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긴급지진속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급지진속보는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을 계기로 개발된, 지진 발생 시 일반 대중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고감도 지진 관측망 구축, 디지털 지진계 기반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정확성과 속도를 높여왔으며, 2007년 일반 대상 속보를 시작했다. 기술적 한계, 예측 오차, 오보 발생 가능성 등 문제점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텔레비전, 라디오, 휴대 전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훈련을 통해 이용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열차 운전 제어, 엘리베이터 제어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기상청 - 히마와리 (기상위성)
    일본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1977년 1호 발사 이후 현재 8호와 9호가 운용 중이며 2028년 발사 예정인 10호가 개발 중으로, 초기 미국 기술 기반에서 점차 국산화되어 기상 관측과 재해 감시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 기상청 - 쓰나미예보
    쓰나미 예보는 지진해일 높이에 따라 주의보, 경보, 해제 등으로 발표되며, 해수면 변동이 미미할 경우 피해가 없을 수 있음을 알리고, 주의보 해제 후에도 해수면 변동 가능성이 있을 때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쓰나미 발생 우려가 없을 시에는 '쓰나미 우려 없음'을 발표한다.
  • 치안 - 경비원
    경비원은 시설 및 인력을 보호하고 출입을 통제하며 순찰, 위험 감지 및 보고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으로, 화재, 도난, 침입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방문객 안내, 배달물 접수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 치안 - 폐쇄회로 텔레비전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은 영상을 촬영하여 특정 장소로 전송하는 감시 시스템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범죄 예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개인정보보호 침해 문제와 함께 국가별 법률 및 안면 인식 기술과 결합된 감시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 재난 경보 - 긴급경보방송
    긴급경보방송은 재난 발생 시 국민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으로, 특정 조건 충족 시 발령되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다른 신호를 사용하고, 시스템 오류 및 규정 위반 사례에도 불구하고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개선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스템 오작동 방지와 규정 준수를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 재난 경보 - 지진경보체계
    지진경보체계는 지진 발생 시 P파를 감지하여 S파 도달 전에 경보를 발령하여 피해를 줄이는 시스템이며, 지진파 속도 차이를 이용해 진원, 규모, 지진동을 추정하여 경보를 발령하고, 최근에는 스마트폰 센서나 중력파 감지 기술을 활용하는 등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긴급지진속보
개요
긴급지진속보 경보
긴급지진속보 경보
종류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목적지진 발생 직후, 지진파가 도달하기 전에 경고를 보내 피해를 최소화
대상 지역일본
기술적 정보
작동 원리지진 발생 시 P파와 S파의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조기 경보 발령
감지 네트워크일본 전역에 설치된 지진계 네트워크
경보 발령 기준추정되는 진도 및 예상되는 진동 강도
전달 매체텔레비전
라디오
휴대 전화
기타 방송 매체
활용
공공 부문공공 시설 자동 제어
대중 교통 시스템 제어
재해 대비 시스템 가동
민간 부문공장 설비 자동 정지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가정 내 안전 확보
한계점
진원지 근처경보 발령 시간 부족으로 효과 미미
오경보 가능성지진파 감지 오류로 인한 오경보 발생 가능성 존재
역사
개발 시작1990년대
시범 운영2006년
본격적인 서비스 시작2007년 10월 1일
관련 정보
유사 시스템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운영
사회적 영향지진 대비 의식 향상 및 초기 대응 능력 강화
참고 자료일본 기상청 긴급지진속보 안내 (영문)
일본 기상청 긴급지진속보 시작 안내 (영문, PDF)
NHK 지진 조기 경보 대응 방법 (일본어, 보관된 페이지)
음성 알림
기타
관련 용어P파
S파
진도
진앙
주의사항긴급 경보 방송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2. 역사

긴급 지진 속보 시스템은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을 계기로 개발되었다. 당시 지진으로 인해 일반 대중에게 지진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96년에는 고감도 지진 관측망(Hi-net) 정비가 결정되어, 긴급 지진 속보를 위한 핵심 관측 장비인 고감도 지진계 설치가 시작되었다(2011년 현재 약 800개소 이상). 또한, 디지털 지진계 기반의 과거 지진 파형 해석과 고속 대용량 통신 기술을 활용한 속보성 지진 정보 제공이 검토되기 시작했다.

2003년 4월에는 문부과학성, 기상청,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공동으로 "고도 즉시 지진 정보 전달망 실용화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실시간 지진 정보 전달의 실용화를 목표로 했다.[67] 2007년까지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실시간 지진 정보"와 기상청·철도종합기술연구소의 "나우캐스트 지진 정보"를 통합하여, 지진 정보를 고속·고도화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전달 기법 개발을 목표로 했다.[68]

2004년 12월에는 변위 진폭 계산용 필터가 수정되었고, 2005년 10월에는 지진 규모 추정식이 변경되었다.

2006년 4월 4일에는 1점 처리로 추정되는 진앙 거리가 200km 이상인 경우에 진원을 결정하지 않던 것을 개선했다. 9월에는 150km보다 깊다고 추정된 지진에 대해 진도 예측이 어렵다는 판단 하에 진도 발표를 중단하는 대책이 시행되었다.

2009년 8월 3일 정오부터는 동해 해역 케이블식 해저 지진계 5점과 도서부 2점의 지진계 활용이 시작되었다. 또한, 지진 규모를 과소 평가하는 경향이 있던 산출식이 개량되었다(후술).[255][69] 2009년부터 2010년까지는 센서부에서 A/D 변환을 수행하는 내뢰 트랜스를 설치하여 낙뢰 대책을 실시했다.

2011년 3월 1일에는 남서 제도 8점, 이즈 제도 1점, 오이타현 1점의 다기능형 지진계 10점을 정비하고 활용을 시작했다. 8월 11일에는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 이후 잦은 오보 발생을 해결하기 위해, 동시에 발생한 지진을 구별하고 약한 지진을 계산에서 제외하는 수정 프로그램 운용을 시작했다(후술).

2012년 10월 2일에는 진도 예측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관측점마다 증폭도를 도입했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약 72시간 동안 가동 가능한 비상용 전원과 백업 위성 회선을 정비하여 관측점 결측에 대비했다.

2013년 2월 13일에는 규모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산출식을 적용했다.

2015년 3월 31일에는 구마노나다 해역 동해 해역 지진·쓰나미 관측 감시 시스템(DONET) 2점, 강진 관측망(KiK-net) 15점, 다기능형 지진계 50점의 활용을 시작했다.[70] 이로 인해 경보 발표까지의 시간이 난카이 해곡 주변 거대 지진의 경우 수 초, 수도권 직하 지진의 경우 최대 1초 정도 단축될 것으로 예상되었다.[70]

2016년 12월 14일 14시부터는 IPF법 운용을 시작했다.[71] 이 방식은 기존 방식보다 복수의 지진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2017년 4월 20일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에서는 IPF법으로 2개의 지진 검측값이 적절하게 분리되었다.[72] 2016년 8월 1일에 발생한 고도 이용자용 긴급 지진 속보 오정보 발표(후술) 이후, 지진학적으로 발생하기 힘든 크기의 진폭 값을 제외하고, 관측점 1점의 데이터로 처리할 때 지진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규모의 상한값을 설정하는 등의 대책이 도입되었다.

2017년 3월 22일에는 기상청의 긴급 지진 속보 평가·개선 검토회에서 긴급 지진 속보 발표 기준에 장주기 지진동을 추가해야 한다는 보고가 있었다.[73]

2018년 3월 22일 정오부터는 PLUM법과 기존 방식을 결합한 긴급 지진 속보 운용을 시작했다. PLUM법은 진원 추정 없이 예측 지점 인근 지진계에서 관측된 흔들림 강도로 진도를 예측하는 방식이며, 진원역이 넓은 거대 지진 발생 시에도 정밀도 높은 긴급 지진 속보 발표가 가능하다.[74] 예측 진도는 PLUM법과 기존 방식을 비교하여 큰 쪽을 발표하며, 과도한 진도 예측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 방식에 의해 추정된 진원과 규모가 실제 흔들림과 비교하여 타당한지 평가하는 기능도 도입되었다.[75] PLUM법 운용 시작과 함께 관측점 1점의 데이터로 처리할 때는 전문에 예측 진도를 기재하지 않게 되었다.

2019년 6월 27일에는 이미 일부가 긴급 지진 속보에 활용되던 DONET1과 기이 수도난카이 해곡 상정 진원역에 위치한 지진·쓰나미 관측 감시 시스템(DONET2) 전체, 일본 해구에서 쿠릴-캄차카 해구 해역에 위치한 일본 해구 해저지진해일관측망(S-net) 중 일본 해구 서쪽 지진계에 대해 같은 날 정오부터 활용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발표 시간을 일본 해구 부근 지진은 최대 25초, 기이 반도 앞바다에서 무로토곶 앞바다 지진은 최대 10초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76]

2020년 3월 24일 오후부터는 S-net 중 일본 해구 동쪽을 포함한 전체 활용을 시작했다. 일본 해구 동쪽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대해 발표 시간을 최대 10초 단축하고, S-net 관측 데이터 활용 이전과 비교해 최대 30초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77] 9월 7일에는 7월 30일 도리시마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긴급 지진 속보 오보(후술) 이후, 원거리 관측 데이터에 의한 규모 과대 추정을 방지하기 위해, 진원으로부터 700km 초과 지점의 관측 데이터를 규모 산출에 사용하지 않는 긴급 개선책 운용을 11시부터 시작했다.[78]

2023년 2월 1일에는 장주기 지진동을 긴급 지진 속보 대상으로 추가했다.[59] 9월 26일 14시부터는 여러 추정 방법을 사용하던 진원 추정 수법을 IPF법으로 일원화하여 흔들림 과대 예측을 줄이는 개선책을 실시했다. 동시에 기존 가속도계 데이터에 속도계 관측점 데이터를 추가하고, 관측점 증가에 따른 처리 부하를 줄이는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등 IPF법을 개선했다.[79][80]

2. 1. 제도 연표


  • 2004년 2월 25일: 행정 기관, 교통, 보도, 통신 등에서 희망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긴급지진속보'의 시험 운용을 시작했다. 대상 지역은 규슈 동해안에서 간토까지의 지역이었다. 이는 기술 개발 중인 '나우캐스트 지진 정보'와 '실시간 지진 정보'를 통합한 것이었다.
  • 2005년
  • * 3월 30일: 시험 운용의 대상 지역을 도호쿠에서 홋카이도까지의 태평양 연안으로 확대했다.
  • * 6월 8일: 시험 운용의 데이터 제공원에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지진계가 추가되어 대상 지역은 일본의 거의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 2006년 8월 1일: 희망하는 기업 등에 대해 선행적인 제공을 시작했다.
  • 2007년
  • * 10월 1일: 이날 9시부터 '일반 대상' 속보를 도입했다. 선행적으로 제공하던 속보는 '고도 이용자 대상'으로 구분되었다. 텔레비전 방송 및 일부 공공 시설 등에서도 속보가 도입되었다.
  • * 12월 1일: 이날 시행된 기상 업무법 개정으로, 긴급지진속보가 예보 및 경보로 규정되었다.
  • 2013년 8월 30일: 이날 시행된 기상 업무법 개정으로, 최대 예측 진도 6약 이상의 긴급지진속보가 특별 경보로 규정되었다.

2. 2. 기술 연표

1996년: 효고현 남부 지진을 계기로 고감도 지진 관측망(Hi-net) 정비가 결정되어, 긴급 지진 속보를 위한 핵심 관측 장비인 고감도 지진계 설치가 시작되었다(2011년 현재 약 800개소 이상). 또한, 디지털 지진계 기반의 과거 지진 파형 해석과 고속 대용량 통신 기술을 활용한 속보성 지진 정보 제공이 검토되기 시작했다.

2003년 4월: 문부과학성, 기상청,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공동으로 "고도 즉시 지진 정보 전달망 실용화 프로젝트"를 시작, 실시간 지진 정보 전달의 실용화를 목표로 했다.[67] 2007년까지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실시간 지진 정보"와 기상청·철도종합기술연구소의 "나우캐스트 지진 정보"를 통합하여, 지진 정보를 고속·고도화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전달 기법 개발을 목표로 했다.[68]

2004년 12월: 변위 진폭 계산용 필터가 수정되었다.

2005년 10월: 지진 규모 추정식이 변경되었다.

2006년:

  • 4월 4일: 1점 처리로 추정되는 진앙 거리가 200km 이상인 경우에 진원을 결정하지 않던 것을 개선했다.
  • 9월: 150km보다 깊다고 추정된 지진에 대해 진도 예측이 어렵다는 판단 하에 진도 발표를 중단하는 대책이 시행되었다.


2009년 8월 3일: 정오부터 동해 해역 케이블식 해저 지진계 5점과 도서부 2점의 지진계 활용이 시작되었다. 또한, 지진 규모를 과소 평가하는 경향이 있던 산출식이 개량되었다(후술).[255][69]

2009년 - 2010년: 센서부에서 A/D 변환을 수행하는 내뢰 트랜스를 설치하여 낙뢰 대책을 실시했다.

2011년:

  • 3월 1일: 남서 제도 8점, 이즈 제도 1점, 오이타현 1점의 다기능형 지진계 10점을 정비하고 활용을 시작했다.
  • 8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 이후 잦은 오보 발생을 해결하기 위해, 동시에 발생한 지진을 구별하고 약한 지진을 계산에서 제외하는 수정 프로그램 운용을 시작했다(후술).


2012년 10월 2일: 진도 예측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관측점마다 증폭도를 도입했다.

2011년 - 2012년: 약 72시간 동안 가동 가능한 비상용 전원과 백업 위성 회선을 정비하여 관측점 결측에 대비했다.

2013년 2월 13일: 규모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산출식을 적용했다.

2015년 3월 31일: 구마노나다 해역 동해 해역 지진·쓰나미 관측 감시 시스템(DONET) 2점, 강진 관측망(KiK-net) 15점, 다기능형 지진계 50점의 활용을 시작했다.[70] 이로 인해 경보 발표까지의 시간이 난카이 해곡 주변 거대 지진의 경우 수 초, 수도권 직하 지진의 경우 최대 1초 정도 단축될 것으로 예상되었다.[70]

2016년 12월 14일: 14시부터 IPF법 운용을 시작했다.[71] 이 방식은 기존 방식보다 복수의 지진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2017년 4월 20일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에서는 IPF법으로 2개의 지진 검측값이 적절하게 분리되었다.[72] 2016년 8월 1일에 발생한 고도 이용자용 긴급 지진 속보 오정보 발표(후술) 이후, 지진학적으로 발생하기 힘든 크기의 진폭 값을 제외하고, 관측점 1점의 데이터로 처리할 때 지진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규모의 상한값을 설정하는 등의 대책이 도입되었다.

2017년 3월 22일: 기상청의 긴급 지진 속보 평가·개선 검토회에서 긴급 지진 속보 발표 기준에 장주기 지진동을 추가해야 한다는 보고가 있었다.[73]

2018년 3월 22일: 정오부터 PLUM법과 기존 방식을 결합한 긴급 지진 속보 운용을 시작했다. PLUM법은 진원 추정 없이 예측 지점 인근 지진계에서 관측된 흔들림 강도로 진도를 예측하는 방식이며, 진원역이 넓은 거대 지진 발생 시에도 정밀도 높은 긴급 지진 속보 발표가 가능하다.[74] 예측 진도는 PLUM법과 기존 방식을 비교하여 큰 쪽을 발표하며, 과도한 진도 예측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 방식에 의해 추정된 진원과 규모가 실제 흔들림과 비교하여 타당한지 평가하는 기능도 도입되었다.[75] PLUM법 운용 시작과 함께 관측점 1점의 데이터로 처리할 때는 전문에 예측 진도를 기재하지 않게 되었다.

2019년 6월 27일: 이미 일부가 긴급 지진 속보에 활용되던 DONET1과 기이 수도난카이 해곡 상정 진원역에 위치한 지진·쓰나미 관측 감시 시스템(DONET2) 전체, 일본 해구에서 쿠릴-캄차카 해구 해역에 위치한 일본 해구 해저지진해일관측망(S-net) 중 일본 해구 서쪽 지진계에 대해 같은 날 정오부터 활용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발표 시간을 일본 해구 부근 지진은 최대 25초, 기이 반도 앞바다에서 무로토곶 앞바다 지진은 최대 10초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76]

2020년:

  • 3월 24일: S-net 중 일본 해구 동쪽을 포함한 전체 활용을 오후부터 시작했다. 일본 해구 동쪽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대해 발표 시간을 최대 10초 단축하고, S-net 관측 데이터 활용 이전과 비교해 최대 30초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77]
  • 9월 7일: 7월 30일 도리시마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긴급 지진 속보 오보(후술) 이후, 원거리 관측 데이터에 의한 규모 과대 추정을 방지하기 위해, 진원으로부터 700km 초과 지점의 관측 데이터를 규모 산출에 사용하지 않는 긴급 개선책 운용을 11시부터 시작했다.[78]


2023년:

  • 2월 1일: 장주기 지진동을 긴급 지진 속보 대상으로 추가했다.[59]
  • 9월 26일: 14시부터 여러 추정 방법을 사용하던 진원 추정 수법을 IPF법으로 일원화하여 흔들림 과대 예측을 줄이는 개선책을 실시했다. 동시에 기존 가속도계 데이터에 속도계 관측점 데이터를 추가하고, 관측점 증가에 따른 처리 부하를 줄이는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등 IPF법을 개선했다.[79][80]

3. 기술

긴급지진속보 시스템의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과 같다.

긴급지진속보 시스템은 지진동 정보 분석에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한다. 2020년 3월 24일 기준으로 기상청의 약 690개 지진계와 진도계 데이터를 사용하며, 1996년 이후에는 고감도 지진 관측망(Hi-net) 및 강진 관측망(KiK-net) 등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약 1,000개 관측점 데이터도 활용한다.[85]

2011년 이후에는 속보 발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난카이 해곡 연안 해저에 설치된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지진·해일 관측 감시 시스템(DONET 및 DONET2)과 보소 반도에서 네무로 해역의 일본 해구 연안에 부설된 일본 해구 해저 지진·해일 관측망(S-net)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PLUM법''' ('''P'''ropagation of '''L'''ocal '''U'''ndamped '''M'''otion 法)은 일본 기상청이 긴급지진속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한 방법이다.[390]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당시 간토 지방에서도 강한 흔들림이 있었으나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지 않았는데,[391][392] 2018년부터 PLUM법이 적용되었다.

PLUM법은 진원이 멀리 있거나 깊은 곳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진원에서 먼 지역에도 긴급지진속보를 정확하게 발령하기 위해 도입되었다.[392] 기존에는 추정된 진원과 규모로 흔들림을 예측했지만, PLUM법은 실제로 감지된 흔들림을 이용해 예측한다.[393]

지진 발생 시각과 진원 위치는 진원 거리 오모리 공식을 개선한 테리토리법, 그리드 서치법 등을 사용하며, 알려진 지진파 속도 분포 등을 이용하여 보정한다.[86] 20세기 초에 이미 확립된 방법으로,[87] 국내 수백 곳에서 상시 관측되는 지진 파형은 디지털 파형의 대역 제거・대역 통과, 레벨법, B-Δ법으로 노이즈를 식별하고 진앙 거리를 산출한다. 일정 크기의 진동이 관측되면 데이터 센터에 정보를 전송하고, 여러 관측점에서 정보가 수신되면 노이즈가 아닌 지진으로 판단하여 테리토리법, 그리드 서치법으로 발생 시각과 진원 위치, 마그니튜드를 산출한다.

마그니튜드와 진도는 P파 도달 후 S파 도착까지의 최대 진폭을 이용한 "P파 마그니튜드(P파 M)"를 초기에 적용하고, 적절한 시간에 전체 파형의 최대 변위 진폭에서 구하는 "전상 마그니튜드(전상 M)"로 전환한다.[88] 진원 요소를 바탕으로 통계적 방법(경험적 방법)을 통해 진원 거리와 지반의 지진동 증폭도를 고려하여 각 지점의 표면 최대 속도(PGV)를 산출하고, 최대 진도를 예측한다. S파의 이론 주행 시간으로 주요 동파 도달 시각을 예측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기준에 도달한 지진에 대해 속보를 발표한다.[87] 실제 시스템에서는 정밀도를 높이고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처리가 추가된다.[89]

고층 빌딩 등에서 큰 피해를 일으키는 장주기 지진동은, 처음에는 긴급 지진 속보의 경보 등과는 연동되지 않았지만, 이 흔들림의 크기는 진도로는 충분히 표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장주기 지진동과 긴급 지진 속보와의 연동이 검토되어 왔다. 2023년 2월 1일부터 장주기 지진동 계급을 발표 대상에 추가한 운용을 시작했다[58][59].

NHK 텔레비전 채널과 다른 일본 TV 방송(1seg를 포함한 ISDB)에서는 지진 진앙지와 강한 진동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보여주는 메시지 창 경보를 화면에 띄운다.[394] 동시에, 두 세트의 차임벨이 울리고, 그 후 일본어 음성이 나온다.

긴급지진속보입니다. 강력한 진동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緊急地震速報です。強い揺れに警戒して下さい。일본어

NHK와 도쿄 MX에서는 위와 같이 방송하며, 니폰 TV와 TBS의 경우 간단하게 '긴급 지진 속보입니다.'라고만 알린다. 후지 TV와 TV 아사히 모두 차임벨을 울리지만, 음성 안내는 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보는 시청자에게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나 쓰나미의 위험이 있는지 여부도 알려준다. 만약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위험 지역 상에 있는 1seg 기술을 내재한 모든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NHK 채널에 맞춰지게 한다. 모든 경고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그리고 일본어의 5개 언어로 방송한다.[395]

일본의 3대 주요 이동 전화 회사인 NTT 도코모, au(KDDI 및 오키나와 셀룰러) 그리고 소프트뱅크 모바일은 다양한 이용자들이 긴급지진속보 문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 방송 시스템인 셀 브로드캐스트를 개발했다.[396][397][398]

2007년 이후 시장에 나오는 모든 3G 핸드폰은 이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의무화되었으나, 해외 제품(노키아, 애플, HTC, LG, 삼성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2011년 8월 애플은 iOS5 아이폰 플랫폼이 긴급지진속보 알림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99]

긴급지진속보는 초 단위로 정보를 전달해야 하므로, 처리 및 전송과 관련된 경고 지연 시간을 최대한 줄여 지진의 주요 동요가 각 지역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배포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등은 고속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휴대 전화 등으로 전달되는 정보는 알기 쉬운 형태로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되지만, 그 형태는 다양하다. 전용 단말 장치에서는 미리 설치 장소의 위치 정보나 지반 상태 등을 설정해 놓고, 속보 시 경보음을 울리거나 음성으로 지진 발생 및 진도 등을 전달하며, 문자나 그림, 램프 등을 통해 지진 발생, 진도, 흔들림까지의 시간 등을 알려준다. 대형 시설 등에서는 경보음과 음성을 통해 시설 내에 일제히 방송하는 경우가 있다.

