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베시마 나오히로 (184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베시마 나오히로(1846년)는 사가 번의 제11대 번주이자,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다. 그는 1861년 아버지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은퇴로 번주가 되었으며, 파리 만국 박람회에 아리타야키를 출품하는 등 번정 쇄신을 추진했다. 보신 전쟁에서 정부군에 합류하여 사가 번 병사를 이끌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군제 개혁과 해군 창설에 기여했다. 이탈리아 특명전권공사를 역임하고, 귀족원 의원, 궁중 고문관 등을 지냈다. 메이지 천황과 다이쇼 천황의 신임을 받았으며, 록메이칸 건설, 와세다 대학 설립에도 관여했다. 후작 작위를 받았으며, 그의 딸들은 일본 황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가 나베시마가 - 나베시마 나오마사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막말에서 메이지 유신기에 사가 번의 번정 개혁과 근대화를 주도하며 재정 개혁, 서양 기술 도입, 천연두 예방 접종 도입, 정치적 중립, 신정부 수립 참여 등의 업적을 남긴 사가 번 제10대 번주이다.
  • 사가 나베시마가 - 나베시마 가쓰시게
    나베시마 가쓰시게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으로 전향, 사가 번주가 되어 번정의 기틀을 다지고 나베시마 가문으로의 정권 이양을 추진했으며, 오사카 전투, 시마바라의 난 참전, 간척 사업 추진, 사가성 축성 등으로 사가번의 통치 기반을 강화했다.
  • 황수포장 수훈자 - 시부사와 에이이치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도쿠가와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일본 근대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한 실업가이자 사상가로, 500개가 넘는 기업 설립 및 경영에 참여하며 "도덕경제합일설"을 주창했고 사회 및 교육 사업에도 헌신했다.
  • 황수포장 수훈자 - 하치스카 모치아키
    하치스카 모치아키는 1846년에 태어나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에 가담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쿠시마현 지사, 주 프랑스 특명전권공사 등을 역임했으며, 시부사와 에이이치와 함께 기업을 설립하고 JTB의 전신인 귀빈회를 창립하는 등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다 1918년에 사망했다.
  • 사가번주 - 나베시마 나오마사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막말에서 메이지 유신기에 사가 번의 번정 개혁과 근대화를 주도하며 재정 개혁, 서양 기술 도입, 천연두 예방 접종 도입, 정치적 중립, 신정부 수립 참여 등의 업적을 남긴 사가 번 제10대 번주이다.
  • 사가번주 - 나베시마 가쓰시게
    나베시마 가쓰시게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으로 전향, 사가 번주가 되어 번정의 기틀을 다지고 나베시마 가문으로의 정권 이양을 추진했으며, 오사카 전투, 시마바라의 난 참전, 간척 사업 추진, 사가성 축성 등으로 사가번의 통치 기반을 강화했다.
나베시마 나오히로 (184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나베시마 나오히로
다른 이름나베시마 초쿠다이
일본어 표기鍋島 直大
로마자 표기Nabeshima Naohiro
다른 이름나베시마 모치자네
일본어 표기鍋島 茂実
국적일본
출생일1846년 10월 17일
사망일1921년 6월 19일
아버지나베시마 나오마사
배우자나베시마 나가코
자녀나시모토 이츠코
나베시마 노부코
관직
사가 번주재임 시작: 1861년
재임 종료: 1871년
전임: 나베시마 나오마사
후임: 없음
귀족원 의원재임 시작: 1890년 2월
재임 종료: 1921년 6월 18일
원로원 의관재임 시작: 1882년 5월 31일
재임 종료: 1886년 2월 15일
직책이탈리아 왕국 특명전권공사
학력
출신 학교옥스퍼드 대학교
가문
씨족나베시마 씨
가몬Japanese Crest Nabesima Gyouyou.svg
가몬 설명나베시마 행엽
작위 및 훈장
작위후작
훈장종1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외국 훈장대한제국 대훈위 이화대수장
가족 관계
정실나베시마 다네코
계실나베시마 나가코 (구 히로하시 에이코)
아들나베시마 나오미쓰
아들나오타다
형제동생: 나베시마 나오토라
동생: 나베시마 나오토
친척의형: 후지나미 고토타다 (귀족원 의원)
동생: 나베시마 나오토라 (귀족원 의원)
동생: 나베시마 나오토 (귀족원 의원)
의제: 히로하시 가타미쓰 (귀족원 의원)
사위: 마에다 도시쓰구 (귀족원 의원)
사위: 마쓰다이라 쓰네오 (참의원 의장)
사위: 야나기사와 야스시게 (귀족원 의원)
생질: 호소카와 모리타쓰 (귀족원 의원)
생질: 호소카와 모리나리 (귀족원 의원)
종형: 나베시마 나오아키라 (오키나와 현령)

2. 생애

나베시마 나오마사 사가 번 제10대 다이묘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861년 부친 나베시마 나오마사가 은퇴하자 16세의 나이로 사가 번의 제11대이자 마지막 번주가 되었다.

