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홍일 (189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홍일은 1898년 평안북도 용천 출생으로, 오산학교와 귀주 육군 강무 학교를 졸업했다. 1920년대 국민혁명군에 참여하여 북벌 전쟁에 참전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협력하여 폭탄을 제조, 지원했다. 1945년 광복군 참모장을 역임했고, 1948년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육군사관학교 교장, 6.25 전쟁 시 시흥지구전투사령관, 제1군단장을 지냈다. 이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주 중화민국 대사를 역임했고, 5.16 군사 정변 이후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 1967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신민당 대표를 역임하고 민주통일당을 창당했으나 1980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동문 - 송호성
    송호성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하고 광복군에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하여 초대 조선경비대 총사령관과 육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동문 - 펑위샹
    펑위샹은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시기까지 활동한 군벌이자 정치가로, 베이징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국민군을 이끌었으며, 북벌에 참여했지만 중원대전에서 패배했고, 이후 중일 전쟁에 참전했다가 중국 공산당 초청으로 귀국 중 사망하여 "선한 군벌"로 평가받았다.
  • 대한독립군단 - 김인 (독립운동가)
    안동 김씨 가문 출신 독립운동가 김인은 상하이에서 대한제국 애국 관련 교육을 받고 대한독립군 감독관으로 활동하다 중국 청두에서 사망,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으며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했다.
  • 대한독립군단 - 북로군정서
    북로군정서는 1919년 대한정의단과 대한군정부의 통합으로 결성되어 김좌진을 총사령관으로 만주 북간도 지역에서 독립군 활동을 펼쳤으며,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간도 참변과 자유시 참변 이후 해체되었다.
김홍일 (189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홍일 (1961년)
로마자 표기Gim Hong-il
한글김홍일
한자金弘壹
별명오성 장군
출생
출생일1898년 9월 23일
출생지대한제국 평안북도 용천군
사망
사망일1980년 8월 8일
사망지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묘소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2묘역
가족
배우자민경란
자녀아들 3명
친척김영재(친조카), 민칠식(계배 손아랫 처남)
부모김진건 (부)
경력
소속독립군
국민혁명군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25-1948 (중국군), 1945 (광복군), 1948-1951 (한국 육군)
최종 계급중장
지휘육군사관학교 교장
국방부 제병협동본부 보병학교 교장
육군 경기도 시흥지구 전투사령관
육군 제1군단장
육군종합학교 교장
육군기갑학교 교장
참전러시아 내전
북벌
중일 전쟁
한국 전쟁
서울 전투
부산 전투
외교 및 정치 활동
직책자유중화민국 주재 대사
임기1951년 10월 1일 ~ 1960년 6월 30일
대통령이승만, 허정 (권한대행), 곽상훈 (권한대행), 백낙준 (권한대행)
직책2외무부 장관
대수27
대통령2윤보선
임기21961년 5월 21일 ~ 1961년 7월 21일
국가3국가재건최고회의
직책3상임고문
대통령3윤보선, 송요찬 (권한대행)
기타 이력대한민국 외무부 장관
신민당 국회의원
신민당 총재
민주통일당 고문
학력
학력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8기(1963)
군사 정보
충성
복무국민혁명군
복무 기간1920–1951
최종 계급중장
중장
지휘
수도사단
제1군단
훈장
훈장 내역충무무공훈장
태극무공훈장
청조근정훈장
건국훈장 독립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기타
종교유교(성리학) → 대종교 → 개신교
중국식 가명왕웅(王雄)

2. 생애

김홍일은 1898년 9월 23일 평안북도 용천군에서 태어나 오산학교에서 남강 이승훈고당 조만식에게 가르침을 받았다.[1] 졸업 후 교사로 재직하던 중, 1918년 3.1 운동 이후 일제의 감시를 피해 중화민국으로 망명했다.[4]

중국으로 건너간 김홍일은 구이저우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5]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지원하려 했으나 자유시 참변 등으로 좌절을 겪었다.[6] 이후 지린성 훈춘시의 명동학교한국어에서 교편을 잡기도 했다.[7]

1926년에는 상하이에서 국민혁명군에 입대하여 북벌에 참여하고, 중일 전쟁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는 등 군인으로서 활약했다.[6] 1932년에는 백범 김구의 요청으로 폭탄을 제조하여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기도 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는 한국광복군 참모장으로 임명되지 못하고, 두율명 장군의 동북보안사령부에서 활동했다.

