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카 (경순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는 센다이급 경순양함의 2번함으로, 다이쇼 시대 일본 해군이 건조한 경순양함이다. 1921년 건조가 결정되었으나, 간토 대지진으로 인해 건조 중이던 선체가 손상되어 해체되었다. 이후 재건조되어 1925년 취역했으며, 14cm포 7문, 어뢰 발사관 등을 탑재했다. 미호노세키 사건, 제4함대 사건 등 여러 사건을 겪었고,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필리핀, 네덜란드령 동인도, 크리스마스 섬 등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1944년 침몰했으며, 현재 오아라이 이소자키 신사에 충혼비가 세워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5년 선박 - USS 렉싱턴 (CV-2)
    USS 렉싱턴(CV-2)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순양전함에서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1927년 취역, 36,000톤의 배수량과 78대의 항공기 탑재 능력을 갖춘 세계 최대 규모의 항공모함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중 산호해 해전에서 일본군의 공격으로 1942년 5월 침몰하였고, 2018년 잔해가 발견되었다.
  • 1925년 선박 - USS 새러토가 (CV-3)
    USS 새러토가 (CV-3)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순양전함에서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에서 활약했으나, 종전 후 핵 실험의 표적으로 침몰하여 현재는 다이빙 명소가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순양함 - 이즈모 (장갑순양함)
    이즈모는 1890년대 일본 해군 계획에 따라 영국에서 건조되어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등에 참전한 장갑 순양함으로, 1945년 구레 군항 공습으로 침몰하여 퇴역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순양함 - 스즈야 (모가미급 중순양함)
    스즈야는 일본 해군의 모가미급 중순양함 4번함으로, 주포 교체 및 대공포와 레이더 증설 개장을 거쳐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나 1944년 레이테 만 해전에서 침몰했다.
나카 (경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함선 정보
1925년 요코하마에서 취역 직전의 나카 순양함
1925년 요코하마에서 취역 직전의 나카 순양함
함명나카
함명 유래나카강
소속 국가일본 제국
함종센다이급 경순양함
기공1922년 6월 10일 (공표일), 1922년 6월 14일 (실제)
진수1925년 3월 24일
취역1925년 11월 30일
제적1944년 3월 31일
최후1944년 2월 17일 침몰, 추크 라군 근처에서 미 해군 항공기의 폭격으로 침몰, 좌표:
건조미쓰비시, 요코하마 선거
계획1920년 계획
제원
기준 배수량5,195 톤
상비 배수량5,595 톤
전장162.46 m
전폭14.2 m
흘수4.8 m (상비)
추진4 x 파슨스식 기어드 터빈
10 x 가마폰 보일러
4 x 축
출력90,000 마력
속력35.3 노트
항속 거리14 노트에서 5,000 해리
승무원취역 시 정원 446명
무장 (1943년 4월 기준)
주포50구경 14cm 단장포 6문
어뢰 발사관61cm 4연장 어뢰 발사관 2기 8문 (93식 산소어뢰 16발)
고각포89식 12.7cm 연장 고각포 1기 2문
기관총96식 25mm 3연장 기총 2기 6문
96식 25mm 연장 기총 2기 4문
93식 13mm 연장 기총 1기 2문
폭뢰94식 폭뢰 투사기 1기
폭뢰 투하 궤조 2기
사출기구레식 2호 3형 개1 사출기 1기
전탐21호 전탐
항공기수상기 1기
무장 (취역 시)
주포50구경 14cm 단장포 7문
어뢰 발사관61cm 연장 어뢰 발사관 4기 8문
고각포40구경 8cm 단장 고각포 2문
기총6.5mm 단장 기총 2정
기뢰93식 기뢰 56개
무장 (1941년 12월 기준)
주포50구경 14cm 단장포 7문
어뢰 발사관61cm 4연장 어뢰 발사관 2기 8문 (93식 산소어뢰 16발)
기총96식 25mm 연장 기총 2기 4문
보식 13mm 4연장 기총 1기 4문
7.7mm 단장 기총 2정
사출기구레식 2호 3형 개1 사출기 1기
항공기수상기 1기
장갑
수선64mm
갑판29mm

2. 건조 배경 및 특징

1920년대 초, 일본 제국 해군은 88함대 계획의 일환으로 5,500톤급 경순양함 건조를 추진했다. 센다이급은 5,500톤급 경순양함의 마지막 함급으로, 센다이, 나카, 진쓰 3척이 건조되었다.[24]

