복하여 유체 정역학적 평형 (거의 둥근) 형태를 가지며, (c) 궤도 주변을 청소한 천체이다.
(2) "왜행성"은 (a)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이며, (b) 자체 중력이 강체력을 극복하여 유체 정역학적 평형 (거의 둥근) 형태를 가지며[2], (c) 궤도 주변을 청소하지 않았고, (d) 위성이 아닌 천체이다.
(3) 위성을 제외하고 태양을 공전하는 기타 모든 천체[3]는 통칭하여 "태양계 소천체"라고 부른다.
[1] 8개의 행성은 다음과 같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국제천문연맹은 또한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명왕성은 위의 정의에 따라 "왜행성"이며 새로운 범주의 해왕성 바깥 천체의 전형으로 인정된다.[1]
[1] 이 범주에 대한 이름을 선택하기 위해 국제천문연맹 절차가 수립될 것이다.



국제천문연맹은 또한 "'행성'과 '왜행성'은 두 개의 별개의 천체 종류"라고 결정했다. 즉, 왜행성은 이름에도 불구하고 행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49]

4. 최종 정의

국제천문연맹(IAU)은 2006년 8월 24일 제26차 총회에서 행성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의결하였다.[157][158]

표결의 결과를 나타낸 도표.


:* (1) 행성[1]은 (a) 태양 궤도를 돌고, (b)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신의 중력으로 강체력을 이겨 정역학적 평형(거의 완벽한 구형)을 이루고, (c) 자신 궤도 인근의 다른 천체를 일소한 천체이다.

:* (2) "왜행성"이란 (a) 태양 궤도를 돌고, (b)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신의 중력으로 강체력을 이겨 정역학적 평형(거의 완벽한 구형)을 이루고,[2] (c) 궤도 인근의 다른 천체를 일소하지 못했으며, (d) 위성이 아닌 천체이다.

:* (3) 위성을 제외한 나머지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들은[3] "태양계 소천체"로 묶어 칭한다.

주석:

:* [1] 8개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다.

:* [2] 국제천문연맹에서는 왜행성과 다른 천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절차를 확립하기로 한다.

:* [3] 이는 현재 태양계 소행성, 해왕성 바깥 천체, 혜성, 기타 소천체를 대부분 포함한다.

국제천문연맹에서는 추가로 결의안 6A로서 다음 사항을 의결하였다.

:* 명왕성은 위 정의에 따라 "왜행성"이며 해왕성 바깥 천체의 새 분류의 원형이다[1].

주석:

:* [1] 이 분류의 이름을 정하기 위한 국제천문연맹의 절차를 확립하기로 한다.

또한 "행성"과 "왜행성"은 서로 다른 두 분류로, 왜행성은 이름에 행성이 있음에도 행성으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사항 또한 의결하였다.[159]

5. 최종안의 논란

명왕성의 분류 논쟁은 1801년 세레스 발견에서 비롯된 논쟁과 유사했다.[122] 세레스는 처음에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잃어버린 행성"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비슷한 천체들이 발견되면서 소행성으로 재분류되었다.[118] 1930년 클라이드 톰보명왕성을 발견했을 때, 명왕성은 수성보다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톰보는 행성 X를 찾던 중 명왕성을 발견했지만, 발견 직후부터 명왕성이 행성 X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19] 1978년 명왕성의 위성 카론 발견으로 명왕성의 질량이 예상보다 작다는 것이 밝혀졌다.[120] 세레스보다는 컸지만, 수성의 25분의 1, 보다는 작았다.

1990년대 카이퍼대 천체가 발견되기 시작했고,[121] 이들 중 다수는 명왕성과 비슷한 궤도를 가진 명왕성족으로 분류되었다. 명왕성은 이들 중 가장 컸지만, 궤도는 행성보다 카이퍼대 천체에 더 가까웠다. 이때부터 일부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을 행성으로 부르지 않았다.[122][123]

2000년 이후 콰오아, 세드나, 에리스 등 명왕성과 비슷한 천체들이 발견되면서, 명왕성 재분류 문제가 제기되었다. 2006년 에리스가 명왕성보다 약간 더 크다는 측정 결과가 나오면서,[124] 에리스도 "행성" 지위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여겨졌다.[122]

국제천문연맹은 행성 정의와 명명에 대한 장치가 없었기에, 2005년 위원회를 조직해 행성 정의를 논의했고, 다음 세 가지 기준을 제시했다.[125]


  • 문화적: 많은 사람이 행성이라고 칭함.
  • 구조적: 대기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큼.
  • 역학적: 주변 천체가 궤도를 떠나도록 유도할 수 있을 만큼 큼.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맹은 다음과 같은 최종 초안을 제안했다.

