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력간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력 격차는 사회, 조직, 기관 내에서 권력이 얼마나 다르게 받아들여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네덜란드 심리학자 헤르트 호프스테데는 IBM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권력 격차를 포함한 문화 차원 이론을 개발했다. 권력 격차 지수(PDI)는 국가별 권력 격차 수준을 측정하며, PDI가 높은 문화는 가부장적이고 중앙 집권적인 권위가 존재하는 반면, PDI가 낮은 문화는 민주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를 특징으로 한다. 권력 격차는 개인주의/집단주의, 민주주의, 자선 행위, 리더십 스타일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직장 내 조직 문화, 직원 행동, 의사 결정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말레이시아, 이집트와 같은 국가는 권력 격차가 높은 문화의 예시이며, 미국, 캐나다와 같은 국가는 낮은 문화의 예시로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교문화심리학 - 문화 충격
    문화 충격은 개인이 새로운 문화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정서적 혼란 상태로, 익숙한 단서 상실, 의사소통 붕괴, 정체성 위기 등으로 나타나며, 개인의 성격과 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역문화 충격과 다문화 사회의 과제와도 관련된다.
  • 비교문화심리학 - 호프스테더 문화 차원 이론
    호프스테더 문화 차원 이론은 헤이르트 호프스테더가 개발한 문화 비교 모델로, 권력 거리,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 남성성, 장기 지향성, 응석-절제 등 6가지 차원을 통해 국가 문화를 설명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조직 문화 - 협동
    협동은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이나 집단이 함께 노력하는 과정으로, 집단 응집력, 의사소통, 공통 목표, 헌신, 책임감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 향상, 관계 발전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사회적 태만, 행동적 갈등 등의 단점도 존재하며, 팀워크 향상을 위해 리더십, 신뢰 구축 등이 중요하다.
  • 조직 문화 - 공유 리더십
    공유 리더십은 팀의 여러 구성원이 상호작용을 통해 팀을 이끄는 리더십 형태로, 팀 구성원 간 상호 영향력과 공유된 책임을 강조하며 팀 효과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팀 내부 환경, 외부 코칭, 피드백 제공 및 수용성이 발휘에 영향을 미친다.
  • 계급 차별 - 갑질
    갑질은 한국 사회의 수직적 문화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어 상하 관계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열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가하는 부당한 행위를 뜻하며,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여러 사례와 불매운동, 정부의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사회 문제로 남아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기업 문화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계급 차별 - 검은 삼각형
    검은 삼각형은 나치 강제 수용소의 레즈비언 표식에서 비롯되어 억압에 저항하는 상징으로 쓰이며, 치과, 공중 보건,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적 약자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으로 활용된다.
권력간격
권력 간격 지수
설명사회에서 권력이 불평등하게 분배되는 정도에 대한 문화적 차원을 나타냄
정의권력이 적게 가진 사람들이 권력의 불평등한 분배를 받아들이고 기대하는 정도
범위개인, 가족, 조직 등 사회의 다양한 수준에서 관찰 가능
특징
높은 권력 간격권위주의적 리더십 선호
계층 구조 강조
복종적인 태도 장려
권력에 대한 존경심 표현
낮은 권력 간격참여적 리더십 선호
수평적인 관계 강조
독립적인 사고 장려
권위에 대한 비판적 시각
요인
영향 요인문화적 배경
사회 경제적 조건
역사적 경험
교육 수준
측정
측정 방법설문 조사
인터뷰
실험 연구
관련 지표호프스테더 문화 차원
세계 가치관 조사
영향
조직 문화에 미치는 영향의사 결정 방식
의사 소통 스타일
갈등 관리 방식
혁신 수용도
정치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정부 형태
정책 결정 과정
시민 참여 수준
교육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교육 방법
교사-학생 관계
학습 동기 부여 방식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외교 전략
무역 협상
문화 교류

2. 기원 및 발전

헤르트 호프스테데는 네덜란드의 심리학자이자 교수였다.[3] 그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다국적 컴퓨터 제조 회사인 IBM을 통해 설문 조사를 수행했으며, 이는 그의 문화 차원 이론 개발에 주요하게 기여했다.[4]

호프스테데는 회사 내 가치관 차이에 관한 설문지를 다양한 국가의 IBM 직원들에게 배포하고,[5] 서로 다른 권력 격차 수준과 경영 스타일을 관찰하여 개인주의/집단주의, 남성성/여성성, 권력 격차, 불확실성 회피의 네 가지 문화 차원을 이론화했다.[6] 이후 연구를 통해 다섯 번째(장기/단기 지향성)와 여섯 번째(관대함/자제력) 차원이 발견되었다.

