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래무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래무지는 15~25cm 크기로 자라는 민물고기로, 몸이 가늘고 머리가 크며 입가에 한 쌍의 수염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래 속에 숨어 살며, 하천 중·하류나 호수의 모래 바닥에 서식하며, 수생 곤충 등을 잡아먹는다.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번식하며, 맛이 좋아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깨끗한 물에서만 살기 때문에 강의 오염 정도를 알려주는 지표종으로도 활용된다. 최근 분류를 통해 모래무지, 참모래무지, 그리고 모래무지 3종으로 나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래무지아과 - 참붕어
    참붕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은백색 몸에 검은색 세로줄이 있고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수생 곤충 등을 먹고, 봄부터 여름까지 번식하며 기생충의 매개체로 식용 및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모래무지아과 - 돌고기
    돌고기는 압록강 이남의 한반도, 일본에 분포하며, 몸길이 10~15cm로, 하천이나 용수로에 서식하며 수생 곤충 등을 먹고, 5~6월에 알을 낳으며, 서식지 변경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식용 또는 관상어로 이용된다.
  • 1846년 기재된 물고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 1846년 기재된 물고기 - 뱀장어
    뱀장어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원통형 몸에 미끈한 피부를 가지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산란 후 죽고,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식용으로 양식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모래무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마츠카
카마츠카
학명Pseudogobio esocinus
명명자Temminck & Schlegel, 1846
이전 학명Gobio esocinus (Temminck & Schlegel, 1846)
한국어 이름모래무지
일본어 이름カマツカ (Kamatsuka)
영어 이름Japanese Gudgeon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경골어류강
잉어목
잉어과
아과모래무지아과
카마츠카속 (Pseudogobio)
생태
서식지모래가 있는 맑은 물

2. 형태

몸길이는 15~25cm로 홀쭉하고 머리가 크며 입가에 한 쌍의 수염이 있다. 몸빛은 은백색 바탕에 배는 희고 등은 검으며 체측 중앙에 6개 가량과 등쪽에 여러 개의 눈알 모양의 어두운 무늬가 있어 모래와 비슷한 보호색을 이룬다.

체장은 15~20cm 정도의 가늘고 긴 몸과 길고 아래로 뾰족한 주둥이가 특징이다. 주둥이 아래에는 한 쌍의 입수염이 있다[4]. 입수염은 눈의 앞쪽을 넘지 않는다. 입은 주둥이 아랫쪽에 붙어있다. 입술에는 다수의 유두 돌기가 있다. 눈 앞에는 검은색 무늬가 들어간다. 몸 옆면과 등쪽에는 검은색 원형 무늬 및 다수의 작은 반점을 가진다. 이 반점은 윤곽이 흐릿하고 연속된다. 항문~뒷지느러미 기점 사이의 비늘 수는 12~16개이며 최빈값은 14이다. 가슴지느러미지느러미 줄기 수는 12~16개이며 최빈값은 14이다[2].

3. 생태

모래무지는 주로 하천의 중・하류나 호소의 모래 바닥에 서식하며, 수생 곤충 등의 저서성 소동물이나 유기물을 바닥의 모래와 함께 입으로 빨아들여 먹는다. 이때 모래는 아가미뚜껑에서 뱉어내는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한다. 번식기는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이다[2]

모래무지는 온순하고 겁이 많은 성질을 가지고 있어, 놀라거나 적이 나타나면 모래 속에 숨어 눈만 내놓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습성 때문에 "모래 파기", "모래 잠수", "모래 숨기" 등의 별명으로 불린다. 또한, 생태가 해수어 보리멸과 비슷하여 "강 보리멸"이라고도 불리며, 아가미뚜껑에서 모래를 뱉어내는 모습 때문에 "모래 뱉기"라는 별명도 있다. 참고로, 모래무지보다 작은 돌고기라는 물고기도 존재한다.

