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광주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광주방송은 1961년 6월 16일 설립 허가를 받아 8월 1일 개국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1999년 표준FM 방송을 개국했으며, 2019년 음악FM을 개국했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며, AM 방송은 2023년 5월 8일 송출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대구교통방송
    대구교통방송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교통 전문 라디오 방송국으로, FM 103.9MHz와 김천 FM 95.9MHz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며,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안전 운전 캠페인, 재난 방송 등 지역 사회에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199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기독교대구방송
    기독교대구방송은 1959년 AM 라디오 방송으로 시작하여 두 개의 FM 채널을 추가 개국하였으며, 언론통폐합 시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양한 프로그램과 문화 행사로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대구·경북 지역의 기독교 방송국이다.
  • 대한민국의 전북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전북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기독교광주방송
기본 정보
제목기독교광주방송
한자基督敎光州放送
영문명Gwangju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약칭광주CBS
구분민영방송
방송 영역라디오
창립일1961년 6월 16일
개국일1961년 8월 1일 (AM)
개국일1999년 5월 4일 (표준FM)
개국일2019년 1월 9일 (음악FM)
본사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89
사장권신오 (본부장)
모기업CBS기독교방송
자회사CBSi
노컷뉴스
웹사이트CBS 기독교광주방송
회사 정보
시장 정보
기타

2. 역사

기독교광주방송은 1961년 설립 허가를 받아 광주시 백운동에서 창립되었다.[1] 초기에는 여러 차례 국장 교체와 기술적 발전을 거쳤다. 1963년 출력을 1㎾로 증강했고, 1968년 연주소를 이전했으며, 1969년에는 송신소를 신설했다.

1970년대에는 연주소 이전, 서울-광주 간 마이크로웨이브(M/W) 개통, 출력 증강 및 주파수 변경이 이루어졌다. 서독 교계의 원조로 시설 개선도 이루어졌다.

1980년대에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방송이 중단되고 언론통폐합으로 뉴스 및 광고 방송이 강제 중단되는 등 시련을 겪었다. 직원들이 KBS로 이적되기도 했으나, 1987년 뉴스 보도 기능이 부활하고 상업 방송이 허용되면서 다시 일어섰다.

1990년대에는 송신소 이전, 연주소 사옥 신축, 고체송신기로 교체, 표준FM 방송국 허가 및 개국 등 기술적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

2000년대에는 전남 동부권 표준FM방송 및 CBS 위성TV방송을 개국하는 등 방송 영역을 확장하였다.

2010년대에는 목포시 서부지사 개소, 주조정실 디지털 믹서 교체, AM 주 안테나 붕괴 및 복구, 미디어 선교협의회 창립, TV 디지털 방송 시작, 음악FM 개국 등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2019년에는 CBS 지역방송본부 경영 평가에서 1위를 수상하였다.

2020년대에도 CBS 지역방송본부 경영 평가 1위를 유지하였고, 신룡송신소 AM 방송 송출 중단 등의 변화를 겪었다.

2. 1. 1960년대


  • 1961년 6월 16일 설립 허가를 받았다.
  • 1961년 8월 1일 광주시 백운동 511번지에서 기독교광주방송이 창립되었다.(HLCL 1,000㎑, 250W)
  • 1962년 3월 12일 제1대 국장으로 곽인송이 취임하였다.(1962년 3월 12일 ~ 1962년 12월 9일)[1]
  • 1962년 12월 10일 제2대 국장으로 이병연이 취임하였다.(1962년 12월 10일 ~ 1963년 5월 30일)[1]
  • 1963년 6월 1일 제3대 국장으로 김봉배가 취임하였다.(1963년 6월 1일 ~ 1967년 12월 18일)[1]
  • 1963년 12월 10일 출력을 1㎾로 증강하였다.(RCA BTA-1A)[1]
  • 1967년 12월 19일 제4대 국장으로 서주봉이 취임하였다.(1967년 12월 19일 ~ 1971년 6월 5일)[1]
  • 1968년 10월 1일 연주소를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1가 YMCA 3층으로 이전하였다.[1]
  • 1969년 3월 1일 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 642번지에 송신소를 신설하였다.(철탑 120m, 탑 로딩형)[1]

