깽 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깽 솜(Kaeng som)은 다양한 채소, 생선 또는 새우를 주재료로 하여 시큼한 맛을 내는 태국식 카레의 일종이다. 코코넛 밀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새우와 차옴 오믈렛을 넣은 깽 솜이 대표적이다. 깽 솜은 아유타야 왕조 시대부터 존재했던 고대 음식에서 유래되었으며, 태국 남부, 말레이시아, 라오스 등 지역별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커리 - 맛사만 커리
맛사만 커리는 페르시아에서 유래된 이름의 태국 커리로, 다양한 고기와 향신료, 코코넛 밀크를 사용하여 태국 남부 지방에서 발전했으며, 세계적으로 알려지면서 한국에서도 점차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 태국의 커리 - 깽
깽은 태국어로 카레를 의미하며, 새우 페이스트, 고추, 마늘 등을 기본 재료로 사용하고 코코넛 밀크 사용 여부에 따라 종류가 나뉘는 밥과 함께 먹는 물기 있는 태국 요리이다. - 라오스 요리 - 랍
라오스와 태국 북부에서 즐겨 먹는 랍은 다진 고기나 생선에 허브, 향신료, 어장 등을 넣어 만든 샐러드 형태의 요리로, 날것 또는 익혀서 먹으며 라오스에서는 설날에 행운을 기원하며 먹는 상징적인 음식이다. - 라오스 요리 - 풋파파야 샐러드
풋파파야 샐러드는 라오스에서 유래하여 동남아시아로 전파된 음식으로, 덜 익은 파파야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태국의 쏨땀처럼 각 나라별 특색있는 맛과 조리법을 가지고 다양한 과일이나 채소를 추가하여 만들기도 한다. - 생선 요리 - 루테피스크
루테피스크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유래한 건조 생선을 가성소다 용액에 처리하여 젤리처럼 만든 전통 음식으로, 특별한 날에 즐겨 먹으며 독특한 풍미와 조리법으로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되고 북미 이민자 사회에서도 소비된다. - 생선 요리 - 어묵
어묵은 생선살을 주원료로 하여 쪄내거나 튀겨 만든 한국의 대표적인 수산가공품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다양한 종류로 생산 및 소비되며, 부산 어묵은 한국을 대표하는 지역 특산물이다.
깽 솜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요리 정보 | |
![]() | |
국가 | 라오스, 말레이시아, 태국 |
지역 | 태국 중부, 태국 남부, 말레이시아 북부, 라오스 |
국가별 요리 | 라오스 요리, 말레이시아 요리, 태국 요리 |
종류 | 스튜 수프 |
제공 온도 | 뜨겁게 |
주재료 | 생선, 채소 |
변형 | 라오스 깽 솜, 말레이시아 아삼 레부스, 태국 깽 솜 |
곁들임 | 보통 쌀밥과 함께 제공됨 |
태국어 | แกงส้ม (kaeng som) |
2. 역사
이 유형의 시큼한 수프는 아유타야 왕조 시대의 고대 음식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แกงเหงาหงอด|깽 응아오 놋tha이라고 불렸다. 이는 오늘날의 ''깽 솜''과 유사한 음식으로, 나라이 왕 시대 왕실 요리 책임자였던 일본계 포르투갈-벵골 여성 마리아 기마르 드 피냐가 포르투갈 요리의 수프에서 영향을 받아 발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8]
깽 솜은 น้ำพริกแกงส้ม|남 프릭 깽 솜tha이라는 매콤새콤한 페이스트를 기본으로 하여 물과 다양한 재료를 넣어 끓이는 태국식 수프 또는 카레이다.[4][20] 이 페이스트는 주로 새우 페이스트, 샬롯, 고추 등을 절구에 빻아 만들며, 사용하는 고추의 종류는 조리법에 따라 다르다.