3. 1. 개발 배경

긴급지진속보의 적중률을 높이기 위해 통합 입자 필터(IPF) 및 국부 무감쇠 운동 전파(PLUM) 방법을 포함한 기술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6년 12월 14일에 도입된 IPF 방법은 입자 필터를 사용하여 지진원 요소를 얻는다.[19][20] 2018년 3월 22일에 도입된 PLUM 방법은 진원과 규모를 추정하지 않고 관측된 진도로부터 지진 강도를 직접 예측한다.[21][22] 대규모 지진이나 진원을 알 수 없는 지진에 대해 정확한 지진 강도 예측이 가능하다.

긴급 지진 속보는, 전개된 관측망으로 지진파를 감시하여, P파만을 감지한 단계에서 지진의 추정을 시작, 일정 규모 이상의 큰 지진으로 추정되면 경보를 발령한다. 기술사적으로는 먼저, S파를 감지하여 경보 발령 및 기계 제어와 연동하는 기술이 일본의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1960년대에 실용화되었다. P파 단계에서 경보를 발령하는 기술은, 1980년대 신칸센에서의 시험 운용을 거쳐 1992년 도카이도 신칸센의 유레다스에서 본 운용에 이르게 되었다[81][82][83]

일본에서는 주로 철도 안전 분야에서 이용되었으며, 일반 대중에게 발표되지 않았지만, 1995년에 발생한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이 커다란 계기가 되어 일반 공중을 위한 지진 경보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갔다. 일반 공중에게 알리는 시스템은 1993년 멕시코의 수도 멕시코시티를 대상으로 한 SAS[84]가 세계 최초이다. 그에 이어, 국내 거의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공중에 알리는 세계 최초의 시스템이 바로 일본의 긴급 지진 속보이다.

3. 2. 활용되는 데이터

긴급지진속보 시스템은 지진동 정보 분석에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한다. 2020년 3월 24일 기준으로 기상청의 약 690개 지진계와 진도계 데이터를 사용하며, 1996년 이후에는 고감도 지진 관측망(Hi-net) 및 강진 관측망(KiK-net) 등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약 1,000개 관측점 데이터도 활용한다.[85]

2011년 이후에는 속보 발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난카이 해곡 연안 해저에 설치된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지진·해일 관측 감시 시스템(DONET 및 DONET2)과 보소 반도에서 네무로 해역의 일본 해구 연안에 부설된 일본 해구 해저 지진·해일 관측망(S-net)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3. 3. 예측 기법



'''PLUM법''' ('''P'''ropagation of '''L'''ocal '''U'''ndamped '''M'''otion 法)은 일본 기상청이 긴급지진속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한 방법이다.[390]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당시 간토 지방에서도 강한 흔들림이 있었으나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지 않았다.[391][392] 2018년부터 PLUM법이 적용되었다.

PLUM법은 진원이 멀리 있거나 깊은 곳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진원에서 먼 지역에도 긴급지진속보를 정확하게 발령하기 위해 도입되었다.[392] 기존에는 추정된 진원과 규모로 흔들림을 예측했지만, PLUM법은 실제로 감지된 흔들림을 이용해 예측한다.[393]

; 발생 시각과 진원 위치 산출

: 진원 거리 오모리 공식을 개선한 테리토리법, 그리드 서치법 등을 사용하며, 알려진 지진파 속도 분포 등을 이용하여 보정한다.[86] 20세기 초에 이미 확립된 방법이다.[87] 국내 수백 곳에서 상시 관측되는 지진 파형은 디지털 파형의 대역 제거・대역 통과, 레벨법, B-Δ법으로 노이즈를 식별하고 진앙 거리를 산출한다. 일정 크기의 진동이 관측되면 데이터 센터에 정보를 전송한다. 여러 관측점에서 정보가 수신되면 노이즈가 아닌 지진으로 판단하고, 테리토리법, 그리드 서치법으로 발생 시각과 진원 위치, 마그니튜드를 산출한다.

; 마그니튜드와 진도 산출

: P파 도달 후 S파 도착까지의 최대 진폭을 이용한 "P파 마그니튜드(P파 M)"를 초기에 적용하고, 적절한 시간에 전체 파형의 최대 변위 진폭에서 구하는 "전상 마그니튜드(전상 M)"로 전환한다.[88] 진원 요소를 바탕으로 통계적 방법(경험적 방법)을 통해 진원 거리와 지반의 지진동 증폭도를 고려하여 각 지점의 표면 최대 속도(PGV)를 산출하고, 최대 진도를 예측한다. S파의 이론 주행 시간으로 주요 동파 도달 시각을 예측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기준에 도달한 지진에 대해 속보를 발표한다.[87] 실제 시스템에서는 정밀도를 높이고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처리가 추가된다.[89]

3. 3. 1. 장주기 지진동 관련 정보 연동

고층 빌딩 등에서 큰 피해를 일으키는 장주기 지진동은, 처음에는 긴급 지진 속보의 경보 등과는 연동되지 않았지만, 이 흔들림의 크기는 진도로는 충분히 표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장주기 지진동과 긴급 지진 속보와의 연동이 검토되어 왔다. 2023년 2월 1일부터 장주기 지진동 계급을 발표 대상에 추가한 운용을 시작했다[58][59].

3. 4. 정보 전달

NHK 텔레비전 채널과 다른 일본 TV 방송(1seg를 포함한 ISDB)에서는 지진 진앙지와 강한 진동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보여주는 메시지 창 경보를 화면에 띄운다.[394] 동시에, 두 세트의 차임벨이 울리고, 그 후 일본어 음성이 나온다.

긴급지진속보입니다. 강력한 진동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緊急地震速報です。強い揺れに警戒して下さい。일본어

NHK와 도쿄 MX에서는 위와 같이 방송하며, 니폰 TV와 TBS의 경우 간단하게 '긴급 지진 속보입니다.'라고만 알린다. 후지 TV와 TV 아사히 모두 차임벨을 울리지만, 음성 안내는 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보는 시청자에게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나 쓰나미의 위험이 있는지 여부도 알려준다. 만약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위험 지역 상에 있는 1seg 기술을 내재한 모든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NHK 채널에 맞춰지게 한다. 모든 경고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그리고 일본어의 5개 언어로 방송한다.[395]

일본의 3대 주요 이동 전화 회사인 NTT 도코모, au(KDDI 및 오키나와 셀룰러) 그리고 소프트뱅크 모바일은 다양한 이용자들이 긴급지진속보 문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 방송 시스템인 셀 브로드캐스트를 개발했다.[396][397][398]

2007년 이후 시장에 나오는 모든 3G 핸드폰은 이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의무화되었으나, 해외 제품(노키아, 애플, HTC, LG, 삼성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2011년 8월 애플은 iOS5 아이폰 플랫폼이 긴급지진속보 알림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99]

긴급지진속보는 초 단위로 정보를 전달해야 하므로, 처리 및 전송과 관련된 경고 지연 시간을 최대한 줄여 지진의 주요 동요가 각 지역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배포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등은 고속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휴대 전화 등으로 전달되는 정보는 알기 쉬운 형태로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되지만, 그 형태는 다양하다. 전용 단말 장치에서는 미리 설치 장소의 위치 정보나 지반 상태 등을 설정해 놓고, 속보 시 경보음을 울리거나 음성으로 지진 발생 및 진도 등을 전달하며, 문자나 그림, 램프 등을 통해 지진 발생, 진도, 흔들림까지의 시간 등을 알려준다. 대형 시설 등에서는 경보음과 음성을 통해 시설 내에 일제히 방송하는 경우가 있다.

4. 속보 시 대응

긴급 지진 속보 수신 시에는 개인과 사회 모두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긴급지진속보의 활용 가능성은 긴급지진속보의 활용에 대한 실증적 조사・연구 등에서 선행적으로 조사되었으며, 이후 각 연구소와 기업에서 다양한 시스템이 구상되고 있다.

긴급지진속보는 열차 운전 제어, 지능형 교통 시스템 통합, 운전 중인 차량 통지 및 유도, 신호등 제어 및 교통 규제, 공항 발착 규제, 쓰나미 대비 선박 통지, 쓰나미 대비 수문 폐쇄 신속화, 시설 내 및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의 피난 유도 및 지시,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의 안전 확보, 전화 등 통신 회선 제어, 엘리베이터놀이기구 제어, 공장 가동 시스템 제어, 의료 및 공사 현장 등 위험성이 높은 장소에서의 안전 확보, 전력 계통, 상하 수도, 도시 가스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쓰나미 예보에 있어서 긴급지진속보의 예측값을 활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007년 3월 노토반도 지진과 7월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 당시 쓰나미 주의보 발표 시 긴급지진속보를 활용해 시간을 단축했다. 2008년 7월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에서는 약 1분 정도 단축할 수 있었다. 단축 시간은 최대 2분 정도로, 지진 발생 후 1분 내에 쓰나미 예보 발표가 가능할 수 있다.

기상청은 "고도 이용자용" 정보는 정보량이 많고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훈련을 통해 속보를 냉정하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집객 시설이나 방재 무선 등 불특정 다수가 있는 장소에서는 예측 진도 4 이상의 지역에 발표하는 "일반용"(경보)의 내용 범위 내에서 "강한 흔들림"이 올 것을 간략하게 전달하여 혼란을 방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92].

속보 발표 시의 대응을 실체험을 통해 습득하고 주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기상청은 매년 12월 1일을 긴급 지진 속보의 훈련일로 설정하고, 배포 기관과 협력하여 실시하고 있다. 기상청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긴급 지진 속보의 활용 안내 및 긴급 지진 속보 수신 시 대응 행동 훈련용 키트"를 제작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긴급 지진 속보 수신 시 대응 행동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93]. 2012년 6월 28일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국순시경보시스템(J-ALERT)을 운용하는 지방 자치 단체, 방재 행정 무선에 의한 방송을 실시하는 지방 자치 단체, 청사 내 방송을 실시하는 지방 자치 단체, 그 외의 방송(커뮤니티 FM) 등을 실시하는 지방 자치 단체 등 256 단체를 포함하여 총 1,400 단체가 참가하여 전국적인 훈련이 실시되었다[94].

4. 1. 구체적인 대응 예시

가정, 직장, 학교 등 실내에서 긴급지진속보를 받은 경우, S파 도달 전 P파 도달 시 또는 도달 전 단계에서 즉시 창문과 문을 열어 피난 경로를 확보해야 한다. 이후 넘어질 물건이나 흩날리는 물건에서 멀리 떨어진 후, 책상 아래에 숨어 머리를 보호하며 흔들림에 대비한다. 만약 진도가 6강 또는 7의 매우 강한 흔들림이라면, S파가 도달하면 멈출 때까지 대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업 시설이나 이벤트 회장 같이 혼잡한 장소에서는 실내와 마찬가지로 머리를 보호하고, 넘어질 물건, 흩날리는 물건, 간판, 조명 등의 낙하물로부터 멀리 떨어져야 한다. 혼란을 막기 위해 출입구로 몰려가지 않고, 직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시설 직원은 즉시 문의 개방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실외에서는 넘어질 물건, 간판, 조명, 창문 유리 등의 낙하물에서 멀리 떨어져야 하며, 가능하다면 내진성이 높은 건물 안으로 피난하는 것이 안전하다. 절벽 등 근처에서는 산사태나 낙석의 위험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야 한다. 해안 근처에서는 쓰나미에 대비하여 신속하게 고지대나 건물의 고층으로 대피해야 한다.

자동차 운전 중에는 우선 비상등을 켜서 주변에 경고를 하고, 당황하지 않고 천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대고 정지한다. 추돌의 위험이 있으므로 급정지나 급핸들은 피해야 한다. 버스나 전철 안에서는 손잡이 등을 잡고 몸을 꽉 지탱해야 한다. 엘리베이터 안에 있을 때는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신속하게 엘리베이터에서 빠져나와야 한다.[90][91]

긴급 상황에서는 당황하지 않고 냉정하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사전에 긴급지진속보 수신을 가정한 훈련을 반복하는 것이 좋다. 시설 관리자를 위한 지침에 따르면, 속보 시 대응을 포함한 매뉴얼 작성 및 훈련이 필요하다. 속보 시스템이 없는 시설에서도 텔레비전이나 휴대 전화로 속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매뉴얼을 작성하고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2. 속보의 적극적 활용

긴급지진속보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문부과학성 리딩 프로젝트인 긴급지진속보의 활용에 대한 실증적 조사・연구 등에서 선행적으로 조사가 이루어져 왔다. 그 후에도 각 연구소와 기업에서 다양한 방면에 긴급지진속보를 활용해 나가는 시스템이 구상되고 있다.

긴급지진속보는 열차 운전 제어, 지능형 교통 시스템 통합, 운전 중인 차량 통지 및 유도, 신호등 제어 및 교통 규제, 공항 발착 규제, 쓰나미 대비 선박 통지, 쓰나미 대비 수문 폐쇄 신속화, 시설 내 및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의 피난 유도 및 지시,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의 안전 확보, 전화 등 통신 회선 제어, 엘리베이터놀이기구 제어, 공장 가동 시스템 제어, 의료 및 공사 현장 등 위험성이 높은 장소에서의 안전 확보, 전력 계통, 상하 수도, 도시 가스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쓰나미 예보에 있어서 긴급지진속보의 예측값을 활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007년 3월 노토반도 지진과 7월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 당시 쓰나미 주의보 발표 시 긴급지진속보를 활용해 시간을 단축했다. 2008년 7월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에서는 약 1분 정도 단축할 수 있었다. 단축 시간은 최대 2분 정도로, 지진 발생 후 1분 내에 쓰나미 예보 발표가 가능할 수 있다.

기상청은 "고도 이용자용" 정보는 정보량이 많고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훈련을 통해 속보를 냉정하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집객 시설이나 방재 무선 등 불특정 다수가 있는 장소에서는 예측 진도 4 이상의 지역에 발표하는 "일반용"(경보)의 내용 범위 내에서 "강한 흔들림"이 올 것을 간략하게 전달하여 혼란을 방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92].

4. 3. 훈련

속보 발표 시의 대응을 실체험을 통해 습득하고 주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기상청은 매년 12월 1일을 긴급 지진 속보의 훈련일로 설정하고, 배포 기관과 협력하여 실시하고 있다.

기상청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긴급 지진 속보의 활용 안내 및 긴급 지진 속보 수신 시 대응 행동 훈련용 키트"를 제작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긴급 지진 속보 수신 시 대응 행동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93].

2012년 6월 28일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국순시경보시스템(J-ALERT)을 운용하는 지방 자치 단체, 방재 행정 무선에 의한 방송을 실시하는 지방 자치 단체, 청사 내 방송을 실시하는 지방 자치 단체, 그 외의 방송(커뮤니티 FM) 등을 실시하는 지방 자치 단체 등 256 단체를 포함하여 총 1,400 단체가 참가하여 전국적인 훈련이 실시되었다[94].

5. 속보 종류

긴급 지진 속보는 크게 "고도 이용자용"과 "일반용"으로 나뉜다. 고도 이용자용은 사용자 단말기 설정 후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여 높은 방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일반용은 속보 인지 부족자도 대처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정보만 제공한다. 활용 시스템, 이용 방법, 주의점 등은 관련 프로젝트나 업계 단체에서 논의되었다.

일반 대중 대상 정보 제공은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정보 활용법과 특성 주지가 중요하며, 텔레비전, 라디오, 집객 시설의 관내 방송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홍보 활동으로는 울트라 형제와 짱구는 못말려 캐릭터를 활용한 포스터와 어린이용 리플릿이 제작되었고, 2007년 10월 1일부터 본격적인 운용이 시작되었다.

일반용 속보는 2개 이상의 지진 관측점에서 지진파가 관측되고 최대 진도 5 미만으로 예측된 경우에 발표된다. 속보에는 지진 발생 시각, 진원 추정치, 진앙 지명, 진도 4 이상 예측 지역명이 포함된다. 추가 해석을 통해 진도 3 이하로 예측되었던 지역이 진도 5 미만 이상으로 예측될 경우, 새롭게 진도 5 미만 이상 및 진도 4가 예측된 지역도 함께 발표된다[55]. 속보 발표는 지진 감지 후 60초 이내를 목표로 한다(2012년 10월 기준)[95][96].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관측점 장애 및 여진·유발 지진 빈발로 오차와 오보가 잦아 예측 정밀도가 저하되었으나, 프로그램 개선과 여진 감소로 2011년도에는 회복 추세를 보였다[97].

5. 1. 고도 이용자 대상 긴급 지진 속보

기상청의 다기능 지진계에서 P파 또는 S파의 진폭이 100갈 이상이 되거나, 해석을 통해 규모 3.5 이상 또는 최대 진도 3 이상으로 예측되는 경우, 지진 발생 시각과 진원의 추정값을 속보로 발표한다.[281]

가장 먼저 지진 발생을 알리는 제1보를 우선 발표하고, 2개 이상의 관측점에서 지진파가 관측되면 추가 해석을 통해 제2보, 제3보로 정보를 갱신한다. 예측의 정밀도가 안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최종보를 발표하고 속보 발표를 종료한다. 규정된 시간 내에 2개 이상의 관측점에서 지진파가 관측되지 않으면 노이즈(고장 또는 오보)로 판단하여 캔슬보를 발표한다.[281] 제1보는 오차가 크고 낙뢰 등에 의한 오보 가능성이 높으며, 제2보, 제3보가 발표됨에 따라 정밀도가 높아진다.[281]

고도 이용자 대상은 점의 정보, 일반 대상은 면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281] 고도 이용자 대상은 예측 진도 3 이상으로 발령하여 지진 방재 훈련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일반 대상은 지진 피해가 예상되는 "경보"의 경우에만 발령되므로, 긴급 지진 속보를 접할 기회가 드물다.[281]

긴급 지진 속보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오차는 불가피하지만, 예측 진도 3으로 판명된 경우 실제 진도가 진도 7이 아니고, 큰 흔들림이나 큰 피해가 없을 것이라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고도 이용자 대상 긴급 지진 속보의 "안심" 효과 중 하나이며, 일반 대상 긴급 지진 속보 "경보"에는 없는 효과이다.[281]

2004년 2월 25일부터 기상청의 시험 운용이 시작되었다. 2004년 10월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당시, 이바라키현모리야시에서 지진파 도달보다 빠르게 긴급 지진 속보가 발표되는 모습이 비디오 영상(메이세이 전기)으로 기록되었다. 2007년 7월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에서는 도쿄도 내 가정에서 긴급 지진 속보가 비디오 영상(유튜브)에 담겼다.[281]

2006년 8월 1일부터 특정 분야에 긴급 지진 속보 배포가 시작되었다. 도시 가스, 전력, 철도와 같은 라이프라인 (가스 공급 중단, 철도 긴급 정지) 및 병원 (수술 중 환자 보호) 등에서 활용이 예상된다.[281] 기상 업무 지원 센터와의 절차가 완료된 기기 수는 2007년 3월 현재 400개를 넘어섰다. 시정촌 방재 행정 무선을 이용한 광역 정보 제공 및 훈련이 일부 자치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7년 10월부터 다른 자치체로도 확대되었다.[281]

고도 이용자 대상은 PC나 스마트폰 앱 등으로 일반 개인도 수신 가능하지만, 정보 이해 부족 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앱 사양에 따라 혼란이 가중될 수도 있다. 2016년 8월 1일 17시 9분경의 오보 당시, 기상청에서 캔슬보를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앱에서 캔슬보 자동 전송에 대응하지 않아 정보가 장시간 삭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혼란이 발생했다.[281]

5. 2. 일반 대상 긴급 지진 속보

텔레비전, 라디오, 집객 시설의 관내 방송 등을 통한 일반 대중 대상 정보 제공은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정보 활용법 및 정보 특성 주지 등이 충분히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울트라 형제(울트라맨, 울트라 세븐, 울트라맨 잭, 울트라맨 A, 울트라맨 타로)"가 등장하는 포스터와 "짱구는 못말려(노하라 일가, 카스카베 방위대)"가 등장하는 어린이용 리플릿 등 인지도가 높은 캐릭터를 이용한 홍보 활동이 진행되었고, 2007년 10월 1일 9시부터 본격적으로 운용이 시작되었다.

일반용 속보에서는 지진파가 2개 이상의 지진 관측점에서 관측되어 '''최대 진도 5 미만'''으로 예측된 경우, 지진 발생 시각, 진원 추정치, 진앙 지명, 진도 4 이상 예측 지역명이 속보로 발표된다. 추가적인 해석을 통해 진도 3 이하로 예측되었던 지역이 진도 5 미만 이상으로 예측될 경우에도 속보가 발표되며, 새롭게 진도 5 미만 이상 및 진도 4가 예측된 지역이 발표된다[55]. 속보는 지진 감지 후 60초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목표로 했다(2012년 10월 기준)[95][96].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는 관측점 장애 및 여진·유발 지진의 빈발로 인해 오차 확대와 오보가 잦아 예측 정밀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나, 프로그램 개선 및 여진 감소 등으로 2011년도(2011년 4월~2012년 3월)에는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다[97].