호프스테데는 권력 격차 차원을 위한 측정 도구인 권력 격차 지수(PDI)를 만들었다.

2. 1. 호프스테더의 문화 차원 이론

헤르트 호프스테데는 문화 차원 이론을 개발했는데, 이는 상호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프레임워크로 널리 사용된다. 이 이론은 정량화가 가능한 최초의 이론이며, 문화 간의 인식된 차이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상호문화 심리학, 국제 비즈니스, 상호문화 커뮤니케이션 등 많은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7] 호프스테더는 1967년부터 1973년까지 IBM 직원들의 가치관에 대한 전 세계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적 절차(일명 "요인 분석")를 통해 이 이론을 개발했다. 그는 권력 격차,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불확실성 회피, 남성성여성성, 단기 대 장기 지향성, 관대함 대 자제력의 여섯 가지 문화 차원을 제시했다.[7]

호프스테데는 회사 내 가치관 차이에 관한 설문지를 다양한 국가의 IBM 직원들에게 배포하고,[5] 서로 다른 권력 격차 수준과 경영 스타일을 관찰하여 개인주의/집단주의, 남성성/여성성, 권력 격차, 불확실성 회피의 네 가지 문화 차원을 이론화했다.[6] 이후 연구를 통해 다섯 번째(장기/단기 지향성)와 여섯 번째(관대함/자제력) 차원이 발견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권력 격차는 문화마다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국제 기업에서 두드러진다. 샤오솽 린(Xiaoshuang Lin) 등의 연구에 따르면, 직원들은 상사가 겸손하다고 여겨질 때 더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는 경향이 있다.[8] 겸손함은 권력 격차가 낮은 문화와 자주 연관되는 특성이다.[9] 이 연구는 직원의 권력에 대한 자기 개념화가 직장 내 발언뿐만 아니라 상사의 겸손함까지 결정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와 같은 환경은 호프스테더가 제안한 집단주의 차원과 유사할 것이다.

2. 2. 권력 격차 지수 (PDI: Power Distance Index)

헤르트 호프스테데가 개발한 권력 격차 지수(PDI: Power Distance Index)는 한 사회, 조직, 기관 내에서 권력이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10] 이 지수는 각 국가에 권력 간격 및 종속 관계의 수준을 나타내는 점수를 부여하며, 사회의 불평등 수준을 반영한다. PDI는 상대적인 값을 사용하므로 국가 간 비교에 유용하다.[11]

호프스테데는 IBM 직원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PDI를 계산했다. 설문 조사는 다음 세 가지 질문으로 구성되었다.[12]

질문내용
직원이 관리자에게 이견을 표현하는 것을 얼마나 자주 두려워하는가?"매우 자주"에서 "매우 드물게"까지 1-5점 척도
부하 직원이 인식하는 상사의 실제 의사 결정 스타일독재적, 가부장적, 협의적, 다수결 중 선택
부하 직원이 선호하는 상사의 의사 결정 스타일독재적, 가부장적, 다수결 중 선택 (협의적 스타일 제외)



호프스테데는 이 세 가지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숫자로 표현하고, 평균 점수를 계산한 후 통계 절차를 통해 PDI 점수를 도출했다.

