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종은 군대 내 부서 또는 구분으로, 담당 영역, 기능, 지휘, 명령, 전력 정비 등을 기준으로 나뉜다. 전통적으로 육군과 해군이 기본이었으나, 항공기 발달로 공군이 창설되어 3군 체제가 일반화되었다. 최근에는 우주군, 사이버군 등 새로운 군종이 등장하고 있으며, 헌병을 독립 군종으로 두는 경우도 있다. 현대전에서는 복수 군종으로 구성된 통합군에 의한 합동 작전이 중요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종 | |
|---|---|
| 개요 | |
| 유형 | 군대 |
| 역할 | 국가 방어, 질서 유지 (경찰의 역할과 유사) |
| 규모 | 국가마다 상이 |
| 구성 |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일부 국가) |
| 조직 | |
| 지휘 체계 | 국가 원수 (통수권자)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또는 유사 조직 |
| 병력 구성 | 장교 부사관 병 |
| 장비 | |
| 육군 | 소화기 전차 장갑차 야포 |
| 해군 | 군함 잠수함 항공기 |
| 공군 | 전투기 폭격기 수송기 헬리콥터 |
| 군사 문화 | |
| 복장 | 군복 |
| 계급 | 계급 |
| 훈련 | 군사 훈련 |
| 사상 | 군사 사상 |
| 법률 및 규정 | |
| 군법 | 군법 |
| 국제법 | 전쟁법 |
2. 군종의 유형
군종은 담당 영역, 기능, 지휘·명령, 전력 정비 등의 편의상 군대 내에 설치된 최상위 부서·구분이다. 군종은 NATO 표준에 따라 군의 병과, 통합된 부대의 운용 또는 군의 일부를 지칭하며, 군, 군사 서비스 또는 무장 서비스보다 하위 수준이다.[2]
전통적으로 육군과 해군의 2군종으로 구성되었으나, 항공기의 기술적 발달에 따라 육·해군의 일부 부대로 존재하던 "항공대"가 모체가 되어 "공군"이 탄생했다. 이에 따라 육군·해군·공군의 3군종이 기본이 되었다. 과거 소비에트 연방에는 공군 외에 방공 목적의 방공군이 설치되었으며, 구 동구권 국가에서도 방공군 편성이 보였다.
기술 진화와 인공위성의 이용 촉진 및 중요도 증가에 따라 "우주군" 등이 최근 설립되고 있다. 헌병을 독립 군종으로 하는 나라도 있다. 테러리스트나 적국과의 사이버전에 대비하기 위해 사이버군을 독립 군종으로 신설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현대전에서의 작전 행동 시, 군종별로는 폐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군종으로 편성된 통합군·통합부대에 의한 합동 작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2. 1. 전통적인 군종
| 유형 | 역할 | 예시 |
|---|---|---|
| 항공 및 우주군 | 공중전 및 우주전 | 프랑스 항공우주군 |
| 공수부대 | 강하병 작전 | 러시아 공수군 |
| 방공군 | 대공 방어 및 미사일 방어 | 이집트 방공군 |
| 공군 | 공중전 | |
| 육군 | 지상전 | |
| 국경 경비대 | 국경 보안 | 베트남 국경 경비대 |
| 해안 경비대 | 해상 보안 | 미국 해안 경비대 |
| 지휘통제 | 정찰, 통신, 감시, 정보전 | 중국 인민해방군 정보지원부대 |
| 사이버군 | 사이버전 | 싱가포르 디지털 및 정보 서비스 |
| 비상 서비스 | 재난 구호 및 비상 관리 | 스페인 군 비상 부대 |
| 공병 부대 | 군사 공학 | 몽골 건설 및 공병 부대 |
| 헌병 | 군사 및/또는 공공 치안 | 프랑스 국가 헌병대 |
| 참모 | 지휘통제 | 베네수엘라 전략사령부 작전 |
| 병참 서비스 | 군사 병참 | 독일 합동 지원 부대 |
| 해병대 | 해군 지상군 | 미국 해병대 |
| 의무 서비스 | 의료 서비스 | 벨기에 의료 병과 |
| 군사 경찰 | 군사 법 집행 기관 | 중화민국 헌병 |
| 예비군 | 국가 예비 및 보조 서비스 | 리투아니아 국방 의용군 |
| 해군 | 해상전 | |
| 전략 로켓군 | 육상 기반 전략 미사일 운용 |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
| 왕실/대통령 경호대 | 왕족/대통령 사무실 보호 및 의장대 임무 | 사우디 왕립 근위 연대 / 알제리 공화국 근위대 |
| 우주군 | 우주전 | 미국 우주군 |
| 특수 부대 | 특수 작전 | 폴란드 특수 부대 |
| 무인 시스템 부대 | 드론전 (일반적으로) | 우크라이나 무인 시스템 부대 |
2. 2. 현대에 새롭게 등장한 군종
항공기의 기술적 발달로 육군·해군의 일부 부대였던 "항공대"가 "공군"으로 독립하면서, 현대에는 육군, 해군, 공군의 3군종 체계가 기본이 되었다. 과거 소비에트 연방에는 공군 외에 방공 목적의 방공군이 있었고, 구 동구권 국가에서도 방공군 편성이 나타났다.기술 발전과 인공위성 활용 증가로 "우주군"이 새롭게 설립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헌병을 독립 군종으로 운영하며, 사이버전에 대비한 사이버군 신설 움직임도 있다.