최종 제안 도표


2006년 8월 16일, 국제천문연맹은 ''원래'' 정의 제안을 발표했다.[14] 이 제안은 위원회가 제시한 세 가지 옵션 중 두 번째를 느슨하게 따른 것으로, 다음 세 천체를 행성으로 추가했다.

  • 세레스: 발견 당시 행성으로 간주, 이후 소행성으로 취급.
  • 카론: 명왕성의 위성. 명왕성-카론은 이중 행성으로 간주.
  • 에리스: 외태양계 산란원반 천체.


2006년 8월 22일, 초안은 두 가지 수정 사항을 거쳤다.[33][34] 첫째는 새 행성 분류 이름의 일반화, 둘째는 이중 행성계 정의 재작성이었다.

같은 날 후반, 두 차례 공개 회의에서 훌리오 앙헬 페르난데스의 안이 지지를 얻으며 명왕성이 "왜행성"으로 분류되고 주요 행성이 8개로 줄어드는 결과가 예상되었다.[40]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맹은 최종 제안된 세 번째 초안 정의를 발표했다.

총회 본회의에서 정의에 대한 투표가 진행되었고, 조슬린 벨 버넬이 의장을 맡았다.[43]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맹 총회 본회의 투표 장면


국제천문연맹 집행위원회는 4개의 결의안을 제출했다.[45]

  • ''결의안 5A'': 정의 자체.
  • ''결의안 5B'': ''행성'' 앞에 ''고전적'' 삽입.
  • ''결의안 6A'': 명왕성 관련 진술.
  • ''결의안 6B'': 6A에 문장 추가.


2006년 8월 24일, 제26차 총회 결의안 5A에 따라 최종 정의가 통과되었다.[47][48]

국제천문연맹은 또한 명왕성을 "왜행성"이자 새로운 해왕성 바깥 천체 범주의 전형으로 인정한다고 결정했다.

최종 정의는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필 플래이트와 NCSE 작가 닉 마츠케는 별에서 튕겨 나가거나 항성계와 무관하게 형성된 천체는 행성으로 부를 수 없다고 지적했다.[82][83] 행성과 갈색 왜성의 구분, 이중 행성 정의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5. 1. 내용 관련 논란

앨런 스턴(뉴 호라이즌스 프로젝트 수석 과학자)은 지구, 화성, 목성, 해왕성명왕성과 마찬가지로 궤도 구역을 완전히 청소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최종 정의를 비판했다.[50] 지구는 10,000개의 지구 근접 천체와 함께 공전하며, 목성은 궤도상에 100,000개의 트로이 소행성을 동반한다. 스턴은 "해왕성이 자신의 구역을 청소했다면 명왕성은 거기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50]

이에 대해 다른 과학자들은 주요 행성이 궤도를 청소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궤도 구역 내의 다른 천체들의 궤도를 완전히 통제한다고 반박한다.[51] 목성은 궤도 내에 많은 수의 소천체 (트로이 소행성)와 공존하지만, 이러한 천체들은 목성의 거대한 중력 때문에 존재한다. 지구는 수백만 년에 걸쳐 지구 근접 소행성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며 궤도를 청소한다. 명왕성은 해왕성의 궤도를 교차할 수 있지만, 해왕성은 오래전에 명왕성과 플루티노들을 3:2 공명(해왕성이 세 번 공전할 때 명왕성은 두 번 공전)에 고정시켰다. 이 천체들의 궤도는 해왕성의 중력에 의해 결정되므로, 해왕성이 중력적으로 지배적이다.[51]

2008년 6월 11일, 국제천문연맹(IAU)은 해왕성 바깥 궤도를 도는 왜행성의 하위 범주를 "명왕성형 천체(plutoid)"로 지칭한다고 발표했다.[52] 이 하위 범주에는 명왕성,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가 포함된다.

