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르바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르바강은 에스토니아와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강으로, 페이푸스호 북동쪽에서 발원하여 발트해 나르바만으로 흘러든다. 나르바강은 핀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바이킹 시대의 무역로로 사용되었다. 13세기부터 중세 리보니아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경계였으며, 여러 차례 국경의 역할을 해왔다. 현재는 유럽 연합과 솅겐 조약의 동쪽 경계이며, 나르바와 이반고로드 사이에는 여러 다리가 놓여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강 - 에마여기강
    에마여기강은 에스토니아의 보르츠예르브 호수에서 발원하여 페이푸스 호수로 흘러드는 총 길이 109km의 강으로, 지리적으로 상류의 늪지대와 산악 지형, 중류의 타르투를 지나는 평야 지대, 하류의 넓은 평야로 구분되며, 역사적으로 무역과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에스토니아의 강 - 가우야강
    가우야강은 라트비아를 흐르는 강으로 체시스 남쪽에서 발원하여 리가만으로 흘러들어가며, 과거 리보니아인과 라트갈리아인의 경계였고 가우야 국립공원을 관통하며 협곡을 형성하는 등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 러시아-에스토니아 국경 - 페이푸스호
    페이푸스호는 에스토니아와 러시아에 걸쳐 있는 빙하기의 잔재인 큰 담수호로, 여러 강이 유입되고 나르바 강을 통해 발트 해로 흘러나가며, 역사적인 페이푸스 호 전투 장소이자 어업, 운송, 관광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 러시아-에스토니아 국경 - 핀란드만
    핀란드만은 핀란드, 러시아, 에스토니아에 걸쳐 있는 발트해의 만으로, 역사적 해상 요충지이자 주요 항구로서 기능하며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지만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나르바강
기본 정보
나르바 강, 헤르만 성과 이반고로드 요새 사이를 흐르고 있음
헤르만 성과 이반고로드 요새 사이를 흐르는 나르바 강
원어 이름에스토니아어: Narva jõgi (나르바 요기)
러시아어: Нарва (나르바)
위치에스토니아, 러시아 사이
도시나르바, 이반고로드, 나르바-Jõesuu
길이약 77km
평균 유량약 400 m³/s
수원페이푸스 호
하구핀란드 만 내 나르바 만
유역 면적약 56,225 km²
유역 국가러시아 (62.9%)
에스토니아 (30.5%)
라트비아 (6.6%)
벨라루스 (소량)
지류
왼쪽 지류야마, 포루니, 무스타요기
오른쪽 지류플류사 강, 로손
수원 정보
수원 좌표58°59′14″N 27°43′50″E
수원 고도약 30m
하구 정보
하구 좌표59°28′14″N 28°02′37″E
하구 고도약 0m

2. 어원

나르바(Narva) 지명의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 한 가설에 따르면, 이는 핀어 단어인 "narva"와 관련이 있으며, 예를 들어 베스어에서는 '폭포' 또는 '개울'을 의미한다.[2]

3. 지리

나르바강 하구가 발트해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의 부두, 나르바-요에수 (2009)


나르바강은 페이푸스호 북동쪽 끝, 바스크나르바 (에스토니아)와 스캬먀 (러시아) 마을 근처에서 발원한다. 강 상류 지역에는 에스토니아 측의 페르미쉴라와 쿠닝가퀼라, 러시아 측의 오무티 등 몇몇 작은 마을이 더 있지만, 나르바 시까지 강의 양쪽 기슭은 대부분 숲이나 습지이다. 나르바이반고로드에 들어가는 지점에서 강은 댐으로 막혀 나르바 저수지를 형성하며, 이는 상류로 38km까지 뻗어 있다.[3] 나르바강은 나르바이반고로드 다음으로 강에서 세 번째로 큰 정착지인 에스토니아 타운 나르바-요에수 근처 나르바만으로 흘러든다.

플류사강은 가장 큰 지류로, 저수지에서 오른쪽으로 나르바강에 합류한다. 페이푸스호는 특히 훨씬 긴 러시아 강인 벨리카야강과 두 국가에 걸쳐 넓게 퍼진 수계를 배수한다.

  • 플류사 강
  • 페이푸스 호
  • * 벨리카야 강

1886년 나르바 폭포와 크렌홀름 섬(오른쪽)의 동쪽 지류


'''크렌홀름'''(Krähnholmde, ''갈까마귀 섬''을 뜻함)은 에스토니아나르바강에 위치한 강 섬으로, 나르바 시 경계 내에 있다.

2010년 봄의 요알라 폭포


나르바시 남동부와 러시아 도시 이반고로드를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지역 사이에서, 강은 발트 클린트를 넘어 흘러, 역사적으로 그랬듯이, 때로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나르바 폭포를 형성한다.[4] 물이 폭포에 도달하기 전에 크렌홀름 섬에 의해 두 갈래로 나뉘어지며, 따라서 폭포는 두 갈래로 이루어져 있다. 섬 서쪽에 있는 크렌홀름 폭포는 너비가 60m이고 높이가 6.5m이며 여러 개의 테라스가 있다. 동쪽에 있는 요알라 폭포는 너비가 110m이며 같은 높이로 떨어진다. 국제 국경은 후자를 따른다.[4]

1955년 나르바 저수지가 만들어진 이후, 폭포는 보통 건조한 상태이지만, 매년 며칠 동안 물이 흐르도록 허용된다. 비행하지 않는 경우 폭포를 보는 것은 국경 지대에 위치해 있고 서쪽 강둑 대부분이 크렌홀름 제조 회사에 속한 사유지 및 폐쇄된 산업 부지이기 때문에 어렵다.

