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뜨락또르공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성뜨락또르공장은 1954년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화학 비료 공장 잔해를 재건하여 설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농기구 생산 공장이다. 1958년 최초의 트랙터 '천리마 28'호 생산을 시작으로 생산 능력을 확장했으며, 김일성과 김정일의 현지 지도를 받았다. 1973년 공장 확장을 통해 금성뜨락또르공장으로 개칭되었으며,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대 이후 개건 현대화를 통해 생산 회복 노력을 기울였으며, 2017년에는 '천리마 804' 트랙터 모델 생산을 시작했다. 태안중기계연합기업소 등과 함께 사회주의 경쟁에 참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자동차 제조 기업 - 평화자동차
평화자동차는 1998년 통일교에 의해 설립되어 북한에서 자동차를 제조, 판매했으며, 2013년 북한 정부에 운영권이 양도되었고, 현재는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하여 생산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자동차 제조 기업 - 승리자동차련합기업소
승리자동차련합기업소는 1950년 덕천자동차공장으로 설립되어 북한 최초의 화물차 승리-58호를 생산한 북한의 자동차 제조 기업으로, 경제난을 겪었으나 현대화를 통해 다양한 트럭과 승용차를 생산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업 - 목란비데오
목란비데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무대 예술 작품, DVD 등을 제작하며, 과거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영상 다운로드도 지원했으나 현재는 홈페이지가 폐지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업 - 락원정보기술교류사
락원정보기술교류사는 정보기술 발전과 교류를 목적으로 활동했으나, 개인 정보 침해, 가짜 뉴스 확산, 북한 연관 의혹 등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금성뜨락또르공장 | |
---|---|
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 | |
한글 | 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 |
한자 | 金星뜨락또르総合工場 |
로마자 표기 | Geumseong Tteurakttoreu Jonghap Gongjang |
개요 | |
위치 | 남포특별시 |
면적 | 142,000 제곱미터 |
기타 면적 | 400,000 제곱미터 |
2. 역사
금성뜨락또르공장은 1954년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화학 비료 공장의 잔해를 재건하여 문을 열고 다양한 농기구를 생산했다. 1958년 소련의 설계를 역설계하여 최초의 트랙터 '''천리마 28'''호 시제품을 40일 만에 제작하고 생산에 들어갔다.[5] 이후 생산 능력이 크게 확장되었고, 김일성과 김정일은 이 공장을 여러 번 방문하여 현지 지도를 제공했다.[5]
1973년 7월 26일, 김일성이 참석한 가운데 공장의 대규모 확장이 완료되어 기양뜨락또르공장에서 금성뜨락또르공장으로 개칭되었다.[6] 2017년에는 새로운 80마력의 ''천리마 804'' 트랙터 모델 생산을 시작했다.[7]
2. 1. 설립 초기 (1954년 ~ 1973년)
금성뜨락또르공장은 1954년에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화학 비료 공장의 잔해를 재건하여 문을 열고 다양한 농기구를 생산했다. 1958년에는 소련의 설계를 역설계하여 40일 만에 최초의 트랙터 '''천리마 28'''호 시제품을 제작하고 생산에 들어갔다. 이후 생산 능력이 크게 확장되었는데, 1970년에서 1978년 사이에 생산량이 8.7배 증가했다. 1979년에는 생산량의 30%만이 28마력 모델이었고, 나머지 70%는 75마력의 ''풍년'' 모델이었다. 변속기와 엔진 블록을 만드는 과정은 각각 한 사람이 감독하는 등 자동화도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김일성과 김정일은 이 공장을 여러 번 방문하여 현지 지도를 제공했으며, 김일성의 첫 방문을 기념하는 대형 기념비가 있다.[5]2. 2. 금성뜨락또르공장으로 개칭 및 확장 (1973년 ~ 2000년대 이전)
1973년 7월 26일, 김일성이 참석한 가운데 공장의 대규모 확장이 완료되어 기양뜨락또르공장에서 금성뜨락또르공장으로 개칭되었다. 새로운 공장에는 '풍년' 불도저와 '천리마' 트랙터 모두를 위한 자동화된 기계가 갖춰졌다.[6] 1970년부터 1978년까지 생산량이 8.7배 증가했으며, 1979년에는 생산량의 30%만이 28마력 모델이었고, 나머지 70%는 75마력의 '풍년' 모델이었다.[5]김정일의 200일 전투 기간(1988년) 중 1, 2호 자동 주물 조형 라인이 건설되었고, 이후 1990년에는 3호, 1992년에는 4호, 1993년에는 5호 자동 주물 조형 라인이 설치되었다. 1996년에는 7개의 자동 조형 라인이 주강, 주물 공정에 설치되었고, 한 기의 자동 조형 라인이 제작 중이었다. 1호 자동 주물 조형 라인은 기관 관성차와 배기통을 비롯한 수십 종의 주물 소재를, 2호 자동 주물 조형 라인은 토시와 여과기 본체 등 소형 주물 소재를 대량 생산했다. 자동화 설비들은 자체 힘으로 제작, 설치되었다.
