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충공은 신라 헌덕왕, 흥덕왕 시기 실권자로, 808년 당나라로부터 문극을 하사받고 각간을 거쳐 817년 이찬에서 시중으로 승진했다. 헌덕왕 때 상대등을 역임하며 정권을 장악했으며, 김헌창의 난을 진압하는 데 가담했다. 흥덕왕에게 후사가 없자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822년 병으로 사망했으며, 사후 선강왕으로 추존되었다. 그의 딸 문목왕후는 희강왕의 비이며, 아들 민애왕은 희강왕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김충공은 혜충태자의 아들이며, 소성왕, 헌덕왕, 흥덕왕의 형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세자 - 고려의 왕태자
고려의 왕태자는 왕위 계승 예정자를 지칭하는 자리로, 왕위에 오르지 못하거나 폐위된 경우도 있었으며, 원 간섭기 이후에는 원의 정치적 영향력 아래 놓이기도 했다. - 왕세자 - 웨일스 공
웨일스 공은 영국 국왕의 직계 후계자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르웰린 압 그루피드의 자칭에서 시작되었으나 잉글랜드의 웨일스 정복 이후 왕위 계승자에게 세습되는 관례가 확립되었으며, 웨일스 내부에서는 칭호의 역사적 배경과 상징성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835년 사망 - 구카이
구카이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일본 승려이자 서예가, 시인, 사상가로, 당나라에서 밀교를 배워 일본 진언종의 시조가 되었으며, 만노이케 저수지 복원 사업을 지휘하는 등 사회 활동에도 참여하여 사후 홍법대사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835년 사망 - 돔날 막 카우산틴
돔날 막 카우산틴은 [주제]의 기원, 발전 과정, 주요 특징, 사회적 논쟁,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루며, 관련 단체와 인물을 소개하는 문서이다. - 갈문왕 - 김용수 (신라)
김용수는 신라의 왕족으로 진지왕의 아들이자 진평왕의 사위이며 태종무열왕의 아버지이고, 645년 황룡사 9층 목탑 건축을 주관했으며, 654년 아들 춘추가 왕위에 오르자 문흥갈문왕으로 추존되었다. - 갈문왕 - 입종 갈문왕
입종 갈문왕은 신라 지증왕의 아들이자 법흥왕의 동생이며 진흥왕의 아버지로, 사부지로도 불렸고 울진 봉평리 신라비와 울주 천전리 각석을 통해 그의 행적이 일부 확인된다.
김충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목록 | |
갈문왕 | 신라의 갈문왕 |
인물 정보 | |
휘 | 충공(忠恭) |
별호 | 미상 |
연호 | 미상 |
묘호 | 미상 |
존호 | 미상 |
휘호 | 미상 |
시호 | 선강대왕(宣康大王)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822년 또는 835년 |
사망지 | 미상 |
매장지 | 미상 |
능묘 | 미상 |
전각 | 미상 |
성별 | 남성 |
국적 | 미상 |
가문 | |
왕조 | 신라 |
가문 | 김씨 |
아버지 | 미상 |
어머니 | 미상 |
형제자매 | 미상 |
배우자 | 미상 |
자녀 | 미상 |
친인척 | 미상 |
군사 복무 | |
복무 | 미상 |
복무 기간 | 미상 |
소속 군대 | 미상 |
계급 | 미상 |
지휘 | 미상 |
근무 | 미상 |
참전 | 미상 |
서훈 | 미상 |
2. 생애
김충공은 원성왕의 손자이자 민애왕의 아버지이며, 혜충태자 인겸의 넷째 아들이다. 아버지 인겸은 형 소성왕이 즉위하면서 왕으로 추봉되어 혜충왕이 되었다. 헌덕왕, 김숭빈, 흥덕왕, 김제옹의 동생이 된다. 신라 김씨 선원세보에는 소성왕의 셋째 아들이며 애장왕, 김예명의 동생이라 한다.
삼국사기에는 귀보부인의 성이 박씨라고 하였지만, 삼국유사에는 원성왕 아들 김인겸의 딸이라 하여, 삼국유사를 따르면 이복 누이와 결혼한 것이 된다.
