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책제철련합기업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책제철련합기업소는 일제강점기인 1942년 일본제철에 의해 청진제철소로 건설되었다. 해방 이후 북한에 귀속되어 한국 전쟁 중 김책의 이름을 따 김책제철소로 개칭되었으며, 1970년대 소련의 지원으로 일관 제철소로 확장되었다. 1990년대 이후 경제난과 설비 노후화로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나, 효율 증대를 위해 관련 기업을 통합하여 김책제철연합기업소를 구성했다. 이후 설비 개선과 주체철 개발을 통해 생산 정상화를 시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진시 - 어랑비행장
    어랑비행장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 중 K-33으로 명명되었으며, 현재 청진시 공항으로 사용되며 활주로 확장 계획이 있다.
  • 청진시 - 찬동자 파크
    찬동자 파크는 정치, 사회 관련 주제를 다루며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성향의 대한민국 인터넷 커뮤니티이다.
  • 김책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책 - 김국태 (정치인)
    김국태는 김일성의 측근 장군 김책의 장남으로, 조선로동당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김정일의 측근으로 활동하다가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한 정치인이었다.
  • 1938년 설립된 기업 -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는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설립되어 공간 정보, 지적 제도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며, 지적 측량 및 지적 재조사 사업을 주요 업무로 한다.
  • 1938년 설립된 기업 - 머큐리 (자동차)
    머큐리는 포드 모터 컴퍼니가 1938년에 설립한 중급 자동차 브랜드로, 포드와 링컨 사이의 가격대를 채우며 다양한 차종을 생산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11년에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김책제철련합기업소
김책제철연합기업소
기본 정보
공식 명칭김책제철연합기업소
종류제철소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김책시
역사
개업1918년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인수1945년 (국유화)
명칭 변경1951년 (김책제철소)
연합기업소 승격1973년
생산 능력
조강 생산 능력240만 톤
주요 생산품강철
선철
압연강재
코크스
비료
기타 정보
주체철 생산 공정확립

2. 연혁

1942년 日本製鐵청진에 청진제철소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용광로 설비만으로 선철을 생산하였다.

1945년 광복 이후 북한 건국 후 한국 전쟁으로 약 10년간 가동이 중단되었다가, 전쟁 중 사망한 김책의 이름을 따서 1951년 2월 김책제철소로 개칭되었다.[3] 1950년대 후반 조업을 재개하고, 1960년대 소련의 지원으로 용광로를 개선, 확장하였다.

1970년대 소련의 경제 기술 지원으로 제철 설비를 갖춘 일관 제철소로 확장되었고, 1980년대 후반 추가 확장 공사로 강철 생산량이 연간 약 240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1990년대 이후 경제난과 설비 노후화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김정일의 지속적인 투자와[3] 자체적인 기술 개발 노력으로 극복해 나갔다. 1999년 핵심 설비 보수, 2001년 2호 소결로 신설 및 3호 용광로 보수,[4] 2004년 4호 해탄로 보수 및 컴퓨터 조종 체계(CNC영어) 도입,[5] 2009년 강철 2호 공장 원호식 연속 조괴 공사 완료 및 자동화 조종 체계 구축,[6] 2010년 압연 공정 설비 재건 및 2012년 고온 공기 연소 방식 가열로 완공 등 설비 현대화와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7] 라남 탄광 기계 연합 기업소와 룡성 기계 연합 기업소의 지원을 받아 가열 공정을 현대화하고, 산소 공급 확대를 위해 대형 산소 분리기 건설 공사도 진행했다.

2. 1. 일제강점기 (일본제철 청진제철소)

1942년日本製鐵이 청진제철소를 건설한 것이 그 기원이다. 초기에는 제강압연 설비 없이, 용광로 설비만으로 선철을 생산하였다.

2. 2. 해방 이후 (김책제철소, 김책제철연합기업소)

북한 건국 후 한국 전쟁으로 약 10년간 가동이 중단되었다. 한국 전쟁 중 사망한 김책 부수상 겸 산업상의 이름을 따서 1951년 2월 김책제철소로 개칭되었다.[3] 1950년대 후반 조업을 재개하고, 1960년대에는 소련의 지원으로 용광로를 개선, 확장하여 소규모 철광과 압연 강재를 생산하였다.

1970년대 소련의 경제 기술 지원으로 제선, 제강, 압연 설비를 갖춘 일관 제철소로 확장되었다. 1980년대 후반 추가 확장 공사로 강철 생산량이 연간 약 240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북한 전체 생산량의 약 40%)

1990년대 진공 정련로를 만들어 강재의 품질 향상에 주력하였고 계속 김정일의 투자가 진행되었다.[3] 1999년 현대화를 통하여 핵심 설비를 대거 보수하고 2001년에는 2호 소결로를 들어내고 새로 건설하였으며 3호 용광로를 보수하였다.[4]

20년 동안 대보수하지 않은 2호 해탄로를 해체하고 1년 만에 다시 건설하여 제강 공장의 1호 전로와 3호 전로의 보수를 단기적으로 완료하였고, 2004년에는 4호 해탄로를 대대적으로 보수하고 컴퓨터 조종 체계를 도입하여 CNC화를 하였다.[5]

라남 탄광 기계 련합 기업소와 룡성 기계 련합 기업소의 지원으로 가열 공정을 현대화하였다.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하여 산소 2호 공장에 대형 산소 분리기 건설 공사도 진행하였다.