현대전에 새롭게 등장한 군종은 다음과 같다.
| 유형 | 역할 | 예시 |
|---|---|---|
| 항공 및 우주군 | 공중전 및 우주전 | 프랑스 항공우주군 |
| 공수부대 | 강하병 작전 | 러시아 공수군 |
| 방공군 | 대공 방어 및 미사일 방어 | 이집트 방공군 |
| 지휘통제 | 정찰, 통신, 감시, 정보전 | 중국 인민해방군 정보지원부대 |
| 사이버군 | 사이버전 | 싱가포르 디지털 및 정보 서비스(Digital and Intelligence Service) |
| 비상 서비스 | 재난 구호 및 비상 관리 | 스페인 군 비상 부대(Military Emergencies Unit) |
| 공병 부대 | 군사 공학 | 몽골 건설 및 공병 부대(Construction and Engineering Forces) |
| 헌병 | 군사 및/또는 공공 치안 | 프랑스 국가 헌병대(National Gendarmerie) |
| 참모 | 지휘통제 | 베네수엘라 전략사령부 작전(Strategic Command Operations) |
| 병참 서비스 | 군사 병참 | 독일 합동 지원 부대(Joint Support Service) |
| 예비군 | 국가 예비 및 보조 서비스 | 리투아니아 국방 의용군 |
| 전략 로켓군 | 육상 기반 전략 미사일 운용 |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People's Liberation Army Rocket Force) |
| 왕실/대통령 경호대 | 왕족/대통령 사무실 보호 및 의장대 임무 | 사우디 왕립 근위 연대(Saudi Royal Guard Regiment) / 알제리 공화국 근위대(Republican Guard) |
| 우주군 | 우주전 | 미국 우주군 |
| 특수 부대 | 특수 작전 | 폴란드 특수 부대 |
| 무인 시스템 부대 | 드론전 (일반적으로) | 우크라이나 무인 시스템 부대(Unmanned Systems Forces) |
2. 3. 기타 군종
| 유형 | 역할 | 예시 |
|---|---|---|
| 항공 및 우주군 | 공중전 및 우주전 | 프랑스 항공우주군 |
| 공수부대 | 강하병 작전 | 러시아 공수군 |
| 방공군 | 대공 방어 및 미사일 방어 | 이집트 방공군 |
| 지휘통제 | 정찰, 통신, 감시, 정보전 | 중국 인민해방군 정보지원부대 |
| 사이버군 | 사이버전 | 싱가포르 디지털 및 정보 서비스 |
| 비상 서비스 | 재난 구호 및 비상 관리 | 스페인 군 비상 부대 |
| 공병 부대 | 군사 공학 | 몽골 건설 및 공병 부대 |
| 헌병 | 군사 및/또는 공공 치안 | 프랑스 국가 헌병대 |
| 참모 | 지휘통제 | 베네수엘라 전략사령부 작전 |
| 병참 서비스 | 군사 병참 | 독일 합동 지원 부대 |
| 의무 서비스 | 의료 서비스 | 벨기에 의료 병과 |
| 예비군 | 국가 예비 및 보조 서비스 | 리투아니아 국방 의용군 |
| 전략 로켓군 | 육상 기반 전략 미사일 운용 |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
| 왕실/대통령 경호대 | 왕족/대통령 사무실 보호 및 의장대 임무 | 사우디 왕립 근위 연대 / 알제리 공화국 근위대 |
| 우주군 | 우주전 | 미국 우주군 |
| 특수 부대 | 특수 작전 | 폴란드 특수 부대 |
| 무인 시스템 부대 | 드론전 (일반적으로) | 우크라이나 무인 시스템 부대 |
전통적으로 군대는 육군과 해군의 2군종으로 구성되었으나, 항공기의 발달로 공군이 추가되어 현대에는 육군, 해군, 공군의 3군종이 기본이 되었다. 소비에트 연방과 구 동구권 국가들에서는 방공 목적의 방공군이 존재하기도 했다.
