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털제비활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깃털제비활치(''Platax teira'')는 Ephippidae과에 속하는 물고기 종이다.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원형 또는 서양배 모양이며, 최대 70cm까지 성장한다. 홍해와 동아프리카에서 파푸아뉴기니에 이르는 인도-태평양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류큐 열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에서도 발견된다. 잡식성으로 플랑크톤, 소형 무척추동물, 해조류 등을 먹으며, 치어는 부유물에 의태한다. 낚시, 작살, 트롤 어업 등으로 어획되며, 식용 또는 관상어로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활치과 - 제비활치
제비활치(Platax pinnatus)는 가돔돔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유어는 납작벌레를 의태하며 인도양과 서태평양 지역의 산호초나 맹그로브 숲에서 서식한다. - 1775년 기재된 물고기 - 무명갈전갱이
무명갈전갱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전갱이과 어류로, 자이언트 트레발리라고도 불리며 스포츠 피싱 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시구아테라 독을 가진 경우가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하와이에서는 울루아라고 불리며 존경받는다. - 1775년 기재된 물고기 - 갯장어
갯장어는 날카로운 이빨과 긴 몸을 가진 뱀장어목 갯장어과의 바닷물고기로, 서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한국, 일본 등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된다.
깃털제비활치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latax teira (Forsskål, 1775) |
통칭 | 깃털제비활치 |
영명 | Longfin batfish (롱핀 배트피쉬) |
일본어명 | ツバメウオ (쓰바메우오)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목 | 농어목 (Perciformes) |
과 | 만주우다이과 (Ephippidae) |
속 | 투바메우오속 (Platax) |
종 | 투바메우오 (P. teira) |
이명 | |
학명 | Chaetodon teira (Forsskål, 1775) |
보존 상태 | |
IUCN | 관심 필요 |
IUCN 3.1 | status_ref: "" |
기타 | |
관련 미디어 | Platax teira |
위키종 | Platax teira |
2. 분류
깃털제비활치(''Platax teira'')는 스웨덴계 핀란드인 탐험가이자 동양학자, 박물학자인 페테르 포르스콜이 처음 ''Chaetodon teira''라는 학명으로 기술했다.[3] 모식 산지는 예멘의 홍해 연안 알 루하이야이다.[3] 1876년 피터 블리커는 이 종을 ''Platax'' 속의 모식 종으로 지정했다.[4][18] 깃털제비활치속(''Platax'')은 Moroniformes 목의 Ephippidae 과에 속한다.[4][5] 종소명 ''teira''는 예멘에서 어린 개체를 부르는 아랍어 단어 teyra|테이라ara를 라틴어화한 것이다.[6][18]
깃털제비활치는 홍해와 동아프리카에서 파푸아뉴기니까지, 북쪽으로는 류큐 열도,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인도-태평양 지역에 분포한다.[2][17]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중부 해안부터 북부 해안을 거쳐 뉴사우스웨일스 주 남부 해안까지 발견된다. 뉴질랜드의 아일랜드 만에서도 기록되었다.[2][17] 인도에서는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이후 만나르 만에서 보고되었다.[9][20] 최근에는 지중해에서도 발견되었는데, 터키[11][21]와 이스라엘[12][22] 해역에서 보고된 기록이 있다.[10][23]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구시로부터 규슈의 태평양 연안, 니가타현에서 나가사키현에 이르는 동해 및 동중국해 연안, 야쿠섬, 류큐 열도, 오가사와라 제도 등지에 분포한다.[19][24]
잡식성으로 플랑크톤, 부착 무척추동물, 작은 무척추동물 및 해조류를 먹는다.[14]
깃털제비활치는 인간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어업을 통해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독특한 생김새로 인해 관상어로서 수족관에서 사육되기도 한다. 낚시, 트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어획되지만[15], 식용으로서의 가치나 맛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 편이다.[2]
3. 형태
몸은 매우 높고 심하게 측편되어 있으며, 옆에서 보면 거의 원형에 가깝고 전체적으로는 서양배 모양과 비슷하다. 입은 매우 작고 양턱에는 여러 줄의 작은 원뿔 모양 이빨이 있다. 아가미뚜껑 앞쪽 뼈(전새개골)의 가장자리는 부드럽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활처럼 길게 발달되어 있으며 서로 크기가 비슷하다. 배지느러미도 비교적 길지만,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작다. 꼬리지느러미는 가운데가 두 번 들어간 형태(이중 만입형)이며, 뒷 가장자리는 검다.