메이지 유신보신 전쟁 시기에는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사쓰마-조슈 동맹에 가담하여 사가 번 군대를 이끌고 메이지 천황을 지지했으며, 도쿠가와 막부 잔당 및 오우에쓰 열반 동맹과의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

폐번치현으로 번주 자리를 반납한 후, 1871년부터 두 남동생과 함께 영국에서 유학했다.[1] 1880년에는 주 이탈리아 왕국 특명전권공사로 임명되었고, 1882년 귀국했다. 영국 체류 중에는 세인트 제임스 궁정의 일본 공식 대표로 활동하기도 했다. 귀국 후에는 원로원 의관, 궁중 고문관, 귀족원 의원 등 다양한 정치적 직책을 역임하며 메이지 천황다이쇼 천황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1884년 7월 7일 화족령에 따라 후작 작위를 받았다.[1] 1911년부터는 고쿠가쿠인 대학의 총장을 역임했다.

일본 황실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둘째 딸 이츠코는 나시모토 모리마사 왕자와 결혼했으며, 이 결혼으로 태어난 손녀 마사코한국 이씨 왕조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의 비 이방자 여사가 되었다. 넷째 딸 노부코는 외교관 마쓰다이라 쓰네오와 결혼했고, 그들의 딸 세츠코는 지치부노미야 비가 되었다. 1921년 사망했으며, 그의 묘는 도쿄 아오야마 영원에 있었으나 후에 사가시의 가스가야마 묘소로 이장되었다.

2. 1. 막부 말기

1846년(고카 3년) 8월 27일, 나베시마 나오마사 사가 번 제10대 다이묘의 차남으로 에도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준이치로였으며, 이후 나오쓰나, 시게자네 등으로 불리다가 1868년부터 나오히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나오히로는 1849년(가에이 2년) 4세 때, 당시 불치병으로 여겨지던 우두를 번의 의사 이토 겐보쿠의 진언에 따라 접종받았다. 이는 네덜란드 상관을 통해 데지마의 의사 오토 고토리에 모니케가 구해온 우두 묘를 나라바야시 소켄의 아들에게 시험 접종한 후 시행된 것이었다.

1861년(분큐 1년)에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로부터 이름 일부(시게)를 받는 편휘를 받았고 마츠다이라 성씨 사용을 허가받았다.[3] 같은 해 11월 20일, 아버지 나베시마 나오마사가 은거함에 따라 16세의 나이로 사가 번 제11대 번주 자리를 이어받았다. 번주가 된 후에는 번의 행정 개혁을 추진하고 산업 육성에 힘썼으며, 1867년에는 파리 만국 박람회에 사가 번의 특산품인 아리타야키 도자기를 출품하기도 했다.

1868년(게이오 4년)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나오히로는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메이지 천황을 지지하는 사쓰마-조슈 동맹 측에 가담하여 사가 번의 병력을 이끌고 정부군으로 참전했다. 그는 도호쿠 지방으로 파병되어 각지를 전전했으며, 특히 간토 지방에서는 우에노 전투와 야스 야나다 전투 등에서 도쿠가와 막부 잔존 세력 및 오우에쓰 열반 동맹과 싸웠다. 같은 해 5월에는 시모후사노 진무부에 임명되어 시모사 국과 가즈사 국 지역의 관리를 맡았다. 그러나 시모츠케 국에서의 구 막부군과의 전투가 치열해지자, 사가 번 병력을 주둔시킨 채 6월에 진무부를 우츠노미야 성으로 옮겨 7월까지 임무를 수행했다.