808년(애장왕 9) 당나라로부터 문극(門戟)을 하사받았다. 각간을 거쳐 817년(헌덕왕 9년) 이찬(伊湌)에서 집사부시중으로 승진하였다. 822년 헌덕왕이 동생 수종을 세자로 임명할 때 상대등(上大等)으로서 세자를 도왔고, 집사시랑(執事侍郞) 녹진(祿眞) 등의 도움을 받았다. 823년(헌덕왕 15년) 김헌창(金憲昌)의 반란 진압에 가담했다.
헌덕왕과 흥덕왕 때 실권자로, 헌덕왕 때는 정사당(政事堂)에서 내외관(內外官)의 전주(銓注)를 맡아 인사문제의 실권을 잡는 등 최고의 정치적 실력자로 군림하였다.
흥덕왕에게는 후사가 없어 김충공이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822년 4월에 병으로 사망하였다.[1] 출생 연도와 사망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사후 선강(宣康)의 시호를 받아 선강태자(宣康太子)였다가 후에 민애왕 즉위 후 선강왕으로 추존되었다.[1]
딸은 희강왕의 비 문목왕후(文穆王后)이고, 아들 김명(金明)은 희강왕을 추대했다가 나중에 희강왕을 자살하도록 위협하고 스스로 민애왕으로 즉위했다.[1] 민애왕 즉위 후 김충공은 선강왕(宣康王)으로, 귀보부인(貴寶夫人)은 선의태후(宣懿太后)로 추봉하였다.[1] 《삼국유사》에는 선강갈문왕(宣康葛文王)이라는 칭호도 나타난다.[1]
2. 1. 어린 시절
원성왕의 손자이자 민애왕의 아버지이며, 혜충태자 인겸의 넷째 아들이다. 아버지 인겸은 형 소성왕이 즉위하면서 왕으로 추봉되어 혜충왕이 되었다. 헌덕왕, 김숭빈, 흥덕왕, 김제옹의 동생이 된다. 보통 그는 인겸의 넷째 아들로 보나, 신라 김씨 선원세보에 의하면 소성왕의 셋째 아들이며 애장왕, 김예명의 동생이라 한다.그의 부인은 귀보부인인데, 삼국사기에는 귀보부인의 성이 박씨라고 하였지만, 삼국유사에는 그가 원성왕의 아들 김인겸의 딸이라 한다. 삼국유사의 설을 채택한다면 그는 이복 누이와 결혼한 것이 된다.
2. 2. 관료 생활
808년(애장왕 9) 당나라로부터 문극(門戟)을 하사받았다. 그 뒤 각간을 거쳐 817년(헌덕왕 9년) 이찬(伊湌)에서 집사부시중으로 승진하였다. 822년 헌덕왕이 동생 수종을 세자로 임명할 때 상대등(上大等)으로서 세자를 도와 정권을 장악했고, 당시 집사시랑(執事侍郞)인 녹진(祿眞) 등의 도움을 받기도 하였다. 823년(헌덕왕 15년) 토벌대에 참여하여 왕위계승에 불만을 품은 김헌창(金憲昌)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가담했다.헌덕왕과 흥덕왕 때의 실권자로 헌덕왕 때는 정사당(政事堂)에서 내외관(內外官)의 전주(銓注)를 맡아보면서 인사문제의 실권을 맡는 등 당시 최고의 정치적 실력자로 군림하였다.
2. 3. 사망
흥덕왕에게는 후사가 없었고, 김충공이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822년 4월에 병으로 사망하였다.[1] 출생 연도와 사망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2. 4. 사후
사후 선강(宣康)의 시호를 받아 선강태자(宣康太子)였다가 후에 민애왕 즉위 후 추존되어 선강왕이 되었다.[1]그의 딸은 희강왕의 비 문목왕후(文穆王后)이고, 아들 김명(金明)은 희강왕을 추대했다가 나중에 희강왕을 자살하도록 위협하고 스스로 민애왕으로 즉위했다.[1] 민애왕 즉위 후 아버지 김충공은 선강왕(宣康王)으로, 어머니 귀보부인(貴寶夫人)은 선의태후(宣懿太后)로 추봉하였다.[1] 일설에는 갈문왕으로 추봉했다는 설이 있으며, 《삼국유사》에는 선강갈문왕(宣康葛文王)이라는 칭호도 나타난다.[1]
3. 가계
김충공은 원성왕의 손자이자 혜충태자(인겸)의 넷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이다. 형제로는 소성왕, 헌덕왕, 흥덕왕이 있었으며, 귀보부인과 혼인하여 아들 민애왕과 딸 문목부인, 정교부인, 조명부인을 두었다.