PDI가 낮은 문화권에서는 감정적 거리가 비교적 작고, 민주적이고 협의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사람들은 권력 보유자에게 비교적 상호 의존적이며, 권력 불평등이 낮다. 분산된 권한과 수평적인 관리 구조가 일반적이며, "열린 문" 정책과 같이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네덜란드, 영국, 미국, 독일, 북유럽 국가 등이 PDI가 낮은 국가에 속한다.[13]

반면, PDI가 높은 문화권에서는 권력 관계가 가부장주의적이고 독재주의적이며, 중앙 집권적 권위가 존재한다. 계층 간 감정적 거리가 크고, 권력자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 부하 직원은 자신의 낮은 지위를 받아들이고, 상사는 의사 결정 과정에 부하 직원의 참여를 요구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독재적 리더십 스타일이 일반적이며, 부하 직원이 상사에게 이의를 제기하기 어렵다.[12] 중국, 벨기에, 프랑스, 말레이시아, 아랍 세계 등이 PDI가 높은 국가 또는 지역으로 간주된다.[13]

글로벌 리더십 및 조직 행동 유효성(GLOBE) 프로젝트는 권력 간격을 "조직 또는 사회 구성원이 권력이 불평등하게 공유되어야 한다고 기대하고 동의하는 정도"로 정의했다.[17] GLOBE 연구는 권력 간격 가치, 실천 및 기타 측면에 대한 문화적 영향을 연구하며, 가족 권력 가치가 어떻게 가르쳐지는지, 높은 권력 간격 사회와 낮은 권력 간격 사회를 비교한다.[22]

GLOBE 연구에 따르면, 사회의 권력 간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23]


  • 지배적인 종교 또는 철학
  • 민주주의 원칙의 전통
  • 강력한 중산층의 존재
  • 사회 인구에서 이민자의 비율


이 연구는 사회의 주요 신념, 가치 및 종교가 권력 간격에 가장 크고 오래 지속되는 영향을 미치며, 민주주의 전통과 강력한 중산층의 존재는 권력 간격을 좁히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또한, 이민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낮은 권력 간격 추세가 강화된다.[24]

2. 3. 호프스테더 이후의 연구

호프스테더의 연구 이후, 글로벌 리더십 및 조직 행동 유효성(GLOBE) 프로젝트는 "권력 간격"을 "조직 또는 사회 구성원이 권력이 불평등하게 공유되어야 한다고 기대하고 동의하는 정도"로 정의했다.[17] 권력 간격은 1990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의 로버트 J. 하우스가 고안한 GLOBE 연구 프로그램에서 설명된 9가지 문화적 차원 중 하나로 추가 분석되었다.[18]

이 연구는 리더의 유효성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전제 하에, 지도받는 사람들의 사회적, 조직적 가치, 규범 및 신념이 리더의 유효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진행되었다.[19] GLOBE는 금융 서비스, 식품 가공 산업, 통신 산업과 같은 산업 수준, 조직 수준(각 산업에서 여러 곳), 그리고 사회 수준(62개 문화)에서 존재하는 실천과 가치를 측정한다.[20] 그 결과는 전 세계 62개 사회에서 운영되는 951개 조직의 약 17,000명의 관리자의 응답을 기반으로 한 정량적 데이터 형태로 제시되며, 권력 간격을 포함한 문화의 9가지 주요 속성과 6가지 주요 글로벌 리더 행동에 대해 각 62개 사회가 어떻게 점수를 매기는지를 보여준다.[21]

GLOBE는 권력 간격과 관련하여 "권력 간격의 근원", "심리적 흐름과 권력", "다문화적 흐름과 권력 간격"을 포함하여 권력 간격 가치, 실천 및 기타 측면에 대한 문화적 영향을 연구한다. 또한 가족 권력 가치가 어떻게 가르쳐지는지 조사하고 높은 권력 간격 사회와 낮은 권력 간격 사회를 비교한다.[22]

"다문화적 흐름과 권력 간격"에 대해 논의할 때, 사회의 권력 간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23]

요인
지배적인 종교 또는 철학
민주주의 원칙의 전통
강력한 중산층의 존재
사회 인구에서 이민자의 비율



연구는 사회의 주요 신념, 가치 및 종교가 권력 간격에 가장 강력하고 오래 지속되는 영향을 미칠 것이며, 민주주의 전통과 강력한 중산층의 존재에 의해 어느 정도 조절될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두 요인 모두 권력 간격을 좁힐 것으로 예상된다. 주어진 사회에서 이민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낮은 권력 간격 추세가 더 강해진다. 또한 연구는 종교에 관계없이 민주주의 전통이나 상당한 중산층이 없는 사회는 권력 간격 수준이 상당히 높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24]