2. 2.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 시대 전기의 나베시마 나오히로


메이지 유신 이후 메이지 정부에 참여하여 군제 개혁과 해군 창설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의정(議定)직 외국사무국 보좌, 요코하마 재판소 부총독, 외국관 부지사 등을 역임했다. 1868년 3월 26일, 아버지 나베시마 나오마사 대에 네덜란드에서 구입하여 메이지 정부가 징발한 군함 덴류마루를 타고 오사카 덴포잔 앞바다에서 열린 일본 최초의 "관함식"에 기함으로 참여했다. 1869년에는 반적봉환 상표서(上表書)에 사쓰마, 조슈, 도사, 히젠(사가) 4개 번의 번주 중 한 명으로 서명했다. 같은 해 의정관(議政官)이 행정관으로 통합될 때, 기존 31명의 의정 중에서 공선으로 선출된 4명의 의정(이와쿠라 도모미, 도쿠다이지 사네쓰네) 중 다이묘 가문 출신으로는 유일하게 포함되었다. 보신 전쟁에서의 공적으로 상전록 2만 석을 받았다. 이때 나오히로는 보신 전쟁에서 사망한 번 소속 병사들을 기리기 위해 사가현 호국 신사를 건립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사가 지번사가 되었으나 곧 사임하고, 처음에는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미국으로 갔다가, 1873년에는 두 남동생 나오토라, 나오야스와 함께 영국으로 건너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했다.[4] 이 때문에 시마 요시타케, 에토 신페이 등이 일으킨 사가의 난 당시에는 일본에 없었다. 영국 유학 중이던 1876년에는 도쿄부 시부야정 오야마에 있던 기슈 도쿠가와가의 저택 부지를 매입하여, 메이지 유신으로 직장을 잃은 무사들을 모아 차 재배원 "쇼토엔(松濤園)"을 열었다. 이는 현재 도쿄도 시부야구 쇼토 지역과 나베시마 쇼토 공원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영국 체류 중 일본 정부에 의해 세인트 제임스 궁정의 일본 공식 대표로 임명되기도 했다.[1]

1878년 귀국하여 이듬해 외무성 어용계(御用掛)가 되었다. 1879년에는 와타나베 고키, 에노모토 다케아키 등과 함께 도쿄 지학 협회를 설립했고, 도쿠다이지 사네쓰네, 데라시마 무네노리 등과 공동 경마 회사 설립에도 참여했다. 1880년 주 이탈리아 왕국 특명전권공사로 임명되어 로마에 부임했다. 그의 둘째 딸 이토코는 이때 로마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에서 유래했다. 공사로서의 활동은 요코하마 상인 후시마 킨조의 이탈리아 방문 기록 등에 남아 있다.

1882년 귀국하여 원로원 의관, 궁중 고문관 등을 역임했다. 메이지 천황다이쇼 천황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1883년에는 서양 문물에 밝은 인물로서 록메이칸 건설과 우에노 불인사 경마장 운영, 외국인 거류지 및 별장지 정비, 철도 건설, 서양 음악 보급 등 이노우에 가오루와 함께 일본의 근대화 정책 추진에 기여했다. 부인 에이코와 함께 록메이칸에서 춤을 출 수 있었던 몇 안 되는 화족 중 한 명이었으며, 록메이칸의 무도 연습회 간사장을 맡기도 했다.

1884년 7월 7일 화족령에 따라 후작 작위를 받았다.[1] 1886년에는 대일본 음악회를 설립하고 회장이 되었다. 1890년 2월에는 귀족원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11월 29일 제국의회 개원식에서는 식부관 장관으로서 메이지 천황을 안내하는 역할을 맡았다. 도쿄 음악 학교 개교와 "주악당(奏楽堂)" 완공을 기념하는 개교 기념가 "미야코노하루(都の春)"의 가사를 작사하기도 했다.

와세다 대학의 대학부 설치와 이공과 증설을 위한 모금 활동에 협력했으며, 특히 이공과 신설 시에는 화족 중 가장 많은 금액을 기부하여 1908년 11월 야스다 젠지로와 함께 와세다 대학 최초의 교빈(校賓)으로 추대되었다.[5] 1911년에는 황전강구소 제4대 소장과 고쿠가쿠인 대학 학장에 취임했다.

일본 황실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둘째 딸 이츠코는 나시모토 모리마사 왕자와 결혼했다. 이 결혼을 통해 나오히로는 두 명의 손녀를 두었는데, 첫째 손녀 마사코이씨 왕조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의 비 이방자 여사이다. 넷째 딸 노부코는 마쓰다이라 쓰네오와 결혼했으며, 그들의 딸 중 한 명인 세츠코는 지치부노미야 비가 되었다. 노부코는 또한 도쿠가와 이에마사의 딸 도쿠가와 토요코와 결혼한 아들 마쓰다이라 이치로를 낳았고, 이치로는 도쿠가와 종가 제18대 당주인 도쿠가와 쓰네나리의 아버지가 된다.

1921년 사망했으며, 향년 76세였다. 처음에는 도쿄 아오야마 영원에 묻혔으나, 2015년 나베시마 가문이 묘지를 정리하면서[6] 사가시의 가스가야마 묘소로 이장되었다. 사가 신사에서는 아버지 나오마사와 함께 모셔지고 있다.

