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진군은 랑림산맥과 부전령산맥이 지나고 개마고원 위에 위치하여 기온이 매우 낮은 지역이다. 1667년 장진책 설치를 시작으로, 일제강점기에는 수력 발전을 위한 댐 건설이 이루어졌다. 1950년 한국 전쟁 중 장진호 전투가 벌어졌으며,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3로동자구, 16리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목재 생산, 광업, 농업이며, 장진선 철도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진군 - 장진호 (호수)
    장진호는 장진강에 댐을 건설하여 만들어진 인공 호수로, 장진강 수력발전소 운영을 위해 물을 흑림천으로 끌어오며, 장진호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 장진군 -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신라 진흥왕이 동북 지역 순행을 기념하여 568년에 세운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는 건립 배경, 진흥왕 업적, 순행 목적 등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의 북방 영토 확장과 관직 체계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1897년 설치 - 녕변군
    녕변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에 있는 군으로, 청천강 북안의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한때 평안북도 도청 소재지였으나 녕변 핵 시설 건설로 북핵 문제와 관련되어 국제적으로 알려졌고 견직물, 특히 비단 직물의 명산지로 유명하다.
  • 1897년 설치 - 목포우체국
    목포우체국은 1897년 무안우체국사로 개국하여 195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전라남도 목포시와 신안군 일부 지역의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차례 청사 이전과 증축을 거쳐 현재 목포시 용당동에 위치하고 있다.
  • 함경남도의 군 - 정평군
    정평군은 함경남도에 위치하며 함흥평야로 이어지는 정평평야를 중심으로 벼농사가 활발하고 평라선 철도와 선덕비행장이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사적으로 국방의 요충지였다.
  • 함경남도의 군 - 북청군
    함경남도에 위치한 북청군은 동해와 함경산맥을 끼고 있는 군사적 요충지이자 농업이 활발한 지역이었으나, 해방 후 북한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북청사자놀음이라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장진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남함경도에서 장진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남함경도에서 장진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장진군
원어 이름장진군(長津郡)
로마자 표기Jangjin-gun
McCune-Reischauer 표기Changjin kun
행정 구역 종류
국가북한
함경남도
면적1861km² (1887.46km²)
군청 소재지장진읍
인구 통계
총 인구 (2008년)6468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구역
1개
로동자구3개
16개

2. 지리

랑림산맥부전령산맥이 지나며, 대부분의 지역이 개마고원 위에 위치해있다. 이러한 위치 때문에 장진의 기후는 매우 춥다. 최고봉은 련화산이다. 장진강이 지나며, 인공 호수인 장진호가 있다.[1]

북쪽으로 자강도 랑림군, 동쪽으로 부전군·신흥군, 남쪽으로 영광군, 평안남도 대흥군, 서쪽으로 자강도 룡림군과 접한다.[1] 장진호는 군의 중심부에 있으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장진강(압록강의 지류)을 장진강댐으로 막아 만든 것이다.[1]

3. 역사

1667년에 장진책이 설치되면서 장진이라는 지명이 시작되었다. 일제 강점기 이전 군역은 랑림군, 부전군, 김정숙군 신흥로동자구에 이르렀다.

1914년 동상면이 신설된 신흥군(현재 부전군에 속함)에 이관되었다. 일제강점기 함경남도에 속했던 장진군은 개마고원 일대 전력 자원 개발로 부전강에 부전강댐(1926년 착공, 1930년 완공), 장진강에 장진강댐(1935년 착공, 1937년 완공)이 건설되면서 큰 변화를 겪었다.

한국 전쟁 중인 1950년 11월부터 12월, 장진호 주변에서 미군중국인민지원군 사이에 장진호 전투가 벌어졌다.[3]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장진면, 중남면, 서남면과 상남면 일부를 합쳐 장진군(1읍 24리)이 재편성되었다.