1921년 3월 19일, 건조 예정인 2등 순양함 4척에 가코, '''나카''', 센다이, 진쓰라는 함명이 부여되었고,[17] 6월 9일에는 4척 모두 2등 순양함으로 함정류별 등급별표에 등록되었다.[18]

나카는 원래 지토세급 유조선 사타를 건조한 요코하마 조선소(후의 미쓰비시 중공업 요코하마 제작소)에서 건조될 예정이었다.[19] 1922년 6월 10일[6][19] 혹은 6월 14일[7]에 기공되었으나, 1923년 9월 1일 간토 대지진으로 선체가 크게 파손되었다.[25] 사쿠라기초 방면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요코하마 조선소는 시설 대부분이 소실되었고,[25] 건조 최종 단계에 있던 나카의 선체는 널판지가 소실되어 선대 위에서 오른쪽으로 기울어졌다.[27][28] 결국 복구가 불가능하다고 판정되어,[26][29] 해체 후 재건조가 결정되었다.[33]

일본 해군은 다른 회사에 재건조를 의뢰하려 했으나, 요코하마 조선소 측의 요청으로 같은 조선소에서 재건조하기로 결정되었다.[32] 구 나카는 해체된 후 센다이급 3번함으로 1924년 5월 24일 다시 기공되었다.[32][34] 1925년 3월 24일 해군 대신 대리 아보 기요타네 해군 차관 배석 하에 오후 4시 30분에 진수되었고,[32][35] 최초 기공으로부터 약 3년이 지난 11월 30일에 취역했다.[6][32] 재건조 과정에서 함수 형상이 스푼형에서 더블 커브형으로 변경되었다.

2. 1. 성능 제원

항목제원
기본 배수량5195ton
전장162.2m
최대 폭15.2m
출력97,072 hp
속력36.2 kt
항속력14 kt로 5,000 해리
무장14cm포 7문, 7.6cm 고각포 2문, 61cm 연장 어뢰발사관 4기
탑재기수상정찰기 1대
승원452명
동형함센다이, 진쓰


3. 함력

센다이 형의 3번함으로 요코하마 선창에서 건조되었으나, 건조 도중 1923년 발생한 관동대지진으로 선체가 크게 파손되어 해체 후 경순양함으로 재기공, 1925년 11월 30일에 취역했다.

1927년 8월 24일, 시마네현 미호노세키 해협에서 야간 훈련 중 경순양함 진쓰 및 구축함 와라비와 충돌했고, 이를 피하려다 다른 순양함의 좌현 후방을 들이받아 양 함 모두 크게 파손되었다. ('''미호노세키 사건''')

나카는 순탄치 않은 함선으로 알려졌지만, 1937년 만주사변 발발 후 제2함대 소속으로 작전에 투입되었다. 1939년에는 자매함 진쓰와 함께 어뢰 무장을 강화하여, 93식 산소 어뢰 발사 능력을 갖추었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니시무라 쇼지 소장이 이끄는 제4수뢰전대의 기함으로서 필리핀 상륙작전을 지원했다. 그 후 남방작전에 투입되어 동인도제도 공략작전에 참가, 수라바야 해전에서 네덜란드의 경순양함 <자바>, <데 로이텔>을 격침시켰다. 1942년 4월 1일, 크리스마스 섬 해협에서 미군 잠수함 <씨울프>의 어뢰 공격을 받고 항해 불능이 되어, 경순양함 나토리에 의해 싱가포르로 예인되었다.

이후 마이즈루 공창에서 수리 및 근대화 개장을 거쳐 1943년 다시 전선에 투입되었다. 1944년 2월 17일, 트랙 섬 서쪽 해상에서 연합군 항공모함 <벙커힐> 및 <카우펜스> 함재기 부대의 공격을 받고 침몰했다.

3. 1. 취역과 사건사고

1925년 11월 30일, 미쓰비시 중공업 요코하마 조선소에서 나카가 준공되었다.[6]

1927년 8월 24일, 시마네현 미호노세키 해협에서 야간 훈련 중 나카는 경순양함 진쓰 및 구축함 와라비와 충돌했다. ('''미호노세키 사건''') 나카는 구축함 아시와도 충돌하여 두 함 모두 크게 파손되었다.[41] 이 사건으로 진쓰 함장 미즈키 게이지 대좌는 자결했다.