1948년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육군 준장으로 임관, 육군사관학교장을 역임했다.[129] 6.25 전쟁 발발 후에는 제1군단장으로서 한강 방어선 구축과 낙동강 방어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7] 그러나 이승만 대통령 및 미국 군 장교들과의 갈등으로 1951년 군에서 물러났다.[19]

이후 외교관으로 변신하여 주 중화민국 대사를 역임했고,[131] 4·19 혁명 당시에는 공산주의자들의 책동을 경계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132] 5·16 군사 정변 직후에는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및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134] 곧 박정희 세력에 의해 밀려났다.

1965년 한일협정 체결에 반대하며 정계에 투신, 1967년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136] 신민당 대표를 역임하고, 1971년 제8대 국회의원에 재선되었으나, 진산 파동을 겪으며 당내 갈등을 겪었다.

1973년 신민당을 탈당하고 민주통일당 상임 고문이 되었다. 이후 광복회 회장, 국정자문위원을 역임했다.

1980년 8월 8일 83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2. 1. 독립운동과 중국 군대에서의 활동 (1898~1948)

김홍일은 1898년 9월 23일 평안북도 용천군에서 태어났다.[1] 오산학교에서 남강 이승훈고당 조만식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졸업 후에는 교사로 재직했다. 1918년 3.1 운동 이후, 일제의 감시와 탄압을 피해 중화민국으로 망명했다.[4]

중국으로 건너간 김홍일은 黃介民중국어의 소개로 구이저우 육군군관학교에 입학했다.[5] 그는 중국에서 최세평, 왕웅(), 왕일서(), 왕복고() 등 여러 가명을 사용했다.[3] 1920년 군관학교 졸업 후, 러시아 극동 지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위한 지원을 모색했으나, 자유시 참변(1921년)과 러시아의 지원 철회(1922년)로 좌절을 겪고 중국 동북부로 돌아왔다.[6]

이후 몇 년간 지린성 훈춘시의 명동(明洞) 마을에 있는 명동학교한국어에서 교편을 잡기도 했다. 당시 최세평이라는 가명을 사용했는데, 같은 최씨 성을 가진 여성과의 관계에 대한 소문으로 인해 본명을 밝히게 되는 일화도 있었다.[7]

그러나 일본 헌병의 감시가 강화되자, 김홍일은 상하이로 이동하여 1926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에 입대했다.[6]

2. 1. 1.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918년 9월, 김홍일은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관계를 맺었다.[71] 그해 12월, 임시 정부와 중국인 지인의 도움을 받아 귀주 육군강무학교 제2기에 특별 입학했다.

1920년 12월, 귀주를 떠나 임시 정부를 방문했다. 그곳에서 노백린 군무총장의 지시에 따라, 1921년 3월 상하이를 출발하여 장백시에 잔류하고 있던 군비단을 설득하여 소련의 극동 혁명군과 합류하기 위해 이만으로 향했다.

2. 1. 2. 국민혁명군 활동

장제스국민혁명군에 투신하여 1926년 중국국민혁명군 동로군 소령 참모로서 북벌에 참가하였다.[66] 이후 연대장, 군단 및 집단군 참모장, 사단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1939년에는 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중앙군 소장에 이르렀다.[73] 1943년에는 중국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백범 김구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의 요청으로 폭탄을 제작하여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였다.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이듬해 여름, 뤄줘잉에 의해 제102사(사단장: 바이후이장 중장) 참모 주임으로 임명되었다.[73] 1938년 우한 전투에서 제102사는 난창 북쪽의 더안에서 제106사단과 교전하여 큰 타격을 입혔다.[73]

1939년, 제19집단군(총사령: 뤄줘잉 중장) 소장 참모처장에 취임했다.[73] 제19집단군은 난창 서쪽의 방비를 담당하여, 난창 주변을 경비하던 일본군 제34사단을 괴롭혔다. 1941년에는 진장 작전에 참전했으며, 진장 작전 초기에는 제19사 사단장 대리를 맡았다.[73]