시간이 흐르면서 생선 대신 새우를 사용한 버전이 더 인기를 얻게 되었고, 새우와 차옴 오믈렛을 넣은 ''깽 솜''은 현재 태국에서 표준적인 요리로 자리 잡았다. 다른 변형으로는 파인애플이나 해산물을 넣기도 하지만, 공통적으로 이 시큼한 카레에는 코코넛 밀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7]
3. 재료 및 조리법
주재료로는 생선이나 새우가 흔히 사용되며, 때로는 생선 알이 들어가기도 한다.[5][21] 다양한 종류의 채소가 들어가는데, 전통적인 채소 외에도 현대에는 콜리플라워, 무, 양배추 등 더욱 폭넓은 채소가 활용된다.[6][22] 특히 새우와 차옴 오믈렛을 넣은 깽 솜은 매우 대중적이다.
깽 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시큼한 맛이며, 다른 많은 태국 카레와 달리 코코넛 밀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7] 보통 찐 밥과 함께 먹는다.[21]
3. 1. 기본 재료
깽 솜의 기본은 น้ำพริกแกงส้ม|남 프릭 깽 솜tha(깽 솜 페이스트)이라는 페이스트에 물과 다른 재료들을 추가하여 만든다.[4][20] 이 페이스트는 새우 페이스트(까삐)와 샬롯 등을 절구에 넣고 빻아서 준비한다. 페이스트에 들어가는 고추는 마른 붉은 고추나 신선한 붉은 고추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떤 조리법에서는 큰 고추를, 다른 조리법에서는 타이 고추(프릭키누)를 사용하는 등 차이가 있다.
주재료로는 생선이나 새우가 사용될 수 있다. 생선은 끓여도 살의 형태가 잘 유지되는 종류를 선호하는데, 대표적으로 줄무늬 붕어(ปลาช่อน|쁠라 촌tha, ''Channa striata'')가 있으며, 해안 지역에서는 다른 바닷물고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생선알을 이용한 변형 조리법도 존재한다.[5][21] 깽 솜은 보통 찐 밥과 함께 먹는다.[21]
가정에서 깽 솜을 만들 때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채소로는 모링가 꼬투리(มะรุม|마룸tha), 녹색 파파야, 박쥐꼬리 나무 꽃(ดอกแค|독 캐tha) 등이 있다. 특히 붉은색의 박쥐꼬리 나무 꽃을 사용한 경우 '깽 솜 독 캐 댕'이라고 부른다. 이 외에도 공심채(팍붕)나 네프튜니아 올레라세아(팍 크라쳇)와 같이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다른 채소들도 사용된다.[6][22]
3. 2. 추가 재료 (선택 사항)
생선 또는 새우가 주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생선은 끓여도 형태가 잘 유지되는 종류가 선호되는데, 예를 들어 줄무늬 붕어(ปลาช่อน|쁠라촌tha, ''Channa striata'')가 대표적이며, 해안 지역에서는 다른 바다 생선을 사용하기도 한다. 때로는 생선알을 넣기도 한다.[5][21]
가정에서 만들 때는 다양한 채소가 추가된다. 전통적으로 모링가 꼬투리(มะรุม|마룸tha), 녹색 파파야, 박쥐꼬리 나무 꽃(ดอกแค|독 캐tha, ''Sesbania grandiflora'') 등이 사용된다. 특히 붉은 박쥐꼬리 나무 꽃을 넣으면 '깽 솜 독 캐 댕'(แกงส้มดอกแคแดงtha)이라고 부른다.[6][22] 그 외에도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공심채(ผักบุ้ง|팍붕tha)나 물민감초(ผักกระเฉด|팍끄라쳇tha, ''Neptunia oleracea'') 같은 채소도 사용된다.[6][22]
3. 3. 조리법
น้ำพริกแกงส้ม|남 프릭 깽 솜tha이라는 페이스트가 깽 솜의 기본이 된다.[4][20] 이 페이스트는 까삐(새우 페이스트)와 샬롯 등을 물과 함께 절구와 절구공이로 빻아 만든다. 고추도 함께 빻는데, 마른 붉은 고추를 쓸지 신선한 붉은 고추를 쓸지, 또는 큰 고추를 쓸지 타이 고추(프릭키누)를 쓸지는 조리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주재료로는 생선이나 새우가 사용될 수 있다. 생선은 끓여도 살이 쉽게 부서지지 않는 종류가 선호되는데, 예를 들어 ปลาช่อน|쁠라촌tha(줄무늬 붕어)이나 해안 지역의 다른 바다 생선이 쓰인다. 생선 알을 사용하는 변형도 있다.[5][21] 새우를 사용한 깽 솜이 더 인기가 있으며, 특히 새우와 차옴 오믈렛을 넣은 것은 태국에서 표준적인 요리로 자리 잡았다.