3. 1. 연표


  • 1667년: 장진책이 설치되면서 장진이라는 지명이 시작되었다.
  • 일제 강점기 이전: 군역은 랑림군, 부전군, 김정숙군 신흥로동자구까지 이르렀다.
  • 1914년: 동상면이 신설된 신흥군(현재 부전군에 속함)에 편입되었다.[5]
  • 일제 강점기: 함경남도에 속했으며, 개마고원 일대 전력 자원 개발로 부전강에 부전강댐(1926년 착공, 1930년 완공), 장진강에 장진강댐(1935년 착공, 1937년 완공)이 건설되었다. 이로 인해 군청이 있던 구 장진면 읍내가 수몰되어 동문면으로 바뀌고, 군청은 신남면으로 이전하여 신남면이 장진면이 되었다. 동문면 면사무소는 동문거리(현재 랑림읍)로 이전되었고, 강계선장진선이 부설되었다.
  • 1949년: 함경남도 장진군 동문면이 강계군에 편입되었고, 12월에 장강군으로 분리되었다.[3]
  • 1950년 11월~12월: 장진호 주변에서 미군중국인민지원군 사이에 장진호 전투가 벌어졌다.[3]
  •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장진면·중남면·서남면과 상남면 일부로 장진군(1읍 24리)이 재편성되었다. 옛 군역 일부는 부전군·랑림군으로 분리되었다. 동문면, 북면, 동하면이 랑림군으로, 동상면은 부전군으로 편입되었다. 옛 동하면은 1954년에 현재 신흥로동자구를 제외한 지역이 부전군에, 현재 신흥로동자구는 신파군에 편입되었다.[3]
  • 1954년 10월: 중흥리, 운수리, 양덕리가 자강도 랑림군에 편입되었다.[5]
  • 1961년 3월: 신풍리가 황초리에 편입되었다.[5]
  • 1967년 10월: 황초리 일부가 분립되어 만풍로동자구가 설치되었다.[5]
  • 1972년 11월: 황초리가 황초로동자구로 승격되었다.[5]
  • 1977년 3월: 해방로동자구가 양지로동자구로 개칭되었다.[5]
  • 1981년 10월: 중화리가 류담리로 개칭되었다.[5]
  • 2006년 말: 1읍 16리 3로동자구로 구성되어 있다.[3]

4. 경제

장진은 많은 양의 목재를 생산하고 함경남도에서 광업 생산량이 많은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 흑연, , 매장량이 발견된다. 지역 농업은 축산업과 밭농사가 주를 이루며, 주요 작물로는 감자, 보리, , 팥, 옥수수, 귀리가 있다.[4]

장진군에는 장진강에 수력 발전소가 있으며, 건설 목표는 제8차 당대회를 위한 80일 전투 기간에 완료되었다.[4]

5. 교통

오랫동안 말이나 자동차로 밖에 접근할 수 없었지만, 장진강댐 건설로 장진선이 개통되었다. 또한 댐 덕분에 수운도 발달했다.[1]

5. 1. 철도

오랫동안 말이나 자동차로만 접근할 수 있었지만, 장진강댐 건설로 장진선이 개통되었다. 또한 댐 덕분에 수상 교통도 발달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장진선은 황초령역 - 고토역 - 부성역 - 상평역 - 장진역 - 사수역으로 구성되어 있다.[1]

6. 행정 구역

로동자구
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


7. 기후

장진군은 랑림산맥과 부전령산맥에 걸쳐 있으며, 군의 대부분은 개마고원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장진군은 특히 추운 기후를 보인다. 최고봉은 련화산이다. 주요 하천은 장진강이다. 장진호는 장진군에 있는 대규모 저수지이다.[7]

장진군 기후(1991~202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6.5-3.42.410.417.621.423.423.419.112.63.2-4.89.9
평균 기온 (°C)-14.8-11.3-4.33.310.014.517.917.611.94.8-3.1-11.62.9
평균 최저 기온 (°C)-22.2-19.3-11.1-3.32.98.813.613.56.6-1.2-8.6-18.2-3.2
강수량 (mm)6.310.213.334.366.678.9177.2139.277.632.926.210.9673.6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3.43.85.97.29.110.511.610.96.75.06.65.986.6
평균 적설일수3.84.05.44.00.50.20.00.00.10.75.26.230.1
평균 상대 습도 (%)77.074.372.270.071.881.087.387.182.976.377.177.077.8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2]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3
[3]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6-11-07
[4] 웹사이트 80-day Campaign Goals Fulfilled in Electric Power Industry https://dprktoday.co[...] 2021-09-16
[5] 웹사이트 함경남도 장진군 역사 http://www.cybernk.n[...]
[6]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7]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