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쿠다이지 사네쓰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다이지 사네쓰네는 1840년 교토에서 태어난 일본의 귀족으로, 메이지 시대에 내대신 겸 시종장을 역임하며 메이지 천황을 보좌했다. 그는 존왕양이파 공경으로 활동하며 1863년 8월 18일의 정변에 연루되어 근신 처분을 받았으나, 왕정복고 후 메이지 정부에 참여하여 요직을 두루 거쳤다. 1891년 내대신 겸 시종장이 되어 메이지 천황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천황의 정치 관여를 경계하고 동생 사이온지 긴모치와도 공적인 자리 외에는 교류하지 않았다. 1912년 내대신 겸 시종장에서 물러났으며, 1919년 스페인 독감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쿠다이지가 - 사이온지 긴모치
    사이온지 긴모치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공작 작위를 받았으며 두 차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고, 마지막 원로로서 일본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자유주의적 사상을 바탕으로 입헌정치 확립을 추구, 파리 강화 회의 수석 전권대사로 활동했다.
  • 도쿠다이지가 - 후지와라노 마사루코
    후지와라노 마사루코는 헤이안 시대 고노에 천황의 황후였으나 사별 후 니조 천황의 황후가 되어 일본 역사상 유일하게 두 천황의 비가 된 여성으로,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던 일본의 마지막 태황태후이다.
  • 서성대훈장 수훈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서성대훈장 수훈자 - 소네 아라스케
    소네 아라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대한제국 통감으로서 한국 병합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국의 국권 침탈이라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 막말의 공가 - 오기마치 나오코
    오기마치 나오코는 닌코 천황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곤나이시노스케, 텐지 등의 칭호를 받았고, 준삼후에 책봉되어 신타이켄몬인이라 칭해졌으며, 그녀의 묘는 센류지 내의 쓰키노와 능에 위치한다.
  • 막말의 공가 - 고노에 다다히로 (1808년)
    고노에 다다히로는 고노에 모토사키의 장남으로 좌대신, 관백을 역임했으나 안세이 대옥으로 실각하고 복귀 후 다시 관백을 지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사망하여 정1위가 추서되었다.
도쿠다이지 사네쓰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쿠다이지 사네쓰네
공작 도쿠다이지 사네쓰네, c. 1913
작위종1위
공작
출생일1840년 1월 10일 (덴포 10년 12월 6일)
출생지야마시로국교토 (현재 교토부교토시)
사망일1919년 6월 4일 (향년 79세)
사망지도쿄부 (현재 도쿄도)
직위
제2대 내대신재임 시작: 1891년 2월 21일
재임 종료: 1912년 8월 12일
시종장재임 시작: 1871년 9월 18일
재임 종료: 1877년 8월 29일
1884년 3월 21일 - 1912년 8월 13일
제2대 궁내경재임 시작: 1871년 11월 29일
재임 종료: 1884년 3월 21일
귀족원 의원선거구: (후작 의원→) 공작 의원
재임 시작: 1890년 2월 - 1911년 4월 20일
1911년 4월 21일
재임 종료: 1919년 6월 4일
이전 직책내정직 지사
훈장
훈장대훈위 국화장경식
기타 훈장대훈위 국화대수장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대훈위 서성대수장 (대한제국)
대훈위 이화대수장 (대한제국)
외국 훈장GCVO
가족 관계
배우자도쿠다이지 도시코 (야마우치 토요스케의 여섯째 딸)
자녀도쿠다이지 기미히로 (장남)
다카치호 노부마로 (차남)
친족 (정치가)다카쓰카사 마사히로 (고조부)
다카쓰카사 마사미치 (증조부)
다카쓰카사 스케히로 (조부)
도쿠다이지 긴나루 (아버지)
사이온지 긴모치 (동생)
스미토모 도모스미 (동생)
스에히로 다케마로 (동생)
다카쓰카사 히로미치 (사위)
사타케 요시오 (사위)
마쓰다이라 요리타카 (사위)
시마즈 다다시게 (사위)
도쿠다이지 사네아쓰 (손자)
다카쓰카사 노부스케 (손자)
다카쓰카사 노부히로 (손자)

2. 생애

후지와라 공가의 분가인 도쿠다이지 가 출신으로 교토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도쿠다이지 긴이토이며, 동생은 훗날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지낸 사이온지 긴모치이다.