이 정의의 일부는 태양계 밖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외계 행성 식별 기술은 천체가 "궤도를 청소했는지" 여부를 직접 판단할 수 없고, 궤도 청소 기준을 통해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뿐이다.[53] 2006년 정의는 "태양"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태양 중심적이며, "별" 또는 쌍성 대신 사용되었기 때문에, 다른 별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에는 적용할 수 없다. 그러나 2003년 IAU 실무 그룹은 외계 행성에 대한 별도의 "실무" 정의를 권고했으며,[54] 여기에는 "외계 천체가 행성으로 간주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질량/크기는 태양계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해야 한다"는 기준이 포함되어 있다.

5. 2. 절차 관련 논란

국제천문연맹의 최종 결정은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우선, 투표 참여율이 매우 저조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10일간의 행사 마지막 날에 투표가 진행되어 이미 많은 회원이 떠났거나 떠날 준비를 하고 있었고, 프라하 총회에 참석하지 못한 대다수 회원은 투표에 참여할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160] 최종 투표에는 424명만이 참여했는데, 이는 전체 회원의 5%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였다.[160]

하지만 이러한 비판에 대한 반론도 제기되었다. 9000명 중 400명 정도를 추출하는 것은 통계학적으로 충분히 유의미하며, 신뢰구간 5% 내로 정확도가 높은 편이라는 주장이었다.[165]

한편, 행성과학 연구에 종사하는 사람만이 투표에 참여해야 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66] 이는 행성의 정의와 같이 전문적인 문제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6. 영향

국제천문연맹의 행성 정의는 천문학 관련 산업에 영향을 주었다.[167] 2006년 이후 출판된 교육 서적 대부분은 이 정의를 포함했으며, 월드북백과사전의 2007년 판은 결정이 내려지기 전까지 인쇄를 보류했다.[167] 점성술에서도 이 정의에 의한 변경점을 반영할지에 대한 혼란이 있었다.[168]

1801년 세레스 발견 당시 천문학자들은 세레스를 화성과 목성 사이의 "잃어버린 행성"이라고 불렀으나, 이후 비슷한 천체들이 계속 발견되면서 소행성으로 재분류되었다. 이는 1930년 클라이드 톰보명왕성 발견 이후, 1990년대 카이퍼 벨트 천체 발견과 2006년 에리스 발견으로 이어진 명왕성의 행성 지위 논쟁과 유사한 과정을 거쳤다.[10]

명왕성은 처음에는 수성보다 큰 것으로 여겨졌으나, 1978년 위성 카론 발견으로 실제 질량이 훨씬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63] 1990년대부터 카이퍼 벨트 천체들이 발견되면서,[64] 명왕성은 이들 중 가장 큰 천체로 여겨졌고, 일부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을 행성으로 부르지 않았다.[65] 2000년 이후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의 천체들이 발견되면서, 2006년 에리스가 명왕성보다 약간 더 큰 것으로 밝혀지자 행성 지위에 대한 논쟁이 심화되었다.[65]

이러한 재정의는 천문학 관련 완구 및 상품 산업과 교육 서적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월드 북 백과사전'' 2007년 판 인쇄를 보류시킬 정도로 중요했다.[110]

6. 1. 과학 및 교육

국제천문연맹의 새로운 행성 정의는 천문학계뿐만 아니라 교육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006년 이후 출판된 대부분의 교육 서적은 이 정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월드북백과사전의 2007년 판은 이 결정이 내려지기 전까지 인쇄를 보류하기도 했다.[167]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도 새로운 행성 정의가 반영되었다. 과거에는 명왕성을 행성으로 가르쳤지만, 새로운 정의에 따라 왜행성으로 분류하고 태양계의 구성 천체에 대한 내용을 수정하여 교육하고 있다.