'''성덕 기념 회화관 소장 그림 속 나베시마 나오히로'''

3. 가족 관계


  • 아버지: 나베시마 나오마사 (1815–1871)
  • 어머니: 하마(浜), 타키무라(Taki-mura) - 나베시마 시게하루의 딸
  • 정실: 코마히메(駒姫), 타네코(胤子), 소시(琮子) (18??–1880) - 우메가이 미치젠의 딸.[29] 1864년 나오히로와 결혼하여 1870년 장녀 사에코를 낳았다. 1874년 남편 나오히로와 함께 유럽으로 건너가 서양 문화를 익혔으며, 1878년 귀국 후 1880년 병사했다.[30][31][32]
  • 장녀: 사에코(朗子) (1870–1949) - 마에다 도시쓰구(가가번 마에다 후작가 초대 당주)의 후실
  • 장남: 나오미쓰(直映) (1872–1943) - 부인 사다코(禎子)는 구로다 나가토모 (지쿠젠국 후쿠오카번주)의 딸.
  • 계실: 나가코(栄子) (1855–1941) - 히로하시 다네야스의 딸. 전 남편은 이와쿠라 도모사다.
  • 차녀: 이쓰코(伊都子) (1882–1976) -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비. 딸 마사코 여왕(方子女王)은 대한제국 고종의 아들인 영친왕 이은(李垠)의 비가 되었다.
  • 삼녀: 시게코(茂子) (1885–1920) - 처음 구조 미치자네와 결혼했으나 이혼하고, 이후 마키노 다다아쓰와 재혼했다.
  • 사녀: 노부코(信子) (1886–1969) - 마쓰다이라 쓰네오(아이즈번마쓰다이라 가타모리의 아들)의 부인. 딸 세쓰코(勢津子)는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의 비가 되었다.
  • 사남: 나오쓰네(直庸) (1889–1939) - 나베시마 나오타다(히젠국 가시마번주)의 양자로 들어갔다.
  • 칠녀: 지카코(直子) (1894–1973) - 야나기사와 야스쓰구의 부인.
  • 측실: 아사치요(朝千代) - 오키 마스토모(於置增伴)의 차녀.
  • 차남: 데이지로(貞次郎) (1887–1920) - 해군 대위.
  • 삼남: 노부타카(信孝) (1888–?) - 난부 노부카타의 딸에게 데릴사위로 들어갔다.
  • 오녀: 키쿠코(喜久子) - 요절.
  • 육녀: 도시코(俊子) (1890–1985) - 마쓰다이라 유타카(다카마쓰 마쓰다이라 가문 분가, 해군 대좌)의 부인.
  • 오남: 데쓰오(哲雄) (1895–1938) - 부인은 나베시마 나오하루의 딸.
  • 양자:
  • 아쓰코(淳子) (1867–1941) - 아베 마사타케(가즈사국 사누키번주)의 계실. 나베시마 나오토라(하스이케번주)의 차녀.

4. 연표

종4위 하 시종 겸 시나노노카미에 서임 (이후 히젠노카미로 개칭).[7]1868년 (메이지 원년)보신 전쟁에서 사가번 병사를 지휘.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사쓰마-조슈 동맹에 가담하여 메이지 천황을 지지하였고, 우에노 전투 등에서 도쿠가와 막부 잔당 및 오우에쓰 열번 동맹과 싸움.
외국 사무국 권보(権補) 임명.[7] 요코하마 재판소 부총재 겸임.[7] 외국관 부지사 임명.[7]1869년 (메이지 2년)스페인과의 화친 통상 조약 체결 전권 위임.
정4위 하 우근위 권소장 서임.[7]1871년 (메이지 4년)폐번치현으로 영지를 중앙 정부에 반납.
사가현 지사 임명.
지사직 사임 후 남동생 2명과 함께 영국으로 유학.[1][7]1873년 (메이지 6년)일시 귀국 후, 다시 영국으로 5년간 유학.[7]1879년 (메이지 12년)일본을 방문한 프로이센 왕자 하인리히, 이탈리아 왕족, 미국 전 대통령 그랜트의 접반계(接待係, 접대 담당)를 맡음.
종3위 서임.
외무성 어용계(御用掛, 임시 고용직) 임명.[7]1880년 (메이지 13년)주 이탈리아 왕국 특명전권공사로 부임.[1]1882년 (메이지 15년)5월 29일: 귀국.[8]
5월 31일: 원로원 의관 임명, 식부두(式部頭) 겸임.[7][8][9]1884년 (메이지 17년)7월 7일: 화족령에 따라 후작 서임.[1][8][10]
10월 3일: 식부 장관(式部長官) 겸임.[8][11]1886년 (메이지 19년)2월 15일: 원로원 의관 사임.[7][8]1890년 (메이지 23년)훈2등 욱일중광장 수여.[7]1911년 (메이지 44년)고쿠가쿠인 대학 총장 취임.1921년 (다이쇼 10년)사망.