3. 1. 폭포



'''크렌홀름'''(Krähnholmde, ''갈까마귀 섬''을 뜻함)은 에스토니아나르바강에 위치한 강 섬으로, 나르바 시 경계 내에 있다.

나르바시 남동부와 러시아 도시 이반고로드를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지역 사이에서, 강은 발트 클린트를 넘어 흘러, 역사적으로 그랬듯이, 때로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나르바 폭포를 형성한다.[4] 물이 폭포에 도달하기 전에 크렌홀름 섬에 의해 두 갈래로 나뉘어지며, 따라서 폭포는 두 갈래로 이루어져 있다. 섬 서쪽에 있는 크렌홀름 폭포는 너비가 60m이고 높이가 6.5m이며 여러 개의 테라스가 있다. 동쪽에 있는 요알라 폭포는 너비가 110m이며 같은 높이로 떨어진다. 국제 국경은 후자를 따른다.[4]

1955년 나르바 저수지가 만들어진 이후, 폭포는 보통 건조한 상태이지만, 매년 며칠 동안 물이 흐르도록 허용된다. 비행하지 않는 경우 폭포를 보는 것은 국경 지대에 위치해 있고 서쪽 강둑 대부분이 크렌홀름 제조 회사에 속한 사유지 및 폐쇄된 산업 부지이기 때문에 어렵다.

4. 역사

나르바강은 5세기부터 11세기까지 바이킹 시대에 바랑인에서 그리스인으로 가는 무역로의 지류로서 무역로로 사용되었다.[5]

나르바강은 수세기 동안 중요한 국경 강이었다. 13세기부터 중세 리보니아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경계가 되었다.[6] 초기에는 나르바가 두 영토 사이의 더 넓은 완충 지대의 일부였지만, 점차 강이 정확한 경계로 부상했다.[6] 강둑에 건설된 성(14세기 초에 설립된 나르바 헤르만 성, 1492년에 설립된 이반고로드 요새, 14세기에 처음 건설된 바스크나르바 성)이 이러한 주된 이유 중 하나였다. 리보니아 기사단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이후 러시아 차르국 사이의 15세기 조약에서도 나르바강을 경계로 인정했다.[6] 17세기 스웨덴 에스토니아 시대에 잉그리아도 스웨덴의 일부였을 때, 강이 국경으로서의 중요성은 감소했다. 대북방 전쟁이 끝난 후부터 1918년 에스토니아 공화국 역사가 수립될 때까지의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나르바강이 에스토니아 현과 상트페테르부르크 현의 경계였으며, 나르바시는 예외적으로 후자의 일부였다. 1920년에 체결된 타르투 조약에 따라 에스토니아-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경은 강 동쪽으로 10 km까지 약간 이동했고, 특히 이반고로드시는 에스토니아에 할당되었다. 1944년 강 동쪽의 이전 에스토니아 영토는 러시아 SFSR로 이전되었고, 나르바강은 그에 따라 에스토니아 SSR의 동쪽 경계, 즉 소련 내의 내부 경계로 설정되었다. 1991년 이 경계는 에스토니아와 러시아의 ''사실상'' 경계가 되었다. 그 이후로 공식적인 국경 조약은 비준되지 않았지만,[7] 오늘날 나르바강은 유럽 연합과 솅겐 조약의 동쪽 경계이다.

5. 교량

나르바강은 나르바이반고로드 사이에서 소수의 다리에 의해서만 교차한다. 나르바 저수지 댐 외에 하류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


  • 크렌홀름 섬 아래에 있는 보행자 다리
  • 나르바 철교/Нарвски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мостru: 탈린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 노선을 운반한다.
  • 우정의 다리: 헤르만 요새와 이반고로드 요새 바로 하류에 있는 E20 상의 탈린-상트페테르부르크 고속도로 다리이다. 1960년에 건설되었으며 길이는 162m이다.

탈린-상트페테르부르크 고속도로 다리

6. 참고 문헌


  • Feršel, Anne-Ly (2010). 《나르바강》. 에스토니아 환경 위원회. ISBN 978-9949-9057-4-4.

참조

[1] 간행물 Climate driven changes in the spawning of roach and bream in the Estonian part of the Narva River basin http://www.borenv.ne[...]
[2] 웹사이트 Formation of city http://www.narvamuus[...] Narva Museum 2009-01-11
[3] 웹사이트 Sada aastat Narva jõe äravoolu mõõtmisi http://www.loodusaja[...] 2009-01-11
[4] 서적 Põhja-Eesti klint Eesti Geoloogiakeskus
[5] 웹사이트 Narva - History http://tourism.narva[...] 2009-02-13
[6] 간행물 Narva jõgi - Virumaa idapiir keskajal
[7] 뉴스 Russian-Estonian border agreement will be ratified http://www.neurope.e[...] New Europe 2007-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