새로운 행성 정의는 점성술에도 영향을 미쳐, 점성술사들 사이에서 이 정의에 의한 변경점을 반영할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168]

6. 2. 문화

2006년 국제천문연맹명왕성 행성 지위 변경 결정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 방언학회는 2006년 올해의 단어로 'plutoed'를 선정하였으며, 'pluto'를 "2006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행성의 정의를 충족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명왕성에게 일어난 일처럼, 누군가 또는 무엇인가를 강등 또는 평가절하하는 행위"로 정의하였다.[169][170] 학회 대표인 클리블랜드 에반스는 'plutoed'의 선택 이유에 대해, "우리 학회 회원들은 명왕성의 좌천에 대해 대중이 보여준 반응이 명왕성이라는 이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하며, 우리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플루톤은 더 이상 믿지 않지만 과거 행성 명왕성과는 감정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171]

이러한 변화를 기념하는 여러 음악 작품들이 등장했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 "Planet X" (1996) - 크리스틴 라빈의 노래.
  • "Pluto" (1998) - 2 스키니 J's의 노래.
  • "I'm Your Moon" (2006) - 조나단 콜튼의 팟캐스트 ''Thing a Week''에 수록된 곡.
  • "Bring Back Pluto" (2007) - 에이솝 락의 앨범 ''None Shall Pass'' 수록곡.
  • "Pluto" (2009) - 로비 풀크스의 "50-vc. Doberman" 수록곡.
  • "134340 Pluto" (2014) - Cojum Dip의 노래.
  • "Ode to Pluto" - 테라 루미나의 데뷔 앨범 마지막 트랙.
  • "The Lonesome Friends of Science" (2018) - 존 프라임의 ''The Tree of Forgiveness'' 수록곡.
  • "134340" (2018) - 방탄소년단의 앨범 ''Love Yourself: Tear'' 수록곡.
  • "H.S" (2023) - 톰 카디의 노래.

6. 3. 점성술

국제천문연맹의 새로운 행성 정의를 점성술계에서 반영할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168]

7. 한국의 관점

명왕성의 행성 지위 변화에 대한 대한민국 내 관심은 높았으며, 관련 뉴스 보도와 과학 기사가 많이 나왔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새로운 행성 정의가 반영되어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태양계 구성에 대한 내용이 수정되었다.

명왕성 퇴출에 대한 대중의 정서는 복합적이었다. 과학적 사실을 받아들이는 입장과 함께, 어린 시절부터 행성으로 배워온 명왕성에 대한 애착과 아쉬움을 표하는 의견도 있었다. 일부 과학자들은 행성 정의 논쟁을 통해 과학적 개념이 고정불변이 아니라 새로운 발견과 논의를 통해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교육적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조