막부 말기에는 존왕양이파 공경으로 활동하였으나, 1863년 8월 18일의 정변으로 실각하여 교토에서 피신하기도 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복귀하여 신정부에서 활동하며 1869년에는 대납언에 임명되었다.

1884년 화족령 실시에 따라 후작 작위를 받았고, 이후 공작으로 승작되었다. 1891년부터 메이지 천황이 사망할 때까지 내대신 겸 시종장을 지내며 천황을 보좌하였으나, 천황의 직접적인 정치 관여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2. 1. 막부 말기

1840년 교토에서 후지와라 공가의 분가인 도쿠다이지 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도쿠다이지 긴이토이며, 동생은 훗날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지낸 사이온지 긴모치이다.

막부 말기 존왕양이 운동이 활발해지자, 사네쓰네는 존왕양이파 공경으로서 활동했다. 1862년(분큐 2년)에는 조정의 국사어용괘를 맡았고, 이듬해인 1863년(분큐 3년)에는 의주(議奏)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863년(분큐 3년) 8월 18일, 아이즈와 사쓰마 번의 온건파 사무라이들이 주도한 8월 18일의 정변으로 존왕양이파가 실각하자, 사네쓰네도 이 사건에 연루되어 교토에서 피신해야 했으며 근신 처분을 받았다.

막부 말기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일본 연호)주요 경력
1854년 (가에이 7년)우근위권소장 임관
1857년 (안세이 4년)좌근위권중장 임관, 종3위로 승서
1858년 (안세이 5년)정3위로 승서
1862년 (분큐 2년)권중납언 임관, 국사어용괘 겸임, 종2위로 승서
1863년 (분큐 3년)의주 겸임 (4월), 8월 18일의 정변으로 실각 및 근신 (8월)
1867년 (게이오 3년)정2위로 승서


2. 2. 메이지 시대

왕정복고 이후 1868년(게이오 4년) 1월에 메이지 정부에 참여하여 의정(議定)으로서 내국사무총독(内国事務総督)을 겸하였고, 2월에는 내국사무국독(内国事務局督)을 맡았다. 1869년(메이지 2년)에는 내정직지사(内廷職知事)를 거쳐 대납언(大納言)에 임명되었다.

1871년(메이지 4년)에 궁내성에 들어가 시종장과 궁내경을 겸임하였다. 1877년(메이지 10년) 11월 22일에는 훈1등욱일대수장을 받았다. 1884년(메이지 17년) 화족령 실시에 따라 후작 작위를 받았다.

1891년(메이지 24년)에 내대신 겸 시종장이 되어 메이지 천황의 측근으로서 천황이 붕어할 때까지 보좌하였다. 그는 메이지 천황의 직접적인 정치 관여에 강하게 반대하였으며, 모토다 나가자네(元田永孚) 등이 시보(侍補) 제도를 통해 천황 친정 운동을 벌였을 때 이를 저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신의 정치적 관여도 강하게 경계하여, 시종장 재임 중 정계에 진출한 친동생 사이온지 긴모치(西園寺公望)와는 공적인 장소 이외에서는 대화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1899년(메이지 32년) 12월에는 종1위로 승서되었고,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에는 대훈위국화대수장을 받았다.[4] 1911년(메이지 44년) 4월 21일, 다년간의 훈공을 인정받아 공작으로 승작되었다. 1912년(다이쇼 원년) 8월 13일, 메이지 천황 사망 후 내대신 겸 시종장에서 퇴임하였다.

2. 3. 다이쇼 시대

1919년(다이쇼 8년) 6월 4일, 유행성 감기(스페인 독감)로 인해 향년 80세로 사망하였다.[1]

3. 인물

신중하고 과묵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상 겸손한 자세를 유지하려 애썼다. 메이지 천황을 가까이에서 보좌하면서도 천황이 정치에 직접 관여하는 것에는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모토다 나가자네 등이 시보 제도를 통해 천황 친정 운동을 추진했을 때 이를 저지하려 했던 모습에서도 드러난다.