3. 권력 격차와 관련된 요인

메이슨 헤어, 에드윈 기셀리, 라먼 포터는 여러 문화권에서 권력 선호도가 어떻게 다른지 연구했다.[15] 이들은 매슬로의 욕구 계층을 바탕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14개국 관리자들의 욕구 만족도를 평가했다. 특히, 자율성과 자아실현 욕구 만족도에서 문화 간 권력 간격과 관련된 차이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설문 조사 응답에 따라 14개국을 5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각 그룹의 자율성과 자아실현에 대한 평균 표준화 점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인 수치는 전체 평균보다 높은 만족도를, 부정적인 수치는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다.

자율성자아실현
북유럽.36.25
라틴 유럽-.16.23
앵글로 아메리카-.14-.09
개발도상국-.25-.11
일본-.25-.11


3. 1. 개인주의/집단주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권력 간격과 밀접하게 관련된 문화적 개념이다.[58] 호프스테더는 집단주의를 "개인들이 친척, 씨족 또는 기타 내부 집단이 자신을 돌봐주기를 기대할 수 있는 긴밀하게 연결된 사회적 틀을 선호하는 것"으로, 개인주의를 "개인이 스스로와 자신의 직계 가족만을 돌봐야 하는 사회에서 느슨하게 연결된 사회적 틀을 선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54]

국가의 권력 격차 지수(PDI)는 일반적으로 집단주의 정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개인주의 국가는 개인의 욕구에 초점을 맞추고 권력 지위가 덜 중요한 반면, 집단주의 국가는 집단적 이익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58] 호프스테더는 국가의 부와 개인주의, 집단주의, 권력 격차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부유한 국가는 개인주의 점수가 높고 권력 격차 지수 점수가 낮은 반면, 가난한 국가는 집단주의와 PDI 점수가 모두 높다.[59]

예를 들어, 미국은 개인주의 국가로, 사람들은 전체 집단의 이익보다 자신의 복지에 더 신경 쓰는 경향이 있다. 반면 중국과 같은 집단주의 국가는 집단의 전반적인 복지를 개인적인 욕구보다 중요하게 생각한다.[54]

위안 페이롱(Yuan Feirong)과 징 저우(Jing Zhou)의 연구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권력 격차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그리고 이것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60] 권력 격차가 높은 문화에서는 그룹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과 대화가 적고, 최종 결정은 주로 가장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에게 의존한다. 반면, 권력 격차가 낮은 문화에서는 각 개인이 그룹 기능에 발언권을 가지며, 이는 창의성을 높이고 혁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다.

3. 2. 민주주의

민주주의는 권력 간격이 낮은 사회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삶의 계층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여겨진다.[25] 권력 간격이 높은 사회에서는 "노동과 보수주의자 사이의 이념적 간극"이 양극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권력 간격이 낮은 문화에서는 사람들이 갈등을 피하기 위해 균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25]

사회 권력 간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지배적인 종교 또는 철학, 민주주의 원칙의 전통, 강력한 중산층의 존재, 사회 인구에서 이민자의 비율이 있다.[23] 민주주의 전통과 강력한 중산층은 권력 간격을 좁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24]

4. 권력 격차의 영향

권력 간격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환경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여러 나라에서 사람들의 행동에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는 일정한 수준의 권력 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의해 형성되는 문화 규범에 기여한다. 이러한 문화 규범은 동일한 상황이나 환경에 직면했을 때 다양한 반응을 초래한다. 특히 권력 간격이 높은 국가의 조직과 사회에서 불평등을 묵인하는 데서 비롯되는 몇 가지 결과가 있다.[37]

4. 1. 직장

권력 간격은 직장 내 조직 문화, 리더십 스타일, 의사 결정 방식, 직원 행동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권력 간격 지수(PDI)는 조직 내에서 권력이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10] PDI는 국가 간 비교에 유용하며, 사회의 불평등 수준을 나타낸다.[11]