[1] 문서 Exoplanet
[2] 트윗 The real answer here is to not get too hung up on definitions, which I admit is hard when the IAU tries to make them sound official and clear, but, really, we all understand the intent of the hydrostatic equilibrium point, and the intent is clearly to include Mercury & the moon
[3] 서적 'Mercury: The View after MESSENG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4] 웹사이트 Official Working Definition of an Exoplanet https://www.iau.org/[...] 2020-11-29
[5] 논문 The IAU working definition of an exoplanet https://linkinghub.e[...] 2022-06
[6] 논문 What Is a Planet? http://www.sciam.com[...] 2007-01-11
[7] 간행물 The Demotion of Pluto https://archive.org/[...] 1956-08
[8] 논문 Orbits and Photometry of Pluto's Satellites: Charon, S/2005 P1, and S/2005 P2
[9] 웹사이트 Much Ado about Pluto http://www.plutopeti[...] 2008-01-25
[10] 논문 Planetesimals to Brown Dwarfs: What is a Planet? http://www.gps.calte[...] 2008-08-04
[11] 웹사이트 Pluto at 75: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 http://www.space.com[...]
[12] 문서 Prospect 2007-05
[13] 문서 op. cit.
[14] 보도자료 The IAU draft definition of "planet" and "plutons"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08-08-16
[15] 뉴스 Nine no longer: Panel declares 12 planets http://www.boston.co[...] 2006-08-16
[16] 웹사이트 How Many Planets Are There? http://www.gps.calte[...] 2006-08-16
[17] 웹사이트 Nine Planets Become 12 with Controversial New Definition http://www.space.com[...] 2006-08-16
[18] 웹사이트 Draft Resolution 5 for GA-XXVI: 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iau2006.o[...] 2006-08-16
[19] 웹사이트 Planet Definition" Questions & Answers Sheet http://www.iau2006.o[...] 2006-08-16
[20] 웹사이트 Planetary Scientists Support Proposed Re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spacedail[...] 2006-08-19
[21] 학회자료 Saturn's Mysterious Arc-Embedded Moons: Recycled Fluff? http://www.lpi.usra.[...] 2013-05-21
[22] 웹사이트 Saturn's egg moon Methone is made of fluff https://www.newscien[...] 2013-05-21
[23] 논문 The Mutual Orbit, Mass, and Density of Transneptunian Binary Gǃkúnǁʼhòmdímà ({{mp|(229762) 2007 UK|126}}) http://www2.lowell.e[...]
[24] 웹사이트 Nine Planets Become 12 with Controversial New Definition http://www.space.com[...] 2006-08-19
[25] 웹사이트 The Flap over Pluto http://www.infopleas[...] 2006-08-19
[26]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It's a planet! http://blogs.discove[...] 2006-08-18
[27] 웹사이트 Wherein I argue emotionally about the definition of "planet" http://www.pandasthu[...] 2006-08-18
[28] 웹사이트 Moon Mechanics: What Really Makes Our World Go 'Round http://www.space.com[...] 2010-08-24
[29] 뉴스 Earth's moon could become a planet http://edition.cnn.c[...] 2006
[30] 웹사이트 Pluto's Planet Status / String Theory http://www.sciencefr[...] National Public Radio 2006-08-22
[31] 웹사이트 Pluto May Get Demoted After All http://www.space.com[...] Space.com 2006-08-24
[32] 웹사이트 Details Emerge on Plan to Demote Pluto http://www.space.com[...] 2006-08-18
[33] 웹사이트 The IAU Committee Presents Today in Prague the new Proposals for the Definition of Planet http://kuffner-stern[...] 2008-08-04
[34] 웹사이트 The IAU's Definition of Planet develops further – Draft c http://kuffner-stern[...] 2008-08-04
[35] 웹사이트 Star-gazers puzzled by Pluto http://www.iol.co.za[...] 2006-08-18
[36] 웹사이트 Geologists Force Astronomers To Rethink Pluto Plan http://www.playfuls.[...] 2006
[37] 웹사이트 Planet, pluton or rock? http://www.pasadenas[...] 2006
[38] 논문 Plutons, planets and dwarves : Geologists and astronomers wrangle over words http://www.nature.co[...] 2006-08-21
[39]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It's a planet! http://blogs.discove[...] 2006-08-15
[40] 뉴스 Pluto Seems Poised to Lose Its Planet Status https://www.nytimes.[...] 2006-08-22
[41] 뉴스 Astronomers divided over 'planet' definition http://science.monst[...] Deutsche Presse-Agentur 2006-08-22
[42] 뉴스 The Day We Lost Pluto http://skytonight.co[...] Sky & Telescope 2006-08-22
[43] 뉴스 Diary of a planet's demise https://www.nature.c[...] Nature 2008-08-24