6. 발표 상황

2007년 10월 1일부터 2024년 3월 말까지 발표된 긴급지진속보의 전체 횟수는 아래 표와 같다.[105]

긴급지진속보 (예보・경보) 발표 상황
서기종류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합계
2007년예보
(경보)
(0)>33
(0)|39
(0)|120
(0)
2008년예보
(경보)
(0)>41
(0)|48
(0)|42
(1)|70
(1)|75
(3)|63
(2)|47
(0)|58
(1)|46
(0)|40
(1)|57
(0)|622
(9)
2009년예보
(경보)
(0)>39
(0)|34
(0)|34
(0)|24
(0)|54
(0)|36
(0)|65
(2)|47
(0)|44
(1)|39
(0)|47
(0)|507
(3)
2010년예보
(경보)
(0)>44
(1)|50
(1)|36
(0)|27
(0)|35
(0)|47
(0)|51
(0)|40
(1)|50
(1)|40
(0)|34
(1)|507
(5)
2011년예보
(경보)
(0)>74
(0)|1191
(45)|770
(26)|425
(5)|304
(5)|248
(5)|239
(3)|188
(4)|163
(1)|135
(2)|136
(1)|3923
(97)
2012년예보
(경보)
(2)>141
(3)|142
(3)|128
(2)|129
(1)|118
(3)|102
(0)|107
(1)|70
(0)|109
(0)|77
(0)|134
(1)|1406
(16)
2013년예보
(경보)
(0)>99
(2)|53
(0)|103
(3)|91
(0)|83
(0)|102
(0)|97
(2)|61
(1)|80
(0)|93
(0)|67
(1)|1010
(9)
2014년예보
(경보)
(0)>70
(0)|68
(1)|62
(0)|53
(0)|57
(0)|97
(2)|96
(1)|68
(1)|84
(0)|87
(1)|75
(0)|887
(6)
2015년예보
(경보)
(0)>88
(1)|90
(0)|77
(1)|71
(3)|84
(0)|74
(1)|88
(0)|81
(0)|92
(0)|86
(1)|75
(0)|973
(7)
2016년예보
(경보)
(1)>71
(0)|65
(0)|228
(20)|101
(1)|89
(2)|95
(0)|71
(0)|80
(1)|92
(3)|124
(2)|86
(1)|1178
(31)
2017년예보
(경보)
(0)>72
(0)|61
(0)|60
(0)|52
(0)|55
(1)|79
(1)|73
(1)|52
(2)|53
(1)|57
(0)|77
(1)|768
(7)
2018년예보
(경보)
(2)>61
(0)|76
(1)|80
(2)|52
(1)|70
(2)|55
(1)|58
(0)|158
(2)|97
(4)|68
(1)|69
(0)|908
(16)
2019년예보
(경보)
(1)>62
(1)|63
(0)|88
(0)|64
(1)|59
(2)|59
(0)|56
(1)|50
(0)|72
(0)|56
(0)|68
(2)|763
(8)
2020년예보
(경보)
(1)>54
(1)|60
(1)|76
(2)|74
(4)|96
(1)|59
(2)|46
(0)|67
(1)|42
(0)|43
(1)|77
(3)|754
(17)
2021년예보
(경보)
(0)>90
(1)|75
(1)|74
(0)|79
(1)|52
(0)|80
(0)|80
(0)|60
(1)|56
(3)|60
(2)|92
(2)|860
(11)
2022년예보
(경보)
(2)>63
(0)|150
(6)|74
(0)|83
(2)|78
(2)|49
(0)|64
(1)|68
(0)|65
(1)|66
(1)|72
(0)|913
(15)
2023년예보
(경보)
(1)>45
(1)|56
(0)|70
(0)|155
(12)|74
(1)|49
(0)|51
(0)|82
(1)|60
(1)|61
(0)|62
(0)|824
(17)
2024년예보
(경보)
(20)>104
(2)|82
(2)|90
(4)|54
(0)|81
(2)|68
(0)|65
(2)|62
(0)
855
(30)


  • 출처:[106][107]
  • '''''진도 6약 이상을 관측한 지진의 경보'''''[108] 및 '''''특필할 만한 경보'''''에 비고를 부기.


일본 기상청은 2011년 회계 연도의 긴급 지진 속보 적중률을 2012년 5월 31일에 발표했다. 적중률은 P파 감지 직후에 발령된 경보가 계측된 지진의 진도와 1 차이 이내로 일치하는 경우의 비율을 나타낸다.[13]

2007~2009 회계 연도의 적중률은 75% 이상이었다(2007년 75%, 2008년 82%, 2009년 76%). 2010년 적중률은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발생한 많은 여진의 영향으로 28%로 감소했다(2010 회계 연도 말에 발생). 지진 발생 전의 적중률은 72%였다. 그 이후 경미한 지진을 무시하도록 측정 기술이 개선되었고, 2011 회계 연도의 적중률은 56%로 증가했다. 일본 기상청은 2015 회계 연도까지 적중률을 85%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진도 4 이상을 관측한 지진, 또는 긴급지진속보로 진도 4 이상을 예측한 지진에 대해, 관측과 예측의 진도 계급이 ± 1 계급 이내인 지역의 비율을 점수로 산출한다.[117][118] 점수는 경보를 발표한 경우에는 경보의 최종 보고, 경보를 발표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보의 최종 보고의 예측 진도로 계산한다.

연도점수경보
발표 횟수
2007년(헤이세이 19년)85.7%0
2008년(헤이세이 20년)84.9%9
2009년(헤이세이 21년)74.7%5
2010년(헤이세이 22년)34.6%48
2011년(헤이세이 23년)60.9%60
2012년(헤이세이 24년)78.6%10
2013년(헤이세이 25년)63.4%8
2014년(헤이세이 26년)83.1%6
2015년(헤이세이 27년)85.6%7
2016년(헤이세이 28년)77.0%30
2017년(헤이세이 29년)83.1%10
2018년(헤이세이 30년)89.4%15
2019년(헤이세이 31년)91.3%9
2020년(레이와 2년)71.5%16
2021년(레이와 3년)89.6%17
2022년(레이와 4년)88.1%9
2023년(레이와 5년)86.4%39
합계298



2009년까지는 큰 진도를 관측한 지진의 횟수도 적어 점수도 70%를 넘었지만, 2010년 말 3월 11일에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여진도 잇따라 발생하고, 거의 동시에 발생한 복수의 지진을 하나의 큰 지진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점수는 하락했다. 그 후, 소규모 지진을 예측 계산에서 제외하도록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2012년에는 점수가 78.6%까지 상승했다. 그 후에도 기술적 개선을 거듭하여 정밀도는 높아지고 있다.

본 운용 개시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공포" 비율은 20% (60/298), "간과" 비율은 36% (92/257)이다[118]. 여기서 "공포"는 긴급지진속보(경보)를 발표했지만, 실제 관측 진도가 4 미만이었던 지진을 의미하며, "간과"는 진도 5약 이상을 관측했지만, 긴급지진속보(경보)를 발표하지 않은 지진을 의미한다.

6. 1. 발표 상황 상세 정보

2007년 10월 1일부터 2011년 2월 말까지 고도 이용자용(일반용 기준 도달 사례 포함) 속보의 전국 발표 상황은 다음과 같다.[98]

  • 월간: 24회 - 75회
  • 연간: 120회 - 622회
  • 월 평균: 약 45회
  • 연 평균: 439회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 3월에는 월간 1,191회로 발표 횟수가 2011년 2월 말까지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105] 2016년 4월에는 2016년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으로 월간 228회 발표되어, 2012년 1월부터 2016년 3월 말까지의 월 평균 약 88회보다 크게 늘었다.[105]

일반용 경보는 2007년 10월 1일부터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전까지 17회(오보 1회 포함), 동일본 대지진 본진 및 이후 총 100회(오보 있음, 2012년 1월 27일 기준) 발표되었다.[99] 2013년 8월 8일 기준으로 2007년 10월 1일부터 137회 경보가 발령되었으며, 이 중 33회는 진도 3 이상을 관측하지 못했다.[100][101][102][103][104] 2024년 3월 말 시점에서는 2007년 10월부터 총 298회의 경보가 발표되었다.

6. 2. 발표된 경보 목록

2007년 10월 1일부터 2024년 3월 말까지 발표된 긴급지진속보의 전체 횟수는 다음과 같다.[105]

긴급지진속보 (예보・경보) 발표 상황
서기종류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합계
2007년예보
(경보)

(-)

(-)

(-)

(-)

(-)

(-)

(-)

(-)

(-)
48
(0)
33
(0)
39
(0)
120
(0)
2008년예보
(경보)
35
(0)
41
(0)
48
(0)
42
(1)
70
(1)
75
(3)
63
(2)
47
(0)
58
(1)
46
(0)
40
(1)
57
(0)
622
(9)
2009년예보
(경보)
44
(0)
39
(0)
34
(0)
34
(0)
24
(0)
54
(0)
36
(0)
65
(2)
47
(0)
44
(1)
39
(0)
47
(0)
507
(3)
2010년예보
(경보)
53
(0)
44
(1)
50
(1)
36
(0)
27
(0)
35
(0)
47
(0)
51
(0)
40
(1)
50
(1)
40
(0)
34
(1)
507
(5)
2011년예보
(경보)
50
(0)
74
(0)
1191
(45)
770
(26)
425
(5)
304
(5)
248
(5)
239
(3)
188
(4)
163
(1)
135
(2)
136
(1)
3923
(97)
2012년예보
(경보)
149
(2)
141
(3)
142
(3)
128
(2)
129
(1)
118
(3)
102
(0)
107
(1)
70
(0)
109
(0)
77
(0)
134
(1)
1406
(16)
2013년예보
(경보)
81
(0)
99
(2)
53
(0)
103
(3)
91
(0)
83
(0)
102
(0)
97
(2)
61
(1)
80
(0)
93
(0)
67
(1)
1010
(9)
2014년예보
(경보)
70
(0)
70
(0)
68
(1)
62
(0)
53
(0)
57
(0)
97
(2)
96
(1)
68
(1)
84
(0)
87
(1)
75
(0)
887
(6)
2015년예보
(경보)
67
(0)
88
(1)
90
(0)
77
(1)
71
(3)
84
(0)
74
(1)
88
(0)
81
(0)
92
(0)
86
(1)
75
(0)
973
(7)
2016년예보
(경보)
76
(1)
71
(0)
65
(0)
228
(20)
101
(1)
89
(2)
95
(0)
71
(0)
80
(1)
92
(3)
124
(2)
86
(1)
1178
(31)
2017년예보
(경보)
77
(0)
72
(0)
61
(0)
60
(0)
52
(0)
55
(1)
79
(1)
73
(1)
52
(2)
53
(1)
57
(0)
77
(1)
768
(7)
2018년예보
(경보)
64
(2)
61
(0)
76
(1)
80
(2)
52
(1)
70
(2)
55
(1)
58
(0)
158
(2)
97
(4)
68
(1)
69
(0)
908
(16)
2019년예보
(경보)
66
(1)
62
(1)
63
(0)
88
(0)
64
(1)
59
(2)
59
(0)
56
(1)
50
(0)
72
(0)
56
(0)
68
(2)
763
(8)
2020년예보
(경보)
60
(1)
54
(1)
60
(1)
76
(2)
74
(4)
96
(1)
59
(2)
46
(0)
67
(1)
42
(0)
43
(1)
77
(3)
754
(17)
2021년예보
(경보)
62
(0)
90
(1)
75
(1)
74
(0)
79
(1)
52
(0)
80
(0)
80
(0)
60
(1)
56
(3)
60
(2)
92
(2)
860
(11)
2022년예보
(경보)
81
(2)
63
(0)
150
(6)
74
(0)
83
(2)
78
(2)
49
(0)
64
(1)
68
(0)
65
(1)
66
(1)
72
(0)
913
(15)
2023년예보
(경보)
59
(1)
45
(1)
56
(0)
70
(0)
155
(12)
74
(1)
49
(0)
51
(0)
82
(1)
60
(1)
61
(0)
62
(0)
824
(17)
2024년예보
(경보)
376
(20)
104
(2)
82
(2)
90
(4)
54
(0)
81
(2)
68
(0)
65
(2)
62
(0)

(-)

(-)

(-)
855
(30)


  • 출처:[106][107]
  • '''''진도 6약 이상을 관측한 지진의 경보'''''[108] 및 '''''특필할 만한 경보'''''에 비고를 부기.

6. 3. 예측 정확도

일본 기상청은 2011년 회계 연도의 긴급 지진 속보 적중률을 2012년 5월 31일에 발표했다. 적중률은 P파 감지 직후에 발령된 경보가 계측된 지진의 진도와 1 차이 이내로 일치하는 경우의 비율을 나타낸다.[13]

2007~2009 회계 연도의 적중률은 75% 이상이었다(2007년 75%, 2008년 82%, 2009년 76%). 2010년 적중률은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발생한 많은 여진의 영향으로 28%로 감소했다(2010 회계 연도 말에 발생). 지진 발생 전의 적중률은 72%였다. 그 이후 경미한 지진을 무시하도록 측정 기술이 개선되었고, 2011 회계 연도의 적중률은 56%로 증가했다. 일본 기상청은 2015 회계 연도까지 적중률을 85%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진도 4 이상을 관측한 지진, 또는 긴급지진속보로 진도 4 이상을 예측한 지진에 대해, 관측과 예측의 진도 계급이 ± 1 계급 이내인 지역의 비율을 점수로 산출한다.[117][118] 점수는 경보를 발표한 경우에는 경보의 최종 보고, 경보를 발표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보의 최종 보고의 예측 진도로 계산한다.

연도점수경보
발표 횟수
2007년(헤이세이 19년)85.7%0
2008년(헤이세이 20년)84.9%9
2009년(헤이세이 21년)74.7%5
2010년(헤이세이 22년)34.6%48
2011년(헤이세이 23년)60.9%60
2012년(헤이세이 24년)78.6%10
2013년(헤이세이 25년)63.4%8
2014년(헤이세이 26년)83.1%6
2015년(헤이세이 27년)85.6%7
2016년(헤이세이 28년)77.0%30
2017년(헤이세이 29년)83.1%10
2018년(헤이세이 30년)89.4%15
2019년(헤이세이 31년)91.3%9
2020년(레이와 2년)71.5%16
2021년(레이와 3년)89.6%17
2022년(레이와 4년)88.1%9
2023년(레이와 5년)86.4%39
합계298



2009년까지는 큰 진도를 관측한 지진의 횟수도 적어 점수도 70%를 넘었지만, 2010년 말 3월 11일에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여진도 잇따라 발생하고, 거의 동시에 발생한 복수의 지진을 하나의 큰 지진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점수는 하락했다. 그 후, 소규모 지진을 예측 계산에서 제외하도록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2012년에는 점수가 78.6%까지 상승했다. 그 후에도 기술적 개선을 거듭하여 정밀도는 높아지고 있다.

본 운용 개시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공포" 비율은 20% (60/298), "간과" 비율은 36% (92/257)이다[118]. 여기서 "공포"는 긴급지진속보(경보)를 발표했지만, 실제 관측 진도가 4 미만이었던 지진을 의미하며, "간과"는 진도 5약 이상을 관측했지만, 긴급지진속보(경보)를 발표하지 않은 지진을 의미한다.

7. 활용 형태

## 활용 형태

긴급지진속보는 텔레비전, 라디오, 위성 방송, CATV, 이동통신,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활용된다.

NHK는 2007년 10월 1일부터 TV, AM, FM 전파를 통해 긴급지진속보를 방송하고 있다.[125] 국내 방송 전용이며, 해외 대상 국제 방송인 NHK 월드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에서 긴급지진속보는 차임, 자동 음성 및 텔롭 표시를 포함해 방송되지 않는다. 다만, NHK 월드 프리미엄에서는 일본 국내 뉴스 프로그램 동시 방송 시에 긴급지진속보가 발령된 경우, 해당 내용이 그대로 방송된다.[125] NHK 월드 라디오 일본에서는 국제 방송 자체 방송 시간대에는 방송되지 않지만, NHK 라디오 제1 방송, NHK-FM 방송, NHK 종합 텔레비전(NHK 노도 지만 방송 시)과의 국내 동시 방송 시에는 라디오, FM 공용 넷 전송 회선을 직수신하기 때문에 그대로 방송된다. 2020년 3월 1일부터 시작한 텔레비전(종합, E테레)의 인터넷 동시 배신 "NHK 플러스"에서도 약 30초 늦게 배신된다.

긴급지진속보 차임 2회를 송출한 후,[126] 텔레비전에서는 화면 하단 절반에 "'''『긴급지진속보 (기상청)』'''"과 "'''◯◯에서 지진 강한 흔들림에 경계'''"라는 문구, 예측 진원지와 경계 구역의 지도, 도도부현명을 나타내는 텔롭과 동시에 "(차임 2회)'''긴급지진속보입니다. 강한 흔들림에 경계하십시오'''"라는 자동 음성이 송출된다. 중파, FM 방송 및 라디오 국제 방송(일본 국내 동시 방송 시에만)에서는 통상 프로그램을 강제 중단하고 발생할 도도부현 지역을 자동 음성으로 전달한다. 텔롭이 없는 라디오에서는 대상 지역의 도도부현을 읽어주고, 흔들림이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신변 안전 확보 및 차를 운전 중인 사람에 대한 위험 표시등을 켠 상태에서의 완만한 정지를 촉구하는 자동 음성도 송출된다. 긴급지진속보의 속보가 발령된 경우에는 "긴급지진속보, 속보입니다."라고 자동 음성이 송출된다.[129] 뉴스 프로그램 담당 아나운서는 속보 발표 시의 교육을 받고 있으며,[130] 적절한 대응을 취하고 있다.

지상 디지털 방송에서는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수신 지역에 따라 수 초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방송을 강제적으로 동작시켜 화면 상단에 적색 바탕에 흰색 글씨로 긴급지진속보의 문자 슈퍼를 표시하고 고지음을 울리는 대응책을 NHK 전 방송국에서 실시하고 있다[134][135][136]. "문자 슈퍼" 표시는 7초간,[137] 고지음은 4초간 지속된다.[138] 원세그NHK 플러스에서는 문자 슈퍼 표시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 대응책은 재경 민방 키국 5국, 재한 광역 4국 외 전국 지상파 텔레비전 중 58개사가 대응하고 있으며, Dlife에서는 2012년 3월 개국 시부터 실시되었다[139]. 텔롭의 문자 색상, 표시 위치, 내용은 방송국에 따라 다르며, 니혼 TV처럼 진원지의 문자 슈퍼를 병기하는 방송국도 있다.[140]

NHK는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외에도 NHK 홀, 스튜디오 파크, 모두의 광장 후레아이 홀과 같은 NHK 방송 센터 시설 내에도 관내 방송으로 긴급지진속보를 송출한다.

종합, E테레, BS의 서브 채널에서도 송출된다. 로컬 편성(종합, E테레, 라디오 제1, 라디오 제2, FM 모두 지상파)에서도 해당 지역과 관계없이 송출된다. 국제 방송의 텔레비전, 라디오에서도 국내 동시 방송일 때는 송출된다.[141]

민방은 긴급 지진 속보 방송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지만, 텔레비전에서는 2007년 10월 이후, 라디오에서는 난카이 방송(RNB 라디오)이 2007년 10월 1일, 시즈오카 방송(SBS 라디오)은 2007년 11월, FM 모리구치(FM HANAKO)는 2008년 2월부터, 재경 민방 라디오 방송국은 2008년 4월, 그 외 라디오 방송국도 2008년 4월 이후 속보를 방송한다.[142][143][144]

라디오에서는 생방송·녹음 프로그램을 불문하고 통상 프로그램이 갑자기 완전히 중단되고 자동 음성이 흘러나오기 때문에 청취자가 냉정함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2008년 4월 1일 도입 초기에는 재경(지바, 사이타마, 가나가와 각 현 포함)·재한·재명의 각 민방 라디오에서 긴급 지진 속보는 각 방송국의 방송 대상 지역에서 최대 예측 진도가 5강 이상일 때만 방송되었다.[145] 재경·재명의 각 민방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2024년 현재도 계속해서 이 기준에서의 운용을 유지하고 있지만,[147][148] 재한 민방 라디오 방송국 일부에 대해서는 2019년 1월 7일 오전 10시 이후 NHK와 거의 동일한 기준이 되는 '진도 5약 이상'으로 발령 기준이 변경되었다.[150][151][152][153][155]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에도, 재경 민방 키국에서는 긴급 지진 속보가 방송되어도 해당 외 지역의 민방 텔레비전에서는 방송되지 않지만, 뉴스·정보 프로그램에서는 방송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긴급 지진 속보가 있었다는 내용이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많은 민방 방송국에서 차임은 NHK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156] 또한 니혼 TV(지상파·BS 닛테레·닛테레 NEWS24 공통)는 "'''긴급 지진 속보입니다'''"라는 안내 (목소리는 무라야마 요시히코)가 차임 후에 삽입되었지만, 타 방송국에서는 추종하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2011년에 들어서 차임 소리만으로는 알기 어렵다는 견해에서 니혼 TV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방송국도 나왔다.

재경 민방 라디오 6국에서는 2008년 1월 17일에 공동 제작으로 사전 주지 특별 프로그램을 사이멀 방송(동시 방송)했다. 그 후 3월에는 도쿄 근교의 FM 라디오 3국도 공동 주지에 참가했다.[159] 간사이, 도카이 3현의 민방 각 회사도 2008년도 내에 긴급지진속보를 도입했다.[160]

WOWOW에서는 2008년 4월 1일에 도입하여 현재는 최대 진도 5약 이상의 흔들림이 예상되는 지역이 나왔을 경우 속보를 발표하고 있다.[169] BS11에서는 데이터 방송에 의한 문자 슈퍼를 표시하고, 수신 기기의 내장음만 울린다. 지상 디지털 방송, 원세그 및 BS 디지털 방송에서는 G 가이드를 이용한 송신이 검토되고 있다. 인터넷 동시 송신·IP 사이멀 라디오 'radiko'에서도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컷되지만, J-WAVE 등 일부 방송국의 송신에서는 컷되지 않고 방송되지만, radiko 사이트 상에서는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 '지진 대책에는 라디오 수신기의 이용을'의 취지가 표기되어 있다.[171]

CS의 전문 채널에서는 도입되지 않은 방송국도 있다. 예를 들어, 숍 채널에서는 개국 초창기부터 오랫동안 지진 속보를 알리는 기능도 없었으나, 동일본 대지진 이후 지진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지진 발생 시 텍스트로 정보를 내보내도록 하고 있다.

위성을 통한 긴급지진속보 제공 서비스 중에는 모바일 방송의 "S밴드 방재 정보"가 있었으나, 모바HO!는 방송이 종료되었으므로 해당 서비스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188]

일본의 케이블 TV 방송국은 긴급 지진 속보를 제공한다. 재팬 케이블넷(JCN)은 예상되는 진도와 남은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신기를 임대한다.[42][43] 일부 케이블 TV 방송국은 FM 지역 라디오 방송국을 통해 긴급 지진 속보를 방송하고 현 및 시립 시설에 무료 장비를 제공하기도 한다.

문부과학성 리딩 프로젝트의 "재해 의료" 분야로서, 도쿄도 다치카와시의 국립병원기구 재해의료센터에서 2003년부터 활용 실험·검증이 이루어졌다. 이세탄 백화점은 전국 10개 점포에서 관내 방송과의 연동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의 집객 시설이나 공공 시설 등에서도 시스템 정비가 완료된 시설에서는 2007년 10월부터 제공이 시작되었다. 소방청의 전국 순간 경보 시스템(J-ALERT)을 이용한 지방 자치 단체의 방재 행정 무선에 의한 긴급 지진 속보도 2007년 10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 시스템 정비가 완료된 일부 시정촌에서 제공이 시작되었다.