현대전에서의 작전 행동 시, 군종별로는 폐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군종으로 편성된 통합군·통합부대에 의한 합동 작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1]
[1]
백과사전
Unification des Forces armées canadiennes
https://www.thecanad[...]
2021-11-11
3. 각국의 군종
최근에는 기술 발전과 인공위성의 중요성 증가로 우주군이 설립되고 있으며, 헌병을 독립 군종으로 두는 나라도 있다. 또한, 사이버전에 대비하기 위해 사이버군을 신설하는 움직임도 있다.
현대전에서는 여러 군종이 협력하는 합동 작전이 일반적이다. 미국군은 육군, 해군, 공군 외에 미국 해병대, 미국 해안경비대, 미국 우주군을 포함해 6개 군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러시아 연방군은 육군, 해군, 러시아 항공우주군 외에 러시아 전략 로켓군과 러시아 공수군의 2개 독립 병과를 두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전략지원부대의 5개 군종으로 구성된다.
독일 연방군은 지휘, 병참 등을 통합한 전력 기반군과 의료 부대를 통합한 구호 업무군을 설치했고, 2016년에는 사이버전 부대를 추가했다. 프랑스군, 스페인군 등 일부 국가는 공군 내에 우주사령부를 두어 항공우주군으로 개칭했다. 캐나다군과 벨기에군은 군종을 통합하여 단일 군종 (통합군)으로 편성하고 있다.주요 담당 영역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 로켓군 국가 헌병 국경·해안 경비 지원 기타 비고 일본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 미국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 해안경비대 러시아 육군 해군 항공우주군 전략 로켓군 국경군 공수군, 국가 근위대 우주군이나 방공군을 군종으로 했던 시기가 있음 중화인민공화국 육군 해군 공군 군사항천부대 로켓군 인민무장경찰 부대 롄친바오장 부대 프랑스 육군 해군 항공우주군 국가 헌병대 영국 육군 해군 공군 이탈리아 육군 해군 공군 카라비니에리 해안경비대 독일 육군 해군 공군 전력 기반군 구호 업무군 네덜란드 육군 해군 공군 왕립 보안대 해안경비대 스페인 육군 해군 항공우주군 과르디아 시빌 과르디아 레빌 포르투갈 육군 해군 공군 국가 경비대 그리스 육군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 중화민국 육군 해군 공군 헌병 대한민국 육군 해군 공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육군 해군 공군 전략군 노농적위대 특수작전군, 사회안전군 베트남 육군 해군 공군 변방부대·해상경찰 미얀마 육군 해군 공군 국경 경비대 경찰군 태국 육군 해군 공군 수상 경찰 싱가포르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인텔리전스 서비스 캄보디아 육군 해군 공군 헌병대 인도 육군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 파키스탄 육군 해군 공군 방글라데시 육군 해군 공군 스리랑카 육군 해군 공군 터키 육군 해군 공군 헌병 이스라엘 육군 해군 항공우주군 이란 육군, 혁명수비대 육군 해군, 혁명수비대 해군 공군, 방공군, 혁명수비대 항공우주군 바시지 쿠드스군 사우디아라비아 육군 해군 공군, 방공군 전략 미사일군 국경 경비대 국가 경비대, 왕실 경비대 아제르바이잔 육군 해군 공군 국가 근위대, 국내군 벨라루스 육군 공군 및 방공군 국가 국경군 위원회 수송군·향토 방위군 특수작전군·국내군 우크라이나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영토 방위대 공중기동군·특수작전군 방공군을 군종으로 했던 시기가 있음 에스토니아 육군 해군 공군 방위 연맹 라트비아 육군 해군 공군 국가 경비대 리투아니아 육군 해군 공군 특수 작전 부대 스웨덴 육군 해군 공군 향토 방위대 덴마크 육군 해군 공군 향토 방위대 노르웨이 육군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 향토 방위대 사이버 방위군 핀란드 육군 해군 공군 폴란드 육군 해군 공군 영토 방위군 특별군 루마니아 육군 해군 공군 국가 헌병대 불가리아 육군 해군 공군 아르헨티나 육군 해군 공군 국가 헌병대 해안경비대 콜롬비아 육군 해군 항공우주군 국가 경찰 칠레 육군 해군 공군 카라비네로스 데 칠레 베네수엘라 육군 해군 공군 국가 경비대 국가 볼리바르 민병대
4. 현대 군사 작전과 통합군의 중요성
참조
[2]
서적
Militärisches Studienglossar Englisch Teil I Englisch
Bundesprachenam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