2. 2. 1970년대

1970년 6월 1일 연주소를 광주시 동구 금남로 4가 한일빌딩 4층으로 이전하였다.[1] 7월 20일에는 서울-광주 간 M/W(마이크로웨이브)를 개통하여 중앙국의 프로그램(PGM)을 동시 중계방송하였다.[2] 1971년 4월 10일에는 출력을 10㎾로 증강하고, 주파수를 1,010㎑로 변경하였다. 같은 해 6월 5일, 제5대 국장으로 최용한이 취임하였다.

1973년 12월 1일에는 제6대 국장으로 남태우가 취임하였다. 1974년 4월, 서독 교계의 원조를 받아 연주소 시설을 전면 교체하고 송신소 시설 일부를 보강하였다. 1975년 11월 1일 주파수를 1,000㎑로 변경하였고, 11월 27일에는 제7대 국장으로 안상현이 취임하였다.

1976년 4월 1일, 연주소를 광주시 금남로 3가 가톨릭 센터 7층으로 이전하였다. 1978년 11월 23일, 주파수를 999㎑로 변경하였다.

2. 3. 1980년대

1980년 5월 18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간 동안 방송이 중단되었다.[2] 같은 해 11월 25일,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기독교방송의 뉴스 방송이 강제로 중단되었고, 11월 30일에는 광고 방송까지 강제로 중단되었다. 12월 1일에는 언론 통폐합 조치로 직원 17명이 KBS로 이적하였다.

1984년 12월 3일, 연주소를 광주광역시 북구 유동 107-5 YWCA 7층으로 이전하였다. 1987년 10월 10일, 뉴스 보도 기능이 부활하고 협찬 광고가 허용되었으며, 10월 19일부터 뉴스 방송을 다시 시작하였다. 1988년 1월 1일, 상업 방송이 전면적으로 허용되었다.

2. 4. 1990년대


  • 1991년 8월 9일, 송신소를 광주 광산구 신룡동 산 52-1, 2로 이전하였다.[1]
  • 1992년 5월 1일, 제12대 본부장으로 이정일이 취임하였다.[1]
  • 1992년 11월 3일, 서구 금호개발지구에 연주소 사옥 건립을 시작하였다.[1]
  • 1994년 4월 15일, 광주 서구 금호동 721-2에 5층 규모(연건평 920m2)의 연주소 건물을 완공하였다.[1]
  • 1994년 4월 16일, 제13대 본부장으로 윤용상이 취임하였다.[1]
  • 1995년 2월 6일, 제14대 본부장으로 조춘택이 취임하였다.[1]
  • 1995년 12월 27일, 고체송신기로 교체하고 원격조정 설비를 갖추었다.[1]
  • 1996년 11월 16일, 신룡송신소가 무인화되면서 엔지니어들이 완전히 철수하였다.[1]
  • 1997년 1월 1일, 제15대 본부장으로 김재익이 취임하였다.[1]
  • 1998년 2월 1일, 제16대 본부장으로 노병유가 취임하였다.[1]
  • 1998년 7월 7일, 문화관광부에서 정보통신부에 표준FM 개설 허가를 추천하였다.[1]
  • 1999년 3월 12일, 정보통신부로부터 표준FM 방송국 허가를 받았다. 주파수는 103.1㎒, 출력은 5㎾이다.[1]
  • 1999년 5월 4일, 표준FM 방송을 개국하였다.[1]