삼국사기에는 귀보부인의 성이 박씨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삼국유사에는 원성왕의 아들 김인겸의 딸, 즉 김충공의 누이로 기록되어 있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혜충태자(인겸) | 760(?)~791/792 |
어머니 |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 |
형 | 소성왕 | ? ~800, 재위:798~800 |
조카 | 애장왕 | 788~809, 재위:800~809 |
형 | 헌덕왕 | ? ~826, 재위:809~826 |
형 | 흥덕왕 | 777~ 836, 재위:826~836 |
부인 겸 누이 | 귀보부인 | 선의태후(宣懿太后) 추증 |
아들 | 민애왕 | 817~839, 재위:838~839 |
딸 | 문목부인 김씨 | 희강왕의 왕비, 경문왕의 할머니 |
딸 | 정교부인 김씨(貞矯夫人金氏) | |
딸 | 조명부인 김씨(照明夫人金氏) | 김균정의 부인, 헌안왕의 어머니 |
3. 1. 아버지
원성왕의 손자이자 혜충태자(惠忠太子) 인겸(仁謙)의 넷째 아들이다. 아버지 인겸은 형 소성왕이 즉위하면서 왕으로 추봉되어 혜충왕이 되었다.[1] 헌덕왕, 김숭빈(金崇斌), 흥덕왕, 김제옹(金悌邕)의 동생이 된다.[1] 보통 그는 인겸의 넷째 아들로 보나, 신라 김씨 선원세보에 의하면 인겸의 아들 소성왕의 셋째 아들이며 애장왕, 김예명(金禮明)의 동생이라 한다.[1]- 아버지 : 혜충태자(惠忠太子, 760(?)~791/792)[1]
3. 2. 어머니
성목태후 김씨는 원성왕의 손자이자, 민애왕의 아버지인 김충공의 어머니이다.[1] 혜충태자(惠忠太子) 인겸(仁謙)의 넷째 아들이 김충공이다.3. 3. 형
김충공은 소성왕, 헌덕왕, 흥덕왕의 형제였다.3. 3. 1. 소성왕
원성왕의 손자이자 민애왕의 아버지이고, 혜충태자(惠忠太子) 인겸(仁謙)의 넷째 아들이다. 아버지 인겸은 형 소성왕이 즉위하면서 왕으로 추봉되어 혜충왕이 되었다. 헌덕왕, 김숭빈(金崇斌), 흥덕왕, 김제옹(金悌邕)의 동생이 된다. 신라 김씨 선원세보에 의하면 인겸의 아들 소성왕의 셋째 아들이며 애장왕, 김예명(金禮明)의 동생이라고도 한다.그의 부인은 귀보부인인데 삼국사기에는 부인 귀보부인의 성이 박씨라고 하였지만, 삼국유사에는 그가 원성왕의 아들 김인겸의 딸이라 한다. 삼국유사의 설을 채택한다면 그는 이복 누이와 결혼한 것이 된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혜충태자(惠忠太子) | 760(?)~791/792 |
어머니 |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 |
형 | 소성왕(昭聖王) | ? ~800, 재위:798~800 |
조카 | 애장왕(哀莊王) | 788~809, 재위:800~809 |
형 | 헌덕왕(憲德王) | ? ~826, 재위:809~826 |
형 | 흥덕왕(興德王) | 777~ 836, 재위:826~836 |
부인 겸 누이 | 귀보부인(貴寶夫人) | 선의태후(宣懿太后) 추증 |
아들 | 민애왕(閔哀王) | 817~839, 재위:838~839 |
딸 | 문목부인 김씨(文穆夫人金氏) | 희강왕의 왕비, 경문왕의 할머니 |
딸 | 정교부인 김씨(貞矯夫人金氏) | |