깃털제비활치는 가슴지느러미 아래에 어두운 반점이 있고, 뒷지느러미 기저부(뿌리 부분) 위에 또 다른 세로로 긴 검은색 표시가 있다.[7][24] 몸 옆면에는 눈을 가로지르는 검은색 띠와 가슴지느러미를 지나는 또 다른 띠가 있지만, 성어에서는 이 띠들이 불명확해진다.[25] 몸 색깔은 보통 은색, 회색 또는 갈색을 띤다. 관찰하는 동안 띠가 없는 은백색에서 더 어두운 띠가 있는 갈색으로 색이 변했다가 다시 은색으로 돌아오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7] 배지느러미는 황색을 띤다. 나이가 많은 성어는 이마 부분이 약간 돌출되기도 한다. 죽은 후에는 몸 전체가 검게 변하고 무늬는 선명하지 않게 된다.
이 종은 최대 전체 길이가 70cm까지 자란다.[2][17]
치어(아주 어린 개체)는 몸이 갈색을 띠며, 물에 떠다니는 마른 잎처럼 보인다.[8] 유어(더 큰 어린 개체)는 몸이 마름모꼴이며, 배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의 앞쪽 부드러운 지느러미 줄기(연조)가 매우 길게 발달하여 뒷지느러미 기저부 뒤쪽까지 뻗어 있다.[8] 유어 시기에는 성어보다 지느러미가 훨씬 크고, 몸의 검은 무늬 부분이 더 넓고 뚜렷하다.[26] 유어의 큰 지느러미는 성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4. 분포 및 서식지
주로 연안의 중층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얕은 연안 서식지부터 먼 바다의 깊은 곳까지 서식한다.[19] 부유하는 해조류(김 등)나 잔해, 인공 어초 주변에서 발견된다.[13] 어린 물고기(치어)는 수면 가까이에서 몸을 옆으로 뉘어 떠다니며 부유물로 의태한다. 치어들은 부유물 속에 머물다가 서로 만나 무리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성장하면 연안에서 멀어져 부유하는 해조류 아래에서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잡식성으로, 플랑크톤, 작은 무척추동물, 조류 등을 먹는다.
5. 생태
어린 물고기(치어)는 부유하는 부유물 사이나 수면 가까이에 머물며 몸을 옆으로 하여 떠다니면서 부유물에 의태하고, 다른 개체들을 만나면서 무리를 형성한다.[2] 성장하면 점점 더 원양 생활을 하며 연안에서 멀어지고, 우기 후에 흔히 형성되는 ''괭생이모자반''의 큰 뗏목이나 부유 조류 아래에 숨어 상당한 규모의 무리를 형성한다.[2] 일반적으로 연안의 중층에서 무리를 지어 다닌다.
태평양 서부에서 인도양, 홍해의 온난한 해역에 분포한다.[17]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구시로부터 규슈의 태평양 연안, 니가타현에서 나가사키현의 동해·동중국해 연안, 야쿠섬, 류큐 열도, 오가사와라 제도까지 분포한다.[19][24] 뉴질랜드의 아일랜드 만에서도 기록되었다.[17]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서오스트레일리아 주부터 북부 지역을 거쳐 남쪽으로는 뉴사우스웨일스 주까지 분포한다. 2004년 수마트라 지진 이후 인도의 만나르 만에서도 발견되었으며,[20] 지중해에서는 터키 해안과 이스라엘 해안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다.[21][22][23]
연안의 얕은 곳에서부터 먼 바다의 깊은 곳까지 서식하며, 부유 조류, 잔해, 인공 어초 사이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6. 1. 어업
깃털제비활치는 낚시, 울타리 트랩, 작살, 트롤 및 손 그물을 사용하여 잡는다.[15] 살은 그다지 가치가 높은 편은 아니며,[2] 맛이 훌륭하다는 평가와 순위가 낮고 잡초 같은 맛이 난다는 평가가 공존한다.[2]
6. 2. 식용
낚시, 창 낚시, 트롤 어망 등으로 어획된다.[27] 일본 근해에서는 어획량이 적어 잘 이용되지 않지만, 맛은 돌돔과 비슷하다. 지느러미가 발달하여 가장자리 부분을 중심으로 썰어 생선회로 먹으면 기름지고 맛이 좋다.