자신의 정치적 관여 또한 매우 경계했다. 시종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정계에 진출한 친동생 사이온지 긴모치와는 공적인 자리가 아니면 대화조차 나누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이는 공과 사를 엄격히 구분하고 정치적 중립을 지키려는 그의 태도를 보여준다.

메이지, 다이쇼, 쇼와 3대에 걸쳐 궁내성 직원으로 근무했던 오가와 가네오는 퇴직 후의 사네쓰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2]

중후하고 좀처럼 말을 하지 않는 인물이다. 이 사람은 항상 얼굴을 숙이고 있다. 숙인 채로 눈만 주의 깊게 여기저기를 움직인다. 걸을 때는 매우 조용하고 고양이처럼 발소리조차 내지 않는다.


(중략) 이 사람이 얼굴을 들고 걷는 것은 저택 내 정원을 걸을 때뿐이었다. 일단 사람들 앞에 나서면 자연스럽게 고개가 숙여지고, 눈만 약간 움직인다.


아마도 이런 공작의 모습은 메이지 천황의 시종장으로 오랫동안 근무하는 동안 천황의 행행에 배종하여 항상 천황 앞에 앉아 묵묵히 고개를 숙이고, 게다가 사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했던 생활에서 비롯된 것일 것이다. 그것이 이미 이 사람의 성격에까지 뿌리내린 것이 아니었을까.


이러한 모습은 오랜 기간 천황을 보좌하며 몸에 밴 신중함과 겸손함이 그의 성격으로 굳어진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는 1919년(다이쇼 8년) 6월 4일, 당시 유행하던 스페인 독감으로 인해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

4. 평가

메이지 천황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좌한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871년 궁내성에 들어간 이후 시종장과 궁내경을 겸임했고, 1891년에는 내대신 겸 시종장이 되어 메이지 천황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측근으로서 보좌하였다.

그는 메이지 천황의 직접적인 정치 관여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일례로 모토다 나가자네(元田永孚) 등이 시보(侍補) 제도를 통해 천황의 친정(親政)을 강화하려 했을 때 이를 저지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스스로의 정치적 관여 역시 매우 경계하여, 정계에서 활동하던 친동생 사이온지 긴모치(西園寺公望)와도 공적인 자리가 아니면 대화를 나누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황실의 안정을 중시하고 공사(公私)를 엄격히 구분하는 신중한 면모를 보여준다.

5. 작위 및 서훈

도쿠다이지 사네쓰네는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하며 화족으로서 후작[5]과 공작[13] 작위를 받았다. 또한 일본 제국 내외에서 다수의 훈장을 수여받았다. 자세한 작위 승작 과정과 서훈 내역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작위

1884년 7월 7일 후작 작위를 받았다.

1911년 4월 21일 공작으로 승작하였다.

5. 2. 서훈

'''일본 내 서훈 및 작위'''
날짜내용출처
1877년 11월 22일욱일대수장
1884년 7월 7일후작[5]
1888년 4월 9일은제 황수 포장[6]
1889년 11월 25일대일본 제국 헌법 발포 기념장[7]
1895년 10월 7일훈1등 욱일동화대수장[8]
1899년 12월 6일종1위[9]
1906년 4월 1일대훈위 국화대수장[10]・메이지 37·38년 종군기장[11]
1909년 4월 18일황태자 방한 기념장[12]
1911년 4월 21일공작[13]
1912년 8월 1일한국 병합 기념장[14]
1915년 11월 10일대례 기념장 (다이쇼)[15]
1919년 6월 4일대훈위 국화장경식 (추증)



'''외국 훈장 착용 허가'''
날짜국가훈장출처
1885년 5월 8일러시아 제국성 안나 1등 훈장[16]
1885년 5월 25일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북극성 1등 훈장[17]
1886년 6월 7일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그라이헨 1등 훈장[18]
1891년 6월 1일오스만 제국메지디예 1등 훈장[19]
1908년 6월 6일대한제국대훈위 서성대수장[20]
1908년 10월 19일대청 제국두등 제2쌍룡보성[21]


6. 관직

존왕양이파 공경으로 활동하며 1862년(분큐 2년) 국사어용괘, 다음 해 의주(議奏)를 맡았으나, 1863년(분큐 3년) 8월 18일의 정변에 연루되어 근신 처분을 받았다. 왕정복고 이후 1868년(게이오 4년) 1월, 메이지 정부에 참여하여 의정(議定)과 내국사무총독(内国事務総督)을 겸임했고, 2월에는 내국사무국독(内国事務局督)을 맡았다. 1869년(메이지 2년)에는 내정직 지사(内廷職知事)를 거쳐 대납언(大納言)에 이르렀다.