딸 | 조명부인 김씨(照明夫人金氏) | 김균정의 부인, 헌안왕의 어머니 |
3. 3. 2. 헌덕왕
원성왕의 손자이자 혜충태자(惠忠太子) 인겸(仁謙)의 넷째 아들이며, 민애왕의 아버지이다. 아버지 인겸은 형 소성왕이 즉위하면서 왕으로 추봉되어 혜충왕이 되었다. 헌덕왕, 김숭빈(金崇斌), 흥덕왕, 김제옹(金悌邕)의 동생이다. 신라 김씨 선원세보에 의하면 소성왕의 셋째 아들이며 애장왕, 김예명(金禮明)의 동생이라 한다.808년 (애장왕 9) 당나라로부터 문극(門戟)을 하사받았다. 각간을 거쳐 817년 (헌덕왕 9년) 이찬(伊湌)에서 집사부시중으로 승진하였다. 822년 헌덕왕이 동생 수종을 세자로 임명할 때 상대등(上大等)으로서 세자를 도와 정권을 장악했고, 당시 집사시랑(執事侍郞)인 녹진(祿眞) 등의 도움을 받기도 하였다. 823년 (헌덕왕 15년) 김헌창(金憲昌)의 반란을 진압하는 토벌대에 참여했다. 817년부터 821년까지 집사부시중을, 822년 정월부터 4월까지 상대등(上大等)을 역임하였다.
헌덕왕과 흥덕왕 때의 실권자로, 헌덕왕 때는 정사당(政事堂)에서 내외관(內外官)의 전주(銓注)를 맡아보면서 인사 문제의 실권을 맡는 등 당시 최고의 정치적 실력자로 군림하였다.
흥덕왕은 후사가 없었고 그가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822년 4월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출생 연대와 사망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3. 3. 3. 흥덕왕
원성왕의 손자이자 민애왕의 아버지이다. 혜충태자(인겸(仁謙))의 넷째 아들이다. 헌덕왕, 김숭빈(金崇斌), 흥덕왕, 김제옹(金悌邕)의 동생이 된다. 신라 김씨 선원세보에는 소성왕의 셋째 아들이며 애장왕, 김예명(金禮明)의 동생이라 한다.삼국사기에는 부인 귀보부인의 성이 박씨라고 하였지만, 삼국유사에는 원성왕의 아들 김인겸의 딸이라 한다. 삼국유사의 설을 따르면 이복 누이와 결혼한 것이 된다.
808년(애장왕 9) 당나라로부터 문극(門戟)을 하사받았다. 817년(헌덕왕 9년) 이찬(伊湌)에서 집사부시중으로 승진하였다. 822년 상대등(上大等)으로서 헌덕왕이 동생 수종을 세자로 임명할 때 세자를 도와 정권을 장악했고, 당시 집사시랑(執事侍郞)인 녹진(祿眞) 등의 도움을 받기도 하였다. 823년(헌덕왕 15년) 김헌창(金憲昌)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가담했다.
헌덕왕과 흥덕왕 때의 실권자로 헌덕왕 때는 정사당(政事堂)에서 내외관(內外官)의 전주(銓注)를 맡아보면서 인사문제의 실권을 맡는 등 당시 최고의 정치적 실력자로 군림하였다.
흥덕왕은 후사가 없었고 그가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822년 4월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출생년대와 사망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831년 흥덕왕의 왕자 김능유(金能儒)가 흥덕왕의 명을 받들어 9명의 승려와 함께 당나라에 진봉사로 갔다가, 이 해 7월 돌아오던 도중 바다에 빠져 익사하였다.
