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석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석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1892년 황해도 재령군에서 태어났다. 만주에서 군사 훈련을 받고 항일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군자금을 모집,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송금했다. 이후 임시정부 경호원, 중국군 장교,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며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 파괴를 목적으로 국내에 잠입했다. 1926년 조선식산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하고 일본 경찰과 교전하다 자결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으며, 서울 명동에 동상이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단 학원 동문 - 쑹타오 (1955년)
    쑹타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2023년부터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주임으로 활동하며 푸젠성에서 시작해 외교부에서 여러 대사 직책을 거쳐 외사판공실 부주임과 상무 부주임으로 승진, 북한 및 일본과의 외교에도 관여했고 대만 정책 관련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1926년 자살 - 윤심덕
    윤심덕은 일제강점기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이자 배우로, 극작가 김우진과의 비극적인 동반 자살과 함께 발매된 '사의 찬미'로 유명하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1926년 자살 - 가네코 후미코
    가네코 후미코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성장하며 조선 독립 운동에 공감하고 흑도회 등 아나키즘 단체에서 활동하다가 박열과 함께 체포되어 옥사한 일본의 아나키스트이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 - 김구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통일운동가로서, 동학 입교, 치하포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인애국단 조직,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 - 안봉순
    안봉순은 한국청년전지공작대와 한국 광복군, 임시의정원 등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에 헌신한 공로로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나석주
기본 정보
나석주
본명나석주
한자羅錫疇
로마자 표기Na Seok-ju
출생일1892년 2월 4일
출생지조선 황해도 재령군
사망일1926년 12월 28일
사망지상하이, 중국
사망 원인권총 자살
알려진 업적한국 독립 운동가
수상건국훈장
한국어 이름
한글나석주
한자羅錫疇
로마자 표기Na Seok-ju
매큔-라이샤워 표기Na Sŏk-chu
가족
부모나병헌(부), 김해 김씨 부인(모)
자녀슬하 2남 2녀
친인척나효수(손자), 나효복(손자)
관직
임기1920년 3월 20일 ~ 1921년 5월 29일
대통령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
총리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
의장김구 대한 임정 경무국 국장
국가대한 임정
직책경무국 경호관
정당의열단
군사
서울 중구 명동 외환은행 본점 옆에 있는 나석주 선생 동상
군복무대한독립군 소령
경력
경력한국독립당 당무위원
의열단 사무위원
학력
학력신흥무관학교 졸업
중화민국 허베이성 한단 군관학교 졸업
기타 정보
본관금성(錦城)
웹사이트나석주(독립유공자 공훈록)
서훈[[파일:건국훈장2대통령장.png|x10px]] (건국훈장 대통령장,1962년)

2. 생애

나석주는 1892년 2월 4일 황해도 재령군에서 태어났다.[2] 16세에 보명학교에서 2년간 수학하고, 23세에 만주에서 독립군 군사 훈련을 받았다.[7]

1920년 항일 비밀결사 조직, 독립운동 자금 모금, 평산 경찰 주재소 습격, 친일파 부호 사살 후 중국으로 피신했다.[7][8] 임시정부 경무국 경호원, 신흥무관학교 졸업, 중국군 장교 복무, 의열단 가입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1926년 12월 28일, 동양척식주식회사조선식산은행 투탄 의거를 일으켰으나 폭탄은 불발되었다. 일본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다 자결을 시도,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다.[9]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고, 명동의 동양척식주식회사 자리(전 한국외환은행 본점)에 동상과 표석이 건립되었다.[12][13]

나석주 의사 의거 기념터. 서울 중구 명동, 외환은행 본점 앞에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독립운동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나, 16세에 재령군 북율면 진초리의 보명학교에 입학해 2년간 수학한 뒤 농사를 지었다.[7] 23세에 만주로 건너가 북간도 나자구의 독립군 양성학교인 무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 훈련을 받았다.[7]

1920년 김덕영, 최호준 등 50명의 동지들과 항일 비밀결사를 조직하고[7] 국내에서 부호들을 상대로 권총강도를 가장하여 독립운동에 필요한 군자금을 모집하여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송금하였다.[8] 평산의 경찰 주재소를 습격하여 경찰관과 면장을 사살하고, 안악군의 친일파 부호를 사살한 후 중국으로 피신했다.

임시정부에서 경무국 경호원으로 활동하다가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한 후, 중국 하북성 한단에 있는 중국 한단 군관학교 육군 제1군사강습소의 군관단을 졸업해 한동안 중국군 장교로 복무했다.