1871년에는 궁내성에 들어가 시종장과 궁내경을 겸임했다. 1891년 내대신 겸 시종장이 되어 메이지 천황의 측근으로서 천황이 붕어할 때까지 보좌하였다. 그는 메이지 천황의 정치 관여에 강하게 반대했으며, 모토다 나가자네(元田永孚) 등이 시보(侍補) 제도를 통해 천황 친정 운동을 벌일 때 이를 저지하려 했다. 또한 자신의 정치적 관여도 경계하여, 시종장 재임 중 정계에 진출한 친동생 사이온지 긴모치(西園寺公望)와는 공적인 장소 외에서는 대화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1884년 화족령에 따라 후작 작위를 받았고, 1890년 귀족원 의원이 되었다. 이후 1911년 다년간의 공로를 인정받아 공작으로 승작하였다. 1912년 내대신 겸 시종장에서 물러났다.

다음은 도쿠다이지 사네쓰네의 주요 관직 및 서위 이력이다. (※1872년까지의 날짜는 음력 기준)

날짜 (서력/일본 연호)관직/사건비고
1848년 (가에이 원년) 7월 12일종5위하 서위
1849년 (가에이 2년) 1월 5일종5위상 승서
1850년 (가에이 3년) 2월 3일정5위하 승서
1851년 (가에이 4년) 3월 22일시종 임관
1851년 (가에이 4년) 7월 28일종4위하 승서시종은 전과 같음
1851년 (가에이 4년) 12월 4일원복, 금색 및 승전 허락
1852년 (가에이 5년) 1월 27일종4위상 승서시종은 전과 같음
1853년 (가에이 6년) 5월 8일정4위하 승서시종은 전과 같음
1854년 (가에이 7년) 3월 7일우근위권소장 전임
1857년 (안세이 4년) 2월 8일좌근위권중장 전임
1857년 (안세이 4년) 12월 19일종3위 승서좌근위권중장은 전과 같음
1858년 (안세이 5년) 3월 24일정3위 승서좌근위권중장은 전과 같음
1862년 (분큐 2년) 4월 25일권중납언 전임
1862년 (분큐 2년) 12월 9일조정의 국사어용괘 겸임
1862년 (분큐 2년) 12월 24일종2위 승서권중납언, 국사어용괘는 전과 같음
1863년 (분큐 3년) 4월 17일의주 겸임
1863년 (분큐 3년) 8월 24일의주 사임8월 18일의 정변 관련 근신
1867년 (게이오 3년) 2월 28일정2위 승서권중납언, 국사어용괘는 전과 같음
1867년 (게이오 3년) 12월 9일국사어용괘 폐지
1868년 (게이오 4년) 1월 3일메이지 정부 참여 겸임왕정복고 이후
1868년 (게이오 4년) 1월 9일의정으로 이동
1868년 (게이오 4년) 1월 20일정부 내국사무국독 겸임
1868년 (게이오 4년) 2월 2일권대납언 전임의정은 전과 같음
1868년 (게이오 4년) 윤 4월 21일의정관 상국 의정 겸임내국사무국독은 전과 같음
1869년 (메이지 2년) 4월내정직 지사 겸임
1869년 (메이지 2년) 7월 8일대납언 배명관제 개혁
1870년 (메이지 3년) 2월야마구치 선무사 겸임
1871년 (메이지 4년) 7월 14일대납언 사임, 사향간지후가 됨
1871년 (메이지 4년) 8월 4일시종장 배명궁내성 소속
1871년 (메이지 4년) 9월 15일궁내경 겸임
1877년 (메이지 10년) 8월 29일시종장 사임, 1등 시보 겸임관제 개혁
1877년 (메이지 10년) 11월 22일훈1등욱일대수장 서훈
1878년 (메이지 11년) 6월 7일1등 시보 사임궁내경 전임
1884년 (메이지 17년) 3월 21일시종장 재임궁내경 사임, 시종장 부활
1884년 (메이지 17년) 7월 7일화족령에 의해 후작 서작
1885년 (메이지 18년) 7월화족국 장관 겸임
1890년 (메이지 23년) 2월귀족원 후작 의원[3]
1891년 (메이지 24년) 2월 21일내대신 배명시종장은 전과 같음
1899년 (메이지 32년) 12월종1위 승서
1906년 (메이지 39년) 4월 1일대훈위국화대수장 서훈[4]
1911년 (메이지 44년) 4월 21일공작 승작다년간의 훈공, 귀족원 공작 의원
1912년 (다이쇼 원년) 8월 13일내대신 겸 시종장 퇴임
1919년 (다이쇼 8년) 6월 4일국화경식 서훈, 훙거[1] 향년 80세