권력 간격이 높은 조직에서는 상사의 권위가 강조되고 위계적인 의사 결정이 이루어진다. 직원들은 자신의 낮은 지위를 인정하고 상사에게 복종하며, 지위 상징이 중시된다.[25] 고위 간부는 부하 직원보다 훨씬 더 많은 급여를 받는 경우가 많다.[25] 이러한 환경에서는 부하 직원이 상사에게 직접 이의를 제기하기 어렵다.[12] 중국, 벨기에, 프랑스, 말레이시아 등이 권력 간격이 높은 문화권에 속한다.[13]

반면, 권력 간격이 낮은 조직에서는 수평적인 의사 소통과 참여적 의사 결정이 이루어진다. 상사는 지위 상징에 덜 신경 쓰고 직원들과의 토론에 열려 있으며, 직원들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한다.[25] "열린 문" 정책과 같이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소통을 장려하는 제도가 시행되기도 한다.[13] 네덜란드, 영국, 미국, 독일, 북유럽 국가 등이 권력 간격이 낮은 국가에 해당한다.[13]

권력 간격이 높은 환경에서는 상사가 부하 직원보다 업무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상하 관계 발전이 느려지고 부하 직원이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35][36] 또한, 부하 직원이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무능력으로 여기는 인식이 있어, 상사에게 어려움을 말하기보다는 스스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강화된다.[34][37]

절차적 정의, 즉 조직 내 상사의 공정한 대우에 대한 믿음은 권력 간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38] 권력 간격이 낮은 문화에서는 직원들이 상사와 더 강한 관계를 맺고 있어, 부당한 대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39] 반면, 권력 간격이 높은 문화에서는 직원들이 권위에 복종하는 경향이 있어, 불공정한 대우를 수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40]

4. 1. 1. 리더십과 발언 행동 (Voice Behavior)

리더십 스타일은 직원의 발언 행동(Voice Behavior)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변혁적 리더십은 직원들의 참여와 의견 개진을 장려하는 반면, 독재주의적 리더십은 직원들의 발언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29] 류셩민(Sheng-Min Liu)과 랴오젠차오(Jian-Qiao Liao)의 연구에 따르면, 권력 격차가 낮은 리더는 부하 직원들이 아이디어와 우려 사항을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존경을 받는다.[26] 반면, 권력 격차가 높은 기업에서 부하 직원은 상사와의 상호 작용이 거의 없으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지시에 익숙해져 모순처럼 보일 수 있다.[27][28]

권력 격차가 낮은 조직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더 효과적이며, 직원들은 상사에게 덜 복종하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거나 경영진에 이의를 제기할 가능성이 높다.[25] 권력 격차가 높은 조직에서는 직원들이 자신의 낮은 지위를 인정하고 상사에게 존경과 복종을 보이며, 상사는 직원과 상의하기보다는 지시를 내릴 가능성이 더 높다.[25]

4. 2. 자선 행위

권력 간격은 자선 행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1] 권력 간격이 높은 국가의 사람들은 불평등을 정상적인 사회 현상으로 간주하여 변화를 시도하기보다는 단순히 수용하는 경향이 있어 자선 행위에 덜 책임감을 느낀다.[41][42][43]

반대로, 권력 간격이 낮은 국가의 사람들은 불평등에 더 민감하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성향이 강해 문제 해결에 대한 더 큰 책임감을 갖는다.[42][43]

4. 2. 1. 통제 가능/불가능한 욕구

사람들의 자선 행위는 욕구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사람들은 통제 가능한 욕구(예: 게으름으로 인한 빈곤)보다는 통제 불가능한 욕구(예: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돕는 경향이 있다.[44][45][46] 예를 들어, 자연재해와 같이 예측 불가능한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더 많은 도움을 주려고 한다.[44][47][48][49]

권력 격차가 높은 사회에서는 통제 가능한 욕구에 대한 지원이 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41] 권력 격차가 큰 사회의 사람들은 대부분의 문제를 정당한 불평등으로 인식하고, 문제에 관여하기를 꺼리며, 일반적으로 무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41] 반면, 권력 격차가 낮은 사회에서는 불공정함을 용납하지 않고 부조화를 제거하기 위해 노력한다.[41]