1935년 제4함대 사건 당시, 나카는 제4수뢰전대 기함으로 훈련에 참가했다. 악천후 속에서 구축함 유기리와 하츠유키가 함수를 절단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나카는 약간의 손상을 입었다.

3. 2. 중일 전쟁

1937년 만주사변 발발 후, 나카는 제2함대 소속으로 작전에 투입되었다. 1939년, 자매함 진쓰와 함께 어뢰 무장을 강화했다.[37]

3. 3. 태평양 전쟁

1941년 11월, 나카는 니시무라 쇼지 소장 휘하 제4수뢰전대의 기함이 되었다.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나카는 필리핀 남부 침공 작전에 참가하여 수송선단을 호위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 육군 항공대 (극동 공군) 소속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 폭격기, 세버스키 P-35 가드맨, 커티스 P-40 키티호크 전투기의 공격을 받아 경미한 손상을 입었다.[2]

1942년 1월, 제4수뢰전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침공에 투입되어 타라칸과 보르네오 발릭파판 상륙 작전을 지원했다.[2] 발릭파판에서는 악천후 속에서 네덜란드 왕립 해군 잠수함이 나카를 향해 어뢰 4발을 발사했으나 빗나갔다.[2] 이후 미 해군 제5 기동 부대의 구축함 , , 및 가 일본 수송선단을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2]

1942년 2월 말, 나카는 수라바야 해전에 참가했다.[3] 2월 27일, 일본 함대는 중순양함 와 , 경순양함 (카렐 도르만 제독 기함), , 등으로 구성된 네덜란드 카렐 W. F. M. 도르만 제독의 함대와 교전했다.[4]

나카와 구축함 전대는 93식 롱 랜스 어뢰 43발을 발사하여 를 격침시켰다.[4] 그러나 나카의 어뢰 8발은 명중하지 않았다. 구축함 는 를 격침시켰고, 는 기뢰에 맞아 침몰했다.[4]

3월, 나카는 자바와 술라웨시 사이를 초계했다. 1942년 3월 14일, 크리스마스 섬 침공 부대의 기함이 되었다.[5] 부대는 나카, 제16 순양함 사단의 와 등으로 구성되었다.[5] 1942년 3월 31일, 상륙 작전은 저항 없이 진행되었으나, 잠수함 가 나카를 공격하여 어뢰 4발을 발사했지만 모두 빗나갔다. 시울프는 다음 날인 1942년 4월 1일에 어뢰 2발을 더 발사했고, 이번에는 1발이 나카의 우현에 명중했다.[5] 는 심하게 손상된 나카를 자바의 반탐 만으로 예인하여 임시 수리를 받게 했고, 이후 나카는 싱가포르로 이동했다. 피해가 심각하여 일본으로 돌아가 1943년 4월까지 수리와 개장을 받았다.

4. 전후

오아라이 이소자키 신사에는 1983년에 나카의 충혼비가 세워졌으며, 나카가 전몰한 2월 17일에는 위령제가 열리고 있다.[13][14]

오아라이 이소자키 신사에 있는 군함 나카 충혼비 (2013년 11월 4일 촬영)


충혼비 옆의 함영, 함력, 승무원 명부 (2013년 11월 4일 촬영)

5. 역대 함장

※ 『함장들의 군함사』 166-169쪽, 『일본 해군사』 제9권・제10권의 "장관 이력" 및 『관보』에 근거한다.

