꺽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꺽지는 몸길이 약 25cm의 회갈색 바탕에 검은 가로띠가 있는 민물고기로, 육식성 어종이다. 한국 고유종으로 하천 중상류의 맑고 바위가 많은 곳에 서식하며, 주로 갑각류, 작은 물고기, 수생 곤충을 먹고 산다. 5~6월에 산란하며, 수컷이 알을 보호한다. 식용 및 관상어로 이용되며, 일본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근연종으로는 꺽저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기재된 물고기 - 장성베도라치
장성베도라치과는 등가시치목에 속하는 어류 분류군으로, 바닥가시치과, 장갱이과, 황줄베도라치과 등과 함께 등가시치하목을 구성하며 신생대 마이오세부터 홀로세에 걸쳐 서식했던 Araeosteus 속과 관련이 있다. - 1896년 기재된 물고기 - 발광민대구
발광민대구는 최대 30cm까지 자라는 물고기로, 은색 몸에 발광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서대서양의 대륙붕 등 수심 400~500미터에서 서식하고 어업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 쏘가리과 - 꺽저기
꺽저기는 짙은 수직 줄무늬와 노란 테두리의 파란 눈 모양 무늬가 있는 꺽지과 민물고기로, 수컷이 알을 보호하며,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유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었다. - 쏘가리과 - 꺽지속
꺽지속(Coreoperca)은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속으로, 한국에는 코리아어니라미와 어니라미 2종이 서식하며, 과거에는 요우코우어니라미가 꺽지속으로 여겨졌으나 분자계통 분석 결과 케츠교속에 편입되었다. - 한국의 고유종 동물 - 쉬리
쉬리는 한강, 낙동강 등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물고기로, 노란색 또는 주황색 줄무늬와 영화 제목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학명은 아름다운 외형을 뜻한다. - 한국의 고유종 동물 - 가시납지리
가시납지리는 특정 시기에 민물조개에 알을 낳아 번식하며, 번식기 수컷은 등지느러미가 커지고 검은 점이 생기는 특징을 갖고 암컷은 산란관을 갖는다.
꺽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oreoperca herzi |
명명자 | Herzenstein, 1896년 |
영명 | Korean perch (한국 농어) |
국명 | 꺽지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경골어류강 |
목 | 농어목 |
과 | 케츠기ョ과 (꺽지과) |
속 | 오야니라미속 (꺽지속) |
종 | 코우라이오야니라미 (꺽지) |
분포 | |
서식지 | 한국 |
보존 상태 | |
IUCN | 평가 불가 |
2. 특징
꺽지는 몸길이가 25cm 정도이며, 회갈색 바탕에 7-8개의 짙은 가로띠가 있다. 새우나 작은 곤충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어종이다. 경계심이 많고, 자신의 영역에 대한 텃세가 강하다. 산란기는 5-6월이며, 알을 낳아 돌 밑에 둥그스름하게 붙여 놓는다. 어미는 알이 부화할 때까지 알 주위를 맴돌며 알을 돌본다. 맛이 좋아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수명은 5-6년이다. 꺽저기와 근연종이다.[10]
2. 1. 형태
꺽지는 몸이 옆으로 납작하고 세로로 높으며 피라미드 형태를 띤다. 몸길이는 15~20cm이다. 몸에 비해 머리가 비교적 크고, 머리 꼭대기에 눈이 있다. 입은 크고 끝이 뾰족하며, 위턱이 아래턱보다 약간 더 길다. 등지느러미는 길고 둥근 끝을 가지며, 꼬리는 둥근 가장자리를 가진다.몸의 바탕색은 녹갈색이며, 배에서 꼬리로 갈수록 어두워진다. 몸 전체에 검은 점무늬 줄무늬가 있고, 다른 부분은 흰 점으로 덮여 있다. 아가미의 아가미 뚜껑 뒤쪽에는 날카로운 청록색 무늬가 있다. 색상과 밝기는 환경, 기분, 주변 빛에 따라 변한다. 생김새가 비단잉어와 비슷하여, 한국에서는 '미니 비단잉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야니라미와 근연종이지만, 꺽지는 최대 전장 30cm에 달하는 대형종이며, 체고가 낮고 머리가 큰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어린 꺽지는 오야니라미와 마찬가지로 줄무늬가 있지만, 성장함에 따라 흰색 불규칙한 반점이 체측에 나타나고, 줄무늬는 사라진다.