일본의 3대 주요 이동 전화 회사인 NTT 도코모, au(KDDI 및 오키나와 셀룰러), 그리고 소프트뱅크 모바일은 많은 이용자들이 긴급지진속보 문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 방송 시스템인 셀 브로드캐스트를 개발했다.[396][397][398] 2007년 이후 시장에 나오는 모든 3G 핸드폰은 이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무화되었으나, 해외 제품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1년 8월, 애플은 iOS5 아이폰 플랫폼이 긴급지진속보 알림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99]

휴대 전화에서는 NTT 도코모, au(KDDI,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연합) 및 소프트뱅크(SoftBank 브랜드, Y!mobile 브랜드) 단말에서 긴급 지진 속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송 시스템·기반을 각각 개발하여, 2007년 출시된 신형 기기부터 수신 기능이 탑재되었다. 스마트폰에서는 2011년 여름 이후 각 사에서 대응 기종이 출시되었으며, 아이폰도 iOS 5의 표준 기능으로 긴급 지진 속보 기능이 추가되었다. 알림음은 "울릴 것인가, 끌 것인가"(매너 모드)의 설정만으로 음량 조절은 할 수 없다.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유레쿠루 콜 등이 있다. 한편, Wi-Fi만 연결된 상태를 포함한 비행기 모드나 전원을 끈 상태처럼, 모바일 회선을 차단하는 설정에서는 대상 구역 내에 있어도 수신되지 않는다.

라쿠텐 모바일에서는 긴급 속보 메일로 긴급 지진 속보를 제공하고 있다.[216] MVNO(가상 이동 통신 사업자)와 계약한 경우에도 긴급 속보에 대응하는 기종이라면 MNO에서 발신된 긴급 속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 전화 단말기에 따라 긴급 속보 표시 기능이 없거나 알림 소리가 울리지 않거나 훈련용 긴급 속보에서 작동하지 않거나 알림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217]

FM 방송국에서 특정 차임 소리가 자동으로 감지되면 라디오가 켜지고, 큰 차임 소리가 울리며 S파를 감지하여 긴급 지진 속보(EEW) 메시지를 방송한다. S파 분석 후에는 지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진도 및 위협 지역 등)가 발표된다. 긴급 지진 속보 수신 전용 라디오는 방송국에서 EEW를 수신하며 별도의 정보나 연결 수수료가 없다.

일반용 긴급지진속보를 감지하여 속보 발표를 전달하는 기기나 소프트웨어가 있다. 긴급지진속보기 등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라디오에서는, 전원이 대기 상태인 경우 전원이 자동으로 켜지고 차임 소리의 중간부터 들린다. 일반 가정에서는 이 긴급지진속보기 등의 라디오 수신기를 가옥의 중심 등에 두고 음량도 크게 설정하여, 거주자 모두가 가옥 어디에 있든 수면 중에도 경고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긴급경보방송과 달리 긴급지진속보 자체에는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전원을 켜는 기능은 없다.[220] NHK나 민간 방송은 기상청이 권장하는[123] 긴급지진속보의 "보지음"이라고 부르는 독특한 차임 소리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긴급지진속보기"나 "지진 쓰나미 경보기" 등으로 칭하는 라디오 수신기는, 차임 소리의 전기 신호를 내부에서 감지하여 전원을 대기 상태에서 자동으로 켜짐으로 전환하여 긴급지진속보를 들을 수 있는 기능을 갖춘다.

웨더뉴스는 2007년 10월 15일부터 PC와 인터넷을 이용한 긴급지진속보 유료 서비스인 The Last 10-Second(The Last 10-Second) 프로그램을 제공했다.[403][404][405] 2008년 7월 7일에는 철도 기술 조사 연구소 그룹의 재해 예방 기술 회사가 EQ 메신저 앱을 출시했다.[406]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SignalNow Express와 유사한 윈도우 프로그램이 무료로 제공되기 시작했다.[407] RC 솔루션 컴퍼니는 App Store에서 배포되는 무료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인 유레쿠루 콜(Yurekuru Call)을 개발했으며, 안드로이드 버전도 출시되었다. iOS 5 일본어 버전에는 EEW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윈도우, Mac 및 Linux에서 작동하는 무료 다중 플랫폼 프로그램인 [https://jquake.net JQuake]는 Kiwi Monitor라는 프로그램에서 영감을 받아 2020년 2월 14일에 출시되었으며, 실시간 정보 추적 및 쓰나미 발생 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49]

NTT의 フレッツ 회선에 접속된 전용 단말을 통해서도 긴급 지진 속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속보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는 NTT 커뮤니케이션즈가 제공하는 "긴급 지진 속보 フレッツ 타입" 서비스 이용이 필요하다.

아파트 공용 부분에 인터넷 회선과 긴급지진속보 수신 설비를 설치하고, 인터폰 설비에 접속하여 건물 내에 일괄적으로 방송하는 시스템이 출시되었다.[237][238] 수신된 긴급 지진 속보는 각 세대에 설치된 인터폰에서 컬러 모니터 표시나 경보 음성으로 거주자에게 전달된다.

7. 1. 텔레비전 방송 및 라디오 방송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NHK를 비롯한 일본의 여러 방송사(ISDB, 1seg 포함)[394]에서 지진 진앙지(흰색 윤곽선이 있는 빨간색 X로 표시)와 강한 진동 예상 지역을 화면에 메시지 창 형태로 표시한다. 동시에 두 종류의 차임벨이 울린 후 일본어 음성 안내가 나온다.

긴급지진속보입니다. 강력한 진동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緊急地震速報です。強い揺れに警戒して下さい。일본어

NHK와 도쿄 MX에서는 위와 같이 방송하며, 니혼TV와 TBS는 "긴급 지진 속보입니다"로 줄여 알린다. 후지 TVTV 아사히는 차임벨을 울리지만 음성 안내는 생략한다. TV 도쿄는 음성 안내 없이 차임벨만 내보낸다.

이러한 경보는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나 쓰나미 발생 가능성도 함께 알린다. 쓰나미 경보 발령 시에는 위험 지역 내 1seg 기술이 적용된 모든 라디오와 텔레비전이 자동으로 NHK 채널로 전환된다. 경고는 일본어 외에 영어, 중국어, 한국어, 포르투갈어로도 방송된다.[395]

전송되는 긴급지진속보는 방송국에 따라 진앙지 표시 유무, 강한 흔들림 예상 지역 표시 단위를 선택할 수 있어[119] 표시 형태가 다르다. NHK에서는 "'''(지역명)에서 지진, 강한 흔들림에 경계 ○○ ○○ ○○'''" 등으로 표시되지만, 민영 방송국에서는 "'''(지역명)에서 지진, 강한 흔들림에 경계 ○○ 지방 ○○ 지방 등'''", "'''(지역명)에서 지진, 강한 흔들림 경계 ○○현 ○○현 ○○부'''"와 같이 흔들림 예상 지역 표시를 지방명으로 줄이거나, 진앙지는 표시하되 도도부현 종류를 생략하는 등 대응 방식이 제각각이다. 텔롭은 3행 내외로 1페이지에 표시된다. 일부 방송국에서는 "'''긴급지진속보(기상청)'''" 문구를 표시하지 않거나, 광역에 걸친 지역을 지방명으로 표시하여 시청자의 이해를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민방은 지상파의 경우 각 방송 구역, BS·CS 위성파는 NHK와 마찬가지로 전국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민방 지상파 방송 구역 외에서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면 지상파에서는 NHK에서만 속보가 방송된다. 방송대학학원방송법상 재해 방송 관련 규정이 면제되어 있어 방송대학 (기반 방송)에서는 지상파·BS를 불문하고 텔레비전·라디오에서 속보를 하지 않는다 (쓰나미 경보·주의보도 마찬가지).

2007년 10월 1일 제공 시작 이후[121] NHK와 니혼TV는 이후쿠베 다다시가 제작한 특징적인 차임벨 소리를 사용하고[121][122], 다른 민영 방송국들은 뉴스 속보 시의 음성과 비슷한 소리를 차임벨로 사용해왔다. 기상청의 권고에 따라 NHK의 차임벨 소리를 사용하는 방송국이 늘고 있다(각 방송국 자체 음성 사용도 가능)[123]. 이 차임벨 소리는 2020년 굿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121]

진앙지 표시는 지진 정보의 진앙 지명[124]을 기준으로 하지만, 문자 수 제한으로 여러 지역을 묶거나 지명을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해저가 진앙인 경우, NHK에서는 "'''○○현 앞바다에서 지진'''"(예: 이바라키현 앞바다에서 지진), 민방에서는 "'''○○ 앞바다에서 지진'''"(예: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지진)으로 표시한다. 육지가 진앙인 경우에는 "'''○○현에서 지진'''"(예: 지바현에서 지진)과 같이 도도부현 단위로 표시한다 (광대한 홋카이도는 도오, 도난, 도토, 도호쿠로 나뉜다).

7. 1. 1. 일본방송협회 (NHK)

NHK는 2007년 10월 1일부터 TV, AM, FM 전파를 통해 긴급지진속보를 방송하고 있다.[125] 이는 국내 방송 전용이며, 해외 대상 국제 방송인 NHK 월드에서는 텔레비전 방송(NHK 월드 JAPAN 및 NHK 월드 프리미엄)에서 긴급지진속보는 차임, 자동 음성 및 텔롭 표시를 포함해 방송되지 않는다. 다만, NHK 월드 프리미엄에서는 일본 국내 뉴스 프로그램 동시 방송 시에 긴급지진속보가 발령된 경우, 해당 내용이 그대로 방송된다.[125] NHK 월드 라디오 일본(단파, 위성 디지털 라디오)에서는 국제 방송 자체 방송 시간대에는 방송되지 않지만, 라디오 제1 방송, FM 방송, 종합 텔레비전(NHK 노도 지만 방송 시)과의 국내 동시 방송 시에는 라디오, FM 공용 넷 전송 회선을 직수신하기 때문에 그대로 방송된다. 따라서 라디오 방송에서는 일본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 국가 및 지역에도 발신된다. 2020년 3월 1일부터 시작한 텔레비전(종합, E테레)의 인터넷 동시 배신 "NHK 플러스"에서도 약 30초 늦게 배신된다.

긴급지진속보 차임 2회를 송출한 후,[126] 텔레비전(로컬 프로그램 방송 중 중단 포함)에서는 화면 하단 절반에 "'''『긴급지진속보 (기상청)』'''"과 "'''◯◯에서 지진 강한 흔들림에 경계'''"라는 문구, 예측 진원지와 경계 구역의 지도, 도도부현명을 나타내는 텔롭(약 1분간, 생방송 프로그램 중에는 진도 정보가 들어올 때까지 계속 표시)[127][128]와 동시에 "(차임 2회)'''긴급지진속보입니다. 강한 흔들림에 경계하십시오'''"(음성은 스에다 마사오, 전 NHK 아나운서)라고 2회 반복하여 자동 음성이 송출되며, 중파, FM 방송 및 라디오 국제 방송(일본 국내 동시 방송 시에만)에서는 통상 프로그램을 강제 중단하고 발생할 도도부현 지역을 자동 음성으로 전달한다.

텔롭이 없는 라디오에서는 다음과 같이 방송된다.

;예

(차임 2회)긴급지진속보입니다. '''◯◯에서 지진'''。다음 지역은 강한 흔들림에 경계하십시오.(여기서 대상 지역의 도도부현이 읽혀짐. 내용은 2회 반복). 긴급지진속보였습니다. 해당 지역의 분들은 쓰러지기 쉬운 가구 등에서 떨어져, 테이블 아래 등으로 들어가 몸을 보호하십시오. 차를 운전 중인 분은 당황하지 말고 차를 천천히 멈추십시오. 위에서 떨어지는 것, 쓰러지는 것에 주의하십시오. 지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입수하는 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차임 2회)

굵게 표시된 부분은 "(도도부현명)에서 지진" 혹은 "(해역 또는 만과 灘)에서 지진"이라고 아나운스된다. 또한, 흔들림이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신변 안전 확보 및, 차를 운전 중인 사람에 대한 위험 표시등을 켠 상태에서의 완만한 정지를 촉구하는 자동 음성도 송출된다. 긴급지진속보의 속보가 발령된 경우에는 "긴급지진속보, 속보입니다."라고 자동 음성이 송출된다.[129]

뉴스 프로그램 담당 아나운서는 속보 발표 시의 교육을 받고 있으며,[130] 적절한 대응을 취하고 있다(뉴스 프로그램 이외의 생방송 프로그램 시에도 동일). 차임과 자동 음성이 송출되는 동안은 한마디도 하지 않고, 송출 후에는[131]

'''긴급지진속보입니다. ○○'''(도도부현명)'''、○○'''(도도부현명)'''에서는 강한 흔들림에 경계하십시오. 쓰러지기 쉬운 가구 등에서 떨어지십시오. 테이블이나 책상 밑에 숨으십시오. 자세를 낮추고 머리를 보호하십시오. 부상을 입지 않도록 몸을 보호하십시오.……'''(이후, 속보 고지가 반복된다)

라고 반복해서 전달한다. 진원에 대해서는 화면에 표시할 뿐이다. 라디오 방송(주로 라디오 제1과 라디오 국제 방송)에서는 NHK 라디오 센터의 스튜디오(원칙적으로 뉴스 스튜디오. 131스튜디오, 132스튜디오에서인 경우도 있음.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뉴스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자동 음성 후에 뉴스 프로그램 담당 아나운서가 그대로 전달)에 있는 아나운서가 긴급지진속보를 전달한다. 텔레비전 방송(주로 종합 텔레비전)에서는 뉴스 프로그램 방송 중에는 뉴스 프로그램 담당 아나운서가 긴급지진속보를 전달하고, 뉴스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 방송 중에는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고 잠시 후 프로그램이 중단되고 뉴스 센터에 있는 아나운서가 긴급지진속보를 전달한다.[132]

지상 디지털 방송에서는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수신 지역에 따라 수 초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방송을 강제적으로 동작시켜 화면 상단에 적색 바탕에 흰색 글씨로 긴급지진속보의 문자 슈퍼를 표시하고 고지음을 울리는 대응책을 NHK 전 방송국에서 2010년 8월 20일에 발표, 실시하고 있다[134][135][136] "문자 슈퍼" 표시는 7초간,[137] 고지음은 4초간 지속된다.[138] 이를 통해 약 1.0 - 2.5초의 단축이 예상되며, 지상 아날로그 방송에서의 "지도 포함 슈퍼" 표시 개시와 지상 디지털 방송에서의 "문자 슈퍼" 표시 개시 시간은 수신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거의 같은 타이밍이 되었다. 원세그NHK 플러스에서는 문자 슈퍼 표시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 대응책은 재경 민방 키국 5국, 재한 광역 4국 외 전국 지상파 텔레비전 중 58개사(2013년 6월 현재)가 대응하고 있으며, Dlife에서는 2012년 3월 개국 시부터 실시되었다[139] 텔롭의 문자 색상, 표시 위치, 내용은 방송국에 따라 다르며, 니혼 텔레비전처럼 진원지의 문자 슈퍼를 병기하는 방송국도 있다.[140]

NHK는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외에도 NHK 홀, 스튜디오 파크, 모두의 광장 후레아이 홀과 같은 NHK 방송 센터 시설 내에도 관내 방송으로 긴급지진속보를 송출한다(음성 내용은 라디오 방송과 동일).

종합, E테레, BS의 서브 채널에서도 송출된다. 로컬 편성(종합, E테레, 라디오 제1, 라디오 제2, FM 모두 지상파)에서도 해당 지역과 관계없이 송출된다. 국제 방송의 텔레비전, 라디오에서도 국내 동시 방송일 때는 송출된다.[141]

7. 1. 2. 민간 방송

민방은 긴급 지진 속보 방송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지만, 텔레비전에서는 2007년 10월 이후, 라디오에서는 난카이 방송(RNB 라디오)이 2007년 10월 1일, 시즈오카 방송(SBS 라디오)은 2007년 11월, FM 모리구치(FM HANAKO)는 2008년 2월부터, 재경 민방 라디오 방송국은 2008년 4월, 그 외 라디오 방송국도 2008년 4월 이후 속보를 방송한다.[142][143][144]

라디오에서는 생방송·녹음 프로그램을 불문하고 통상 프로그램이 갑자기 완전히 중단되고 자동 음성이 흘러나오기 때문에 청취자가 냉정함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2008년 4월 1일 도입 초기에는 재경(지바, 사이타마, 가나가와 각 현 포함)·재한·재명의 각 민방 라디오에서 긴급 지진 속보는 각 방송국의 방송 대상 지역에서 최대 예측 진도가 5강 이상일 때만 방송되었다.[145] 따라서 진도 5약에서는 NHK에서는 방송되어도 대상 지역 외 민방 라디오에서는 방송되지 않았다.[146] 재경·재명의 각 민방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2024년 현재도 계속해서 이 기준에서의 운용을 유지하고 있지만,[147][148] 재한 민방 라디오 방송국 일부[149]에 대해서는 2019년 1월 7일 오전 10시 이후[150][151][152][153] NHK와 거의 동일한 기준[154]이 되는 '진도 5약 이상'으로 발령 기준이 변경되었다.[155]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에도, 재경 민방 키국에서는 긴급 지진 속보가 방송되어도 해당 외 지역의 민방 텔레비전에서는 방송되지 않지만, 뉴스·정보 프로그램에서는 방송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긴급 지진 속보가 있었다는 내용이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단, 반대로 간토 광역권 외에서 긴급 지진 속보가 나와도 재경 민방 키국의 뉴스·정보 프로그램에서 언급되는 일이 없고, 통상의 지진 속보와 마찬가지로 발생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전달된다). 많은 민방 방송국에서 차임은 NHK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156] 또한 니혼 TV(지상파·BS 닛테레·닛테레 NEWS24 공통)는 "'''긴급 지진 속보입니다'''"라는 안내 (목소리는 무라야마 요시히코(동국 아나운서))가 차임 후에 삽입되었지만, 타 방송국에서는 추종하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그 후, 2011년에 들어서 차임 소리만으로는 알기 어렵다는 견해에서 니혼 TV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방송국도 나왔다. 재경 타 방송국의 추종 예로, TBS는 "'''긴급 지진 속보'''" (목소리는 야나기사와 레이·TBS954 정보 캐스터 (현: TBS 라디오 캐스터)), TV 아사히는 NHK와 같게 "'''긴급 지진 속보입니다. 강한 흔들림에 주의하십시오'''" (목소리는 이치카와 히로코(전 동국 아나운서)) 등. 또한 후지 텔레비전(지상파·BS 후지·CS 공통)은 2013년 3월까지는 안내 없이 차임 소리 4회만 울렸지만, 같은 해 4월부터 차임을 4회 울린 후, NHK와 같은 안내가 방송되게 되었다 (목소리는 사카시타 키오(전: 동국 아나운서. 2020년 현재는 차임이 2회로 변경되었다)). TV 도쿄는 2016년 11월 롯폰기 이전까지는 안내 없이 차임 2회만 울렸지만, 이전 후에는 이전의 후지 텔레비전과 마찬가지로 차임을 4회 울린 후, NHK와 같은 안내가 방송되게 되었다.[157] 덧붙여 NHK의 차임의 저작권은 NHK가 소유한다. 1초를 다투기 때문에 프로그램 방송 중뿐만 아니라, CM 중·제공 크레딧을 읽는 중에도 거기에 덮어씌우는 형태로 방송한다.[158]

재경 민방 라디오 6국에서는 2008년 1월 17일에 공동 제작으로 사전 주지 특별 프로그램을 사이멀 방송(동시 방송)했다. 그 후 3월에는 도쿄 근교의 FM 라디오 3국도 공동 주지에 참가했다.[159]

간사이의 민방 각 회사는 2008년 7월 1일을 시작으로[160] 총 12사가 2008년도 내에 도입했다.[161][162][163][164][165][166]

도카이 3현의 민방 7사도 같은 해 9월 1일에 도입했고,[167][148] 유일하게 도입하지 않았던 FM 기후 (FM GIFU)도 2009년 1월 1일에 도입했기 때문에[168] 모든 방송국이 도입 완료되었다.

WOWOW에서는 2008년 4월 1일에 도입. 당초에는 진도 6약 이상의 흔들림이 예상되는 지역이 나왔을 경우 속보를 발표했지만,[169] 현재는 최대 진도 5약 이상의 흔들림이 예상되는 지역이 나왔을 경우 속보를 발표하고 있다.[170]

BS11에서는 데이터 방송에 의한 문자 슈퍼를 표시하고, 수신 기기의 내장음만 울린다 (차임이나 안내는 없다). 녹화 재생 시에는 비표시로 할 수 있다 (일부 기종 제외).

또한, 지상 디지털 방송, 원세그 및 BS 디지털 방송에서는 G 가이드를 이용한 송신이 검토되고 있다. 인터넷 동시 송신·IP 사이멀 라디오 'radiko'에서도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컷되지만, J-WAVE 등 일부 방송국의 송신에서는 컷되지 않고 방송되지만, radiko 사이트 상에서는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 '지진 대책에는 라디오 수신기의 이용을'의 취지가 표기되어 있다.[171]

이 외에도 CS의 전문 채널에서는 도입되지 않은 방송국도 있다. 예를 들어, 숍 채널에서는 개국 초창기부터 오랫동안 지진 속보를 알리는 기능도 없었다. 그러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지진 활동이 활발해지고 본사도 방송 중단에 내몰리는 등의 영향이 있었기 때문에, 지진 발생 시에는 텍스트로 정보를 내보내도록 하고 있다.

7. 2. 위성 데이터 방송

위성을 통한 긴급지진속보 제공 서비스 중에는 모바일 방송의 "S밴드 방재 정보"가 있었다.[188] 큰 지진으로 인해 생명선이 차단되어도 전선만 확보되어 있다면 위성으로부터 긴급지진속보를 수신할 수 있어 재해에 적합하다. 또한, 수신 단말기에 따라 위치를 변경해도 GPS에 의해 자동 수정되는 경우도 있다.[189] 모바HO!는 방송이 종료되었으므로 해당 서비스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7. 3. 시설 및 광역 방송 등

일본의 케이블 TV 방송국은 긴급 지진 속보를 제공한다. 재팬 케이블넷(JCN)은 예상되는 진도와 남은 시간(0~5초)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신기를 임대한다.[42][43] 일부 케이블 TV 방송국은 FM 지역 라디오 방송국을 통해 긴급 지진 속보를 방송하고 현 및 시립 시설에 무료 장비를 제공하기도 한다.

문부과학성 리딩 프로젝트의 "재해 의료" 분야로서, 도쿄도 다치카와시의 국립병원기구 재해의료센터에서 2003년부터 활용 실험·검증이 이루어졌다. 2008년 4월 현재는 병원 내 전관 방송, 엘리베이터 최상층 정지, 자동문 개방, 방사선 장치 정지, 정보 표시기, 현지 지진계와의 연계(가까운 진원의 지진에 대응)를 실시하고 있다.