4. 2. 2. 관계 규범

관계 규범은 자선 행위에 대한 책임감에 영향을 미친다.[50][51] 관계 유형은 도움을 준 대가로 혜택을 기대하는 교환 관계와, 상호 기대를 하지 않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돌보는 공동 관계로 분류된다.[50][51]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공동 관계보다 교환 관계에서 도움을 거절할 가능성이 더 크다.[41][51][52][53] 따라서 사람들은 교환 관계보다 공동 관계에서 자선 행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5. 권력 격차가 높은 문화와 낮은 문화의 예시

문화 차원 이론에 따르면 권력 격차는 문화마다 다르게 나타난다.[7] 권력 격차가 큰 문화에서는 권위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권력이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반면, 권력 격차가 낮은 문화에서는 개인이 권위자에게 질문하거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말레이시아이집트는 권력 격차 지수(PDI)가 높은 국가에 속한다.[54][56] 이들 국가에서는 관리자, 교수, 정부 관료 등 권위자에게 쉽게 질문하지 않는다. 반면, 미국캐나다는 권력 격차 지수가 중간 정도이거나 낮은 국가이다.[55] 이들 국가에서는 개인이 교수에게 질문하거나 상사에게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 비교적 자연스럽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국제적인 교류 상황에서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미국인 관리자가 말레이시아에서 직원들에게 의견을 물으면, 말레이시아 직원들은 권한이 없다고 느껴 침묵할 수 있다.[54] 유학생들은 다른 나라의 학문적 환경이나 권위자와의 관계에 익숙하지 않아 문화 충격을 경험할 수 있다.[57]

5. 1. 말레이시아 (높은 권력 격차)

문화 차원 이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권력 격차 지수(PDI)가 높은 국가이다.[54] 말레이시아 문화에서는 권력 격차가 커서 관리자, 교수, 정부 관료와 같은 권위자에게 쉽게 질문하지 않는다. 이는 권위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권력이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기 때문이다.[54]

5. 2. 미국 (낮은 권력 격차)

미국은 권력 간격 지수가 중간 정도인 국가이다.[55] 권력 간격이 중간 정도이므로, 교수에게 질문하거나 상사에게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 비교적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55] 권력 간격이 낮은 국가로는 네덜란드, 영국, 독일, 북유럽 국가 등이 있다.[13]

5. 3. 이집트 (높은 권력 격차)

이집트는 권력 격차 지수(PDI)가 높은 국가이다.[56] 이집트의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교수들을 존경하며 질문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학생의 학업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시험이 존재하며, 이는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넘을 수 없는 권위의 수준을 형성한다.[56] 이집트 학생들은 캐나다와 같이 권력 격차 지수가 낮은 국가의 학생들과 달리, 시험 점수에 대해 교수에게 이의를 제기하기 어렵다. 따라서 학생들은 성공하기 위해 무엇이 기대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필요하다.[56]

5. 4. 캐나다 (낮은 권력 격차)

캐나다는 권력 격차가 낮은 국가로, 상사가 겸손하다고 여겨질 때 직원들이 더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는 경향이 있다.[8] 겸손함은 권력 격차가 낮은 문화와 자주 연관되는 특성이다.[9] 이러한 환경은 집단주의 차원과 유사하다.

