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마여기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마여기 강은 란누-요에수의 보르츠예르브 호수에서 발원하여 페이푸스 호수로 흘러드는 에스토니아의 강이다. 강의 길이는 100km이며, 세 개의 구간으로 나뉘어 흐른다. 에마여기 강은 과거 수로와 무역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타르투는 강을 건너기 좋은 지점에 위치하여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현재 에마여기 강에는 여러 개의 다리가 건설되어 있으며, 에스토니아에서 유일하게 운영되는 케이블 페리가 Kavastu에서 강을 건너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강 - 나르바강
    나르바강은 페이푸스호에서 발원하여 발트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에스토니아와 러시아의 국경 역할을 하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국경, 바이킹 시대 무역로, 나르바 저수지, 크렌홀름 섬, 나르바 폭포 등의 특징을 지니고 현재는 유럽 연합과 솅겐 조약의 동쪽 경계선 역할을 한다.
  • 에스토니아의 강 - 가우야강
    가우야강은 라트비아를 흐르는 강으로 체시스 남쪽에서 발원하여 리가만으로 흘러들어가며, 과거 리보니아인과 라트갈리아인의 경계였고 가우야 국립공원을 관통하며 협곡을 형성하는 등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에마여기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타르투의 에마여기 강
타르투의 에마여기 강
다른 이름엠바흐 (Embach, 독일어), 메트라 (Mētra, 라트비아어)
어원"어머니 강" (에스토니아어)
위치에스토니아
지역타르투 주
지리 정보
길이100 km
유역 면적9,740 km²
평균 유량70 m³/s
수원보르츠얘르브
수원 고도33.6 m
하구페이푸스 호
하구 위치좌표:
하구 고도30 m
왼쪽 지류페댜 강
라에바 강
암메 강
오른쪽 지류엘바 강
포리여기 강
아흐야 강

2. 지리

에마여기 강의 발원지는 란누-요에수의 보르츠예르브 호수 북동쪽 기슭이며, 이곳에서 강은 페이푸스 호수를 향해 대략 동쪽으로 흐른다.[1]

에마여기 강의 흐름은 세 개의 뚜렷한 구간으로 나뉜다.[1] 상류 구간은 보르츠예르브 호수에서 캐레베레 다리까지이며, 강은 알람-페드자 자연 보호 구역의 일부인 크고 평평하며 늪지대 지역을 통과한다. 이 구간에서 에마여기 강은 심하게 굽이치며 명확하게 정의된 범람원이 없어 홍수 지역은 때때로 몇 킬로미터에 걸쳐 명확한 경계가 없다. 캐레베레에서 카바스투까지의 중류 구간에서 에마여기 강은 더 직선적인 흐름을 따르며 대부분 깊이가 10m를 넘지 않는 얕은 계곡에서 흐른다. 중류 구간의 계곡 폭은 1-1.5km이며, 타르투에서는 800m로 좁아진다. 계곡의 가장 좁은 구간(400-600km)은 카바스투 근처 중류 구간의 끝에 있다.[1] 하류 구간에서 강은 에마예 수르소오 늪지대를 통과한 후 프라가에서 페이푸스 호수로 흘러든다.

강의 길이는 100km이다. 1927년에는 길이가 117km로 측정되었으나, 1930년대에 강이 항해를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강의 굽이치는 상류 구간을 직선화하면서 약간 변경되었을 수 있다.[1]

2. 1. 유로

에마여기강의 발원지는 란누-요에수의 보르츠예르브 호수 북동쪽 기슭이며, 이곳에서 강은 페이푸스 호수를 향해 대략 동쪽으로 흐른다.[1]

에마여기강의 흐름은 세 개의 뚜렷한 구간으로 나뉜다.[1] 상류 구간은 보르츠예르브 호수에서 캐레베레 다리까지이며, 강은 알람-페드자 자연 보호 구역의 일부인 크고 평평하며 늪지대 지역을 통과한다. 이 구간에서 에마여기강은 심하게 굽이치며 명확하게 정의된 범람원이 없어 홍수 지역은 때때로 몇 킬로미터에 걸쳐 명확한 경계가 없다. 캐레베레에서 카바스투까지의 중류 구간에서 에마여기강은 더 직선적인 흐름을 따르며 대부분 깊이가 10m를 넘지 않는 얕은 계곡에서 흐른다. 중류 구간의 계곡 폭은 1-1.5km이며, 타르투에서는 800m로 좁아진다. 계곡의 가장 좁은 구간(400-600km)은 카바스투 근처 중류 구간의 끝에 있다.[1] 하류 구간에서 강은 에마예 수르소오 늪지대를 통과한 후 프라가에서 페이푸스 호수로 흘러든다.

강의 길이는 100km이다. 1927년에는 길이가 117km로 측정되었으나, 1930년대에 강이 항해를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강의 굽이치는 상류 구간을 직선화하면서 약간 변경되었을 수 있다.[1]

3. 역사

에마여기강은 수 세기 동안 수로와 무역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과거에는 강이 저지대와 늪지 계곡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북부 에스토니아와 남부 에스토니아 사이의 육상 운송에도 장애가 되었다. 강을 건너기에 적합한 몇 안 되는 지역 중 타르투가 가장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2] 육상 및 수로의 교차점에 위치한 타르투는 고대 에스토니아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2]

현대식 ''로디'' 복제품


19세기에는 장작, 목재, 건초, 생선 등 다양한 화물을 타르투로 운송하는 데 에마여기 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사용된 주요 선박 유형은 페이푸스 호수와 에마여기 강에서 항해하도록 개조된 작은 강 바지선 또는 범선인 ''로디''였다.[3] 당시 타르투 항구에는 최대 200척의 바지선이 정박해 있었다. 최초의 증기 외륜선은 1843년 에마여기 강에 등장했고, 1900년까지 6척이 운행되었다.[2]

