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수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수봉은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다.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성미자 물리학으로, 톱 쿼크 발견 및 질량 측정에 기여하고, 중성미자 진동 현상을 발견하는 데 참여했다. 특히, RENO 실험을 통해 중성미자 3번째 섞임각을 측정했다. 그는 아사히상, 브루노 로시 상, 브루노 폰테코르보 상 등을 수상했으며, ISI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연구자 중 한 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암학술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경암학술상 수상자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동문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동문 - 하태경
    1968년 부산 출생의 하태경은 학생운동과 북한 민주화 운동가 활동 후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개혁보수를 표방하는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 문미옥
    문미옥은 물리학 박사 출신 과학기술인으로, 연구교수, 과학기술 정책 분야 실장, 제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보좌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에 합류한 정치인이다.
김수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수봉
한글김수봉
한자!
로마자 표기Gim Su-bong
학력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박사 학위University of Pennsylvania
박사 지도교수Alfred K. Mann
경력 및 연구
분야입자물리실험
소속서울대학교
주요 업적중성미자 변환상수 측정 검출시설 구축 및 실험 수행
수상
수상 내역브루노 폰테코르보 상 (2016)

2. 생애 및 교육

김수봉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1979년에 동래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3년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9년에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알프레드 K. 만의 지도로 가미오칸데-II 검출기에서 태양 중성미자의 실시간 방향 측정과 단시간 변동 탐색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김수봉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1979년에 동래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983년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9년에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알프레드 K. 만의 지도 하에 가미오칸데-II 검출기에서 태양 중성미자의 실시간 방향 측정과 단시간 변동 탐색에 대한 내용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박사 학위 취득

김수봉은 1983년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9년에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알프레드 K. 만의 지도 하에 가미오칸데-II 검출기에서 태양 중성미자의 실시간 방향 측정과 단시간 변동 탐색에 대한 내용으로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1]

3. 주요 연구 업적

김수봉은 페르미 연구소 테바트론 강입자 충돌기를 이용한 CDF 협력단의 일원으로서 1994년 톱 쿼크를 발견하고 1995년에 그 질량을 측정하는 노력을 공동으로 이끌었다.[1] 톱 쿼크는 이 실험 이전에 관측된 가장 무거운 기본 페르미온이었으며, 이 입자의 관측과 질량 측정은 "톱 쿼크 물리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열었다.

김수봉은 중성미자 연구에도 기여했다. 1989년 가미오칸데-II 검출기를 사용하여 태양 중성미자를 성공적으로 측정하여 태양 중성미자 문제의 존재를 확인했고,[2] 초신성 1987A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 폭발을 역사적으로 처음 관측했으며,[3] 1998년 슈퍼-가미오칸데 검출기를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공동으로 발견했다.[4]

이후 가속기로 생성된 중성미자 빔을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측정하는 K2K (KEK-to-Kamioka) 협력단에 참여하여 2004년 중성미자 혼합각 중 하나를 측정했다.[5] 2006년부터는 한국의 원자력 발전소 근처에 중성미자 검출 시설 건설을 시작하여 2011년 초에 완공하고, RENO 실험의 데이터 수집을 이끌고 있다.[6]

3. 1. 중성미자 연구

김수봉은 중성미자 연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 1987년 초신성 폭발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를 최초로 관측했다.
  • 1989년 태양 중성미자의 방향과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측정했다.
  • 1998년 대기 중성미자의 변환 현상을 발견했다.
  • 1995년부터 태양 중성미자와 대기 중성미자의 변환 현상을 관측했다.
  • 1998년부터 2005년까지 가속기로 만든 중성미자 빔을 이용해 중성미자 변환을 관측하고, 중성미자의 질량 존재를 명확히 규명했다.
  • 2006년부터 세종대학교 김영덕 교수 등과 함께 원전중성미자실험(Reactor Experiment for Neutrino Oscillations영어, RENO)을 시작하여 한빛원자력발전소(옛 이름: 영광원자력발전소) 부근에 국내 최초의 중성미자 검출 시설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실험을 수행했다.

3. 1. 1. 중성미자 진동 발견

김수봉은 1989년 가미오칸데-II 검출기를 사용하여 태양 중성미자를 성공적으로 측정하여 태양 중성미자 문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을 바탕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그는 초신성 1987A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 폭발을 역사적으로 처음 관측하는 데 참여했으며,[3] 1998년 슈퍼-가미오칸데 검출기를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공동으로 발견했다.[4]

이후 김수봉은 가속기로 생성된 중성미자 빔을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측정하는 데 참여했다. 2004년 K2K (KEK-to-Kamioka) 협력단의 일원으로서 중성미자 혼합각 중 하나를 측정했다.[5]

3. 1. 2. 중성미자 변환 상수 측정

김수봉은 1998년 슈퍼-가미오칸데 검출기를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공동으로 발견했다.[4] 이후 가속기로 생성된 중성미자 빔을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측정하는 데 참여했다. 2004년 K2K (KEK-to-Kamioka) 협력단의 일원으로서 중성미자 혼합각 중 하나를 측정했다.[5]

2006년, 김수봉은 한국의 원자력 발전소 근처에 마지막으로 알려지지 않은 중성미자 혼합각을 측정하기 위한 중성미자 검출 시설 건설을 시작하여 2011년 초에 완공했다. 2011년 8월 1일부터 이 시설을 사용하여 RENO 실험의 데이터 수집을 이끌고 있으며,[6] 2013년 4월 3일 원전중성미자실험에서 중성미자 3번째 섞임각을 측정하였다고 발표했다.[10]