참조

[1] 논문 Dimensionalizing Cultures: The Hofstede Model in Context https://scholarworks[...] 2011-12-01
[2] 서적 Power Distance. http://db19.linccweb[...] Mission Bell Media
[3] 간행물 Hofstede, Geert Dutch educator (b. 1928) https://search-credo[...] Wiley 2003-05
[4] 웹사이트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heory https://www.simplyps[...] 2022-11-27
[5] 문서 Power Distance Index (PDI).” Salem Press Encyclopedia Adam Groff 2018
[6] 서적 Hofstede, Geert. The New Penguin Business Dictionary, edited by Graham Bannock, Penguin 2003
[7] 논문 An Interview with Geert Hofstede 2004-02
[8] 논문 Why and When Employees Like to Speak up More Under Humble Leaders? The Roles of Personal Sense of Power and Power Distance https://eprints.soto[...] 2019-09
[9] 논문 Leaders' Expressed Humility and Followers' Feedback Seek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Image Cost and Moderating Effects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2018
[10] 서적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McGraw-Hill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Power Distance or PDI http://culturematter[...] 2012-04-26
[14] 논문 Mirror, Mirror on the Wall: Culture's consequences in a value test of its own design
[15] 서적 Managerial Thinking: An international study Wiley 1966
[16] 서적 The Daily Power Game Martinus Nihoff Social Sciences Division
[17] 문서
[18] 서적 Culture, Leadership, and Organizations The GLOBE Study of 62 Societies Sage
[19] 웹사이트 Culture and Leader Effectiveness: The GLOBE Study http://www.inspireim[...]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서적 Cross-Cultural Management Business Expert Press
[26] 논문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peaking Up: Power Distance and Structural Distance as Moderators 2013-11-01
[27] 논문 Individual-Level Cultural Values as Moderator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Employee Outcome Relationships in China: Comparing the Effects of Power Distance and Traditionality 2007-06
[28] 논문 Individual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Follower Reactions to Transformational Leaders: A Cross-Level, Cross-Cultural Examination 2009-08
[29] 논문 Building effective organizatio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llectivist orientation, work-related attitudes and withdrawal behaviours in three emerging economies 2003-11-01
[30] 서적 Power distance. The AMA Dictionary of Business and Management, George Thomas Kurian, AMACOM, Publishing Division of the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2013
[31] 논문 Individual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follower reactions to transformational leaders: A cross-level, cross-cultural examination
[32] 논문 When the going gets tough, do the tough ask for help? Help seeking and power motivation in organizations
[33] 논문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1980
[34] 논문 The Social Costs of Seeking Help
[35] 논문 Power distance,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job-related attitudes in a culturally diverse work group
[36] 논문 The influence of power distance and communication on Mexican workers
[37] 논문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Employee Help Seeking: Trust in Supervisor as a Mediator
[38] 논문 Power-Distance, Gender and Organizational Justice 2000-08
[39] 간행물 A Relational Model of Authority in Groups Elsevier 1992
[40] 논문 How are Responses to Verbal Insult Related to Cultural Collectivism and Power Distance? 1985-03
[41] 논문 Accepting Inequality Deters Responsibility: How Power Distance Decreases Charitable Behavior 2014-08-01
[42] 논문 Cognitive Dissonance and Consumer Behavior: A Review of the Evidence
[43] 논문 Cognitive Consequences of Forced Compliance
[44] 논문 An Attribution–Empathy Model of Helping Behavior: Behavioral Intentions and Judgments of Help-Giving
[45] 논문 Models of Helping and Coping
[46] 서적 The Attribution of Blame: Causality, Responsibility, and Blameworthiness Springer Verlag
[47] 논문 Allocating Scarce Resources: A Contingency Model of Distributive Justice
[48] 논문 The Effects of Onset and Offset Responsibility on Affects and Helping Judgments
[49] 논문 Locus of Control, Perceived Responsibility for Prior Fate, and Helping Behavior
[50] 논문 Role of Relationship Norms in Processing Brand Information
[51] 논문 Recipient's Mood, Relationship Type, and Helping
[52] 논문 Regulatory Focus and the Probability Estimates of Conjunctive and Disjunctive Events 2002-01
[53] 논문 Communal and Exchange Relationship Perceptions as Separate Constructs and Their Role in Motivations to Donate
[54] 논문 Cross-cultural leadership dynamics in collectivism and high power distance settings 1997-07
[55] 논문 Linking Culture and Ethics: A Comparison of Accountants' Ethical Belief Systems in the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Power Distance Contexts 2005-12
[56] 논문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online classroom 2013-01-01
[57]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Challenges and Solutions https://www.mghclayc[...] 2021-01-27
[58] 서적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loomsbury
[59] 논문 Dimensionalizing Cultures: The Hofstede Model in Context 2011-12-01
[60] 논문 Effects of cultural power distance on group creativity and individual group member creativity: Power Distance and Creativity in Groups 201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