전통적으로 가정에서는 모링가 꼬투리(marum|마룸tha), 녹색 파파야, 박쥐꼬리 나무 꽃(dok khae|독 카에tha) 등을 채소로 사용한다. 붉은 박쥐꼬리 나무 꽃을 넣으면 '깽 솜 독 카에 댕'이라고 부른다. 그 외에도 모닝글로리(팍붕)나 네프튜니아 올레라세아(팍끄라쳇) 같은 지역 채소가 쓰이기도 한다.[6][22] 인기가 높아지면서 요즘에는 콜리플라워, 무, 양배추, 배추, 당근, 긴 콩, 아스파라거스 등 다양한 채소가 사용된다.
다른 종류로는 파인애플이나 해산물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어떤 종류든 이 시큼한 맛의 카레에는 코코넛 밀크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7] 깽 솜은 보통 찐 쌀밥과 함께 먹는다.
4. 지역별 변형
깽 솜은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태국 남부, 말레이시아 클란탄, 라오스, 촌부리 주, 쁘라쭈압키리칸주 등 지역마다 독특한 재료와 조리법을 가진 깽 솜이 존재하며, 이는 각 지역의 식문화 특성을 반영한다.[9][10][11][12][13][14][24][25][26][27][28][29]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이러한 지역별 변형 외에도 주재료를 바꾸거나 새로운 재료를 추가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생선 대신 닭고기를 주재료로 사용한 '깽 솜 카이 완'(kaeng som kai wan|깽 솜 카이 완tha)이 있다.[15][30]
깽 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전통적인 재료 외에도 콜리플라워, 무, 양배추, 배추, 청경채, 당근, 여름콩, 아스파라거스 등 다양한 현대적 채소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23] 또한 미얀마 스타일의 차 옴 오믈렛을 넣는 조리법도 인기를 얻어, 새우와 차 옴 오믈렛을 함께 넣은 깽 솜은 매우 흔한 변형 중 하나가 되었다.[23] 이 외에도 파인애플이나 다른 종류의 해산물을 넣어 맛에 변화를 주기도 한다.[23]
이렇게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깽 솜은 코코넛 밀크를 넣지 않는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23]
4. 1. 태국 남부: 깽 루엉 (깽 솜 팍 타이)
태국 남부에는 독자적인 시큼한 카레인 ''깽 솜''이 있다. 이 요리는 태국 다른 지역의 ''깽 솜''과 구분하기 위해 ''깽 루엉''(노란 카레) 또는 ''깽 솜 팍 타이''(남부 태국 ''깽 솜'')라고도 불린다. 남부식 깽 솜은 중앙 태국식과 달리 시큼한 맛을 내기 위해 타마린드, 아쌈 과일(*som kaek*, 가르시니아의 일종), 라임 주스를 사용한다. 또한 강황(터메릭)을 넣어 노란색을 내며, 마늘, 샬롯도 재료로 쓰인다.[9][24] 남부식 깽 솜의 가장 큰 특징은 강황을 사용한다는 점이며, 맛은 매우 맵고 시큼하며 짠맛이 강하다.[9][24]4. 2. 클란탄 (말레이시아): 깽 솜 노 마이 동
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클란탄에서는 클란탄-태국 요리 스타일의 깽 솜 변형인 kaeng som no mai dong|깽 솜 노 마이 동tha이 있다.[10][25] 이 요리의 주요 특징은 절인 죽순을 사용한다는 점이다.[10][25]4. 3. 라오스: 깽 솜
라오스 요리에도 '깽 솜'이라는 이름의 요리가 존재한다. 라오스식 깽 솜은 주로 돼지고기를 넣어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11][26] 생선을 주재료로 하는 버전인 '깽 솜 플라'(kaeng som pla)도 있으며, 이 요리에는 레몬그래스와 버섯이 들어간다.[12][27]4. 4. 촌부리 주
촌부리 주에서는 시큼한 맛을 내기 위해 카피르 라임을 사용하고, 가지의 일종인 Solanum aculeatissimum (มะเขือเปราะ|마크아 쁘러th)를 사용하는 깽 솜의 변형이 있다.[13][28]4. 5. 프라추압키리칸 주
쁘라쭈압키리칸주에서는 신선한 고추와 홀리 바질(Ocimum tenuiflorum, กะเพรา|카프라오tha) 잎을 사용하는 깽 솜 변형이 존재한다.[14][29]4. 6. 한국식 변형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깽 솜'의 한국식 변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5. 깽 솜과 유사한 한국 요리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 제목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haifood: Gaeng Som - Sour Curry - many styles
http://recipe-thai.b[...]