일본어에도 정통했기 때문에, 전쟁터에서 포로로 잡은 일본군 포로는 김홍일이 심문했다.[73] 1932년 2월, 포로로 잡은 일본 항공대의 정찰원을 심문하여 얻은 정보는 제2전구 사령장관부가 참고했다.[73]

2. 1. 3. 광복군 활동

1945년, 김홍일은 한국광복군 참모장으로 임명되지 않았다. 대신 국민혁명군에 복귀하여 두율명 장군의 동북보안사령부 고급 참모 겸 한교사무처장으로 부임하였고, 중국 국부군 중장(2성 장군)으로서 남경의 국방부 정치부 전문위원이 되었다.

2. 2. 대한민국 국군 복무 (1948~1951)

1948년 12월 10일,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 지시로 육군 준장으로 임관되었고, 제7대 육군사관학교장으로 임명되었다.[129] 1949년에는 국방부의 초기 주요 저작 중 하나인 ''국방개요''를 저술하여 군사 전략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14][15]

1948년 김홍일 육군 준장의 공식 초상사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교장 재임 시절


6.25 전쟁 발발 후, 제1군단장에 임명되어 의정부시 북쪽 금천군에 위치한 진지를 방어했다. 6월 28일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했다는 소식을 듣고 한강 남쪽으로 철수하여 방어선을 구축, 한강 인도교 폭파로 북한군의 보급이 늦어진 틈을 타 7월 3일까지 6일간 방어선을 유지했다.[17] 그해 말 부산 교두보 전투에도 참전했으나,[18] 이승만 대통령 및 미국 군 장교들과의 갈등으로 1951년 3월 면직되었다.[19]

2. 2. 1. 6.25 전쟁

6.25 전쟁 발발 초기, 김홍일은 국방부 군원로회의에서 서울을 포기하고 한강 이남에 방어선을 구축할 것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30] 이후 참모학교에 머무르고 있었다. 채병덕 육군참모총장의 잘못된 명령으로 한강교가 조기 폭파되어 국군 주력 부대가 서울에 고립되는 등 상황이 악화되자, 김홍일은 시흥지구전투사령관에 임명되어 흩어진 병력을 수습하고 한강 방어선을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김홍일의 활약으로 서부지역 육군은 병력을 수습하고 편제를 재편할 수 있었으며, 시흥지구전투사령부는 곧바로 제1군단으로 개편되었다. 김홍일은 수도사단, 제1사단, 제2사단을 지휘하여 미군과 협력, 진천-음성-청주 축선에서 성공적인 지연전을 수행했다.

또한 낙동강 방어작전에서 기계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등 제1군단장으로서 반격작전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그러나 1950년 육군종합학교 교장으로 발령이 났고, 이듬해 3월에는 국방장관 신성모의 모략으로 족청계 쿠데타설에 연루되어 강제 예편당했다.

2. 3. 외교 및 정치 활동 (1951~1980)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김홍일은 군사 경력자 긴급 자문 회의에 소집되어 의정부 방면 전투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채병덕, 신성모 등은 서울 사수를 주장했지만, 김홍일은 한강 선에서 방어할 것을 제안했고, 이범석, 이청천, 김석원 등이 이에 동의했다.[86]

김홍일은 제1사단을 시찰하고 한강 이남으로 후퇴할 것을 권고했으나, 육군 본부는 서울 서쪽 지역 방어 명령을 변경하지 않았다. 이후 시흥지구전투사령부(시흥지구전투사령부한국어) 사령관이 되어 패주하는 병력을 수습, 혼성 수도사단, 혼성 제2사단, 혼성 제7사단을 편성하여 한강 방어선을 구축했다. 백선엽은 김홍일의 이러한 노력에 대해 "귀중한 며칠을 벌 수 있었다"며 높게 평가했다.[88]

북한군의 한강 도하 이후, 김홍일은 제1군단장으로서 낙동강까지 후퇴 작전을 지휘했다.