[44] 뉴스 Pluto in perspective https://www.ocregist[...] Orange County Register 2006-09-01
[45] 간행물 IAU General Assembly Newspaper, 24 August 2006 http://astro.cas.cz/[...]
[46] 웹사이트 IAU General Assembly Newspaper, 25 August 2006 http://astro.cas.cz/[...] 2014-07-03
[47] 뉴스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5 and 6 http://www.iau.org/s[...] IAU 2006-08-24
[48] 간행물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ult of the IAU Resolution votes http://www.iau.org/n[...] IAU (News Release – IAU0603) 2006-08-24
[49] 간행물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ult of the IAU Resolution votes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News Release – IAU0603) 2006-08-24
[50] 뉴스 Pluto vote 'hijacked' in revolt http://news.bbc.co.u[...] BBC 2006-08-25
[51] 웹사이트 The Eight Planets http://www.gps.calte[...] 2006
[52] 간행물 Plutoid chosen as name for Solar System objects like Pluto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News Release – IAU0804) 2008-06-11
[53] 논문 Definition of a planet
[54] 웹사이트 Position statement on the 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dtm.ciw.e[...] 2003-02-28
[55] 웹사이트 What makes a planet? http://www2.ess.ucla[...] 2006
[56] 웹사이트 A Passion For Pluto http://www.thenation[...] thenation.com
[57] 뉴스 Pluto is demoted to 'dwarf planet' https://www.nytimes.[...] 2006-08-24
[58] 웹사이트 Korean Scientists Commend BTS For Integration Science On "134340" https://www.hellokpo[...] 2018-09-03
[59] 웹사이트 H.S https://www.youtube.[...] 2023-09-06
[60] 웹사이트 "Plutoed" Voted 2006 Word of the Year http://www.americand[...] American Dialect Society 2007-01-05
[61] 뉴스 Pluto's revenge: 'Word of the Year' award http://www.cnn.com/2[...] CNN 2007-01-07
[62] 뉴스 'Plutoed' chosen as '06 Word of the Year https://www.nbcnews.[...] 2007-01-08
[63] 문서 Orbits and photometry of Pluto's satellites: Charon, S/2005 P1 and S/2005 P2 https://arxiv.org/ab[...]
[64] 웹사이트 Much Ado about Pluto http://www.plutopeti[...]
[65] 논문 Planetesimals to Brown Dwarfs: What is a Planet? http://www.gp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66] 웹사이트 Pluto at 75: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 http://www.space.com[...]
[67] 논문 What Is a Planet? http://www.sciam.com[...]
[68] 문서 Stephen Eales, ''Prospect'', p.p.31-34 (May 2007)
[69] 문서 Eales, ''op. cit.''
[70] 간행물 The IAU draft definition of "planet" and "plutons"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06-08-16
[71] 뉴스 Nine no longer: Panel declares 12 planets http://www.boston.co[...] 2006-08-16
[72] 웹사이트 How Many Planets Are There? http://www.gps.calte[...] 2006-08-16
[73] 웹사이트 Nine Planets Become 12 with Controversial New Definition http://www.space.com[...] 2006-08-16
[74] 웹사이트 Draft Resolution 5 for GA-XXVI: 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iau2006.o[...] 2006-08-16
[75] 웹사이트 Planet Definition" Questions & Answers Sheet http://www.iau2006.o[...] 2006-08-16
[76] 웹사이트 Planetary Scientists Support Proposed Re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spacedail[...] 2006-08-19
[77] 웹사이트 New Planets http://www.gps.calte[...] 2006-08-22
[78] 간행물 Saturn's Mysterious Arc-Embedded Moons: Recycled Fluff? http://www.lpi.usra.[...] 2013
[79] 웹사이트 Saturn's egg moon Methone is made of fluff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13-05-17
[80] 웹사이트 Nine Planets Become 12 with Controversial New Definition http://www.space.com[...] 2006-08-19
[81] 웹사이트 The Flap over Pluto http://www.infopleas[...] 2006-08-19
[82]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It's a planet! http://blogs.discove[...] 2006-08-18
[83] 웹사이트 Wherein I argue emotionally about the definition of "planet" http://www.pandasthu[...] 2006-08-18
[84] 웹사이트 Moon Mechanics: What Really Makes Our World Go 'Round http://www.space.com[...] 2010-08-24
[85] 뉴스 Earth's moon could become a planet https://edition.cnn.[...]
[86] 웹사이트 Pluto's Planet Status / String Theory http://www.sciencefr[...] National Public Radio 2006-08-18
[87] 웹사이트 Pluto May Get Demoted After All http://www.space.com[...] Space.com 2006-08-18
[88] 웹사이트 Details Emerge on Plan to Demote Pluto http://www.space.com[...] 2006-08-18