2009년 강철 2호 공장에 원호식 연속 조괴 공사를 완료하였고, 이 연속 조괴 장치는 준비, 주입, 가공, 절단 공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자동화하고, 생산 면적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를 발휘하였다.[6] 냉각수 계통과 유압 프로그램의 새로운 설비를 갖추고 컴퓨터화함으로써 CNC화를 더욱 강화하였고, 강재 절단기를 자체적으로 개조하였다.[7]

이 기업소는 원료, 선철, 제강 공정에 이어 2010년에는 압연 공정 설비 재건에 들어가 고온 공기 연소 방식으로 가열로를 제작, 2012년 완공하여 준공식을 가졌다.

선철만 생산하여 어려움에 직면한 김책 제철 련합 기업소는 김정일의 주체철 방식 주문에 따라 개발에 들어가 2009년 본격화하였다. 김정일은 용광로 조업을 앞당기라고 주문하였고, 코크스를 사용하지 않는 고속 환원법으로 20여 일 만에 삼화철을 뽑는 데 성공하였다.

강철 1호 공장은 산소 전로와 원호식 연속 조괴 공정을 확립하여 주체철 생산 체계를 확립하는 데 거의 성공하였고, 다만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3. 1990년대 이후 경제난과 자력갱생 노력

1990년대 이후 전력난, 식량난, 원료 공급 부족 등 경제 위기와 설비 노후화로 강철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철강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관련 기업을 통합한 '''김책제철연합기업소'''를 구성하였다.[3]

1990년대 진공 정련로 도입으로 강재 품질 향상에 주력하였고, 김정일의 지속적인 투자가 진행되었다.[3] 1999년 현대화를 통해 핵심 설비를 보수하고, 2001년에는 2호 소결로를 신설하고 3호 용광로를 보수했다.[4]

20년 동안 대보수하지 않은 2호 해탄로를 해체하고 1년 만에 재건했으며, 제강 공장의 1호 전로와 3호 전로 보수를 단기간에 완료했다. 2004년에는 4호 해탄로를 대대적으로 보수하고 컴퓨터 조종 체계(CNC영어)를 도입했다.[5] 라남 탄광 기계 연합 기업소와 룡성 기계 연합 기업소의 지원으로 가열 공정을 현대화했다. 산소 공급 확대를 위해 대형 산소 분리기 건설 공사도 진행했다.

2009년 강철 2호 공장에 원호식 연속 조괴 공사를 완료하고 자동화 조종 체계를 구축했다.[6] 냉각수 계통, 유압 프로그램 개선, 강재 절단기 자체 개조 등 기술적 문제 해결에 노력했다.[7]

2010년 압연 공정 설비를 재건하고, 고온 공기 연소 방식 가열로를 제작하여 2012년 완공했다.

3. 주체철 개발과 생산 정상화 노력

김정일코크스를 사용하지 않는 주체철 방식 개발을 지시하였다. 이에 김책제철련합기업소는 개발에 착수, 2009년 고속 환원법으로 20여 일 만에 삼화철 생산에 성공하였다. 강철 1호 공장은 산소 전로와 원호식 연속 조괴 공정을 확립하여 주체철 생산 체계를 구축하였다.[6]

3. 1. 제철 공업 국산화 평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고철 부족으로 주체철을 통한 제강 과정을 추진하고 있다. 성진제강련합기업소2009년 코렉스 공법의 회전로 제철 방식을 도입하여 720000ton 규모의 용선을 생산하고 있다.[12]

황해제철련합기업소는 1999년에 산소열법 용광로 제철에 성공하였으나, 2015년까지 가동이 중지되었다. 이후 김정일의 현지지도 시 문제점 보고 후 투자를 통해 2016년에 문제점을 해결하고, 2016년 1월 1일 출선에 성공하였다. 이 방식은 순천화학련합기업소와 김책제철련합기업소에 보완, 적용되어 순천에는 180000ton, 김책에는 300000ton의 연산 단위를 제작하여 총 660000ton의 산소열법 용광로를 출선하며 제철을 하고 있다.[13]

국산화된 제철 방식으로 생산된 강재는 군수공업이나 건설 현장에 우선 공급되고, 부족분은 중국이나 러시아로부터 고철을 수입하여 충당한다. 자체 자금으로 고철을 구매하여 황해제철련합기업소, 김책제철련합기업소, 성진제강련합기업소 등에 위탁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참조

[1] 웹사이트 김책제철련합기업소 https://nkinfo.uniko[...] Unification Department 2022-03-15
[2] 뉴스 김책제철연합기업소, 주체철 생산공정 확립 http://www.jajusibo.[...] 자주시보 2022-03-15
[3] 뉴스 북한 금속 공업부 과학 기술 지도국장 이효상이 조선신보와의 인터뷰 내용을 노동신문에서 인용한 것이다
[4] 뉴스 로동신문 2001-05-30
[5] 뉴스 로동신문 2004-06-22
[6] 뉴스 로동신문 2009-10-05
[7] 뉴스 로동신문 2010-01-02
[8] 논문 북한 산업혁신체제 연구 : 철강 및 공작기계산업 중심으로 2015
[9] 웹인용 김책제철련합기업소 용융환원공법 http://www.nktech.ne[...] 2020-05-26
[10] 뉴스 로동신문 2017-06-29
[11] 웹인용 北, 김책제철소에 코크스 안 쓰는 '주체철' 생산공정 완공 보도 https://www.yna.co.k[...] 2020-05-26
[12] 논문 북한 산업혁신체제 연구 : 철강 및 공작기계산업 중심으로 null
[13] 뉴스 로동신문 2016-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