2. 3. 1. 외교관 활동

1951년부터 1961년까지 주 중화민국 대사를 역임하였다.[131] 1960년 4·19 혁명이 발생하자, 김홍일은 그 원인이 최고조에 달한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악용된 것에 기인한다고 비난하였다. 김홍일은 이번 사태가 극히 불행한 사건임을 인정하면서도, 중화민국에서 교육받은 대사로서 기자들에게 이번 사태는 6개 도시에서 계엄령이 선포되어 진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적색음모를 방지할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김홍일은 본국 정부를 옹호하며 말하였다. 그러나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현재의 이 폭동이 어느 정도까지 공산주의자들의 조작에 의한 것인지 단정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132] 같은 해, 모종의 정변계획을 세우고 강원룡에게 도움을 요청하였으나 응답을 받지 못하였다.[133]

2. 3. 2.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정변 이후 1961년 5월 20일 군사혁명위원회가 구성되자 김홍일은 그 위원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고, 혁명내각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34] 이는 박정희가 아닌, 김홍일과 같은 평안도 출신인 장도영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의 추천에 의한 것이었다.[135]

그러나 박정희 세력이 장도영 세력을 제거하는 혁명 세력 내분으로 김홍일 또한 밀려나게 되었다. 이후 김홍일은 박정희의 민정 참여를 반대하여 야당 정치인의 대열에 합류하였다.

2. 3. 3. 야당 정치인

1965년 박정희 정권의 한일협정 체결에 반대하면서 정계에 투신, 1967년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136] 한국독립당을 재건하였으나 당권이 김학규 등에게 넘어가고 당선자를 내지 못하면서 한국독립당은 결국 몰락하였다.

1966년 12월 24일 야당통합과 대통령후보 단일화 추진을 위한 위원회가 설치되자 추진위원으로 위촉되었다.[136]

1969년 삼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 지도위원으로 참여하였다.

1967년 신민당 후보로 서울 마포구에서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0년 1월 당 대회에서 비주류의 지지를 받아 의장으로 선출되었고,[92] 같은 해 7월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의 군사·경제를 시찰했다. 같은 해 10월, 서독 하원 의장의 초청으로 독일을 방문했다.

1971년 5월, 진산 파동에서 신민당 대표 권한 대행으로 추대되었으며,[96] 같은 해 제8대 국회의원에 재선되어 신민당 대표가 되었다. 1973년 1월, 신민당을 탈당하고 민주통일당 상임 고문이 되었다.

2. 3. 4. 만년

1971년 5월 10일 유진산, 양일동 등 운영위원회 부의장들의 사퇴서를 수리하고 김홍일이 신민당 당수 권한대행으로 임명되었다.[137] 신민당 당수가 되었으나 당내 내분을 겪은 뒤 1972년 당수직을 사임하였다.

이후 광복회 회장을 거쳐 국정자문위원에 위촉되었다.

1979년 양력 1월 중순부터 노환을 앓다가 1년 7개월 후인 1980년 8월 8일 향년 83세로 타계하였다.

3. 저서 및 논문

김홍일은 다음과 같은 저서와 논문을 남겼다.

=== 저서 ===


  • 《대륙의 분노》
  • 《국방개론(Outline of National Defense)》 (1949년, 고려서적)
  • 《일본은 대답하라》 (경향신문, 1965년 2월 17일 ~ 1965년 2월 27일 연재)[121]


=== 논문 ===

  • 國防槪論|국방개론중국어
  • 軍隊精神敎育|군대정신교육중국어

3. 1. 저서


  • 《대륙의 분노》
  • 《국방개론(Outline of National Defense)》 - 1949년, 고려서적(서울)
  • 《일본은 대답하라》 - 1965년 2월 17일 ~ 1965년 2월 27일, 경향신문 연재[121]

3. 2. 논문


  • 國防槪論|국방개론중국어
  • 軍隊精神敎育|군대정신교육중국어

4. 상훈


  • 대한민국
  • * 충무무공훈장 (1950년 12월 30일)
  • * 태극무공훈장 (1951년 7월 26일)
  • * 청조근정훈장 (1960년 1월 1일)
  • * 건국훈장 독립장 (1962년 3월 1일)
  • * 국민훈장 무궁화장 (1980년 8월 11일)
  • 중화민국
  • * 제남작전 유공 (濟南作戰有功) (1928년)
  • * 만가령 회전 유공훈장(萬⊙領會戰有功受大功勳章) (1938년)
  • * 상고회전 전용감수 화주영예훈장(上高會戰⊙戰勇敢受華胄榮譽勳章) (1941년)
  • * 중국항일전쟁기념훈장(中國抗戰有功受勝利勳章) 및 항전기념장(抗戰記念章) (1945년)
  • * 서북시가전 유공 육해군일등장장(四平街戰功作戰有功受陸海軍一等奬章) (1946년)
  • * 충근(忠勤)
  • * 대수운마(大綬雲摩)
  • * 대수경성(大綬景星)