[89] 웹사이트 The IAU Committee Presents Today in Prague the new Proposals for the Definition of Planet http://kuffner-stern[...] 2006-08-22
[90] 웹사이트 The IAU's Definition of Planet develops further - Draft c http://kuffner-stern[...] 2006-08-23
[91] 웹사이트 Geologists Force Astronomers To Rethink Pluto Plan http://www.playfuls.[...] 2006-08-18
[92] 웹사이트 Planet, pluton or rock? http://www.pasadenas[...] 2006-08-20
[93] 웹사이트 Star-gazers puzzled by Pluto http://www.iol.co.za[...] 2006-08-18
[94] 웹사이트 Plutons, planets and dwarves : Geologists and astronomers wrangle over words. http://www.nature.co[...] 2006-08-21
[95]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It's a planet! http://blogs.discove[...] 2006-08-15
[96] 뉴스 Pluto Seems Poised to Lose Its Planet Status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06-08-22
[97] 뉴스 Astronomers divided over 'planet' definition http://science.monst[...] Deutsche Presse-Agentur 2006-08-22
[98] 뉴스 The Day We Lost Pluto http://skytonight.co[...] Sky & Telescope 2006-08-22
[99] 문서 IAU General Assembly Welcome page http://www.astronomy[...] 2006-08-24
[100] 문서 IAU General Assembly Newspaper, 24 August 2006 http://astro.cas.cz/[...]
[101] 웹사이트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ult of the IAU Resolution votes http://www.iau.org/i[...] 2007-01-02
[102] 뉴스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5 and 6 http://www.iau.org/s[...] IAU 2006-08-24
[103] 보도자료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ult of the IAU Resolution votes http://www.iau.org/p[...] IAU (News Release - IAU0603) 2006-08-24
[104] 보도자료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ult of the IAU Resolution votes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News Release - IAU0603) 2006-08-24
[105] 뉴스 Pluto vote 'hijacked' in revolt http://news.bbc.co.u[...] BBC 2006-08-25
[106] 웹사이트 The Eight Planets http://www.gps.calte[...] 2007-02-21
[107] 웹사이트 Position statement on the 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dtm.ciw.e[...] 2003-02-28
[108] 웹사이트 What makes a planet? http://www2.ess.ucla[...] 2013-08-28
[109] 웹사이트 A Passion For Pluto http://www.thenation[...] thenation.com 2006-09-13
[110] 뉴스 Pluto is demoted to ‘dwarf planet’ http://www.nytimes.c[...] 2006-08-24
[111] 웹사이트 Pluto's demotion divides astrologers, troubles Scorpios http://www.planetwav[...] 2006-08-25
[112] 웹사이트 "Plutoed" Voted 2006 Word of the Year http://www.americand[...] American Dialect Society 2007-01-05
[113] 뉴스 Pluto's revenge: 'Word of the Year' award https://edition.cnn.[...] CNN 2007-01-07
[114] 뉴스 'Plutoed' chosen as '06 Word of the Year http://www.msnbc.msn[...] 2007-01-08
[115] 보도자료 Plutoid chosen as name for Solar System objects like Pluto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News Release - IAU0804) 2008-06-11
[116] 저널 Working Group on Extrasolar Planets
[117] 저널 A Quantitative Criterion for Defining Planets 2015-10-15
[118] 저널 What Is a Planet? http://www.sciam.com[...] 2007-01-11
[119] 잡지 The Demotion of Pluto https://archive.org/[...] 1956-08
[120] 저널 Orbits and Photometry of Pluto's Satellites: Charon, S/2005 P1, and S/2005 P2 https://archive.org/[...]
[121] 웹사이트 Much Ado about Pluto http://www.plutopeti[...] 2008-01-25
[122] 저널 Planetesimals to Brown Dwarfs: What is a Planet? http://www.gps.calte[...] 2006
[123] 웹사이트 Pluto at 75: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 http://www.space.com[...]
[124] 문서 2015년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의 측정 결과 명왕성이 에리스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 이전에는 에리스가 더 큰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125] 문서 Stephen Eales, ''Prospect'', p.p.31-34 (May 2007) 2007-05
[126] 보도자료 The IAU draft definition of "planet" and "plutons"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06-08-16
[127] 뉴스 Nine no longer: Panel declares 12 planets http://www.boston.co[...] 2006-08-16
[128] 웹인용 How Many Planets Are There? http://www.gps.calte[...] 2006
[129] 웹인용 Nine Planets Become 12 with Controversial New Definition http://www.space.com[...] 2006