2. 5. 2000년대


  • 2000년 11월 16일 전남 동부권 표준FM방송 개국(주파수 102.1MHz 1kW)
  • 2001년 11월 23일 제17대 본부장 김종락 취임(2001. 11. 23 ~ 2003. 04. 13)
  • 2002년 3월 7일 CBS 위성TV방송 개국(채널 704)
  • 2003년 2월 16일 CBS 위성TV 채널 변경(채널 162)
  • 2003년 4월 14일 제18대 본부장 노병유 취임(2003. 04. 14 ~ 2004. 08. 31) ※ 2004. 03. 01 ~ 06. 17 : 전북방송본부장 겸직
  • 2004년 9월 1일 제19대 본부장 이길형 취임(2004. 09. 01 ~ 2006. 02. 28)
  • 2006년 3월 1일 제20대 본부장 박용수 취임(2006. 03. 01 ~ 2008. 02. 17)
  • 2006년 7월 1일 CBS TV 로컬방송 개시
  • 2008년 2월 18일 제21대 본부장 박준일 취임(2008. 02. 18 ~ 2010. 12. 16)

2. 6. 2010년대

wikitext

  • 2010년 1월 29일 목포시 서부지사를 개소하였다.
  • 2010년 12월 주조정실을 디지털 믹서로 교체하였다.
  • 2010년 12월 17일 제22대 본부장 김진오가 취임하였다.(2010년 12월 17일 ~ 2011년 3월 23일)[1]
  • 2011년 3월 11일 기독교광주방송 창립 50주년 비전선포식을 개최하였다.
  • 2011년 3월 24일 제23대 본부장 박옥배가 취임하였다.(2011년 3월 24일 ~ 2012년 12월 20일)[1]
  • 2012년 8월 28일 AM 주 안테나가 태풍 볼라벤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 2012년 12월 6일 AM 주 안테나 변경 신고(90m) 및 역 L형 예비 안테나를 설립하였다.
  • 2012년 12월 20일 제24대 본부장 손호상이 취임하였다.(2012년 12월 20일 ~ 2014년 12월 17일)[1]
  • 2013년 6월 5일 미디어 선교협의회를 창립하였다.
  • 2014년 12월 18일 제25대 김갑수 본부장이 취임하였다.(2014년 12월 18일 ~ 2015년 12월 31일)[1]
  • 2015년 12월 연주소 방송송출제작 시스템을 nCROSS로 전환하고, 광주광역시·목포시 지역 TV 디지털 방송을 시작하였다.
  • 2016년 1월 1일 제26대 김진오 본부장이 취임하였다.[1]
  • 2019년 1월 9일 기독교광주방송 음악FM (98.1MHz)을 개국하였다.
  • 2019년 6월 26일 제27대 최문희 본부장이 취임하였다.[1]
  • 2019년 12월 31일 2019년도 CBS 지역방송본부 경영 평가 1위를 수상하였다.

2. 7. 2020년대


  • 2020년 12월 31일, CBS 지역방송본부 경영 평가에서 1위를 수상하였다.
  • 2021년 6월 18일, 제28대 정용선 본부장이 취임하였다.
  • 2022년 11월 8일부터 2023년 5월 7일까지 광주CBS 신룡송신소 AM 999kHz 운용이 휴지되었다.
  • 2023년 5월 8일, 신룡송신소 AM 999kHz 방송 송출이 중단되었다.
  • 2023년 9월 26일, 제29대 김삼헌 본부장이 취임하였다.
  • 2024년 3월 26일, 제30대 권신오 본부장이 취임하였다.

3. 방송 송출 시설망

광주CBS 라디오 (제1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
무등산 송신소FM 103.1㎒5kWHLCL-SFM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1-1 (kbc 광주방송)광주광역시 전지역, 목포시, 해남군, 구례군, 보성군, 나주시, 담양군, 곡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일부[1]
광주CBS 음악FM (제2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
무등산 송신소FM 98.1㎒1kWHLEM-FM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1-1 (kbc 광주방송)광주광역시 전지역, 목포시, 해남군, 구례군, 보성군, 나주시, 담양군, 곡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일부[2]


3. 1. 라디오 시보 멘트


  • 1FM 103.1MHz 광주CBS 라디오입니다. HLCL[1]
  • 2FM 98.1MHz 광주CBS 음악FM입니다. HLEM-FM[2]

참조

[1] 지역정보
[2] 지역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