이세탄 백화점은 전국 10개 점포에서 관내 방송과의 연동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백화점은 불특정 다수자가 많은 시설이기 때문에, 지진 시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직원은 물론이고 방문객 자신도 침착한 행동을 할 필요가 있다.

그 외의 집객 시설이나 공공 시설 등에서도 시스템 정비가 완료된 시설에서는 2007년 10월부터 제공이 시작되었다.

전자 정보 기술 산업 협회의 "긴급 지진 속보에 대응한 비상용 방송 설비에 관한 가이드라인"에서는, 기상청이 발표하는 "긴급 지진 속보(경보)"를 수신했을 때 업무 방송(BGM·안내 방송·시보 등)·화재 발생 방송을 중단하고, 전관 일제히 NHK의 차임벨 소리 2회와 남성 목소리로 "지진입니다. 침착하게 몸을 보호하십시오"를 2회 방송하는 (총 15초 이하)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소방청의 전국 순간 경보 시스템(J-ALERT)을 이용한 지방 자치 단체의 방재 행정 무선에 의한 긴급 지진 속보도 2007년 10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 시스템 정비가 완료된 일부 시정촌에서 제공이 시작되었다.

7. 4. 휴대 전화

일본의 3대 주요 이동 전화 회사인 NTT 도코모, au(KDDI 및 오키나와 셀룰러), 그리고 소프트뱅크 모바일은 많은 이용자들이 긴급지진속보 문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 방송 시스템인 셀 브로드캐스트를 개발했다.[396][397][398]

2007년 이후 시장에 나오는 모든 3G 핸드폰은 이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무화되었으나, 해외 제품인 노키아, 애플, HTC, LG, 삼성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1년 8월, 애플은 iOS5 아이폰 플랫폼이 긴급지진속보 알림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99]

NTT 도코모, au(KDDI 및 오키나와 셀룰러), 소프트뱅크는 EEW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SMS로 전송하는 셀 방송 시스템을 개발했다.[26][27][28]

휴대 전화에서는 NTT 도코모, au(KDDI,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연합) 및 소프트뱅크(SoftBank 브랜드, Y!mobile 브랜드) 단말에서 긴급 지진 속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송 시스템·기반을 각각 개발하여, 2007년 출시된 신형 기기부터 수신 기능이 탑재되었다[190][191][192]. 이들 중, 도코모·SBM에 대해서는, 3GPP에서 표준화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동보 전송 방식인 "CBS (Cell Broadcast Service)"가 사용된다[193]. 또한, LTE 듀얼 모드 단말(태블릿 포함)에서는, LTE의 통신 특성상, CBS에서의 알림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ETWS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CDMA2000 방식을 사용하는 au에서는, 3GPP2가 제정한 "BroadcastSMS"라고 불리는 별도의 방식이 채용되었다.

스마트폰에서는 대응이 늦어졌지만, 동일본 대지진 이후, 대응의 필요성이 높아져, 안드로이드 단말에서는 2011년 여름 이후 각 사에서 대응 기종이 출시되었으며, 이미 출시된 기종도 일부를 제외하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대응하게 되었다. 또한 아이폰도 iOS 5의 표준 기능으로 긴급 지진 속보 기능이 추가되었다.

긴급을 요하기 때문에, 알림음("3번 울리고 "지진입니다"라는 음성 안내"가 반복되는 사이렌 소리)은 "울릴 것인가, 끌 것인가"(매너 모드)의 설정만으로 음량 조절은 할 수 없다. 그러나 현재 안드로이드 단말의 대부분에서는 알림 자체를 끄는 것, 최대 음량으로 울리는 것 외에 일반 알림과 같은 설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오보를 포함한 모든 수신 이력이 저장된다.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안드로이드용이나 아이폰용 등 여러 종류가 있지만, 모두 초기 설정 등이 필요하다. R.C. 솔루션이 아이폰, 안드로이드용으로 긴급 지진 속보를 수신할 수 있는 앱 "유레쿠루 콜" for iPhone"을 개발, App Store에서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고도 이용자용 긴급 지진 속보를 이용하여 알림을 한다. 단, 회선의 이용 상황에 따라 알림이 늦어지거나 수신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194][195]. 안드로이드용으로는 지진 속보를 알리는 앱 "나마즈 속보 β" 등도 배포되고 있으며, 실험적으로는 실시간 알림이 가능하다. 이 또한 알림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보장은 없다[196].

한편, Wi-Fi만 연결된 상태를 포함한 비행기 모드나 전원을 끈 상태처럼, 모바일 회선을 차단하는 설정에서는 대상 구역 내에 있어도 수신되지 않는다. 속보 발표 중에 전원을 켜거나 설정을 해제하더라도 추가 발표가 없는 한 알림은 되지 않는다. 단말의 전파 차단 중에 발표된 정보에 관해서는 수신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이력에도 남지 않는다. 휴대 전화 단말에는 긴급 경보 방송 시스템과는 달리, 오프라인에서 속보를 수신한 단계에서 자동으로 온라인이 되는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다[197].

7. 4. 1. NTT 도코모

NTT 도코모는 2007년 11월 26일 출시된 FOMA 905i 시리즈의 모든 모델에서 긴급지진속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기본 설정을 제공했다. 2008년 2월 출시된 FOMA 705i 시리즈의 FOMA 하이스피드 모델 또한 마찬가지였다.[400][401]

긴급지진속보(EEW)는 2007년 11월 26일 이후 출시된 모든 FOMA 905i 시리즈 모델과 2008년 2월 이후 출시된 일부 FOMA 705i 시리즈 고속 모델에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었다.[30][31]

NTT 도코모는 지역 메일 서비스를 2007년 12월 10일부터 무상으로 제공했다. 최초 지원 기종은 2007년 11월 26일부터 순차적으로 발매된 FOMA 905i 시리즈 전 기종 및 2008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발매 예정인 FOMA 705i 시리즈의 FOMA 하이스피드 대응 일부였다. 2010년 겨울 모델 일부부터 순차적으로 (2011년 겨울 모델 이후의 Xi 듀얼 모드 단말 및 태블릿은 모두), 알림 방식이 CBS 방식에서 ETWS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다만 2011년 겨울 모델 이후의 지원 단말 일부는 긴급 지진 속보에만 대응하는 단말도 있었다.

2012년 3월에 출시된 "포토 패널 04"부터 디지털 액자를 이용한 지역 메일 수신을 지원했다.

7. 4. 2. au (KDDI,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연합)

au(KDDI,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연합)에서는 2008년 초부터 W61CA, W61H, W61K, W61SA, W61SH, W62SA 등의 모델과 IS02(TSI01) 같은 일부 스마트폰 모델을 포함한 모든 모델에서 긴급지진속보를 제공하고 있다.[402] KDDI와 오키나와 셀룰러는 au의 C-mail(SMS)을 통해 2008년 3월 25일부터 긴급지진속보 방송을 무료로 시작했다.[402][32][200] 첫 대응 기종은 2008년 1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발매된 2008년 봄 모델의 대부분이었다.[201]

2011년 9월에 발매된 디지털 액자 SP03도 긴급 지진 속보를 지원한다.

2012년 1월 31일에는 긴급 지진 속보 외에 국가 및 자치단체가 발신하는 메일 송신을 포함하는 '긴급 속보 메일' 서비스를 시작했다. 스마트폰(IS 시리즈)에서는 긴급 속보 메일을 포함하는 'au 재해 대책 앱'을 통해 수신한다. 이 앱은 2011년 12월 23일 발매된 IS11N과 IS14SH에 미리 설치되었고(2012년 1월 발매된 IS12F도 프리 인스톨 예정), 기존의 안드로이드 2.2 이상의 단말에도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를 통해 제공된다.

"au 재해 대책 앱"이 미리 설치되지 않은 스마트폰에서는 별도 앱을 통해 긴급 지진 속보에 대응하는 모델도 있다(SOI11 등).

피처폰에서는 F001과 2012년 여름 이후 발매된 모든 기종이 긴급 속보 메일 레벨까지 대응하고 있다.

7. 4. 3. 소프트뱅크

2007년 5월 30일, 소프트뱅크는 NTT 도코모와 au와 유사한 긴급지진속보(EEW) 방송 시스템 개발을 발표했다.[33] 시스템 배포는 원래 2008 회계 연도에 계획되었으나 2년 연기되었다. 2010년 8월 25일, EEW 서비스가 시코쿠, 간사이, 도카이, 도호쿠 (7개 현) 및 주고쿠 지방간토 지방 일부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EEW 방송 네트워크는 2010년 12월 7일부터 전국적으로 적용되었다. SoftBank 831N(ja:SoftBank 831N)은 2010년 여름 이후 더 많은 모델이 시스템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2011년 3월 당시 EEW를 지원하는 유일한 모델이었다.

7. 4. 4. 라쿠텐 모바일

2019년부터 이동통신 사업자(MNO)로 신규 진입한 라쿠텐 모바일(楽天モバイル)에서는 긴급 속보 메일로 긴급 지진 속보를 제공하고 있다.[216]

7. 4. 5. MVNO (가상 이동통신 사업자)

MVNO(가상 이동 통신 사업자)와 계약한 경우에도 대형 이동통신 사업자(MNO)의 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긴급 속보에 대응하는 기종이라면 MNO에서 발신된 긴급 속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 전화 단말기에 따라 긴급 속보 표시 기능이 없거나 알림 소리가 울리지 않거나 훈련용 긴급 속보에서 작동하지 않거나 알림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217] 또한 작동하지 않아야 할 테스트 신호에 작동하는 등 단말기의 구현에 따라 동작이 다를 수 있다.[218][219]

7. 5. 라디오 수신기



FM 방송국에서 특정 차임 소리가 자동으로 감지되면 (만약 절전 모드일 경우) 라디오가 켜지고, 큰 차임 소리가 울리며 S파를 감지하여 긴급 지진 속보(EEW) 메시지를 방송한다. S파 분석 후에는 지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진도 및 위협 지역 등)가 발표된다.

긴급 지진 속보 수신 전용 라디오는 방송국에서 EEW를 수신하며 별도의 정보나 연결 수수료가 없다.

  • 아이리스 오야마(Iris Ohyama) EQA-001[36]은 긴급지진속보(일본)(EEW)를 지원한다.
  • 아이리스 오야마 EQA-101[37]은 긴급지진속보(일본)(EEW)를 지원한다.
  • 유니덴(Uniden) EWR200[38]은 EEW와 긴급 경보 방송 시스템을 지원한다.
  • P2PQuake는 NHK 라디오 1 아나운서를 인식한다.


EEW 방송은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없는 지역에서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신호 품질, 속도 및 서비스 지역은 방송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반용 긴급지진속보를 감지하여 속보 발표를 전달하는 기기나 소프트웨어가 있다. 일반용 긴급지진속보의 『'''(차임) 긴급지진속보입니다. ........'''』라는 경보를 발령하며, 이를 듣고 지진의 흔들림이 시작되기 몇 초 전에 대비하거나 대처할 수 있다. 경고는 각 지역의 진도 등이 판명되기 전에 발령되며, 지진 자체의 자세한 내용은 흔들림이 끝난 뒤 별도로 TV나 라디오의 "지진 정보"로 파악해야 한다. 지진이 일어나기 전부터 라디오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긴급 경보 속보를 들을 수 있다.

긴급지진속보기 등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라디오에서는, 전원이 대기 상태인 경우 전원이 자동으로 켜지고 차임 소리의 중간부터 들린다. 차임 소리의 처음부터 들리지 않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긴급지진속보에 라디오의 전원을 켜는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경미한 지진에서는 흔들림이 멈추고 잠시 후 다시 전원이 대기 상태로 돌아가 조용해진다. 일반 가정에서는 이 긴급지진속보기 등의 라디오 수신기를 가옥의 중심 등에 두고 음량도 크게 설정하여, 거주자 모두가 가옥 어디에 있든 수면 중에도 경고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긴급경보방송과 달리 긴급지진속보 자체에는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전원을 켜는 기능은 없다.[220] NHK나 민간 방송은 기상청이 권장하는[123] 긴급지진속보의 "보지음"이라고 부르는 독특한 차임 소리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긴급지진속보기"나 "지진 쓰나미 경보기" 등으로 칭하는 라디오 수신기는, 차임 소리의 전기 신호를 내부에서 감지하여 전원을 대기 상태에서 자동으로 켜짐으로 전환하여 긴급지진속보를 들을 수 있는 기능을 갖춘다.

  • 타카콤 EDR-100/100A[221] FM 라디오, 피난 훈련 모드 기능, 오리지널 음원 송출 기능, 외부 제어 출력, 페이징 기능
  • 아이리스 오야마
  • * EQA-001[222]
  • * EQA-101[223]
  • 알렉손 EEW100[224] AM 라디오, FM 라디오 대응 외부 음성 입력, 외부 제어 출력 포함
  • 유니덴 EWR200[225] 긴급지진속보와 긴급경보방송에 대응
  • 야마젠 YEW-R100[226] 유니덴 EWR200의 OEM 제공을 받고 있으며, YAMAZEN 브랜드로 출시
  • 에프・알・씨(동사에서는 "방재 라디오"라고 부름)
  • *NX-109RD
  • *FC-R119D(특정 소전력 무선기 포함)


라디오 방송국이 방송하는 긴급지진속보를 이용함으로써 정보 수신료나 특정 회선 사용료가 필요 없다. 또한, 라디오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광대역 통신망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방송국이 긴급지진속보의 방송에 대응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수신국에 따라 속보 제공의 서비스 품질(속도, 대상 지역 등)이 다를 수 있다.

2008년 12월 시점에서 예보 업무 허가 사업자의 긴급지진속보 수신 단말기 누적 출하 대수는 13만 대이며, 2013년까지 26만 대를 목표로 한다.[227]

7. 6. PC 및 인터넷

웨더뉴스는 2007년 10월 15일부터 PC와 인터넷을 이용한 긴급지진속보 유료 서비스인 The Last 10-Second(The Last 10-Second) 프로그램을 제공했다.[403][404][405] 이 서비스는 윈도우 2000 이상이 설치된 컴퓨터와 인터넷 상시 접속을 필요로 하며, 긴급지진속보만을 위한 유료 단말기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긴급지진속보 앱은 일본 기상청 규모 3.5 이상 또는 진도 3 이상의 모든 지진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새로운 버전에서는 저강도 지진에 대한 음성 안내도 제공한다. 긴급지진속보 발령 시, 프로그램은 진앙지 추정 위치, 예상 일본 기상청 진도, 주요 진동 예상 시점까지의 카운트다운을 표시한다.

2008년 7월 7일에는 철도 기술 조사 연구소 그룹의 재해 예방 기술 회사가 EQ 메신저 앱을 출시했다. 이 앱은 진앙지에 대한 긴급지진속보 정보, 사용자 위치에서의 추정 진도, S파 도착 전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ANET 경보를 제공한다.[406] 추정 진도가 설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EQ 메신저는 경고음을 울리고 진앙지, 진도 추정치, 팝업 지도 상의 진동 도착을 표시한다.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SignalNow Express와 유사한 윈도우 프로그램이 무료로 제공되기 시작했다.[407] RC 솔루션 컴퍼니는 App Store에서 배포되는 무료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인 유레쿠루 콜(Yurekuru Call)을 개발했으며, 안드로이드 버전도 출시되었다. iOS 5 일본어 버전에는 EEW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윈도우, Mac 및 Linux에서 작동하는 무료 다중 플랫폼 프로그램인 [https://jquake.net JQuake]는 Kiwi Monitor라는 프로그램에서 영감을 받아 2020년 2월 14일에 출시되었으며, 실시간 정보 추적 및 쓰나미 발생 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49]

7. 7. 인터넷 단말

NTT의 フレッツ 회선에 접속된 전용 단말을 통해서도 긴급 지진 속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フレッツ 회선은 IPv6에 대응하고 있어야 한다. NTT 동일본 지역에서는 フレッツADSL은 IPv6 부가 서비스 신청이 필요하며, NTT 서일본 지역에서는 Bフレッツ와 フレッツADSL은 IPv6 부가 서비스 신청이 필요하다.

속보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는 NTT 커뮤니케이션즈가 제공하는 "긴급 지진 속보 フレッツ 타입" 서비스 이용이 필요하다. 발보 시에는 IPv6 멀티캐스트를 통해 단말까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2011년 현재, "긴급 지진 속보 フレッツ 타입" 수신에 대응하는 단말은 다음과 같다[235].

  • NTT 동일본 히카리 전화 라우터 (무선 LAN 타입) (동일본에서만 제공)
  • NTT 동일본・서일본 긴급 지진 속보 수신 단말 DW-100 (2008년 11월 20일 발매. 동일본에서는 2011년 4월에 판매 종료)
  • 산요 전기 TEL-LANW60 가정용 전화기[236] (2008년 6월 20일 발매. "고도 이용자용 긴급 지진 속보" 이용 가능. "긴급 지진 속보 메일 통지" 기능을 통해, 설치된 TEL-LANW60이 긴급 지진 속보를 발보했을 때, 미리 등록된 3건까지의 메일 주소로 "진앙지명", "(본 기기의 설치 장소의) 도달 예측 일시", "(본 기기의 설치 장소의) 예측 진도" 등의 긴급 지진 속보를 통지하는 기능이 있다.)
  • NTT 동일본・서일본 フレッツ 폰 VP1000, VP1500 (서일본에서만 판매 중)

7. 8. 아파트용 인터폰

아파트 공용 부분에 인터넷 회선과 긴급지진속보 수신 설비를 설치하고, 인터폰 설비에 접속하여 인터폰의 기기 및 배선을 활용하여 건물 내에 일괄적으로 방송하는 시스템이 출시되었다.[237][238] 수신된 긴급 지진 속보는 각 세대에 설치된 인터폰에서 컬러 모니터 표시나 경보 음성으로 거주자에게 전달된다. 긴급 지진 속보에 대응하는 전용 인터폰 기종이 필요하지만, 방문객 대응을 위해 항상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인터폰에서 경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8. 문제점 및 대책

## 문제점 및 대책

긴급 지진 속보 시스템은 기술적 한계, 예측 오차, 오보 발생 가능성, 정보 전달 지연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기술적 문제점

긴급지진속보 산출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문제점이 존재한다. 진앙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속보 발표가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특히 진원이 얕은 직하형 지진에서 두드러진다. 관측망 정비가 미흡한 지역, 특히 도서 지역이나 해구형 지진 발생 시 유예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여러 지진파를 동시에 관측할 경우 처리 오류로 인해 규모가 과대 산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규모가 큰 지진일수록 흔들림이 최대가 되기까지의 시간 때문에 규모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연동형 지진, 심발 지진, 화산성 지진, 인공 지진 등 변칙적인 파형에서도 오차가 커질 수 있다. 각 지진계 부근 지반의 진동 특성 차이, 진원에서 지진계까지의 지하 구조 차이 역시 규모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진계 자체의 오류나 통신선 단절, 전력 공급 중단 등으로 데이터 수집에 차질이 생겨 속보가 늦어질 수도 있다. 미야코지마나 토리시마 등 도서 지역은 해저 지진계가 없어 과대 또는 과소 평가 가능성이 존재한다.

### 발표 과정에서의 손실

지진 발생 직후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속보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P파와 S파가 거의 동시에 도달하는 진앙 부근에서는 속보가 실제 흔들림보다 늦을 수 있다. 현재 산출식은 P파 도달 후 3초 후의 파형을 기준으로 규모를 산출하므로, 실제 발표까지는 3초에 더해 처리 시간까지 더해져 손실이 발생한다. 깊이 0km에서 지진 발생 시 이론상 1초당 약 2.3k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2007년 가나가와현 서부에서 발생한 M4.9 지진의 경우, 시스템이 운용 중이었다고 가정해도 하코네정오다와라시에서는 P파 감지와 거의 동시에 S파가 도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총무성은 국토교통성에 긴급지진속보를 포함한 경보 개선을 권고했으며, 2007년 12월 도입 이후 일반용 긴급지진속보가 대상 지역 전역에 주요동 도달 전에 전달되지 못한 경우가 있었고, 최대 진도를 낮게 예측하여 발표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241]

### 발표 후 과정에서의 손실

기상청이 긴급 지진 속보를 발표한 후 정보가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배포 사업자를 거쳐 전달되는 경우 지연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 디지털 방송이 아날로그 방송보다 지연이 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일본 총무성은 지연 단축을 위한 기술 개발을 요청했다.[245] NHK는 문자 슈퍼 선행 표시를 통해 지연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라디오 방송 역시 진원지를 알리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 관측망 부족 지역의 손실과 오차

관측점 밀도가 낮은 이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난세이 제도 등에서는 속보 발표에 필요한 지진파 감지 시간이 길어지고, 관측점 수가 적어 진원, 규모, 진도 등의 오차가 확대되기 쉽다.

2008년 오키나와현 미야코지마 근해 지진 당시, 진앙이 해역이었고 해저 지진계가 없어 미야코지마에 지진파가 도달한 후에야 관측되었으며, 속보 발표까지 5초의 차이가 발생했다. 또한, 속보에서 발표된 진원이 실제보다 30km 떨어져 있는 오차가 있었다. 해저 관측점은 해구형 지진 속보를 빠르게 하고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쓰나미 예측에도 도움이 되지만, 설치 및 보수에 드는 비용과 노력이 높아 설치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 예측 오차

기상청은 긴급 지진 속보에서 예측 진도 값이 ±1 정도의 오차를 수반한다고 밝히고 있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속보에서는 구체적인 진도 값을 제시하지 않고 ‘강한 흔들림’으로 표현한다.[55] 예측 진도의 오차 원인으로는 지진파가 전파되는 경로의 지반 특성, 초기 파형의 특이성 등이 있다. 군발지진이나 본진 직후의 여진 등으로 여러 지진에 의한 파형을 동시에 관측하면 초기 미동을 과대 평가할 수 있다. 2006년 이즈반도 동쪽 해역 지진에서는 속보의 최대 예측 진도가 7로 발표되어 오차가 크게 발생했다.[248]

다음 표는 긴급지진속보 초기의 주요 예측 오차 사례이다.[249]

긴급지진속보 초기의 주요 예측 오차 사례[249]
주: 사례 간 단순 비교는 불가능하다.
지진 발생 시각진원최대 예측 진도실제 최대 진도
2006년 11월 1일 23:21홋카이도 도카치 지청 남부24
2006년 11월 30일 11:59후쿠시마 아이즈5약3
2007년 3월 25일 9:42노토반도 해역
(노토반도 지진)
5약6강
2007년 3월 25일 18:11이시카와 노토 지방35약
2007년 4월 15일 12:19미에현 중부45강
2007년 5월 19일 0:59아오모리 동쪽 해역24
2007년 6월 23일 23:52이바라키 해역24
2007년 10월 1일 2:21가나가와현 서부45강



일반인 대상 운용 개시 후에는 2008년 이와테현 연안 북부 지진에서 오차가 두드러졌다.[250] 기상청은 오차 원인으로 진원이 깊은 경우 진도가 커지는 사례가 적어 예측식의 정밀도가 높지 않다는 점을 들었다.[253] 기상청은 규모 산출 계산식을 개선하여 2009년 8월 3일부터 개선된 예측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255]

동일본 대지진 본진 당시, 일반인 대상 긴급지진속보는 도호쿠 지방에만 발표되었고, 진도 5약 이상의 강한 흔들림이 관측된 아오모리현, 간토 지방, 고신에쓰 지방에는 발표되지 않았다.[257] 또한, 대지진으로 인해 도호쿠 지방의 지진 관측점 대부분이 피해를 입어 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258] 동일본 대지진 이후 여진 및 유발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운데, 여러 지진이 동시에 발생했을 때 정확한 정보를 발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2011년 3월 12일에는 "가나가와현 서부에서 진도 5강에서 6약"이라는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었지만, 실제 지진은 규모 2.0이었고 유감 지진을 관측한 지점도 없었다.[259][260] 이에 기상청은 시스템 개선을 실시, 2011년 8월 11일부터 운용하고 있다.[261]

### 오보

EEW(긴급지진속보)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과거 다음과 같은 오경보 사례가 있었다.