[2]
서적
The Everything Thai Cookbook Includes Red Curry with Pork and Pineapple, Green Papaya Salad, Salty and Sweet Chicken, Three-Flavored Fish, Coconut Rice, and hundreds more!
F+W Media
2013
[3]
웹사이트
Thai Sour Curry (Central Style)
https://web.archive.[...]
2012-02-06
[4]
웹사이트
nam phrik kaeng som
http://www.recipesou[...]
[5]
웹사이트
Gaeng som with fish eggs
http://www.dudaonlin[...]
[6]
간행물
Nutrition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Thai foods used local vegetables
http://www.ifrpd.ku.[...]
[7]
웹사이트
Kaeng Som (Sour Thai Curry with fish)
http://ediblyasian.i[...]
[8]
웹사이트
Tamrab Krua Naree : Kaeng ngao ngod Ayutthaya recipe
https://www.youtube.[...]
2017-01-12
[9]
웹사이트
แกงเหลืองสายบัวปลากะพง - Southern Thai Spicy Sour Yellow Curry with Lotus Stems and Sea Bass- gaaeng leuuang lai buaa bplaa ga phohng
http://www.thaifoodm[...]
2016-07-14
[10]
웹사이트
Slow food Malaysia
https://web.archive.[...]
2012-02-06
[11]
웹사이트
Laotian Pork Cabbage Sour Soup - Kaeng Som Kalampi
http://southeastasia[...]
[12]
웹사이트
Phatoke Lao Derm
http://phatokelaoder[...]
[13]
문서
อาหารไทยริมทะเล
แสงแดด
2552
[14]
문서
อาหารไทยริมทะเล
แสงแดด
2552
[15]
웹사이트
Singapore unofficial food - (Thai) kaeng som kai wan
http://www.makantime[...]
[16]
웹사이트
Tastefood - Asam pedas
http://tastefood.inf[...]
[17]
웹사이트
Thaifood: Gaeng Som - Sour Curry - many styles
http://recipe-thai.b[...]
[18]
웹사이트
Thai Sour Curry (Central Style)
http://www.thai-reci[...]
[19]
서적
The Everything Thai Cookbook Includes Red Curry with Pork and Pineapple, Green Papaya Salad, Salty and Sweet Chicken, Three-Flavored Fish, Coconut Rice, and hundreds more!
F+W Media
2013
[20]
웹사이트
nam phrik kaeng som
http://www.recipesou[...]
[21]
웹사이트
Gaeng som with fish eggs
http://www.dudaonlin[...]
[22]
간행물
Nutrition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Thai foods used local vegetables
http://www.ifrpd.ku.[...]
[23]
웹사이트
Kaeng Som (Sour Thai Curry with fish)
http://ediblyasian.i[...]
[24]
웹사이트
แกงเหลืองสายบัวปลากะพง - Southern Thai Spicy Sour Yellow Curry with Lotus Stems and Sea Bass- gaaeng leuuang lai buaa bplaa ga phohng
http://www.thaifoodm[...]
2016-07-14
[25]
웹사이트
Slow food Malaysia
http://www.malaysia-[...]
[26]
웹사이트
Laotian Pork Cabbage Sour Soup - Kaeng Som Kalampi
http://southeastasia[...]
[27]
웹사이트
Phatoke Lao Derm
http://phatokelaoder[...]
[28]
문서
อาหารไทยริมทะเล
แสงแดด
2552
[29]
문서
อาหารไทยริมทะเล
แสงแดด
2552
[30]
웹사이트
Singapore unofficial food - (Thai) kaeng som kai wan
http://www.makanti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