1987년 로동신문 보도에 따르면, 공장은 10여 개의 분공장을 거느리고 있었고, 4,000여 대의 현대적인 공작 기계가 있는 가공 종합 직장 또는 가공분공장에는 10여 개의 직장이 속해 있었다. 엔진 헤드 가공 라인, 축 가공 라인 등 16개의 자동 가공 라인이 설치되어 있었고, 완제품과 반제품은 가공 라인과 컨베이어 체계로 움직였다.
고난의 행군 시기(90년대 중반)를 거치며 공장 가동이 어려워졌고, 2000년 이후에는 가공 종합 직장 또는 가공 분공장이 해체되고 엔진분공장, 자동화 요소 분공장이 단순 직장으로 전환되는 등 조직 변화가 있었다.
2. 3. 고난의 행군과 구조조정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초반)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면서 공장 가동이 어려워졌으며, 명칭 또한 '종합 공장'에서 '공장'으로 변경되었다.[1]이를 반영하듯 생산 단위에도 변화가 있었다.[1] 2000년 이후 선전 매체를 통해 보도된 조직을 기준으로 하면 가공 종합 직장 혹은 가공 분공장이 해체되었으며, 엔진분공장, 자동화 요소 분공장이 단순 직장으로 전환되었다.[1]
특히 여타 분공장들이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직장으로 전환되거나 기존 직장에 통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
2. 4. 개건 현대화 및 생산 회복 노력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이후 금성뜨락또르공장은 생산 회복과 현대화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2002년에는 '천리마 2000호' 트랙터의 컨베이어 생산 라인을 설치하였다.[11] 2003년부터 희천 공작기계 공장에서 제작한 FMS(유연생산시스템)를 설치하고, 제2가공직장에 축 가공 전문 공정을 설치하는 등 본격적인 생산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2005년에는 철판 주조기를 자체 제작하여 트랙터 강판에 적용하였다.[11]
2009년에는 주물 직장, 치차 가공 기지, 연마 기지를 완성하고, '천리마 2000호' 생산 목표를 달성하였다.[11] 희천 정밀 기계 공장에서는 연료 펌프 개발과 피스톤 전문 생산 공정을 설치하였다.[11] 같은 해, 주물 직장 조형 라인을 컴퓨터화하고, 형태별 가공 기지 조성, 치차 가공 및 완성 연삭 기지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다.[11]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생산 라인이 안정화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함유연 생산 체계는 2014년 초까지도 정상 가동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11]
2017년에는 80마력 '천리마 804' 트랙터 모델 생산을 시작했다.[7] 김정은은 현지지도를 통해 로봇화와 무인화를 지시하며, 공장의 현대화를 강조했다.[12]
2000년에는 오랫동안 세워 두었던 용선로를 재가동하였고,[11] 2001년에는 기관 직장의 반자동 및 자동 가공 라인 일부를 복구하였다.[11]
3. 사회주의 경쟁 참여
태안중기계연합기업소,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 태안친선유리공장과 함께 이 공장은 "네 형제 공장"으로 불리며, 매년 북한에서 열리는 기업 간 "사회주의 경쟁"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도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북한 군수공장 시리즈 11: 남포특별시에 소재한 군수공장 및 시설. North Korean Military Factory Series 11: Military Factories and Facilities in Namp'o Special City (in Korean)
http://blog.naver.co[...]
2016-12-14
[2]
웹사이트
북한정보퍼털: 금성트랙터종합공장 North Korea Information Portal: Kŭmsŏng Tractor Factory (in Korean)
http://nkinfo.unikor[...]
2016-12-14
[3]
AV media
보도
Korean Central Television
2024-05-06
[4]
웹사이트
서해를 잇는 항구도시 남포를 바라보다 (종결)
https://www.lifein.n[...]
2021-03-03
[5]
서적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Thomas Dunne Books
2004
[6]
학술지
The Great Monumental Creation of Self-Reliance
1973
[7]
웹사이트
Kim Jong Un Visits Kumsong Tractor Factory
https://kcnawatch.co[...]
2017-11-15
[8]
문서
2000년 이후 노동,민주조선에 보도된 조직을 위주로 선정하였음.
[9]
서적
북한연구소
1983
[10]
뉴스
노동신문
1984-10-25
[11]
뉴스
노동신문
2003-04-08
[12]
웹인용
北 김정은, '금성뜨락또르공장' 개건 현대화 지시 - 통일뉴스
http://www.tongilnew[...]
2019-12-15
[13]
웹인용
군수 산업으로 압박받는 민간 경제
https://www.joongang[...]
2020-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