마지막 강 바지선은 20세기 중반까지 사라졌지만, 프스코프, 피리사르 및 기타 목적지로 해상 운송을 계속하기 위해 여러 척의 새로운 선박이 강으로 투입되었다.[4] 1960년대에 처음 도입된 고속 수중익선은 타르투-프스코프 노선에서 매일 운행되었다. 이 노선은 1992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1997년부터 재개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까지 운행되지 않고 있다.[5]

3. 1. 중세 시대

에마여기 강은 수 세기 동안 수로와 무역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북부 에스토니아와 남부 에스토니아 사이의 육상 운송에 장애가 되기도 했다. 강을 건너기 좋은 조건을 갖춘 타르투는 육상 및 수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고대 에스토니아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2]

3. 2. 근대

에마여기 강은 수 세기 동안 수로와 무역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북부 에스토니아와 남부 에스토니아 사이의 육상 운송에 장애가 되기도 했다. 강을 건너기에 적합한 지역 중 타르투가 가장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고대 에스토니아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2]

19세기에는 장작, 목재, 건초, 생선 등 다양한 화물을 타르투로 운송하는 데 에마여기 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주요 선박 유형은 페이푸스 호수와 에마여기 강에서 항해하도록 개조된 작은 강 바지선 또는 범선인 ''로디''였다.[3] 당시 타르투 항구에는 최대 200척의 바지선이 정박해 있었다. 최초의 증기 외륜선은 1843년 에마여기 강에 등장했고, 1900년까지 6척이 운행되었다.[2] 마지막 강 바지선은 20세기 중반까지 사라졌지만, 프스코프, 피리사르 등으로 해상 운송을 계속하기 위해 여러 척의 새로운 선박이 강으로 투입되었다.[4] 1960년대에 처음 도입된 고속 수중익선은 타르투-프스코프 노선에서 매일 운행되었으나, 1992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5]

3. 3. 현대

에마여기 강은 수 세기 동안 수로와 무역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북부 에스토니아와 남부 에스토니아 사이의 육상 운송에 장애가 되기도 했다. 강을 건너기 좋은 조건을 갖춘 타르투는 육상 및 수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고대 에스토니아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2]

19세기에는 장작, 목재, 건초, 생선 등 다양한 화물을 타르투로 운송하는 데 에마여기 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주로 사용된 선박은 페이푸스 호수와 에마여기 강에서 항해하도록 개조된 작은 강 바지선 또는 범선인 ''로디''였다.[3] 당시 타르투 항구에는 최대 200척의 바지선이 정박해 있었다. 1843년 최초의 증기 외륜선이 에마여기 강에 등장했고, 1900년까지 6척이 운행되었다.[2] 20세기 중반까지 마지막 강 바지선은 사라졌지만, 프스코프, 피리사르 등으로 해상 운송을 계속하기 위해 여러 척의 새로운 선박이 강으로 투입되었다.[4] 1960년대에 처음 도입된 고속 수중익선은 타르투-프스코프 노선에서 매일 운행되었으나, 1992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1997년부터 재개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까지 운행되지 않고 있다.[5]

4. 교량 및 교통

에마여기 강은 10개의 다리가 지나가며, 대부분은 타르투에 있다.[6]

다리는 하류 방향으로 다음과 같다.


  • Rannu-Jõesuu 다리: 타르투-빌랸디 고속도로의 에마여기 강 기점에 있다. 2009년에 완공된 새로운 고속도로 다리와 보행자 및 지역 교통을 위해 예약된 오래된 다리를 포함한다.
  • Kärevere 다리: 타르투-탈린 고속도로에 있다. 1999년에 완공된 새로운 고속도로 다리와 폐쇄된 오래된 다리를 포함한다.
  • Jänese 철도 다리: Vorbuse에 있는 탈린-Tapa-타르투 철도에 있다.
  • 타르투의 Kroonuaia 다리
  • 타르투의 Vabadussild
  • 타르투의 Kaarsild: 보행자 다리
  • 타르투의 Võidu 다리
  • 타르투의 Turusild: 보행자 다리
  • 타르투의 Sõpruse 다리
  • Ihaste 다리: 2015년에 개통된 타르투 순환도로에 있다.
  • Luunja 다리: Luunja의 타르투-래피나 고속도로에 있다.


타르투 중심부의 에마여기 강을 가로지르는 보행자 다리


Vorbuse에 있는 Jänese 철도 다리


다리 외에도, 에스토니아에서 유일하게 운영되는 케이블 페리가 Kavastu에서 강을 건너는데, Luunja 다리에서 10 km 하류 지점에 있다.[6]

5. 각주

참조

[1] 논문 Andmeid Emajõe oru geoloogia ja morfoloogia kohta (On the geology and morphology of the Emajõgi valley) https://web.archive.[...]
[2] 서적 Tartu : ajalugu ja kultuurilugu Tartu Linnamuuseum
[3] 웹사이트 About Emajõe-Peipsi barge https://web.archive.[...] Emajõe Lodjaselts 2009-09-06
[4] 뉴스 Sisemere lainekündjad https://web.archive.[...] 2009-09-06
[5] 뉴스 Kas Eesti-Vene laevaliiklus lõpuks tuleb? http://www.lounaleht[...] 2009-09-06
[6] 웹사이트 Kavastu parv https://web.archive.[...] Ministry of the Interior 2009-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