가족 관계 |
---|
3. 4. 부인
김충공의 부인은 귀보부인으로, 삼국사기에는 귀보부인의 성이 박씨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귀보부인이 원성왕의 아들 김인겸의 딸이라고 한다. 삼국유사의 설을 따르면 김충공은 이복 누이와 결혼한 것이 된다. 귀보부인은 후에 선의태후(宣懿太后)로 추증되었다.3. 5. 자녀
김충공은 혜충태자와 성목태후 김씨의 아들이며, 소성왕, 헌덕왕, 흥덕왕의 동생이다. 부인은 누이인 귀보부인이다. 슬하에 1남 3녀를 두었다.관계 | 이름 |
---|---|
아들 | 민애왕 |
딸 | 문목부인 김씨 |
딸 | 정교부인 김씨(貞矯夫人金氏) |
딸 | 조명부인 김씨(照明夫人金氏) |
3. 5. 1. 민애왕
민애왕 즉위 후 김충공은 선강왕(宣康王)으로 추봉되고, 어머니 귀보부인(貴寶夫人)은 선의태후(宣懿太后)로 추봉되었다.[1] 《삼국유사》에는 선강갈문왕(宣康葛文王)이라는 칭호도 나타난다.[1]김충공의 딸은 희강왕의 비 문목왕후(文穆王后)이고,[1] 아들 김명(金明)은 희강왕을 추대했다가 후에 희강왕을 자살로 몰아넣고 민애왕으로 즉위했다.[1]
관계 | 이름 |
---|---|
아버지 | 혜충태자(惠忠太子) |
어머니 |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
형 | 소성왕(昭聖王) |
조카 | 애장왕(哀莊王) |
형 | 헌덕왕(憲德王) |
형 | 흥덕왕(興德王) |
누이, 부인 | 귀보부인(貴寶夫人) |
아들 | 민애왕(閔哀王) |
딸 | 문목부인 김씨(文穆夫人金氏) |
딸 | 정교부인 김씨(貞矯夫人金氏) |
딸 | 조명부인 김씨(照明夫人金氏) |
3. 5. 2. 문목왕후
희강왕의 왕비이며, 민애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된 김충공의 딸이다.[1] 이름은 전하지 않으며, 경문왕의 할머니이자, 헌안왕의 장모가 된다.[1]
3. 5. 3. 정교부인
민애왕의 딸은 정교부인 김씨(貞矯夫人金氏)이다.3. 5. 4. 조명부인
김균정의 부인이자 헌안왕의 어머니이다.
4. 논란
삼국사기와 삼국사절요의 기록에 따르면 김충공은 817년(헌덕왕 9)부터 821년까지 약 4년간 집사부시중을, 822년 정월부터 같은 해 4월까지 약 3개월간 상대등을 역임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사기 헌덕왕조의 다른 기사에는 그가 헌덕왕 13년에 죽었다고 되어 있어 기록 간 차이가 발생한다.[1]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그의 부인의 성씨가 다르게 기록된 것도 논란거리이다. 두 사서 모두 그의 부인을 귀보부인이라 지목하지만, 삼국유사에는 귀보부인이 원성왕의 손녀이자 인겸의 딸이라 하고, 삼국사기는 귀보부인의 성을 박씨로 기록하고 있다.[1]
4. 1. 집사부시중 및 상대등 역임 기간 논란
金忠恭중국어은 삼국사기와 삼국사절요에 따르면 817년(헌덕왕 9)부터 821년까지 약 4년간 집사부시중을 역임했고, 822년 정월부터 같은 해 4월까지 약 3개월간 상대등을 역임했다. 그러나 삼국사기 헌덕왕조의 다른 기사에는 그가 헌덕왕 13년에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어 기록 간 상충되는 문제가 있다.[1]4. 2. 부인 성씨 논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모두 김충공의 부인을 귀보부인이라 지목하지만, 부인의 성씨에 대해서는 다르게 기록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다. 《삼국유사》에는 귀보부인이 원성왕의 손녀이자 인겸의 딸이라 하고, 《삼국사기》는 귀보부인의 성을 박씨로 지목한다.[1]5. 기타
일설에는 흥덕왕의 왕비 정목왕후가 김충공의 딸과 동일인이라는 설도 있다.[1] 한편 헌덕왕의 왕비 귀승부인이 김충공의 딸 정목왕후와 동일인이라는 설도 있고,[1] 김충공의 숙부 김예영의 딸이라는 설도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