  • 2011년 도호쿠 지방에 대한 지진 경보가 지진의 강도를 과소평가했다.[14]
  • 2013년 간토 지방에서 규슈 지방까지 긴급 지진 속보가 발표되었지만, 흔들림은 관측되지 않았다.[15]
  • 2018년 간토 지방후쿠시마현에 대한 지진 경보는 과대 평가였다.[16]
  • 2020년 일본 남쪽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앙이 잘못 계산되어 EEW가 지진 규모를 과대평가했다.[17]
  • 2022년 간토 지방과 규슈 지방 사이 지역에 지진 경보가 발령되었으나, 흔들림은 관측되지 않았다.[18]


지진계의 기술적인 문제나 그 특성에 따라 긴급지진속보 자체에 오보가 발생할 수 있다. 지진계의 고장이나 낙뢰 서지, 컴퓨터 프로그램의 버그나 설정 미스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 2007년 9월 1일에는 도쿄도스미다구에 의한 긴급지진속보 메일 전송 시스템 등록자에게 "진도 5강의 지진이 발생"이라는 메일이 잘못 전송되었다.
  • 2008년 지바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에 관해서는, 한 관측 지점의 지진계에서 가속도 기준 설정 미스로 인해 잘못된 제1보가 발표되었고, 일부 수신 단말에서 이 속보의 처리를 잘못 처리하여 오정보가 출력되어 혼란을 야기했다.[263][264]
  • 2009년 지바현 동쪽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지진이 발생하여, 제4보에서 일반인을 위한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었으나 오보로 판명되었다. 원인은 지진계를 설치한 업체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할 때 불필요한 긴급지진속보 소프트웨어까지 업데이트했기 때문이다.[271]
  • 2013년8월 8일 "나라현을 진원으로 하는 M7.8 규모의 지진이 발생"이라는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었으나, 해저 지진계가 노이즈를 감지하여 오보로 판명되었다.[273][274]
  • 2016년 "도쿄만(東京灣)을 진원으로 하는 규모 9.1의 지진이 발생"이라는 정보가 송신되었지만, 낙뢰에 의한 관측 지점의 전원부 고장이 원인이었다.[280]
  • 2020년 "보소반도 남방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M7.3 정도의 지진 발생"이라는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었으나, 실제 발생한 것은 조도리 근해를 진원으로 하는 M5.8의 지진이었다.[282] 기상청은 진원 위치 결정 오류와 규모 과대 추정으로 인한 오보임을 인정하고 사과했다.[284]


### 이용자 주지

긴급지진속보 시스템이 개선되더라도, 이용자가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피해를 줄이기 어렵다. 속보 발표 후 강한 흔들림까지의 시간은 짧게는 수 초에 불과하므로, 발표 시 대응 요령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으면 패닉 상태에 빠져 2차 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 2008년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진 발생 후 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이 긴급지진속보를 이미 발생한 지진의 진도 속보라고 생각하는 등 긴급지진속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370].

### 사기

기상청은 "긴급지진속보 수신 장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는 허위 정보를 이용해 기기를 판매하는 방문 판매업자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371]

### 정보 격차

긴급 지진 속보 수신 환경은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주어지지 않는다. 속보 수신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았거나,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켜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372]. 또한 유선 라디오 방송에서는 경보 알림이 제공되지 않아 정보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

2009년 8월 11일 스루가만 지진 당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사람이 적었던 점이 지적되었으며[373], 개인의 상황에 따라 속보를 접하지 못할 수 있다. 긴급 지진 속보 발표 횟수의 지역별 차이로 인해 주민들의 인식에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지적도 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동일본과 서일본 간에 긴급 지진 속보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74].

8. 1. 설치 장소와 백업

긴급지진속보 시스템은 전국 2곳, 즉 기상청 본청이 있는 도쿄와 오사카 관구 기상대가 있는 오사카에 설치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도쿄 시스템에서 속보를 발표하지만, 도쿄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오사카 시스템으로 전환되어 백업 기능을 수행한다. 실제로 2011년 시스템 개수 작업 당시에는 오사카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기상청의 지진 관측 시설에서는 2012년부터 백업용 위성 회선과 72시간 동안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추가하는 개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8. 2. 발표까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

지진 발생 직후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속보를 내는 과정에서 P파와 S파가 거의 동시에 도달하는 진원에 가까운 지역에서는 속보가 큰 흔들림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현재 산출식은 P파 도달 후 3초 후의 파형에서 규모를 산출하므로, 3초에 더해 산출 처리 시간 수 초에서 수십 초가 발표까지의 처리로 인한 손실 시간이다. 깊이 0km에서 지진이 발생한 경우, 이론상 1초당 약 2.3km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진앙 거리가 손실 시간 × 2.3km의 범위 내에서는 S파 도달 전에 속보가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실제로는 깊이와 지역에 따라 1초당 2 - 4km 정도의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2007년 10월 1일 새벽에 가나가와현 서부에서 발생하여 최대 진도 5강을 기록한 M4.9 지진에서는 시스템이 운용 중이었다고 가정해도 하코네정오다와라시에서 P파 감지와 거의 동시에 S파가 도달했을 것이며, 속보 발표가 초기 미동 감지로부터 32초 후였기 때문에 이 경우에 해당한다.

2010년 11월 26일, 총무성은 행정 평가를 통해 국토교통성에 긴급지진속보를 포함한 경보 개선을 권고했다. 2007년 12월 도입 이후 "일반용 긴급지진속보"가 대상 지역 전역에서 주요동이 도달하기 전에 전달되지 못한 경우가 12건 중 1건이었으며, 다른 5건에서는 최대 진도를 실제보다 낮게 예측하여 "일반용 긴급지진속보"를 발표하지 않았던 점을 지적했다[241].

8. 3. 발표 후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

기상청이 긴급 지진 속보를 발표한 후 정보가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배포 사업자나 예보 업무 허가 사업자를 이용해 수신하는 경우, 기상 업무 지원 센터를 경유하여 배포되므로 말단 사용자에게 배포가 지연될 수 있다.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속보 개시 후 디지털 방송이 아날로그 방송보다 지연이 길다는 것이 밝혀졌다. 2008년 5월에 보도되었으며[242], 2009년 6월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진 당시 지상 디지털 방송과 BS 디지털 방송은 약 2~3초, 원세그는 약 4~5초 정도 지상 아날로그 방송보다 늦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243][244].

이에 일본 총무성은 2009년 9월 디지털 방송 추진 협회와 전파 산업회에 기술 개발을 요청했으며[245], 같은 해 9월 지상 디지털 방송에 대해 0.5초까지 지연 단축이 가능하지만 수신기의 사양 변경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246][247]. 이 지연을 단축하기 위해 NHK는 전 방송국에서 문자 슈퍼의 선행 표시를 실시하고 있으며, 오사카 광역 4개 방송국 등도 이를 따르고 있다.

라디오 방송에서는 "(차임 2회) 긴급 지진 속보입니다. ○○에서 지진."이라고 진원지를 알기까지 약 5초가 소요된다.

8. 4. 관측망이 조밀하지 않은 지역에서의 손실과 오차

긴급지진속보의 정보원인 관측점 밀도가 낮은 지역은 일본의 이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난세이 제도 등이다. 또한, 이 외의 지역에서도 떨어진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같은 상황에 놓인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속보 발표에 필요한 여러 관측점에서 지진파를 감지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관측점 수가 적어 다수의 관측점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어려워 진원, 규모, 진도 등의 오차가 확대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는 2008년 4월 28일 오키나와현 미야코지마 근해를 진원으로 하는 지진을 계기로 문제시되었다. 이 지진에서는 진원이 해역이었고 해저에는 지진계가 없어, 미야코지마에 지진파가 도달하고 나서야 관측되었으며, 속보가 발표된 것은 오전 2시 32분 25초였다. 그러나 미야코지마시의 흔들림 도달은 오전 2시 32분 20초로, 약 5초의 차이가 발생했다. 해저에 지진계가 설치되어 있었다면, 속보가 더 빨리 발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속보에서 발표된 진원이 실제보다 남쪽으로 30km 떨어져 있다는 오차가 있었다. 같은 해 8월 5일에 미야코지마 근해를 진원으로 하는 진도 1의 지진이 발생했을 당시 "고도 이용자용" 예보 제3보에서는 최대 진도 3으로 발표되었고, 깊이가 실제와 10km 전후, 규모도 1 정도의 오차가 발생했다. 제1보에서는 더욱 오차가 컸다.

연안부를 진원으로 하는 지진의 경우, 모두 같은 일이 발생하고 있다. 먼저, 제1보의 정보원이 되는 지진파를 감지하면, 진원의 깊이까지 특정하기 어려우므로, P파, S파의 시간 차이로부터 진원, 규모를 산출한다(이 경우, 대부분 깊이가 10km로 발표). 다음에, 제2보의 기반이 되는 지진파 감지로, P파, S파로부터 진원, 규모를 산출한다. 제1보와 비교하여, 시간 차이가 극단적이면 진원의 깊이를 산출한다. 상술한 지진을 예로 들면, 이 산출 방법이 성립한다. 반대로 내륙부에서의 지진의 경우, 지진계가 어느 정도 밀집해 있는 지점에서는 깊이 등을 용이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오차는 일어나기 어렵다.

해역이 진원이 되는 지진의 경우, 해저에서 지진파를 관측할 수 없고, 육지에 도달하고 나서야 관측되었기 때문에, 속보 발표가 늦어진다. 또한, "일반용" 긴급지진속보는, 최소 2곳 이상의 지진계가 흔들림을 관측하고 나서 속보를 발표하기 때문에, 진원지에 가장 가까운 1곳째의 지진계가 흔들림을 관측한 것만으로는 속보가 발표되지 않는다. ("고도 이용자용" 속보의 경우에는 속보가 발표되지만, 크게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1곳째와 2곳째의 지진계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지연이 더욱 늘어난다. 현재 관측점은 대부분 육상에 있으며, 해저에 설치되어 있는 곳은 난카이 트로프 거대 지진이 우려되는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휴가나다까지의 앞바다,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진원역에서 일본 해구와 치시마 해구의 앞바다인 보소 반도 앞바다에서 구시로시 앞바다까지의 앞바다, 지진 활동이 활발한 이즈 제도 근해에 집중되어 있다.

해저 관측점은 해구형 지진의 속보를 빠르게 하고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쓰나미의 예측에도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는 반면, 설치 및 보수에 드는 비용과 노력이 높고, 설치는 그다지 진척되지 않고 있다.

8. 5. 예측 오차

기상청은 긴급 지진 속보에서 예측 진도 값이 ±1 정도의 오차를 수반한다고 밝히고 있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속보에서는 구체적인 진도 값을 제시하지 않고 '강한 흔들림'으로 표현한다.[55] 또한, 최대 예측 진도가 5약 이상인 경우에 발표하는 일반인 대상 속보에서 예측 진도 4 이상의 지역까지 확대하여 발표하는 이유는 진도 추정 시의 오차와 예측 진도 4에서도 진원역의 단층 운동 진행으로 5약 이상이 될 가능성을 고려하기 때문이다.[55] 일반인 대상 속보가 나오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예상보다 크게 흔들렸다는 사례도 있을 수 있다.

예측 진도의 오차 원인으로는 지진파가 전파되는 경로의 지반에 따라 지역별 지진파 전파 용이성(주향, 전파 속도, 주파수 특성, 감쇠 정도)이 다르다는 점, 초기 몇 초의 파형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초기 파형이 특이한 경우 계산이 틀어지는 점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각 지역의 지반 특성을 조합한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개선할 수 있지만, 해저 등 조사가 충분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개선이 계속되고 있다.

군발지진이나 본진 직후의 여진 등으로 여러 지진에 의한 파형을 동시에 관측하면 초기 미동을 과대 평가할 수 있다. 2006년 4월 21일에 발생한 이즈반도 동쪽 해역 지진에서는 기상청의 발표 대상 지진계에서 최대 진도 4,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지진계에서는 진도 5약, 도쿄대 지진연구소의 지진계에서는 진도 6약을 관측했지만, 속보의 최대 예측 진도는 7로 발표되어 지진파 중복으로 인해 오차가 크게 발생했다.[248]

긴급지진속보 초기의 주요 예측 오차 사례[249]
주: 사례 간 단순 비교는 불가능하다.
지진 발생 시각진원최대 예측 진도실제 최대 진도
2006년 11월 1일 23:21홋카이도 도카치 지청 남부24
2006년 11월 30일 11:59후쿠시마 아이즈5약3
2007년 3월 25일 9:42노토반도 해역
(노토반도 지진)
5약6강
2007년 3월 25일 18:11이시카와 노토 지방35약
2007년 4월 15일 12:19미에현 중부45강
2007년 5월 19일 0:59아오모리 동쪽 해역24
2007년 6월 23일 23:52이바라키 해역24
2007년 10월 1일 2:21가나가와현 서부45강



위 표는 긴급지진속보 정식 도입 후, 일반인 대상 속보 운용 개시(2007년 10월 1일 9시) 전에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발표된 긴급지진속보의 주요 예측 오차 사례이다.[249] 최대 진도가 5약 이상이었던 지진(총 9건 중 위 표에 4건)에서는 실제 최대 진도가 최대 예측 진도를 넘는 경우가 있었다. 예측 정밀도가 일정하지 않고 예측 기술 및 데이터베이스가 변화하기 때문에 사례 간 단순 비교는 어렵다.

일반인 대상 운용 개시 후에는 2008년 7월 24일 새벽 이와테현 연안 북부 지진에서 오차가 두드러졌다. 이와테현 연안 북부에서 실제로 진도 6약이 관측되었으나 속보에서는 진도 4로 예측되었고,[250] 진원 깊이는 108 km, 규모는 M6.8로 추정되었다.[251][252] 긴급지진속보에서는 최대 예측 진도가 4 또는 5약 정도로 발표되어 이와테현 전역에 경보가 제때 발령되지 못했다. 기상청은 오차 원인으로 진원이 깊은 경우 진도가 커지는 사례가 적어 예측식의 정밀도가 높지 않다는 점과[253] 지진파형이 서서히 커지는 특징을 들었다.[254] 일반인 대상 발표 개시 후 얼마 동안은 지진 규모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후 기상청은 규모 산출 계산식을 개선하여 2009년 8월 3일부터 개선된 예측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255]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 본진 당시, 일반인 대상 긴급지진속보는 도호쿠 지방에만 발표되었고, 이바라키현 북부에서 진도 5약으로 예측한 제14보가 갱신 조건인 초기 감지 후 60초를 넘겨 발표되었기 때문이다.[256][96] 진도 5약 이상의 강한 흔들림이 관측된 아오모리현, 간토 지방, 고신에쓰 지방에는 일반인 대상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지 않았다.[257] 예보 제1보는 지진 감지 5.4초 후 규모 4.3으로 추정되었는데, 기상청 기상연구소는 원인으로 처음 몇 초간의 진폭이 매우 작았다는 점을 지적했다.[256]

더불어, 대지진으로 인해 도호쿠 지방의 지진 관측점 대부분(10개 중 9개)이 피해를 입어 발표 대상 규모의 지진에 대한 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258]

동일본 대지진 이후 여진 및 유발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운데, 여러 지진이 동시에 발생했을 때 정확한 정보를 발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2011년 3월 12일에는 "가나가와현 서부에서 진도 5강에서 6약"이라는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었지만, 실제 지진은 규모 2.0이었고 유감 지진을 관측한 지점도 없었다. 이는 비슷한 시각에 나가노현을 진원으로 하는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 두 지진의 데이터를 합쳐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여 예측한 결과로 보인다.[259][260] 또한, 4월 12일에는 "지바현 동쪽 해역이 진원으로 진도 5약"으로 발표해야 할 내용이 "후쿠시마현 하마도리가 진원으로 진도 7"이라는 잘못된 내용으로 발표되는 등 실제 진도보다 과장된 예측 사례가 잇따랐다.

이에 기상청은 거의 동시에 발생한 지진 중 긴급지진속보 발표 대상이 아닌 소규모 지진을 계산 대상에서 제외하여 두 지진을 잘못 연결하는 빈도를 줄이는 시스템 개선을 실시, 2011년 8월 11일부터 운용하고 있다.[261]

8. 6. 오보

EEW(긴급지진속보)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과거 다음과 같은 오경보 사례가 있었다.

  •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에 대한 지진 경보가 지진의 강도를 과소평가했다. (최대 진도 6약으로 예상되었지만 실제로는 7이었다. 발표 당시에는 진도 5약으로 예상되었다.)[14]
  • 2013년 8월 8일 16시 56분 (JST)에 간토 지방에서 규슈 지방까지 긴급 지진 속보가 발표되었지만, 흔들림은 관측되지 않았다. 미에현 남동쪽 해저 지진계의 노이즈가 와카야마현 북부에서 발생한 규모 2.3 지진의 흔들림과 동시에 기록되었다.[15]
  • 2018년 1월 5일 11시 02분 (JST)에 간토 지방후쿠시마현에 대한 지진 경보는 과대 평가였다. 이는 도야마현(규모 3.9)과 이바라키현(규모 4.4)에서 동시 발생한 지진을 하나의 지진으로 평가한 것이 원인이었다.[16]
  • 2020년 7월 30일, 일본 남쪽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의 진앙이 잘못 계산되어 EEW가 지진 규모를 7.3으로 과대평가했으며, 실제 진앙보다 일본 본섬인 혼슈에 훨씬 가깝게 위치하도록 잘못 계산되었다. 심각한 흔들림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17]
  • 2022년 7월 28일 16시 05분 (JST)에 간토 지방과 규슈 지방 사이 지역에 지진 경보가 발령되었으며 (규모 5-), 흔들림은 관측되지 않았다. 이 경보는 이후 즉시 취소되었다. 이는 낙뢰 소음으로 인해 발생했을 수 있다.[18]


