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강초롱꽃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강초롱꽃은 한국 중부 지방의 높은 산에 분포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 풀로, 관화식물이다.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이 초대 조선 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기리기 위해 학명을 'Hanabusaya'로 명명했다. 북한에서는 금강산 묘길상 부근의 군락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1976년부터는 학명을 '금강산이아'속으로 변경했다. 잎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8-9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의 통꽃이 핀다. 관상용으로 이용 가치가 있으며, 변종으로 검산초롱꽃과 흰금강초롱꽃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롱꽃아과 - 도라지
    도라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늦여름에 파란색 꽃을 피우며, 굵은 뿌리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고 한국 요리와 문화에 깊이 연관되어 있다.
  • 초롱꽃아과 - 영아자
    영아자는 층층잔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거친 털이 덮여 있고 청자색의 독특한 꽃이 피며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며 진보 진영을 상징하는 식물로 여겨진다.
  • 한국의 고유종 식물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한국의 고유종 식물 - 만리화
    만리화는 현재 주제가 특정되지 않아 추가적인 정보 제공이나 요약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능금나무
    능금나무는 한국과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과수로, 사과와 혼용되었으나 별개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독특한 열매 모양과 신맛, 떫은맛을 가진 열매를 맺고 관상용, 약재,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서양 사과 도입 후 재배가 감소하여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금강초롱꽃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Hanabusaya asiatica
학명 명명(Nakai) Nakai
금강초롱꽃속 (Hanabusaya)
속 명명Nakai
금강초롱꽃 (H. asiatica)
이명Symphyandra asiatica
상태위기 등급 관심 필요
영어 이름Diamond bluebell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국화군
국화목
초롱꽃과
아과초롱꽃아과

2. 명칭

금강초롱꽃속의 학명 ''Hanabusaya''는 조선총독부의 지원을 받아 한반도 식물을 연구하던 일본의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이 초대 조선 공사를 지낸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속명으로 삼은 것이다. 종소명 ''asiatica''는 아시아산이라는 뜻으로, 발견지인 조선을 반영하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금강산 묘길상 부근의 군락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는 등 금강초롱꽃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1]

2. 1. 학명

금강초롱꽃속의 학명 ''Hanabusaya''는 조선총독부의 지원을 받아 한반도 식물을 연구하던 일본의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이 초대 조선 공사를 지낸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속명으로 삼은 것이다.[1] 종소명 ''asiatica''는 아시아산이라는 뜻으로, 발견지인 조선을 반영하지 않았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금강산 묘길상 부근의 군락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는 등 금강초롱꽃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1976년부터 라틴어 속명을 ''Hanabusaya'' 대신 금강산이아( ''Keumkangsania'')속으로 바꾸었다.[1]

2. 2. 북한에서의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금강산 묘길상 부근의 군락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는 등 금강초롱꽃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하나부사야속이라 부르지 않고 1976년부터 라틴어 속명을 금강산이아(''Keumkangsania'')속이라고 바꾸었다.[1]

3. 분포 지역

경기도용문산, 화악산, 명지산, 강원도치악산, 오대산, 설악산, 북한의 금강산 등 한국 중부 지방의 높은 산에만 산다.[6]

4. 식물학적 특징

금강초롱꽃은 숙근성 여러해살이로 관화식물이다.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점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충분한 빛을 필요로 한다. 로 번식하며, 고산식물로 15°C~25°C에서 잘 자라고 통풍이 잘 되는 환경을 좋아한다.

4. 1. 형태

여러해살이관화식물이다. 높이는 30~90cm로 곧게 자란다. 의 형태를 보면, 뿌리쪽 잎은 밑부분에 달려 있고 비늘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12mm로서 4-6개의 잎이 어긋나기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마디사이가 짧기 때문에 모여나기한 것 같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으나 윗부분에는 털이 다소 있고 길이 5.5cm~15cm, 폭 2.5cm~7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근모양 또는 약간 심장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은 8-9월에 통꽃으로 피며 길이 4.5cm~4.8cm, 직경이 2cm로서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이고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1.2mm, 중앙부의 나비는 1-2mm로서 털이 없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이 넓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8-9mm이고 암술대는 끝에 털이 있으며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말리고,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는 3실이고, 종자는 많다. 뿌리는 굵게 덩이뿌리를 형성하면서 뻗고 갈라지며, 몇개의 잔뿌리가 뻗어 있다. 초롱꽃속이나 잔대속의 식물들과는 달리 줄기에 나는 잎이 줄기 중앙에 4∼6장씩 모여서 달리므로 구분된다.[6]

4. 2. 생태

숙근성 여러해살이관화식물이다. 높이는 30~90cm로 곧게 자란다. 은 밑부분에 달린 근생엽은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7~12mm이며 4~6개가 어긋나기하지만, 윗부분의 잎은 마디 사이가 짧아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잎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으나 윗부분에는 다소 털이 있고, 길이 5.5cm~15cm, 폭 2.5cm~7cm이다. 잎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은 8~9월에 통꽃으로 피며 길이 4.5cm~4.8cm, 직경 2cm이다. 꽃은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for.alba T.Lee)이며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열편)은 길이 1~1.2mm, 중앙부 나비 1~2mm로 털이 없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이 넓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밥은 길이 8~9mm이고, 암술대는 끝에 털이 있으며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말린다. 씨방은 하위이다. 과실은 3실이고 종자가 많다. 뿌리는 굵은 덩이뿌리를 형성하며 뻗고 갈라지며, 몇 개의 잔뿌리가 뻗어 있다. 초롱꽃속이나 잔대속 식물들과는 달리 줄기에 나는 잎이 줄기 중앙에 4∼6장씩 모여 달리는 특징이 있다.[6]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점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충분한 빛을 필요로 한다. 씨로 번식하며, 고산식물로 15°C~25°C에서 잘 자라고 통풍이 잘 되는 환경을 좋아한다.

5. 이용

관화식물로 화분이나 화단에 심어 가꾸기에 적합하여 개발 가치가 있다.

6. 유사종

변종 검산초롱꽃(''Hanabusaya asiatica'' var. ''latisepala'')은 평안북도함경남도심산 지역에서 자생한다.[7] 아종에는 흰금강초롱꽃(''H. asiatica'' Nakai for. ''alba'' T. Lee)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hiaksan: Flagship Species http://english.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9
[2] 논문 Conservation genetics of an endangered herb, ''Hanabusaya asiatica'' (Campanulaceae) http://onlinelibrary[...] 2001
[3]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Hanabusaya asiatica'' Nakai (Campanulace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https://link.springe[...] 1999
[4] 논문 Flora and vegetation of Mt. Bokgyesan http://www.cabdirect[...] 2006
[5] 논문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Hanabusaya asiatica'' habitats http://www.cabdirect[...] 2010
[6] 뉴스 "[현진오의 野, 야생화다!] 금강초롱꽃, 외국유래 학명붙은 사연" http://www.seoul.co.[...] 2007-09-08
[7]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Hanabusaya asiatica'' Nakai (Campanulace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http://link.springer[...]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