5. 연보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7년총선신민당44,506표 (43.79%)1위당선초선
1971년총선신민당4,969,050표 (44.4%)전국구 4번당선재선
1973년총선민주통일당28,447표 (21.38%)3위낙선


참조

[1] 논문 http://www.riss.kr/s[...] 2018-05-11
[2] Encyclopedia Sinchŏn County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5-13
[3] Encyclopedia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5-11
[4] 논문 Kim Hong-il, Hi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1920s http://www.riss.kr/s[...] 2018-05-12
[5] 문서 貴州陸軍講武學校
[6] 웹사이트 http://www.mpva.go.k[...]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outh Korea) 1998-08
[7] 문서 Article 809 of the Korean Civil Code
[8] 뉴스 http://www.sisain.co[...] 2018-05-13
[9] 문서 김용재
[10] 뉴스 http://www.seoul.co.[...] 2018-05-13
[11] 뉴스 https://terms.naver.[...] 2018-05-14
[12] 뉴스 http://news.kmib.co.[...] 2018-05-14
[13] 문서 Kim, 2014, p=177
[14] 서적 http://medcmd.mil.kr[...] Ministry of Defense 2018-05-14
[15] 논문 http://dl.nanet.go.k[...] Korea Retired Admirals and Generals Association 2018-05-14
[16] 논문 General Kim Hong-il and Han river defensive operation in early Korean war http://www.riss.kr/s[...] 2018-05-12
[17] 서적 Unequal Partners in Peace and War: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1948–1953 Greenwood
[18] 서적 The Korean War Rosen Publishing
[19] 문서 Lee, 2016, pp=254–256
[20]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21] 뉴스 http://nrch.culture.[...] 2018-05-11
[22]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23]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2
[24]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25]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26]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27]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28]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3
[29]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3
[30]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3
[31]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32]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33]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34]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35] 뉴스 http://newslibrary.n[...] 2018-05-11
[36] korean
[37] harvnb 1965
[38] korean
[39]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65-07-28
[40] 뉴스 http://newslibrary.n[...] 1965-08-19
[41]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65-08-27
[42]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65-08-30
[43] 뉴스 http://newslibrary.n[...] 1965-09-08
[44]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65-10-25
[45] 뉴스 https://newslibrary.[...] 1967-02-07
[46] 뉴스 http://newslibrary.n[...] 1967-06-10
[47]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69-07-17
[48] 뉴스 http://newslibrary.n[...] 1971-05-08
[49] 뉴스 http://newslibrary.n[...] 1971-05-10
[50] 뉴스 http://newslibrary.n[...] 1971-05-27