지진동을 관측하는 지진계의 기술적인 문제나 그 특성에 따라 긴급지진속보 자체에 오보가 발생할 수 있다. 지진계의 고장이나 낙뢰 서지(낙뢰에 의한 이상 전류)에 의한 오작동, 컴퓨터 프로그램의 버그나 설정 미스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 2007년 9월 1일(방재의 날)에는 도쿄도스미다구에 의한 긴급지진속보 메일 전송 시스템 등록자 약 5,000명에게, 전송을 위탁하고 있는 회사의 실수로 "진도 5강의 지진이 발생"이라는 메일이 잘못 전송되었다.
  • 2008년 7월 14일 19시 41분에 지바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262]에 관해서는, 한 관측 지점의 지진계에서 가속도 기준 설정 미스로 인해 "고도 이용자용"의 잘못된 제1보가 발표[263]되었고, 일부 수신 단말에서 이 속보의 처리를 잘못 처리하여 오정보가 출력[264]되어 혼란을 야기했다. 제1보에서 오보가 났지만, 제2보에서 정확한 예측이 되었기 때문에 일반인 대상 긴급지진속보는 발표되지 않았다. 기상청은 같은 날 중에 오보였다는 것을 발표[263], 다음 날 15일 기자 회견에서 해당 지진계가 설치(2003년 12월)된 후 한 번도 점검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오보에 대해 사과했다[265][266][267]。 또한 해당 수신 단말은 기상청의 심사를 통과했고, 수신 단말을 제조하는 모든 사업자에 대한 출입 조사를 예정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264]。 이 문제에서는 먼저, 지바현에 있는 기상청 관측 지점 "초시 텐노다이"의 지진계에서, "고도 이용자용" 속보를 발표하는 가속도 기준을 100gal 이상으로 해야 하는데, 잘못하여 "10gal 이상"으로 설정하여 "지바현 초시시 부근, 최대 진도 5약 이상"으로 하는 잘못된 제1보가 기상청에서 발표되었다(10.6초 후의 제2보에서 정정)[263]。 실제로는 관측 가속도는 12gal[263], 최대 진도는 2를 관측, 규모는 M3.6으로 추정되었다[262]。 JR동일본은 자체적으로 관측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표 전에 오보라고 판단할 수 있었지만, 도영 지하철 전 노선 등 운행 중지 조치를 취한 노선도 있었다[268]。 또한, 동일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수신 단말에서 이 속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여 자연 지진에서는 있을 수 없는 규모 추정값("M12.7"), 과대한 예측 진도("진도 7" 외) 등 근거 없는 오정보가 출력[264]되었다. 아이치현 오카자키시의 초·중학교에서는 "M12.7, 예측 진도 6약"이 출력되어 학생들이 피난 행동을 했다[264][269]。 이 수신 단말에는 진원 정보가 표시되지 않아, 실제로는 진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없는 가운데[269], 무서움에 눈물을 글썽이는 학생도 있었다고 한다[264]。 또한, 기상청 청사 1층에 있으며, 속보의 전송원인 재단법인 기상 업무 지원 센터에서도 경보음이 울림과 동시에 "진도 7"이 표시되었다[270]
  • 2009년 8월 25일에는, 지바현 동쪽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지진이 발생하여, 제4보에서 일반인을 위한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 지진의 흔들림은 관측되지 않았고, 후에 오보로 판명되었다. 원인은 지바현 미나미보소시의 "지바 미요시" 지진계를 설치한 업체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할 때, 불필요한 긴급지진속보 소프트웨어까지 업데이트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기상청으로 보내진 정보에서는, 실제로 관측된 흔들림의 약 20배나 강한 흔들림의 데이터였기 때문에, 예측 시스템이 잘못된 정보를 발표했다. 긴급지진속보에서 낙뢰 서지 등이 원인으로 발표된 오보에서는 "취소보"를 발표하지만, 이번 지진에서는 취소보가 발표되지 않았다. 또한, 자세한 정보도 기상청 홈페이지 등에서만 게재되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혼란을 야기했다. 기상청에서는,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긴급지진속보를 발표하는 경우에는, 긴급지진속보와 같은 방식으로 취소보를 송신하지만, 기준을 만족하는 지진을 감지한 경우에는 전송하지 않는다[271]。 이 문제에서는 지진 화산 부장과 동부 관리과장이 문서 엄중 주의, 담당 업체가 지명 정지 1개월의 처분을 받았다[272]
  • 2013년8월 8일 16시 56분경, "나라현을 진원으로 하는 M7.8 규모의 지진이 발생. 나라현과 오사카부에서 진도 6약에서 7 정도의 흔들림 우려"라는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었다[273][274]。 긴급지진속보의 대상 범위는 동쪽으로는 간토·고신에츠, 서쪽으로는 규슈 북부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있었다[275]。 이에 따라,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이 일시 운전을 중단한 외[276], 재래선이나 사철에도 지연·운휴가 발생했다. 같은 시각경에는 와카야마현 북부를 진원으로 하는 M2.3의 지진이 발생하고 있었다[275]。 그러나 진도 1 이상을 관측한 지점은 없었고, 또한 이 지진의 발생과 거의 동시에 미에현 남동쪽 해역에 설치되어 있던 해저 지진계가 노이즈를 감지하여, 기상청은 이것을 지진동으로 계산했기 때문에 실제보다 과대한 흔들림을 예상한 것이라고 하며, 이 긴급지진속보가 오보라고 인정하고 사과함과 동시에, 이 해저 지진계의 데이터 이용을 중지했다[277][278]。 기상청은, 경보가 발표되었지만 유감 지진이 되지 않은 예는, 2009년 8월의 지바현 동쪽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지진 이후로, 대상 범위로서는 과거 최대였다[274]。 이 긴급지진속보에 대한 대응과 평가에 대해, 니혼 대학 문리 학부 사회학과 나카모리 히로미치가 8월부터 9월에 걸쳐, 경보의 대상이 된 지역의 주민 1,000명에게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긴급지진속보를 듣고 "정말로 강한 흔들림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47.7%였다. 또한, 결과적으로 오보가 된 것에 "분노를 느낀다"고 대답한 사람은 30.0%였던 반면, "어쩔 수 없었다"고 대답한 사람은 39.7%였다. 또한, 이 때의 기상청의 대응에 대해, 가장 문제가 있다는 답변은 "오보임을 발표하는 것이 늦었다"(37.6%)였다[279]
  • 2016년 8월 1일 17시 9분경, "도쿄만(東京灣)을 진원으로 하는 규모 9.1의 지진이 발생"이라고 고도 이용자용 정보가 송신되었지만, 지진은 일어나지 않았고, 곧 취소보가 발표되었다. 원인은 낙뢰에 의한 관측 지점의 전원부 고장[280]。 이 때, 고도 이용자용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폰 등 일부 앱에서 취소보의 자동 송신에 대응하지 않아 장시간 동안 정보가 삭제되지 않아,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혼란이 발생했다[281]
  • 2020년 7월 30일 9시 38분경, "보소반도 남방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M7.3 정도의 지진 발생. 최대 진도 5강 정도의 흔들림 우려"라는 긴급지진속보가 발표되어, 간토, 이즈 제도, 도카이, 고신에츠, 후쿠시마현에 경보가 발표되었다. 실제로 발생한 것은 조도리 근해를 진원으로 하는 M5.8의 지진으로, 진도 1 이상의 흔들림을 관측한 지점은 없었다[282]。 이 긴급지진속보를 받고, 도카이도 신칸센이 정전의 영향으로 운행 중단되었다[283]。 기상청은 회견을 열어, "긴급지진속보의 처리에서 진원을 원래와 다른 위치로 결정하고, 규모를 과대하게 추정했다. 국민 여러분께 많은 불편을 끼쳐드린 점을 사과드립니다"라고 사과했다[284]

8. 7. 이용자 주지

긴급지진속보 시스템이 개선되더라도, 이용자가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피해를 줄이기 어렵다. 속보 발표 후 강한 흔들림까지의 시간은 짧게는 수 초에 불과하므로, 발표 시 대응 요령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으면 패닉 상태에 빠져 2차 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비상구로 몰리거나, 속보를 듣고 급정거하는 차량 때문에 연쇄 추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우려 때문에, 긴급지진속보의 조기 제공에 대한 신중론이 제기되어 2007년 봄으로 예정되었던 본 운용 개시가 연기되고, 그 해 10월부터 운용이 재개되었다.

2008년 6월 14일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진 발생 후, 민간 조사 회사가 텔레비전과 라디오를 통해 본진 속보를 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절반이 "이미 발생한 지진의 진도 속보라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이는 긴급지진속보에 대한 이해 부족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진 이후 실시된 조사에서도 "긴급지진속보 발표 시의 대응"에 대해 "이미 발생한 지진의 진도 속보라고 생각했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가구를 붙잡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긴급지진속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370].

8. 8. 사기

기상청은 "긴급지진속보 수신 장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는 허위 정보를 이용해 기기를 판매하는 방문 판매업자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주택용 화재 경보기 설치 의무화 당시와 유사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371]

8. 9. 정보 격차

긴급 지진 속보 수신 환경은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주어지지 않는다. 속보 수신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았거나,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켜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372]. 또한 유선 라디오 방송에서는 경보 알림이 제공되지 않아 정보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

2009년 8월 11일 새벽 5시 7분에 발생한 스루가만 지진(M6.5, 최대 진도 6약) 당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사람이 적었던 점이 지적되었다[373]. 개인의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취침 중이거나 업무 중에는 텔레비전을 켜두지 않아 속보를 접하지 못할 수 있다. 긴급 지진 속보는 지진 발생을 흔들림 전에 알려 안전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수신 가능 여부가 개인의 안전과 직결된다. 기술적인 대응을 통해 수신율을 높이려는 노력이 있지만, 모든 국민을 포괄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다.

긴급 지진 속보(일반용) 발표 횟수의 지역별 차이로 인해 주민들의 인식에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지적도 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인 2012년 3월, 일본대학 나카모리 히로미치의 조사에 따르면 동일본과 서일본 간에 긴급 지진 속보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74]. 강한 지진이 주로 동일본에 집중되어 발생했기 때문이다. 긴키 지방, 주고쿠 지방, 시코쿠 지역에서는 2013년 4월 13일 아침에 발생한 진도 6약의 아와지섬 지진에서 처음으로 긴급 지진 속보(일반용)가 발표되었다. 이후 기상청이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긴급 지진 속보 인지도는 80%, 실제 속보 청취 경험은 70%였으나, 속보를 듣고 "지진이 온다"는 사실을 제대로 이해한 사람은 약 50%에 그쳤다. 약 30%는 즉시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고, 15%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다고 응답했다[375][376].

9. 관련 정보


  • 기상청 "[https://www.data.jma.go.jp/svd/eew/data/nc/ 긴급지진속보에 관하여]"
  • 웨더뉴스 지진 채널
  • 일본 기상 협회 지진 정보
  • 기상청 "[https://www.data.jma.go.jp/svd/eew/data/nc/pub_hist/ 긴급지진속보(경보) 발표 상황]"