참조

[1] 서적 Japanese Cruisers
[2] 웹사이트 The capture of Tarakan Island, January 1942 https://warfare.gq/d[...] 1999–2000
[3] 웹사이트 The conquest of Java Island, March 1942 https://warfare.gq/d[...] 1999–2000
[4] 서적 Bloodstained Sands: U.S. Amphibious Operations in World War II
[5] 웹사이트 The Mystery of Christmas Island, March 1942 https://warfare.gq/d[...] 1999–2000
[6]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2年12月1日)
[7] 문서 川内神通阿武隈那珂製造一件(4)
[8] 문서 東京海軍監督報告(1)
[9] 문서
[10] 문서 日本軍艦集2600年版
[11] 문서 艦艇類別等級(昭和16年12月31日)
[12] 문서 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13] 웹사이트 軍艦那珂忠魂碑 https://www.oarai-is[...] 2024-02-17
[14] 뉴스 きょう巡洋艦「那珂」慰霊祭/80年節目 国防に思い/本土空襲本格化や特攻隊編成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2-17
[15] 문서 軽巡二十五隻
[16] 문서 達大正1年8月
[17] 문서 達大正10年3月
[18] 문서 達大正10年6月
[19] 문서 三菱、20話
[20]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2年12月1日)
[21]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2年12月1日)
[22] 문서 軍艦加古工事に関する件
[23] 문서 達大正11年10月
[24] 문서 達大正11年10月
[25] 문서 三菱、20話
[26] 문서 三菱、20話
[27] 문서 連合艦隊第1艦隊(9)
[28] 문서 東京海軍監督報告(1)
[29] 문서 東京海軍監督報告(1)
[30] 문서
[31] 문서 日本巡洋艦物語
[32] 문서 三菱、20話
[33] 문서
[34] 문서 川内神通阿武隈那珂製造一件(4)
[35] 문서 川内神通阿武隈那珂製造一件(4)
[36] 간행물 軽巡洋艦『川内・神通・那珂』行動年表
[37] 문서 神通蕨那珂葦衝突報告(1)
[38] 문서 黒き日本海に消ゆ
[39] 문서 神通蕨那珂葦衝突報告(7)
[40] 문서 神通蕨那珂葦衝突報告(1)
[41] 문서 神通蕨那珂葦衝突報告(7)
[42] 문서 神通蕨那珂葦衝突報告(1)
[43] 간행물 軽巡洋艦『川内・神通・那珂』行動年表
[44] 문서 夕霧初雪遭難事件報告(1)
[45] 문서 初雪遭難詳報(5)
[46] 문서 夕霧初雪遭難事件報告(1)
[47] 문서 夕霧初雪遭難事件報告(1)
[48] 웹사이트 昭和14年11月15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3360号 p.35 https://www.jacar.ar[...] 아시아역사자료센터
[49] 웹사이트 昭和14年11月25日(発令11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406号 p.4 https://www.jacar.ar[...] 아시아역사자료센터
[50] 웹사이트 昭和14年11月30日(木)海軍公報(部内限)第3372号 p.27 https://www.jacar.ar[...] 아시아역사자료센터
[51] 문서 戦史叢書26海軍進攻作戦
[52] 문서 昭和17年度帝国海軍戦時編制
[53] 문서 昭和17年度帝国海軍戦時編制
[54] 문서 昭和17年戦時編制・駆逐隊他
[55]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56]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57]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58] 서적 The Army Air Forces in World War II, Volume One
[59]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0]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1]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2]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3]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4]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5]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6]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7]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68]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69] 서적 戦史叢書第24巻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70]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71]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72]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73]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74]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75] 서적 連合国海軍の状況
[76] 서적 敵水上部隊、わが泊地を奇襲
[77]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78]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79] 웹사이트 The conquest of Java Island, March 1942 http://www.dutcheast[...] 1999-2000