[51]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71-07-21
[52]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72-09-26
[53] 뉴스 http://newslibrary.n[...] 1976-05-26
[54] 뉴스 http://newslibrary.n[...] 1973-01-18
[55] 뉴스 http://newslibrary.n[...] Maeil Business Newspaper 1973-01-19
[56]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73-03-01
[57] 뉴스 http://newslibrary.n[...] 1973-03-03
[58]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73-12-24
[59] 뉴스 http://newslibrary.n[...] The Dong-A Ilbo 1974-12-25
[60] 뉴스 http://newslibrary.n[...] 1977-05-20
[61] 뉴스 http://newslibrary.n[...] Maeil Business Newspaper 1979-11-29
[62] 웹사이트 http://kla815.or.kr/[...] Korea Liberation Association 2018-05-11
[63] 뉴스 http://newslibrary.n[...] Maeil Business Newspaper 1980-08-09
[64] 뉴스 http://newslibrary.n[...] 1980-08-12
[65] 뉴스 http://news.joins.co[...] 1980-08-12
[66] 서적 中国国民党百年人物全書
[67] 서적 韓國光復軍研究
[68] 웹사이트 国家有功者墓地 http://www.snmb.mil.[...] 国立ソウル顕忠院 2014-12-13
[69] 뉴스 [6·25戦争 60年] 臨津江を越えてきた敵 (39) 都市は兵士を食う https://news.joins.c[...] 2010-02-19
[70] 서적 朝鮮戦争 (下) (歴史群像シリーズ (61))
[71] 뉴스 <92>‘五星将軍’ 金弘壹将軍と6·25戦争 http://kookbang.dema[...] 2008-11-17
[72] 서적 大韓民國獨立運動功勳史 (株)光復出版社
[73] 서적 陆军大学将帅录 广州出版社
[74] 뉴스 1980年8月8日 独立運動家 光復軍将軍 金弘壹死亡 http://www.cj-ilbo.c[...] 2015-08-08
[75] 뉴스 (612)제28화 북간도(32) http://news.joins.co[...] 1972-11-17
[76] 뉴스 '윤봉길 도시락 폭탄'을 기획한 장군 김홍일 http://www.sisain.co[...] 2017-09-19
[77] 뉴스 揭秘韓國義士在上海炸死日軍大將:炸彈從哪兒來? http://big5.chinanew[...] 2014-05-15
[78] 서적 4月29日の尹奉吉:上海抗日戦争と韓国独立運動
[79] 웹사이트 大韓民国臨時政府資料集 3)韓国国民党(金九派) 要手配不逞鮮人名簿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09-08
[80] 웹사이트 金弘壹 http://www.mpva.go.k[...] 国家報勲処 2015-01-28
[81] 웹사이트 青年軍預備幹部通訊錄 http://taiwanebook.n[...] 臺灣華文電子書庫 2018-03-21
[82] 서적 国民党军事制度史 上巻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83] 웹사이트 大韓民国臨時政府資料集 3)大韓民国臨時政府の最近の動態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8-09-16
[84] 뉴스 중국인들 무자비한 한인보복살인 교민 자유 위해 보안사 설치-김홍일장군 권고따라 천신만고 끝에 귀국 http://news.joins.co[...] 1982-11-29
[85] 웹사이트 編年資料 資料大韓民国史「蔣介石 총통, 李承晩 대통령과 金九·金奎植 간의 합작을 희망」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08-12
[86] 서적 老兵の恨 自叙伝
[87] 서적 若き将軍の朝鮮戦争
[88] 서적 韓国戦争一千日
[89] 뉴스 프란체스카의 亂中日記 - 6.25와 李承晩 [발췌] ⑥ http://www.chogabje.[...] null
[90] 간행물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www.history.a[...] アメリカ合衆国陸軍省
[91] 서적 老兵の恨 自叙伝
[92] 뉴스 신민당의 새 관리인 김홍일씨 http://news.joins.co[...] 1971-05-10
[93] 뉴스 40년 전 오늘, 우리가 몰랐던 '영웅 중의 영웅'이 죽었다…우리는 왜 김홍일 장군을 잊고 살았나 https://news.sbs.co.[...] 2020-08-07
[94] 뉴스 반공 목사들이 박정희에게 정면으로 반기 든 사연 http://www.pressian.[...] 2014-10-25
[95] 뉴스 각하들도 피하지 못한 내란의 추억 http://www.hani.co.k[...] 2014-02-14
[96] 뉴스 「광복」에 반생 불태운 정치 5년 생|새 신민당 수 김 홍일 씨의 어제와 오늘| http://news.joins.co[...] 1971-07-22
[97] 뉴스 광복회장-독립운동 정신기려 극일에 ″앞장〃 http://news.joins.co[...] 1991-08-16
[98] 웹사이트 沿革 1980~1989 http://kla815.or.kr/[...] 光復会 2015-01-28
[99] 뉴스 고김홍일장군 장례식 엄수 http://news.joins.co[...] 1980-08-12