참조

[1] 웹사이트 giving guidelines http://www.eewrk.org[...]
[2] 웹사이트 The Earthquake Early Warning – the chime contained the tone of pains, even examined the 'Godzilla' http://sankei.jp.msn[...] MSN 2011-05-01
[3] 웹사이트 guidelines for use http://www.real-time[...]
[4] 뉴스 What is the Earthquake Early Warning (or "緊急地震速報 (Kinkyu Jishin Sokuho)" in Japanese)? http://www.jma.go.jp[...]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06-29
[5] 뉴스 Earthquake Early Warning Starting 1 October 2007 http://www.jma.go.jp[...]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06-29
[6] 웹사이트 How to respond to earthquake early warnings http://www.nhk.or.jp[...] NHK 2009-05-09
[7] 웹사이트 Japan Meteorological Agency http://www.jma.go.jp[...]
[8] 뉴스 http://www.seisvol.k[...]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06-29
[9] 웹사이트 http://www.seisvol.k[...]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1-04-14
[10] 뉴스 http://www.seisvol.k[...]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06-29
[11] 뉴스 Early warning system saved Japan worst of tsunami wrath http://www.indianexp[...] 2018-06-11
[12] 웹사이트 The Japanese earthquake pushed ISDB-T alert system in Chile http://nextvnews.com[...] NexTV Latam, TV Telco Latam 2018-06-11
[13] 웹사이트 http://www.jma.go.jp[...]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8-06-11
[14] 웹사이트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8-06-11
[15] 웹사이트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8-06-11
[16] 웹사이트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8-06-11
[17] 웹사이트 Overstated magnitude caused quake alert that set Tokyo on edge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20-12-17
[18] Citation 【資料】取り消された緊急地震速報 (7/28 16:05頃) https://www.youtube.[...] 2022-08-28
[19] 웹사이트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8-06-11
[20] 웹사이트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8-06-11
[21] 웹사이트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8-06-11
[22] 웹사이트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8-06-11
[23] Youtube 8 Japanese Channels broadcasting the EEW simultaneously. https://www.youtube.[...]
[24] Youtube Tsunami Warning in multiple languages. https://youtube.com/[...]
[25] AV media 2024.04.03 台湾東部沖"花蓮地震" NHK副音声 5か国語(英・中・ベトナム・韓・ポルトガル) https://www.youtube.[...] 2024-10-23
[26] 뉴스 https://www.nttdocom[...] NTT DoCoMo 2018-06-11
[27] 뉴스 http://www.kddi.com/[...] KDDI 2018-06-11
[28] 뉴스 https://www.softbank[...] SoftBank Mobile 2018-06-11
[29] 웹사이트 iOS 5 includes early earthquake warning notifications for Japanese iPhone users http://9to5mac.com/2[...] 2018-06-11
[30] CEATEC ドコモの905i、緊急地震速報を無償で受信可能に http://pc.nikkeibp.c[...] Nikkei ITPro 2007-10-02
[31] 웹사이트 https://www.nttdocom[...] NTT DoCoMo 2018-06-11
[32] 뉴스 http://www.kddi.com/[...] KDDI Corporation 2018-06-11
[33] 웹사이트 http://broadband.mb.[...] SoftBank 2011-03-19
[34] 웹사이트 http://www.rcsc.co.j[...] RC Solution Co. 2018-06-11
[35] 웹사이트 http://weekly.ascii.[...] Weekly ASCII PLUS 2018-06-11
[36] 뉴스 ja:揺れる前に音声で地震を警告する家庭用防災用品『緊急地震速報機』を発売 https://www.irisohya[...] Iris Ohyama 2018-06-11
[37] 뉴스 ja:人が多く集まる場所の地震対策に!揺れる前に大音量で地震を警告『緊急地震速報機EQA-101』を発売 http://www.irisohyam[...] Iris Ohyama 2018-06-11
[38] 웹사이트 Uniden http://www.uniden.jp[...]
[39] Youtube Bay FM's Earthquake Early Warning https://www.youtube.[...]
[40] 웹사이트 Tokyo FM's Earthquake Early Warning http://www.tfm.co.jp[...]
[41] Youtube J-Wave's Earthquake Early Warning https://www.youtube.[...]
[42] 웹사이트 事例報告:地震の揺れが到達する前に緊急地震速報をお知らせしました! http://www.jcn-fncat[...]
[43] 웹사이트 事例報告:地震の揺れが到達する前に緊急地震速報をお知らせしました! http://www.kamakurat[...]
[44] 뉴스 ja:個人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10月15日から開始 http://weathernews.c[...] Weathernews Inc 2018-06-11
[45] 뉴스 ja:個人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 http://weathernews.j[...] Weathernews Inc. 2018-06-11
[46] 뉴스 ja:事業者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 http://weathernews.c[...] Weathernews Inc. 2018-06-11
[47] 웹사이트 株式会社ANETが緊急地震速報受信ソフト EQMessenger:イーキューメッセンジャー)の発売を開始 http://www.anetrt.ne[...]
[48] 웹사이트 SignalNow Express (free version for Windows) Download http://www.estrat.co[...] 2018-11-12
[49] 웹사이트 JQuake - Japan Earthquake Real-Time App https://jquake.net/ 2021-05-16
[50] 웹사이트 Catfish and Earthquakes in Folklore and Fact http://web-japan.org[...] Nipponia 2018-06-11
[51] 웹사이트 【防災コラム】緊急地震速報について考える - 防衛日報デジタル|自衛隊総合情報メディア https://dailydefense[...] 2021-08-31
[52] 웹사이트 か行|用語集|安否確認システム ANPIC(アンピック) https://www.anpic.jp[...] 2021-08-31
[53]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緊急地震速報(警報)及び(予報)について https://www.data.jma[...] 2021-08-31
[54] 웹사이트 3-1 震災対策 (2)地震に関する調査研究・観測の推進 {{!}} 防災情報 https://www.bousai.g[...] 2021-08-31
[55] 웹사이트 気象庁|緊急地震速報|緊急地震速報とは https://www.data.jma[...] 2021-08-31
[56] 웹사이트 ためしてみよう!! 緊急地震速報 http://hs.a-2.co.jp/[...]
[5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警報)及び(予報)について https://www.data.jma[...]
[58] 웹사이트 配信資料に関する技術情報第566号 https://www.data.jma[...] 気象庁地震火山部 2022-03-31
[59] 웹사이트 配信資料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data.jma[...] 気象庁地震火山部 2022-09-19
[60] 웹사이트 気象業務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施行(平成19年12月1日)に伴い、緊急地震速報を地震動の予報及び警報に位置づけること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61] 웹사이트 気象業務法(昭和27年法律第165号) https://laws.e-gov.g[...] 2020-01-28
[62] 문서
[6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予報」「警報」「特別警報」とはなんですか? https://www.jma.go.j[...]
[64] 웹사이트 「気象業務法及び国土交通省設置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施行期日を定める政令」及び「気象業務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8-21
[65] 웹사이트 長周期地震動等に対応した防災気象情報の強化にかかる運用開始日時について https://www.jma.go.j[...] 2023-02-01
[66] 문서
[67] 웹사이트 高度即時的地震情報伝達網実用化プロジェクト http://www.bosai.go.[...]
[6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試験運用開始について http://www.hiroi.iii[...]
[6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におけるP波マグニチュード推定方法の改善 https://www.jma.go.j[...] 験震時報 第73巻(平成21年度)
[70] 웹사이트 新たな観測データの緊急地震速報への活用開始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平成27年3月24日
[7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技術的な改善(IPF法)等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6-12-13
[7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評価・改善検討会 技術部会(第8回)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8-02-14
[7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評価・改善検討会(第9回)の概要について https://www.data.jma[...] 2017-03-22
[74] 웹사이트 PLUM法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7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技術的改善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3-08
[76] 웹사이트 海底地震観測データの緊急地震速報への活用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国立研究開発法人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19-06-21
[7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に活用する海底地震観測点の追加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国立研究開発法人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20-03-19
[7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緊急的な改善策の運用開始日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20-09-04
[79] 간행물 緊急地震速報の技術的改善について 〜震源推定手法の改善により揺れの過大予測を低減〜 本文 https://www.jma.go.j[...] 気象庁 地震火山部 2023-08-29
[80] 간행물 緊急地震速報の技術的改善について 〜震源推定手法の改善により揺れの過大予測を低減〜 別紙 https://www.jma.go.j[...] 気象庁 地震火山部 2023-08-29
[81] 논문 緊急地震速報の開発と効用 科学技術動向 2010
[82] 논문 一般への提供が開始された緊急地震速報 日本地震工学会 2008
[83] 논문 緊急地震速報の本運用に当たって http://www.sonpo.or.[...] 2007
[84] 문서 현:{{仮リンク|메キシ코지진경보시스템|en|Mexican Seismic Alert System}}(SASMEX)
[8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しくみ https://www.data.jma[...] 気象庁
[86] 문서 精密観測などによって算出された走時表などを利用する。緊急地震速報では速さを重視して深さのみに依存する1次元走時表を用いている。
[8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概要や処理手法に関する技術的参考資料 https://dl.ndl.go.jp[...] 気象庁 2007-07-29
[88] 논문 緊急地震速報におけるP波マグニチュード推定方法の改善 https://www.jma.go.j[...] 気象庁 2009
[89] 논문 緊急地震速報における東南海海底地震計活用のための走時補正・マグニチュード補正の検討 https://www.jma.go.j[...]
[90] 문서 直近の階で停止させることが重要だが、緊急地震速報から地震波の到達までの時間的余裕と乗客の心理的余裕がどちらもないため、パニックになって適切な選択をできない可能性が考えられることから、冗長な思考フェイズを取り除いて「すべての階」のボタンを選択することが奨励されている。なお現在日本国内のエレベーターは地震発生時に自動的に最寄り階に停止、ドア開放後に運転休止状態となる「地震時管制運転」を備えている場合が多い。
[91] 뉴스 エレベーター乗車中に地震が発生…。あなたが取るべき行動は? -防災行動ガイド https://www.softbank[...] ソフトバンクニュース 2020-03-11
[92] 웹사이트 高度利用者向けの緊急地震速報(予報)の伝達に係るお願い(平成21年5月 気象庁) https://www.data.jma[...]
[9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利活用の手引き及び緊急地震速報受信時対応行動訓練用キット https://www.data.jma[...] 気象庁
[94] 웹사이트 6月28日は緊急地震速報の訓練を行います 〜 緊急地震速報を見聞きした際の行動訓練 〜 http://www.bousai.go[...] 内閣府
[9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と観測された震度の特徴 http://www2.jpgu.org[...]
[96] 뉴스 「60秒制限」撤廃検討=緊急速報発表、地震波検知から―気象庁(時事通信社) - エキサイ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97] 웹사이트 気象庁業務評価レポート(平成24年度版)」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2-05-31
[98] 문서 2007年から2010年。
[99] 웹사이트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以降の緊急地震速報(警報)の発表状況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1-03-29
[10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は「誤報」 海底地震計のノイズの途切れが原因 http://www.fnn-news.[...]
[101] 뉴스 緊急地震速報も揺れなし 「最大震度7」と誤報:社会:スポーツ報知 https://web.archive.[...]
[102] 뉴스 「最大震度7」と誤報 緊急地震速報で気象庁「ノイズ処理が原因」 ― スポニチ Sponichi Annex 社会 https://web.archive.[...]
[103] 뉴스 【震度7誤速報】奈良で最大震度7と誤報 気象庁がおわび - MSN産経west https://web.archive.[...]
[104] 뉴스 最大震度7と誤報 海底地震計ノイズ原因 - 社会ニュース:nikkansports.com http://www.nikkanspo[...]
[10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発表状況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4-08-18
[10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4-04-18
[107] 웹사이트 長周期地震動階級1以上を観測した地震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4-08-11
[108] 웹사이트 特別警報(津波・地震)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21-05-01
[10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11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11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11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11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11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03
[11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03
[116] 웹사이트 地震計のノイズが原因 緊急地震速報の誤報 https://www.youtube.[...] Youtube 2021-05-02
[11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評価・改善検討会 技術部会(第9回)資料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03-05
[118] 웹사이트 令和5年4月から令和6年3月までに発表した緊急地震速報の検証 https://www.data.jma[...] 気象庁 地震火山部 2024-06-20
[119] 문서 震度情報や緊急地震速報で用いる区域の名称(平成26年1月7日現在) https://www.data.jma[...]
[120] 문서 放送法第八十八条 https://laws.e-gov.g[...]
[121] 웹사이트 サウンドロゴ(緊急地震速報チャイム音) http://www.g-mark.or[...] 2020-10-01
[122] 뉴스 <私のなかの歴史>福祉工学研究者 伊福部達さん*1*人を生かすモノづくり*地震速報*あの警報音 元は叔父の曲 北海道新聞 2015-11-16
[123] 문서 気象庁 「緊急地震速報の報知音とは?」 https://www.jma.go.j[...]
[124] 문서 気象庁 震央地名 https://www.data.jma[...]
[125] 문서 ただし、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の特設ニュース放送時に出された緊急地震速報(3月12日の8:53〜4月2日の明け方までの間に出されたもの)では通常の局内回線でなく、東京送出のデジタル総合テレビの放送波を直受けしていたためNHKワールド・プレミアムでもそのまま放送された。
[126] 문서 NHKオンラインのサイトで聴くことができる。
[127] 문서 まれに速報の発生からある程度の時間が経ってから、『緊急地震速報(気象庁)』の表示を画面上に移し、枠と地図表示を省いた字幕スーパーの表示のみに切り替わる場合もある。
[128] 문서 非常にまれではあるが、複数の緊急地震速報が出る時があり、その場合は上下2段にテロップが表示されることがある。
[129] 문서 能登半島地震 (2024年)では、前震の緊急地震速報が発動され、テロップがすでに表示されている最中に本震が起こったため、「新たに出ました」と言うアナウンサーの声と共に音声だけが流れた。また、地震速報が更新されて本震の範囲が拡大された際には新たにテロップの情報が更新されて音声が流れ、「範囲が拡大されました」と解説された。余震では通常通り放送された。
[130] 문서 訓練は地方放送局や関連団体の出向を含めた正職員アナウンサーのほか、嘱託職員のアナウンサー、番組キャスターに携わる解説委員、外部起用の契約キャスターのほぼ全員が受けている。
[131] 문서 これはチャイムと自動音声が重なると視聴者が聞き取りずらくなるため、このような対応を取っている。
[132] 문서 ただしスポーツ中継や情報番組、音楽番組、地域情報番組、国会中継などのニュース番組以外の生放送番組の場合はニュースセンターに切り替えるまでは担当のアナウンサーが対応する。
[133] 문서 受信機器の内蔵音であるため、機器によっては音程が異なる場合があるが 、基本は旧フジテレビ系列(FNN)の速報音に似ている(「ポーン」という音の4回連続)。
[134] 뉴스 NHK、地デジ地震速報を文字スーパーで最大2.5秒迅速化-地図スーパーに先行して表示。地アナとの時間差を改善 https://av.watch.imp[...] AV Watch 2010-08-20
[135] 문서 緊急地震速報 地上デジタル放送での迅速化について https://www.nhk.or.j[...]
[136] 문서 NHKの放送 → 緊急地震速報とは → 緊急地震速報 地上デジタル放送での迅速化 http://www.nhk.or.jp[...]
[137] 문서 文字多重放送(字幕放送)と同じ形式での表示のため、字幕放送対応番組放送時に速報が出された場合は通常の字幕放送が一時中断される。
[138] 문서 データ放送に対応していない機種では報知音は鳴らず、「文字スーパー」のみの表示となる。
[139] 문서 総務省「放送ネットワークの強靱化に関する検討会」中間取りまとめ(案)(別紙2) https://www.soumu.go[...]
[140] 뉴스 緊急地震速報、地デジ3秒遅れ 名古屋の民放5社、未対応 http://opi-rina.chun[...]
[141] 문서 NHK G의 워터마크가 표시되는 경우 NHK월드 프리미엄에서는 종합 텔레비전(관동 광역 방송)의 송출 영상 회선을 그대로 사용한다
[142] 뉴스 민방도 긴급지진속보, 전국의 TV・라디오에서 순차 방송 (読売新聞 2007年8月29日) 読売新聞 2007-08-29
[143] 뉴스 긴급지진속보의 자동화 개시 (南海放送2008年4月24日) 南海放送 2008-04-24
[144] 뉴스 긴급지진속보가 스타트 (静岡放送 2007年10月1日) 静岡放送 2007-10-01
[145] 웹사이트 震度5強とした在京民放ラジオ九社の速報合意 http://www.tfm.co.jp[...]
[146] 문서 2011년 4월 13일 후쿠시마현 하마도리를 진원으로 하는 지진, 21일 지바현 동쪽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지진에서 베이에프엠의 발신이 없었던 사례
[147] 웹사이트 니폰방송 긴급지진속보 https://www.1242.com[...] 2024-11-25
[148] 웹사이트 도카이라디오 긴급지진속보 2008년 9월 1일 스타트 https://www.tokairad[...] 2024-11-25
[149] 문서 아사히방송라디오, MBS라디오, 라디오오사카, FM오사카, FM802, FM COCOLO. 라디오간사이・효고에프엠방송에 대해서는 후술.
[150] 웹사이트 MBS라디오에 의한 긴급지진속보의 설명 페이지 https://www.mbs1179.[...] 주식회사 마이니치방송(MBS라디오) 2019-10-19
[151] 문서 라디오간사이는 5월 27일 이후, Kiss FM KOBE는 2012년 6월 1일 도입 시점부터.
[152] 웹사이트 라디오 간사이에 의한 긴급지진속보의 설명 페이지 https://jocr.jp/kink[...] 주식회사 라디오간사이 2019-10-19
[153] 웹사이트 효고에프엠방송(Kiss FM KOBE)에 의한 긴급지진속보의 설명 페이지 https://www.kiss-fm.[...] 효고에프엠방송주식회사 2019-10-19
[154] 문서 속보를 발신하는 대상의 진도는 같지만, 대상의 지역이 각 국의 정한 방송 지역 내에서만 된다.
[155] 문서 KBS교토・α-STATION・와카야마방송(wbs)은 종전대로 『진도5강 이상』에서의 발보, FM시가(e-radio)에 대해서는 설명 페이지가 없기 때문에 방송 기준이 불명.
[156] 문서 일부의 민방 텔레비전국에서는, 긴급지진속보 차임음에, 통상의 뉴스 속보 차임음이 사용된다.
[157] 문서 간토 키국 이외에서는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TOKYO MX), 마이니치 방송이 NHK와 같은 아나운스, 텔레비전 신슈에서는 긴급지진속보입니다, 강한 흔들림에 경계해 주십시오. 몸의 안전을 도모해 주십시오라고 아나운스한다.
[158] 문서 대부분의 텔레비전 방송국은 컷 인으로 표시하지만, 마이니치 방송에서는 약간 빠른 페이드 인으로 표시된다.
[159] 문서 6국이란 TBS라디오, 문화방송, 닛폰방송, 라디오닛폰, TOKYO FM, J-WAVE를 가리킨다. FM3국(MUSIC ROUTE 16도 참조)이란 NACK5, bayfm, FM요코하마를 가리킨다. InterFM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160] 문서 아사히방송라디오, MBS라디오, FM오사카, FM802, 에프엠교토(α-station), 와카야마방송이 2008년 7월 1일 개시.
[161] 문서 와카야마방송으로부터의 알림: 긴급지진속보 7월 스타트
[162] 문서 라디오간사이, KBS교토라디오는 9월 1일 개시.
[163] 뉴스 간사이 라디오 6사, 올 여름부터 긴급지진속보 (TV토픽스:J-CAST TV워치) J-CAST
[164] 뉴스 KBS교토라디오 긴급지진속보 2008년 9월 1일 스타트
[165] 뉴스 라디오간사이 긴급지진속보 2008년 9월 1일 스타트
[166] 웹사이트 "긴급지진속보"란? - 라디오 오사카 OBC https://www.obc1314.[...] 2024-11-25
[167] 문서 7사란 CBC라디오, 도카이라디오방송, ZIP-FM, FM AICHI, 아이치국제방송(RADIO-i、이미 폐국), 레디오큐브 FM미에와, 기후방송라디오(기후챵).
[168] 웹사이트 FM GIFU 긴급지진속보 2009년 1월 1일 스타트 https://www.fmgifu.c[...] 2024-11-25
[169] PDF https://corporate.wo[...]
[170] 웹사이트 WOWOW 「긴급지진속보」 https://www.wowow.co[...] 2024-11-25
[171] 웹사이트 "컴퓨터로 라디코를 듣는 방법은? {{!}} radiko 도움말" https://faq.radiko.j[...] radiko 2024-11-25
[172] URL https://www.soumu.go[...]
[173] 웹사이트 닛테레 날씨Web:방재정보 https://www.ntv.co.j[...] 2024-11-25
[174] 웹사이트 긴급지진속보 https://www.tv-asahi[...] 2024-11-25
[175] 웹사이트 네! 텔레비 아사히입니다 https://www.tv-asahi[...] 2024-07-08
[176] 문서
[177] Youtube 【LIVE】宮城・福島で震度6強【宮城県沿岸・福島県沿岸に津波注意報】 https://www.youtube.[...] 2024-07-09
[17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とは https://www.fujitv.c[...] 2024-11-25
[179] 웹사이트 TOKYO MX コーポレートサイト {{!}} 番組向上への取り組み https://s.mxtv.jp/co[...] 2024-11-25
[180] 문서
[181] 문서
[182] 웹사이트 WOWOW「緊急地震速報」 https://www.wowow.co[...] 2024-11-25
[183] 문서
[184] 문서
[185] 웹사이트 事例報告:地震の揺れが到達する前に緊急地震速報をお知らせしました! http://www.jcn-fncat[...] 株式会社JCN船橋習志野
[186] 웹사이트 事例報告:地震の揺れが到達する前に緊急地震速報をお知らせしました! http://www.kamakurat[...] 株式会社鎌倉ケーブ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87] 간행물 2008年 宮古島で震度4 初の緊急地震速報 NHK災害アーカイブス
[188] 문서
[189] 웹사이트 モバHO!Sバンド防災情報の製品詳細ページ http://www.mbco.co.j[...]
[190] 뉴스 緊急地震速報に対応した一斉同報配信基盤を開発 https://www.docomo.n[...] NTTドコモ 2007-05-30
[191] 뉴스 緊急地震速報に対応した一斉同報配信基盤を開発 http://www.kddi.com/[...] KDDI 2007-05-30
[192] 뉴스 「緊急地震速報」について http://www.softbankm[...]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 2007-05-30
[193] 논문 緊急情報の同報配信サービスの開発 http://www.nttdocomo[...] NTT DoCoMo 2011-05-18
[194] 웹사이트 ゆれくるコール”for iPhone サポートサイト http://www.rcsc.co.j[...]
[195] 뉴스 あと何秒で地震が来るか分かるiPhoneアプリに惚れた! https://weekly.ascii[...] 週アスPLUS 2010-11-30
[196] 뉴스 震災関連アプリ「なまず速報 β」「計画停電情報」「救命・応急手当の基礎知識」 https://forest.watch[...] 窓の杜 2011-03-23
[197] 웹사이트 楽天モバイルQ&A Wi-Fi接続時に、緊急速報メールが受信できなかったのはなぜですか? https://network.mobi[...]
[198] 뉴스 【CEATEC】ドコモの905i、緊急地震速報を無償で受信可能に http://pc.nikkeibp.c[...] 日経ITPro 2007-10-02
[199] 웹사이트 緊急速報「エリアメール」 http://www.nttdocomo[...]
[20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提供開始について http://www.kddi.com/[...]
[201] 문서
[202] 보도자료 「緊急地震速報」について http://www.softbank.[...]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2015-02-24
[203] 웹사이트 携帯各社、「緊急地震速報」を携帯に一斉配信するシステム開発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04]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緊急地震速報を一部地域で提供開始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05]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全国で「緊急地震速報」提供開始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06]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緊急地震速報対応の「831N」を18日発売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07] 웹사이트 スマートフォン全盛、孫氏が「ソフトバンクの時代」をアピール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08] 보도자료 「緊急地震速報」への対応について http://www.softbank.[...]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2015-02-24
[209]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X06HT/X06HTII向け緊急地震速報の提供を中止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10]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840Nを緊急地震速報に対応させるソフトウェア更新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11]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緊急地震速報対応のフォトフレーム「008HW」発売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12] 웹사이트 「PhotoVision 008HW」でソフト更新、緊急速報メールに対応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13] 웹사이트 KDDIとソフトバンク、緊急速報メールを1月末に開始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14] 웹사이트 新色を採用、GSMをサポートしたPANTONEケータイ「105SH」 - ケータイ Watch https://k-tai.watch.[...] 2015-02-24
[215] 웹사이트 緊急速報メール http://www.ymobile.j[...]
[216] 웹사이트 緊急速報メール https://network.mobi[...] 楽天モバイル 2020-05-06
[217] 웹사이트 ETWS(緊急地震警報)に対応していますか? https://www.fmworld.[...] 富士通 FMWORLD.NET(個人) スマートフォン・タブレット・携帯電話(M03よくあるQA一覧)
[218] 웹사이트 てくろぐ: MVNOと緊急地震速報とSIMフリースマートフォン http://techlog.iij.a[...] インターネットイニシアティブ 2016-09-01
[219] 웹사이트 マイネ王 スタッフブログ 緊急速報受信端末調査 結果報告 https://king.mineo.j[...] ケイオプティコム 2016-09-17
[22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 http://www.nhk.or.jp[...]
[221] 웹사이트 タカコム緊急地震速報電話ページング装置 EDR-100/100A http://www.takacom.c[...]
[222] 웹사이트 http://www.irisohyam[...]
[223] 웹사이트 http://www.irisohyam[...]
[224] 웹사이트 アレクソン緊急地震速報アダプター EEW100 http://www.alexon.co[...]
[225] 웹사이트 http://www.uniden.jp[...]
[226] 웹사이트 http://item.rakuten.[...]
[227] 웹사이트 地震・津波と火山の監視・予測 http://www.jma.go.jp[...] 気象庁 2011-04-03
[228] 웹사이트 個人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10月15日から開始 http://weathernews.c[...]
[229] 웹사이트 個人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 https://weathernews.[...]
[230] 웹사이트 事業者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 http://weathernews.c[...]
[231] 웹사이트 株式会社ANETが緊急地震速報受信ソフト(EQMessenger:イーキューメッセンジャー)の発売を開始 http://www.anetrt.ne[...]
[232] 웹사이트 ストラテジー株式会社 - プレスリリース 20100820 http://www.estrat.co[...]
[233] 웹사이트 Kiwi Monitor https://kiwimonitor.[...]
[234] 웹사이트 JQuake https://jquake.net
[235] 웹사이트 http://www.ntt-east.[...]
[236] 웹사이트 http://www.sanyo.co.[...]
[23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予報)サービス ミ・マモーレ|保守・サービス|アイホン株式会社 https://www.aiphone.[...] 2024-11-25
[238] 웹사이트 特長 緊急地震速報(予報)対応システム 製品ラインアップ マンションインターホン 電設資材 Panasonic https://www2.panason[...] 2024-11-25
[239] 웹사이트 気象庁地震観測点「新潟広神」の障害について https://www.jma.go.j[...]
[240] 문서 P波は4.8km/s、S波は2.5km/sとする場合。走時表(JMA2001)に基づく。
[241] 뉴스 正確な予測、2年で1回だけ=緊急地震速報で改善勧告-総務省 時事通信社 2010-12-02
[242] 문서 2008年5月27日付福島民友新聞 福島民友新聞 2008-05-27
[243] 뉴스 岩手・宮城地震:地デジ2秒遅れ 緊急速報間に合わず? 毎日新聞 2008-06-22
[244] 문서 要出典범위|NHKの場合、タイムラグの差は地上アナログテレビ放送(関東地方)・AMラジオ・FMラジオ・NHKワールド・ラジオ日本(短波)に比べると、地上アナログテレビ放送(地域拠点局)・BSアナログ放送が約0.5秒、地上デジタルテレビ放送(関東地方の東京タワーでカバーするエリア)・地上アナログテレビ放送(地方放送局)・NHKワールドの衛星波(ワールドTV、プレミアム、NHKワールド・ラジオ日本の衛星ラジオ)が約1秒、BSデジタル放送が約1.5秒、地上デジタルテレビ放送(地域拠点局・地方放送局)が約2〜2.5秒である 2010-11
[245] 웹사이트 http://www.jiji.com/[...]
[246] 뉴스 地デジ3秒遅れ…地震速報、地方民放は迅速化を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1-05-23
[247] 뉴스 緊急地震速報:遅れ、地デジ改善不可能 仕様変更後も0. 5秒遅延--総務省 毎日.jp
[248] PDF 平成18年4月21日02時50分に伊豆半島東方沖で発生した地震に伴い提供された緊急地震速報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49] 웹사이트 平成18年8月以降の緊急地震速報の発信状況 https://www.data.jma[...] 気象庁
[250] 뉴스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結果 http://www.data.jma.[...] 気象庁 2014-03-18
[251] 뉴스 2008 年7月24日00時26分ころの岩手県沿岸北部の地震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08-07-27
[252] 뉴스 2008 年7月24日00時26分の岩手県沿岸北部の地震について(第2報) https://www.jma.go.j[...] 気象庁 2008-07-27
[253] 뉴스 岩手北部地震:緊急速報20.8秒後 震源地域間に合わず 毎日新聞社 2008-07-27
[254] 뉴스 特殊な地震、「緊急速報」予測間に合わず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8-07-27
[255] 웹사이트 新設観測点の緊急地震速報への活用等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09-07-24
[25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と観測された震度の特徴 気象庁気象研究所 http://www2.jpgu.org[...]
[257] 웹사이트 平成23年3月11日の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の緊急地震速報について http://www.anetrt.ne[...] ANET 2011-03-23
[258] 뉴스 地震観測点がほぼ全滅、東北北部…緊急地震速報に影響 産経新聞 2011-03-14
[259] 웹사이트 なぜ?“不適切”なことも多い緊急地震速報』 https://web.archive.[...] 2011-03-22
[260] 뉴스 緊急地震速報の空振りはなぜ?「同時発生」「地震計ダウン」精度落とす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1-04-24
[261] 보도자료 緊急地震速報の改善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1-08-10
[262] 뉴스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結果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4-02-03
[263] 뉴스 7月14 日19 時41 分に発表した高度利用者向け緊急地震速報(予報)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08-07-20
[264] 뉴스 もっと知りたい!「緊急地震速報 誤報防げるか 設定ミスの早期発見課題」 朝日新聞社 2008-07-18
[265] 뉴스 地震速報の誤報、計器設定ミス原因 03年から点検怠る 朝日新聞社 2008-07-20
[266] 뉴스 緊急地震速報:誤報は設定ミス原因…気象庁会見 毎日新聞社 2008-07-20
[267] 뉴스 緊急地震速報の誤報、気象庁が謝罪 地震計の点検怠る 日本経済新聞社 2008-07-20
[268] 뉴스 緊急地震速報を誤発表 首都圏の鉄道で一時運転見合わせ 朝日新聞社 2008-07-20
[269] 뉴스 震度2なのに「5弱」 気象庁が千葉で緊急地震速報ミス 中日新聞社 2008-07-15
[270] 뉴스 誤報「震度7」 気象庁でも避難騒ぎ 朝日新聞社 2008-07-20
[271] 뉴스 気象庁、緊急地震速報で誤報――“キャンセル報”は実施せず https://www.itmedia.[...] 2010-04-02
[27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誤報で幹部処分 気象庁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09-11-10
[273] 웹사이트 近畿など緊急地震速報も…震度1以上の観測なし : 社会 : YOMIURI ONLINE(読売新聞) https://web.archive.[...]
[274] 웹사이트 「最大震度7」と誤報 緊急地震速報で気象庁: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275] 웹사이트 奈良と大阪で緊急地震速報空振り 気象庁「過大に予測」 - 47NEWS(よんななニュース) http://www.47news.jp[...]
[27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 交通にも影響が http://www3.nhk.or.j[...] NHK News Web 2013-08-08
[277] 웹사이트 8月8日16時56分頃の和歌山県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関する緊急地震速報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7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で「Yahoo! JAPAN」にアクセス急増--3.11を超える高負荷 - CNET Japan https://japan.cnet.c[...]
[279] 논문 平成25(2013)年8月8日16時56分に発表された『緊急地震速報』と人々の対応ならびに評価 日本災害情報学会 2014
[280] 웹사이트 「首都圏に震度7」緊急地震速報を誤報 落雷が原因?:朝日新聞デジタル http://www.asahi.com[...]
[281] 웹사이트 「東京湾で震度7」誤報、電源故障が原因 一部の地震計を使用停止に https://www.itmedia.[...] 2022-04-02
[28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発表 「強い揺れ観測されず」気象庁が発表 https://web.archive.[...] 2020-07-30
[283] 웹사이트 東海道新幹線 運転見合わせ https://web.archive.[...] 2020-07-30
[284] 웹사이트 「マグニチュードを過大に推定した」気象庁が陳謝 https://web.archive.[...] 2020-07-30
[28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警報)発表状況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8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8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8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8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9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9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9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9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9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9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29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29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29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29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0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1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2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3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3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3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3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3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3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3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3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3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3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4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4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6
[35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5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60]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6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7
[36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63]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4
[364]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365]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36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367]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368]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369]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提供から主要動到達までの時間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5-10
[370] 간행물 検証・「一般向け緊急地震速報」〜防災・減災の可能性と課題〜 https://www.nhk.or.j[...] NHK방송문화연구소 2008-10
[371]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に係る悪質商法や不審な人物などにご注意ください https://www.jma.go.j[...] 気象庁 2014-03-18
[372] 문서 一部の電器メーカーでは、普段は待機状態で静かではあるが、チャイム音を受信して自動起動、警報の声のみを流す特殊なFMラジオを開発・発売している。
[373] 뉴스 地震速報は「機能発揮」 情報伝達に課題も https://web.archive.[...] 47NEWS 2009-08-11
[374] 간행물 [調査報告]「緊急地震速報」に関する住民の意識・評価の比較-「警報の緊急地震速報」の経験の有無との関係からの考察- http://www.jasdis.gr[...] 日本災害情報学会 2013-03
[375] 웹사이트 平成25年4月13日の淡路島付近の地震における緊急地震速報に関する緊急調査の結果(速報)について https://www.jma.go.j[...] 기상청 2013-04-26
[376] 뉴스 淡路島地震の緊急速報 「何かわからず」3割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4-26
[377] 웹인용 ja:地震・津波と火山の監視・予測 http://www.jma.go.jp[...] 일본 기상청 2011-04-03
[378] 웹사이트 giving guidelines http://www.eewrk.org[...]
[379] 뉴스 The Earthquake Early Warning - the chime contained the tone of pains, even examined the 'Godzilla' http://sankei.jp.msn[...] Sankei-MSN News 2011-05-01
[380] 웹사이트 guidelines for use http://www.real-time[...]
[381] 웹인용 ja:地震・津波と火山の監視・予測 http://www.jma.go.jp[...] 일본 기상청 2011-04-03
[382] 웹인용 ja:地震・津波と火山の監視・予測 http://www.jma.go.jp[...] 일본 기상청 2011-04-03
[383] 웹인용 ja:地震・津波と火山の監視・予測 http://www.jma.go.jp[...] 일본 기상청 2011-04-03
[384] 웹사이트 http://www.jma.go.jp[...]
[385] 뉴스 보관된 사본 http://www.seisvol.k[...]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06-29
[38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eisvol.k[...] JMA 2011-04-14
[387] 뉴스 보관된 사본 http://www.seisvol.k[...]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06-29
[388] 뉴스 Early warning system saved Japan worst of tsunami wrath http://www.indianexp[...] 2011-03-12
[389] 웹인용 The Japanese earthquake pushed ISDB-T alert system in Chile http://nextvlatam.co[...] NexTV Latam, TV Telco Latam 2011-04-01
[390] 웹인용 일본 지진․태풍 등 재난대응 학습 http://https//www.tr[...] 2021-06-07
[391] 웹인용 緊急地震速報に22日から新技術、巨大地震で精度アップ https://k-tai.watch.[...] 2018-03-22
[392] 웹인용 気象庁|緊急地震速報|PLUM法の導入について https://www.data.jma[...] 2021-06-07
[393] PDF 緊急地震速報の技術的改善について https://www.data.jma[...] 일본 기상청
[394] Youtube 8 Japanese Channels broadcasting the EEW simultaneously. https://www.youtube.[...]
[395] Youtube Tsunami Warning in multiple languages. https://youtube.com/[...]
[396] 뉴스 緊急地震速報に対応した一斉同報配信基盤を開発 http://www.nttdocomo[...] NTT docomo press release 2007-05-30
[397] 뉴스 緊急地震速報に対応した一斉同報配信基盤を開発 http://www.kddi.com/[...] KDDI news release 2007-05-30
[398] 뉴스 「緊急地震速報」について http://www.softbankm[...] SoftBank Mobile press release 2007-05-30
[399] 웹사이트 http://9to5mac.com/2[...]
[400] 뉴스 CEATEC ドコモの905i、緊急地震速報を無償で受信可能に http://pc.nikkeibp.c[...] Nikkei ITPro 2007-10-02
[401] 웹사이트 緊急速報「エリアメール」 http://www.nttdocomo[...]
[402]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提供開始について KDDI Corporation http://www.kddi.com/[...]
[403] 뉴스 個人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10月15日から開始 http://weathernews.c[...] Weathernews Inc. press release 2007-09-27
[404] 웹사이트 個人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 http://weathernews.j[...] Weathernews Inc.
[405] 웹사이트 事業者向け緊急地震速報サービス『The Last 10-Second』 http://weathernews.c[...] Weathernews Inc.
[406] 웹사이트 株式会社ANETが緊急地震速報受信ソフト EQMessenger:イーキューメッセンジャー)の発売を開始 http://www.anetrt.ne[...] ANET Co., Ltd.
[407] 웹사이트 http://www.estrat.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