5. 서훈

일본 서훈
날짜내용
1884년 7월 7일후작 작위 수여
1887년 12월 26일정삼위 승서
1887년 12월 27일금제 황수포장 수여
1889년 11월 25일대일본제국 헌법 발포 기념장 수여
1895년 7월 23일훈1등 서보장 수여
1897년 6월 30일욱일대수장 (훈1등 욱일장) 수여
1897년 7월 2일정2위 승서
1915년 4월 20일어문부 은배(상배) 하사
1915년 11월 10일다이쇼 천황 즉위 기념 대례 기념장 수여
1921년 6월 18일종1위 승서, 욱일동화대수장 (훈1등 욱일장) 수여



외국 훈장 페용 허가
날짜수여국훈장명
1882년이탈리아 왕국성 마우리치오 라자로 훈장 1등
1885년 5월 8일러시아 제국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 1등
1885년 5월 30일하와이 왕국왕관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
1888년 3월 6일러시아 제국성 안나 훈장 1등
1891년 5월 1일샴 왕국타이 왕관 훈장 1등
1907년 1월 17일청나라쌍룡보성 3등
1908년 10월 10일대한제국대훈위 이화대수장


참조

[1] 서적 The Japan Year Book https://books.google[...] Stone Bridge Press, Inc.
[2]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
[3] 논문 日本近世武家政権論 近代文芸社
[4] 웹사이트 佐賀市地域文化財データベースサイト さがの歴史・文化お宝帳~香月経五郎 https://saga-otakara[...]
[5] 서적 早稲田大学校賓名鑑 - 早稲田を支えた人々 早稲田大学事業部
[6] 웹사이트 "「無縁遺骨」を追う 第7回 : 青山霊園から消えた旧華族の「無縁墓」 守る人のいない遺骨の漂流先"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3-03-29
[7] 문서 「なべしま・ちょくだい(侯爵鍋島直大)」『日本現今人名辞典』訂正3版
[8] 서적 『国立公文書館所蔵 勅奏任官履歴原書 上巻』
[9] 서적 7月の官員名簿だと「式部寮」(217頁)の頭は空白だが、「元老院」以下に「議官兼式部頭 従三位 鍋島直大」とある
[10] 문서 爵位#1884年(明治17年)7月7日の叙任を参照。
[11] 서적 式部寮を式部職に再組織の際、職名を「長官」と改名
[12] 간행물 『官報』第307号「叙任及辞令」 1884-07-08
[13] 간행물 『官報』第1351号「叙任及辞令」 1887-12-28
[14] 간행물 『官報』第1351号「彙報 - 官庁事項 - 褒章 - 黄綬褒章下賜」 1887-12-28
[15] 간행물 『官報』第1928号「叙任及辞令」 1889-11-30
[16] 간행물 『官報』第3620号「叙任及辞令」 1895-07-24
[17] 간행물 『官報』第4198号「叙任及辞令」 1897-07-01
[18] 간행물 『官報』第4200号「叙任及辞令」 1897-07-03
[19] 간행물 『官報』第813号「宮廷録事 - 恩賜並追賜」 1915-04-21
[20] 간행물 『官報』第1310号・付録「辞令」 1916-12-13
[21] 간행물 『官報』第2665号「叙任及辞令」 1921-06-20
[22] 웹사이트 元老院議官鍋島直大伊国勲章佩用 https://www.jacar.ar[...]
[23] 간행물 『官報』第554号「賞勲叙任」 1885-05-09
[24] 간행물 『官報』第573号「賞勲叙任」 1885-06-01
[25] 간행물 『官報』第1403号「叙任及辞令」 1888-03-07
[26] 간행물 『官報』第2350号「叙任及辞令」 1891-05-04
[27] 간행물 『官報』第7079号「叙任及辞令」 1907-02-06
[2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Naohiro Nabeshima, the march of Japanese court treasurer http://sillok.histor[...]
[29] 웹사이트 梅渓通善 https://kotobank.jp/[...]
[30] 서적 明治日本のナイチンゲールたち 扶桑社
[31] 웹사이트 北島伊登子 https://kotobank.jp/[...]
[32] 웹사이트 菊御紋付桑煙草盆 https://bunka.nii.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