[130] 문서 번역명은 명왕성형 천체로 같지만, 용어가 제안된 시점에 따라 Pluton, Plutonian object, Plutoid의 3개로 나뉜다. 최종적으로 확정된 명칭은 Plutoid이다.
[131] 웹인용 Draft Resolution 5 for GA-XXVI: 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iau2006.o[...] 2006
[132] 웹인용 Planet Definition" Questions & Answers Sheet http://www.iau2006.o[...] 2006
[133] 웹인용 Planetary Scientists Support Proposed Re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spacedail[...] 2006
[134] 웹인용 New Planets http://www.gps.calte[...] 2006
[135] 웹인용 Nine Planets Become 12 with Controversial New Definition http://www.space.com[...] 2006
[136] 웹인용 The Flap over Pluto http://www.infopleas[...] 2006
[137] 웹인용 Congratulations! It's a planet! http://blogs.discove[...] 2006
[138] 웹인용 Wherein I argue emotionally about the definition of "planet" http://www.pandasthu[...] 2006-08-18
[139] 웹인용 Moon Mechanics: What Really Makes Our World Go 'Round http://www.space.com[...] 2006
[140] 뉴스 Earth's moon could become a planet http://edition.cnn.c[...] 2006
[141] 웹인용 Pluto's Planet Status / String Theory http://www.sciencefr[...] National Public Radio 2006-08-22
[142] 웹인용 Pluto May Get Demoted After All http://www.space.com[...] Space.com 2006-08-24
[143] 웹인용 Details Emerge on Plan to Demote Pluto http://www.space.com[...] 2006-08-18
[144] 웹인용 The IAU Committee Presents Today in Prague the new Proposals for the Definition of Planet http://kuffner-stern[...] 2008-08-04
[145] 웹인용 The IAU's Definition of Planet develops further - Draft c http://kuffner-stern[...] 2008-08-04
[146] 웹인용 Geologists Force Astronomers To Rethink Pluto Plan http://www.playfuls.[...] 2006-08-18
[147] 웹인용 Planet, pluton or rock? http://www.pasadenas[...] 2006-08-20
[148] 저널 Plutons, planets and dwarves : Geologists and astronomers wrangle over words http://www.nature.co[...] 2006-08-21
[149] 웹인용 Star-gazers puzzled by Pluto http://www.iol.co.za[...] 2006-08-18
[150] 웹인용 Congratulations! It's a planet! http://blogs.discove[...] 2006-08-15
[151] 뉴스 Pluto Seems Poised to Lose Its Planet Status https://www.nytimes.[...] 2006-08-22
[152] 뉴스 Astronomers divided over 'planet' definition http://science.monst[...] Deutsche Presse-Agentur 2006-08-22
[153] 뉴스 Diary of a planet's demise https://www.nature.c[...] Nature 2008-08-24
[154] 뉴스 Pluto in perspective https://www.ocregist[...] Orange County Register 2006-09-01
[155] 간행물 IAU General Assembly Newspaper, 24 August 2006 http://astro.cas.cz/[...]
[156] 웹인용 IAU General Assembly Newspaper, 25 August 2006 http://astro.cas.cz/[...] 2014-07-03
[157] 뉴스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5 and 6 http://www.iau.org/s[...] IAU 2006-08-24
[158] 보도자료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ult of the IAU Resolution votes http://www.iau.org/n[...] IAU (News Release - IAU0603) 2008-08-04
[159] 보도자료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ult of the IAU Resolution votes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News Release - IAU0603) 2007-12-31
[160] 뉴스 Pluto vote 'hijacked' in revolt http://news.bbc.co.u[...] BBC 2006-08-25
[161] 웹인용 The Eight Planets http://www.gps.calte[...] 2007-02-21
[162] 보도자료 Plutoid chosen as name for Solar System objects like Pluto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News Release - IAU0804) 2008-06-11
[163] 저널 Definition of a planet
[164] 웹인용 Position statement on the Definition of a "Planet" http://www.dtm.ciw.e[...] 2003-02-28
[165] 웹인용 What makes a planet? http://www2.ess.ucla[...] 2013-08-28
[166] 웹인용 A Passion For Pluto http://www.thenation[...] thenation.com 2006-09-13
[167] 뉴스 Pluto is demoted to 'dwarf planet' https://www.nytimes.[...] 2006-08-27
[168] 웹인용 Pluto's demotion divides astrologers, troubles Scorpios http://www.planetwav[...] 2006-08-27
[169] 웹인용 "Plutoed" Voted 2006 Word of the Year http://www.americand[...] American Dialect Society 2007-01-07
[170] 뉴스 Pluto's revenge: 'Word of the Year' award http://www.cnn.com/2[...] CNN 2007-01-07
[171] 뉴스 'Plutoed' chosen as '06 Word of the Year http://www.nbcnews.c[...] 2007-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