6. 3. 관상어
깃털제비활치는 매우 평화롭고 사교적인 물고기이며, 동족과 함께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수족관에서 사육할 때 공격적인 종과는 함께 키우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어린 깃털제비활치는 다른 공격적인 물고기에게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 처음 구매할 때는 비교적 작은 크기이지만, 가정용 수족관 환경에서도 빠르게 성장하여 최대 약 60.96cm까지 자랄 수 있으므로 사육 환경에 주의가 필요하다.[14] 수족관에서 관상어로 자주 사육된다.
참조
[1]
iucn
Platax teira
2019
[2]
FishBase
[3]
Cof genus
2023-04-06
[4]
Cof family
2023-04-06
[5]
book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6]
웹사이트
Order ACANTHURIFORMES (part 2): Families EPHIPPIDAE, LEIOGNATHIDAE, SCATOPHAGIDAE, ANTIGONIIDAE, SIGANIDAE, CAPROIDAE, LUVARIDAE, ZANCLIDAE and ACANTHUR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1-01-12
[7]
웹사이트
Roundface Batfish, Platax teira Forsskål, 1775
https://australian.m[...]
Australian Museum
2022-05-06
[8]
웹사이트
Platax teira
https://fishesofaust[...]
Museums Victoria
[9]
journal
Teira batfish, Platax teira (Forsskal, 1775) in Pudhumadam coastal waters, drifted due to the tsunami of 26 December 2004
https://www.jstor.or[...]
[10]
간행물
Atlas of Exotic Fishes in the Mediterranean Sea (Platax teira)
https://ciesm.org/at[...]
CIESM Publishers, Paris, Monaco
2021
[11]
간행물
A new alien fish in the Mediterranean Sea–Platax teira (Forsskål, 1775)(Osteichthyes: Ephippidae).
2006
[12]
journal
Second records of the Lessepsian fish migrants Priacanthus sagittarius and Platax teira and distribution extension of Tylerius spinosissimus in the Mediterranean
[13]
웹사이트
Platax teira
http://aquaticcommon[...]
Iranian Fisheries Science Research Institute
[14]
웹사이트
Teira Batfish, (Platax teira) Species Profile, Teira Batfish, (Platax teira) Hobbyist Guide, Teira Batfish, (Platax teira) Care Instructions, Teira Batfish care, Feeding and more. :: Aquarium Domain.com
http://www.aquariumd[...]
[15]
book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ume 5: Bony fishes part 3 (Menidae to Pomacentridae)
https://www.fao.org/[...]
FAO Rome
[16]
iucn
Platax teira
2019
[17]
FishBase
[18]
웹사이트
Order ACANTHURIFORMES (part 2): Families EPHIPPIDAE, LEIOGNATHIDAE, SCATOPHAGIDAE, ANTIGONIIDAE, SIGANIDAE, CAPROIDAE, LUVARIDAE, ZANCLIDAE and ACANTHUR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1-01-12
[19]
和書
日本産魚類検索全種の同定第二版Ⅱ
東海大学出版会
2000-12-20
[20]
journal
Teira batfish, Platax teira (Forsskal, 1775) in Pudhumadam coastal waters, drifted due to the tsunami of 26 December 2004
https://www.jstor.or[...]
[21]
간행물
Atlas of Exotic Fishes in the Mediterranean Sea (Platax teira)
https://ciesm.org/at[...]
CIESM Publishers, Paris, Monaco
2021
[22]
간행물
A new alien fish in the Mediterranean Sea–Platax teira (Forsskål, 1775)(Osteichthyes: Ephippidae).
2006
[23]
journal
Second records of the Lessepsian fish migrants Priacanthus sagittarius and Platax teira and distribution extension of Tylerius spinosissimus in the Mediterranean
[24]
도감
小学館の図鑑Z 日本魚類館
[25]
웹사이트
Roundface Batfish, Platax teira Forsskål, 1775
https://australian.m[...]
Australian Museum
2022-05-06
[26]
웹사이트
Platax teira
https://fishesofaust[...]
Museums Victoria
[27]
book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ume 5: Bony fishes part 3 (Menidae to Pomacentridae)
https://www.fao.org/[...]
FAO Ro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