[100] 뉴스 『오성…김홍일』웅장감있으나 주제약화 http://news.joins.co[...] 1985-10-02
[101] 뉴스 [7월의 호국인물] 김홍일 장군 http://news.joins.co[...] 2000-07-07
[102] 뉴스 1月の6・25戦争英雄 金弘壹中将 http://konas.net/art[...] 2015-01-15
[103] 뉴스 국군 최초 장군, 김홍일 장군 흉상 건립 제막 http://www.konas.net[...] 2018-01-03
[104] 뉴스 6.25 영웅, 코로나 영웅 호명한 文 "국가가 반드시 기억" [전문] https://news.joins.c[...] 2020-06-06
[105] 뉴스 한강서 엿새간 북한군 저지 김홍일 중장 '8월 호국인물' https://www.yna.co.k[...] 2020-07-31
[106] 뉴스 [박태균의 버치 보고서](24)“우리 목적에 가장 근접한 리더”…버치, 김규식을 가장 많이 접촉 http://news.khan.co.[...] 2018-09-09
[107] 뉴스 6·25 닷새뒤 불쑥 찾아온 김두한 "무기 달라, 참전하겠다" https://news.joins.c[...] 2020-10-02
[108] 웹사이트 Letter from W. L. Roberts to Charles L. Bolte http://archive.hist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019-05-12
[109] 간행물 20世紀の証言 悪夢の日曜日 眼前に「北」の戦車群が…―韓国陸軍予備役少将金点坤―朝鮮戦争を闘い朴クーデターを拒否した男 読売新聞社 1997-11
[110] 서적 韓国戦争一千日
[111] 뉴스 풍운의 별-126-자유중국 방문 http://kookbang.dema[...] 2010-01-07
[112]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1212号 http://gpost.lib.ncc[...] 中華民国政府官職資料庫 2016-09-24
[113]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1498号 http://gpost.lib.ncc[...] 中華民国政府官職資料庫 2017-09-02
[114]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1213号(民国22年8月19日) http://twinfo.ncl.ed[...] 政府広報資訊網 2020-05-12
[115]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2287号(民国26年2月24日) http://twinfo.ncl.ed[...] 政府広報資訊網 2017-10-10
[116]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 渝字第276号(民国29年7月20日) http://twinfo.ncl.ed[...] 政府広報資訊網 2017-10-10
[117] 웹사이트 韓国臨時政府部署別職員名簿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7-08-25
[118] 웹사이트 『앞길』 제42기(1945년 6월 1일)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7-08-25
[119] 웹사이트 傷痍軍警会紹介 http://kdvo.or.kr/ht[...] 大韓民國傷痍軍警會 2020-03-05
[120] 웹사이트 星友会歴史 http://sung.netplan.[...] 大韓民国星友会 2018-01-15
[121] 웹사이트 韓国近現代人物資料「金弘一」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10-28
[122]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2646号(民国35年10月10日) http://twinfo.ncl.ed[...] 政府広報資訊網 2017-10-10
[123]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東亜日報「金弘一 劉載興少將等 十二將兵에게 武功勳章授與」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9-08-15
[124] 서적 韓国・北朝鮮人名辞典 1979年版 上巻
[125] 웹사이트 總統蔣中正頒贈韓國駐華大使金弘一大綬景星勛章 http://weba.drnh.gov[...] 國史館館藏史料文物作業管理系統 2016-11-07
[126] 뉴스 <임시정부 수립 80돌>”臨政 지원” 蔣介石 친필문서 첫 공개 http://www.seoul.co.[...] 1999-04-13
[127] 뉴스 空軍總司令陳嘉尚頒勳給韓國空軍金勇哉少校 https://www.phototai[...] null
[128] 문서 1862년 출생 ~ 1918년 하세. 대한제국 평안북도 용천 지역의 부농가 대농 지주.
[129] 문서 이는 현재까지도 대한민국 국군 역사상 유일무이한 장성 임관이라는 기록으로 남아 있다.
[130] 문서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2』, 서울, 2005, pp 67-68
[131] 서적 http://www.mofat.go.[...] 2015-02-21
[132] 뉴스 http://dna.naver.com[...]
[133] 웹사이트 동아일보 매거진::신동아 http://www.donga.com[...]
[134] 문서 나중에 국가재건최고회의로 변경
[135] 뉴스 http://dna.naver.com[...]
[136] 서적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137]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