7. 가족 관계


  • 아버지: 도쿠다이지 킨스미
  • 남동생: 사이온지 긴모치, 스미토모 도모즈미, 스에히로 다케마로 등
  • 아내: 야마노우치 가네코(야마노우치 도요스케의 여섯째 딸)
  • * 장남: 도쿠다이지 긴히로
  • * 차남: 타카치호 노리마로(타카치호 에이코의 양자)
  • * 장녀: 준코(공작 타카츠카사 히로미치 부인)
  • * 차녀: 소시(후작 사타케 요시오 부인)
  • * 삼녀: 신코(미이 타카무네(미츠이 무로마치 가) 부인)
  • * 삼남: 도쿠다이지 노리마로(1878년 12월 17일 - 1964년 1월 28일, 남작)
  • ** 손자: 도쿠다이지 나가마로(1911년 6월 20일 - 1984년 3월 24일)

증손자: 도쿠다이지 킨타다(1945년 2월 8일)
* 현손자: 도쿠다이지 킨히토(1977년 8월 24일)

  • ** 손자: 도쿠다이지 모토마로(1914년 5월 22일 - 1988년 11월 19일)
  • ** 손자: 도쿠다이지 사부로(1917년 2월 3일 출생)
  • 측실: 카츠타 야에코(1888년 1월 30일 사망)
  • * 사녀: 하루코(자작 마츠다이라 요리타카 부인)
  • * 사남: 도쿠다이지 아키마로(1882년 12월 18일 출생, 1926년 4월 15일 분가, 건축가)
  • * 오녀: 이츠코(공작 시마즈 타다시게 부인)

8. 묘소

처음 묘소는 야나카 영원에 있었으나, 어느 구획이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후 다마 영원으로 개장되었다.

도쿄도에서 관보를 통해 무연 분묘 등 개장 공고를 냈으며, 2021년 기준으로 해당 묘소는 아직 남아있지만, 연고자가 없어 철거될 가능성이 높다.

도쿠다이지 사네아쓰 이후의 도쿠다이지 가문은 교토의 구로타니 묘지를 묘소로 사용하고 있다.

9. 계보

동산 천황의 남계 7대 자손이다. 동산 천황의 손자(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의 아들)이자 다카쓰카사 스케히라의 남계 후손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은 황별 섭가#계도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2010
[2] 서적 皇室の茶坊主 下級役人がみた明治・大正の「宮廷」 創元社 2023
[3] 간행물 議会制度百年史 -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
[4]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907-01-28
[5]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884-07-08
[6] 관보 彙報 官報 1888-04-10
[7]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889-11-30
[8]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895-10-08
[9]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899-12-07
[10]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907-01-28
[11] 관보 辞令 官報 1908-09-28
[12]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909-06-02
[13] 관보 授爵・叙任及辞令 官報 1911-04-22
[14] 관보 辞令 官報 1913-04-09
[15] 관보 辞令 官報 1916-12-13
[16] 관보 賞勲叙任 官報 1885-05-09
[17] 관보 賞勲 官報 1885-05-27
[18]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886-06-08
[19]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891-06-05
[20]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908-06-24
[21] 관보 叙任及辞令 官報 1908-10-24
[22]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下
[23]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下
[24] 서적 しらゆき 島津出版会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