2. 2. 생태
꺽지는 육식성으로 갑각류, 작은 물고기, 수생 곤충을 먹고 산다.[10] 평소에는 돌에 몸을 밀착시켜 가만히 있지만, 먹이가 가까이 오면 돌진하여 포식한다.[10] 영역 의식이 강하여 다른 물고기와 심하게 다툰다.번식기는 초여름으로, 수온 18°C~23°C 정도의 시기이며, 물살이 빠른 암반에 모여 큰 돌 밑에 2.6mm~2.9mm 크기의 알을 낳는다.[10] 모래무지와 참갈겨니가 탁란의 대상으로 이용된다.[11]
2. 3. 번식
꺽지는 초여름인 5월이나 6월에 산란한다. 적절한 산란 수온은 18°C~28°C이다. 암컷은 알을 낳아 돌 밑에 붙이고, 수컷이 와서 수정시킨다. (체외수정) 20°C에서 2주 정도 후 알이 부화하기 시작한다. 가시고기와 마찬가지로 수컷은 다른 생물로부터 알을 보호하고, 지느러미를 흔들어 부화하지 않은 알에 산소를 공급한다. 또한 치어가 일정 크기로 자랄 때까지 돌본다. 줄납자루와 같은 물고기가 알이 부화하기 전에 원래의 알 위에 알을 낳기도 하지만, 이는 원래의 알과 치어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10] 모래무지와 참갈겨니가 탁란의 대상으로 이용된다.[11]3. 분포
꺽지는 대한민국 고유종으로, 압록강이 북방 한계이다. 하천 중상류의 물이 맑고 바위나 자갈이 많은 곳에서 주로 발견된다. 원래 백두산 동쪽에는 서식하지 않았으나, 인위적으로 옮겨져 서해안 수역에서도 번성하게 되었다.[4]
일본 오요도강 수계에는 관상어로 수입된 개체가 방류되어 외래종으로 유입되었으며, 환경 DNA 조사에 따르면 꺽저기가 많은 수역에서는 참갈겨니와 같은 다른 토착 물고기가 적은 경향이 나타난다.[6]
3. 1. 한국 내 분포
꺽지는 대한민국 고유종으로, 하천 중상류의 물이 맑고 바위나 자갈이 많은 곳의 돌 밑에서 주로 발견된다. 거의 모든 한국 하천에 서식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5]지역 |
---|
고성, 장진군, 철원군, 양주, 여주, 춘천, 양구군, 화천군, 인제군, 평창군, 무주군, 진안군, 전주, 완주군, 장성군, 순천, 밀양, 안동, 봉화군, 문산, 산청군, 진주 |
원래는 백두산 동쪽에는 서식하지 않았으나, 인위적으로 옮겨져 서해안 수역에서도 번성하게 되었다.[4]
3. 2. 국외 분포
압록강이 북방 한계이다.[10] 일본 오요도강 수계에는 관상어로 수입된 개체가 방류되어 외래종으로 유입되었으며, 참갈겨니(Pseudogobio esocinus)와 같은 토착종들이 꺽저기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4] 환경 DNA 조사에 따르면 꺽저기가 많은 수역에서는 다른 물고기가 적은 경향이 나타난다.[6]4. 인간과의 관계
꺽지는 맛이 좋아 식용으로 인기가 많다. 관상어로도 사육되며, 한국에서는 '미니 비단잉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강원도 철원군 설화에 따르면, 조선 시대 의적 임꺽정이 관군을 피해 강에 뛰어들었다가 꺽지로 변했다고 전해진다.[6]
일본 오요도강 수계에서는 토착 생물을 위협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미야자키현 내수면 어장 관리 위원회는 2024년 8월 5일부터 꺽지의 반출 및 방류를 금지했다.[6] 환경 DNA 조사 결과, 꺽지가 많은 수역에서는 다른 물고기가 적은 경향을 보인다.
5. 근연종
꺽저기(''Coreoperca kawamebari'')는 꺽지의 근연종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Coreoperca herzi
https://www.itis.gov[...]
[2]
FishBase
[3]
웹사이트
Coreoperca kawamebari summary page
http://www.fishbase.[...]
[4]
논문
Rapid assessment of invasion front and biological impact of the invasive fish Coreoperca herzi using quantitative eDNA metabarcoding
https://link.springe[...]
2024-09-01
[5]
뉴스
꺽지
https://terms.naver.[...]
2018-06-09
[6]
뉴스
「コウライオヤニラミ」急拡大/観賞用の外来魚 宮崎の河川で急拡大/固有種が急減 全国初の放流規制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8-19
[7]
논문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endemic species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Teleostei, Centrarchiformes, Sinipercidae)
https://www.tandfonl[...]
2016-09-02
[8]
논문
Distribution of Coreoperca kawamebari and C. herzi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Differences in Their Sympatric Area of the Boseong River, Korea
http://www.jksl.or.k[...]
2013-09-30
[9]
논문
宮崎県大淀川水系から得られたオヤニラミ属魚類コウライオヤニラミ
https://journal.kago[...]
[10]
논문
カウライオヤニラミの生活史
[11]
논문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Cross-Species Amplification in the Genus Pseudopungtungia
http://www.mdpi.com/[...]
2013-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