3. 1. 산란기

산란기는 5-6월로 수컷은 머리 부분과 가슴지느러미에 추성이 나타난다. 하천 오염으로 인해 모래무지를 보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모래무지의 분포는 강의 오염 정도를 알려주는 지표가 된다.

4. 분포

한반도에서는 황해남해로 흘러드는 모든 하천에 분포하며, 중국 동부지방·일본에도 서식한다.

일본에서는 아이치현·도야마현 이서의 혼슈, 고치현을 제외한 시코쿠, 규슈, 게시마 (아마쿠사 제도), 이키섬에 분포한다[2] (이키섬에서는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국외에서는 한반도중국 북부 등에 분포하고 있다[3] . 그러나, 대륙의 집단은 유전적으로 여러 집단으로 나뉘는 점, 일본의 집단과는 별개의 종일 가능성 등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비와호의 집단은 체형이 가늘어지는 경향이 있어 아종일 가능성이 있다[2] .

또한, 모래무지라는 단어가 일본산 모래무지속 전반의 담수어를 가리키는 경우, 일본의 혼슈, 고치현을 제외한 시코쿠, 규슈, 게시마 (아마쿠사 제도), 이키섬, 한반도중국 북부 등이 분포역이 된다.

5. 인간과의 관계

모래무지는 맛이 좋아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어 식용으로 사용된다.[1] 그러나 하천 오염으로 인해 점점 보기 어려워지고 있다. 모래무지는 깨끗한 물에서만 살기 때문에 모래무지의 분포는 강의 오염 정도를 알려준다.

5. 1. 식용

모래무지는 맛있는 흰 살 생선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서 주로 소금구이, 간로니, 튀김 등으로 조리한다. 몸길이가 20cm에 달하는 큰 개체는 생선회로도 먹을 수 있지만, 민물고기에는 기생충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날로 먹는 것은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한반도에서는 "모래무지"(모래무지|모래 속에 숨는 물고기한국어)라고 부르며, 전주시 등에서는 오모가리탕의 재료로도 사용된다.[1]

5. 2. 사육

모래무지는 귀여운 외모와 행동, 습성 때문에 관상어로 기르거나, 열대어금붕어 수조의 바닥 청소 담당(탱크 메이트)으로 사육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수질 변화에 민감하여 깨끗한 물을 좋아하므로 자주 물을 갈아줘야 하며, 소심하고 신경질적인 성격 때문에 안정적으로 오래 기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다른 물고기와 함께 기르는 경우, 모래무지에게 먹이가 제대로 닿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6. 분류

본 종은 일본에 서식하는 집단이 고등학교 교사인 토미나가 교유에 의해 3종으로 분류되었다. 토미나가 교유는 관서학원 고등부 재학 시, 교토부의 농업 용수로에서 잡히는 "모래무지"에 얼굴 생김새와 체형이 다른 2가지 유형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관서학원 대학 이공학부에서 분자생물학을 배운 후, 교토대학교 대학원 이학연구과로 진학했다. 그리고 전국의 "모래무지"를 조사하여 유전적으로 3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을 특정했다. "모래무지"의 기준이 되는 유형 표본은 에도 시대에 지볼트가 일본에서 가져간 것으로, 현재는 네덜란드의 자연사 박물관(나투라리스 생물다양성 센터)에 소장되어 있다. 이 "모래무지"의 유형 표본과 비교하는 등, 형태적으로 이 3집단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자세한 내용은 모래무지, 참모래무지를 참조) 2019년에 모래무지, 모래무지, 참모래무지 3종이 발표되었다. 이때, 모래무지도 종의 정보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재기재되었다.

참조

[1] FishBase
[2] 서적 増補改訂 日本の淡水魚 山と渓谷社 2019
[3] 서적 ポケット図鑑日本の淡水魚258 文一総合出版
[4] 서적 フィールドベスト図鑑 日本の淡水魚 学習研究社 2000-08-04
[5] 웹사이트 関西学院大学 高等部教諭が淡水魚「カマツカ」の新種を2種発見 https://www.kwansei.[...]
[6]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