3. 2. 톱쿼크 연구

김수봉은 1996년 보스턴 대학교로 옮기기 전 미시간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 및 연구 조사관으로 근무했으며, 1998년 서울대학교에서 현재의 직책을 맡았다. 그는 페르미 연구소 테바트론 강입자 충돌기를 이용한 CDF 협력단의 일원으로서 1994년 톱 쿼크를 발견하고 1995년에 그 질량을 측정하는 노력을 공동으로 이끌었다.[1] 톱 쿼크는 이 실험 이전에 관측된 가장 무거운 기본 페르미온이었으며, 이 입자의 관측과 질량 측정은 "톱 쿼크 물리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열었다.

4. 연구 활동 및 경력

김수봉은 1996년 보스턴 대학교로 옮기기 전 미시간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 및 연구 조사관으로 근무했다. 1998년 서울대학교에서 현재의 직책을 맡았다. 그는 페르미 연구소 테바트론 강입자 충돌기를 이용한 CDF 협력단의 일원으로서, 1994년 톱 쿼크를 발견하고 1995년에 그 질량을 측정하는 노력을 공동으로 이끌었다.[1] 톱 쿼크는 이 실험 이전에 관측된 가장 무거운 기본 페르미온이었다. 이 입자의 관측과 질량 측정은 "톱 쿼크 물리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열었다.

김수봉은 1989년 가미오칸데-II 검출기를 사용하여 태양 중성미자를 성공적으로 측정하여 태양 중성미자 문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을 바탕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그는 초신성 1987A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 폭발을 역사적으로 처음 관측하는 데 참여했으며,[3] 1998년 슈퍼-가미오칸데 검출기를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공동으로 발견했다.[4]

그 후 그는 가속기로 생성된 중성미자 빔을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측정하는 데 참여했다. 2004년 K2K (KEK-to-Kamioka) 협력단의 일원으로서 중성미자 혼합각 중 하나를 측정했다.[5]

김수봉은 2006년 한국의 원자력 발전소 근처에 마지막으로 알려지지 않은 중성미자 혼합각을 측정하기 위한 중성미자 검출 시설 건설을 시작하여 2011년 초에 완공했다. 그는 2011년 8월 1일부터 이 시설을 사용하여 RENO 실험의 데이터 수집을 이끌고 있다.[6]

5.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공동 수상자
1988년아사히상Kamiokande-II 공동 연구팀[7]
1989년브루노 로시 상 (미국 천문학회)Kamiokande-II 공동 연구팀[8]
1999년아사히상슈퍼-가미오칸데 공동 연구팀
2016년브루노 폰테코르보 상왕이팡, 니시카와 고이치로[9]
2008년서울대학교 학술연구 최우수상
2014년경암상 자연과학 부문



김수봉은 ISI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연구자 5,000인(HCR)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6. 참여 실험


  • 초신성 1987A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 폭발을 역사적으로 처음 관측[3]
  • 1989년 가미오칸데-II 검출기를 사용하여 태양 중성미자를 성공적으로 측정하여 태양 중성미자 문제의 존재를 확인[2]
  • 1994년 페르미 연구소 테바트론 강입자 충돌기를 이용, CDF 협력단의 일원으로서 톱 쿼크를 발견하고 1995년에 그 질량을 측정[1]
  • 1998년 슈퍼 카미오칸데 검출기를 사용하여 중성미자 진동을 공동으로 발견[4]
  • 2004년 K2K (KEK-to-Kamioka) 협력단의 일원으로서 중성미자 혼합각 중 하나를 측정[5]
  • 2006년 한국의 원자력 발전소 근처에 마지막으로 알려지지 않은 중성미자 혼합각을 측정하기 위한 중성미자 검출 시설 건설을 시작하여 2011년 초에 완공. 2011년 8월 1일부터 이 시설을 사용하여 원전중성미자실험의 데이터 수집[6]
  • 2013년 4월 3일 원전중성미자실험에서 중성미자 3번째 섞임각을 측정하였다고 발표[10]

7. 기술 보고서

Physical Review Letters영어|피지컬 리뷰 레터스}} 107, 041801 (2011)에 "가속기에서 생성된 축에서 벗어난 뮤온 중성미자 빔으로부터의 전자 중성미자 발생 징후"라는 제목의 기술 보고서를 발표했다.[1]

참조

[1] 논문 Observation of top-quark production in collisions with the collider detector at Fermilab 1995
[2] 논문 Real-time,directional measurement of B8 neutrinos in the Kamiokande-II detector 1991
[3] 논문 Observation of a Neutrino Burst from the Supernova SN1987A 1987
[4] 논문 Evidence for oscillation of atmospheric neutrinos 1998
[5] 논문 Indications of Neutrino Oscillation in a 250km Long-Baseline Experiment 2003
[6] 간행물 RENO experiment proposal https://arxiv.org/ab[...]
[7] 간행물 Asahi Prize http://www.asahi.com[...]
[8] 상 Bruno Rossi Prize
[9] 웹사이트 SNU Professor Wins Prestigious Physics Award http://world.kbs.co.[...] 2018-09-05
[10] 저널 Observation of electron-antineutrino disappearance at RENO 2012-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