2. 2. 임시정부 및 의열단 활동

1920년 김덕영, 최호준 등 50명의 동지들과 항일 비밀결사를 조직하고,[7] 국내에서 부호들을 상대로 권총강도를 가장하여 독립운동에 필요한 군자금을 모집하여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송금하였다.[8] 평산의 경찰 주재소를 습격하여 경찰관과 면장을 사살하고, 안악군의 친일파 부호를 사살한 후 중국으로 피신했다.

임시정부에서 경무국 경호원으로 활동하다가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한 후, 중국 하북성 한단에 있는 중국 한단 군관학교 육군 제1군사강습소의 군관단을 졸업해 한동안 중국군 장교로 복무했다. 그 후 임시정부에서 김구(당시 경무국장)의 경호원으로 활동했고,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6년 의열단의 고문이기도 했던 김구, 김창숙 등과 논의한 뒤 동양척식주식회사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 파괴를 목적으로 마중덕(馬中德)이라는 이름을 가진 중국인 노동자로 위장한 채 국내에 밀파되었다.

2. 3. 동양척식주식회사 및 조선식산은행 투탄 의거

1920년 김덕영, 최호준 등 50명의 동지들과 항일 비밀결사를 조직하고,[7] 국내에서 부호들을 상대로 권총강도를 가장하여 독립운동에 필요한 군자금을 모집하여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송금하였다.[8] 평산의 경찰 주재소를 습격하여 경찰관과 면장을 사살하였다. 이어 안악군의 친일파 부호를 사살한 후 중국으로 피신했다.

임시정부에서 경무국 경호원으로 활동하다가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한 후 중국 하북성 한단에 있는 중국 한단 군관학교 육군 제1군사강습소의 군관단을 졸업해 한동안 중국군 장교로 복무했다. 그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김구(당시 경무국장)의 경호원,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6년 의열단의 고문이기도 했던 김구, 김창숙 등과 논의한 뒤 동양척식주식회사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의 파괴를 목적으로 마중덕(馬中德)이라는 이름을 가진 중국인 노동자로 위장한 채 국내에 밀파되었다.

1926년 12월 28일 조선식산은행폭탄을 투척하고 빠져나왔으나 폭탄은 불발되었다. 동양척식주식회사에 들어가서 일본인들을 권총으로 사살했다. 바로 폭탄을 투척하였으나 불발하였다. 나석주는 일본경찰에게 총을 난사하며 일본경찰 7명을 사살하였다. 일본 경찰과 대치하면서 나석주는 군중을 향해 "나는 조국의 자유를 위해 투쟁했다. 2천만 민중아, 분투하여 쉬지 말라!"고 외쳤다. 일본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며 몇 명을 사살한 나석주는 가지고 있던 으로 자결을 시도하여 총상을 입고 일경에 의해 병원으로 후송되었다.(당시 22발이 남았었다고 한다) 고등계 미와 와사부로 경부에게 심문을 받던 중 자신이 나석주임을 밝히고 사망했다.[9]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부친나병헌(羅秉獻)
모친김해 김씨
아들나응섭(羅應爕, 일명 백운학)
아들나응선(羅應善, ? ~ 1951)
? - 평양으로 출가
나응서(羅應瑞, 1918)
손자나효수(羅孝壽)
손자나효복(羅孝福) - 행방불명


4. 평가

나석주는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졌다가 일경과 대치 끝에 자결한 김상옥과 함께, 1920년대의 무장 투쟁 즉, 의열단식 항일 운동을 상징하는 인물이다.[5][6] 사후에 국가적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서울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5][6]

5. 기념 및 추모

나석주는 사후에 국가적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서울특별시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5][6]

6. 나석주가 등장한 작품

참조

[1] 서적 Landownership Under Colonial Rule: Korea's Japanese Experience, 1900-1935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1994
[2]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
[3] 웹사이트 Movement Activist 2013-12-10
[4] 웹사이트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ttp://www.britannic[...] 2013-12-11
[5] 웹사이트 Na Sok-Chu https://www.flickr.c[...] 2013-12-10
[6] 웹사이트 Patriot Na Sok-Chu https://www.flickr.c[...] 2013-12-10
[7] 웹인용 나석주(羅錫疇)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8-04-13
[8] 웹인용 이달의 독립운동가 나석주 https://e-gonghun.mp[...]
[9] 서적 경성 자살 클럽 살림
[10] 뉴스 나석주의 장남 진남포에서 잠적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27-06-18
[11] 뉴스 나응섭압송 재녕경찰서로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27-07-03
[12] 웹인용 나석주의사 의거 터 표석 위치 https://www.google.c[...]
[13] 뉴스 김상옥 나석주열사 기념사업 (나의 이력서/서영훈 49)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4-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