[80] 서적 敵有力水上部隊出現(二月二十七日)
[81] 서적 第一次昼戦(自一七二五 至一八五〇)
[82] 서적 第二次昼戦(自一八五〇 至一九五〇)
[83] 서적 連合軍側の状況
[84] 서적 クリスマス島の攻略
[85] 서적 那珂被雷す
[86] 서적 日本軽巡戦史
[87] 서적 日本軽巡戦史
[88] 서적 日本水雷戦史
[89]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90] 서적 戦史叢書第26巻 蘭印・ベンガル湾方面海軍進攻作戦
[91] 서적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98] 문서
[99] 문서
[100] 문서
[101] 문서
[102] 문서
[103] 문서
[104] 문서
[105] 문서
[106] 문서 S1709舞鎮日誌 p.5「(a)損傷復舊工事 大潮、那珂及霞ノ特定修理、損傷復舊工事ハ前月ニ引續キ豫定通順調ニ進捗シツツアリ/不知火九月三日入港損傷調査竝修理實施準備ヲ爲シツツアリ」 "#S1709舞鎮日誌"
[107] 문서 S1711舞鎮日誌 p.5「(a)損傷復舊工事 大潮、那珂、霞及不知火ハ概ネ豫定通進捗中/初春六日入港工事ニ着手シ中央要求ニ即應極力工事促進中」 "#S1711舞鎮日誌"
[108] 문서 軽巡二十五隻 132頁 "#軽巡二十五隻"
[109] 문서 S1803舞鎮日誌(1) pp.6-7「(a)損傷復舊工事 霞不知火初春何レモ豫定通工事進捗中/那珂ハ三十一日工事完成セリ (b)修理工事 龍田 操舵装置修理豫想外ニ困難ニシテ一日試運轉ノ結果徹底的修理ヲ要スルコトトナリ陸揚修理二十七日試運轉成績良好二十八日出動セリ/太刀風八日、日進十三日、利根十六日}整備完成何レモ出動/刈萱 整備工事中/眞鶴(十六日)、長波(十七日)、木曾(二十日)、室戸(二十三日)何レモ附記ノ通入港極力整備工事中」 "#S1803舞鎮日誌(1)"
[110]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1) p.4『當戦隊ハ四月一日附編成内南洋部隊ニ編入セラレ四月二十五日横須賀出撃四月三十日「トラック」着警戒任務ニ就ク』 "#S1804十四戦隊日誌(1)"
[111]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1) p.6「五十鈴ハ横浜浅野船渠ニ在リテ改造修理工事ニ従事」 "#S1804十四戦隊日誌(1)"
[112]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310ページ
[113]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329ページ
[114]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344-345ページ
[115]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345ページ
[116] 문서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369頁「横二特のナウル進出」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17] 서적 日本軽巡戦史、471-472ページ
[118]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1) p.29『…25日0500「ナウル」着増援隊ヲ揚搭ス、仝地ニ於テ浜風ノ指揮ヲ解キ当隊及谷風ハ同日0945「ナウル」発28日0832「トラック」着尓後防備警戒任務ニ就ク』 "#S1804十四戦隊日誌(1)"
[119]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354ページ
[120] 문서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384頁「第十四戦隊のラバウルへの緊急輸送」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21] 문서 S1806二水戦日誌(2) p.5『海風(AdB十五日以後YBニ編入)ハ前月二十五日以降佐廠ニテ入渠修理中ノ處八月十五日完成十六日佐世保發十六日内海ニテ主力部隊ニ合同「トラック」ニ進出二十三日「トラック着司令驅逐艦トナル二十五日24dg(海風涼風)ハ14S(那珂)高雄ト共ニ「トラック」至「ラバウル」同増援部隊輸送ノ爲「トラック」出撃二十七日「ラバウル」着揚陸後即日同發二十九日「トラック」ニ歸投ス』 "#S1806二水戦日誌(2)"
[122] 문서 戦隊行動調書 p.14『14S|八.二五「ラバウル」方面緊急輸送(将旗14S)那珂高雄24dg(海風涼風)』 "#戦隊行動調書"
[123] 문서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434頁「歩兵第百二十二聯隊のマーシャル進出」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24] 서적 日本軽巡戦史 476ページ
[125] 문서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398頁「米潜水艦の跳梁と被雷した知床の救援」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26]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3) p.3『(ハ)13日0036知床ノ280度1000米ニ浮上潜水艦発見攻撃運動中0102{{coor dm|08|27.5|N|164|37|E|}}ニテ左舷艦首近距離ニ雷撃2本受ケタルモ雷跡那珂左舷約三十米ヲ通過シ被害ナシ、射点附近ニ爆雷投射九個効果不明、0447再ビ雷撃1ヲ受ケタルモ水面跳出被害ナシ、射点附近ニ爆雷投射三個効果不明』 "#S1804十四戦隊日誌(3)"
[127] 서적 日本軽巡戦史 479ページ
[128] 문서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436-438頁「第十七師団の南東方面への派遣」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29] 문서 戦隊行動調書 p.14『10.5 丁四号輸送作戦(将旗14S) 14S木曾多摩栗田丸日枝丸護国丸清澄丸4dg(野分舞風)山雲』 "#戦隊行動調書"
[130]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3) p.29『21日|0004第一次輸送隊「ニューアイルランド」島「セントヂョージ」岬沖ニテ敵機ト交戦木曽爆弾1命中』 "#S1804十四戦隊日誌(3)"
[131]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4) p.9『木曽ハ約十節ニテ卯月ノ護衛下ニ0315迄敵機18機ノ執拗ナル攻撃ヲ撃退、0500以後味方直衛機及五月雨ノ増援ヲ得テ1130「ラバウル」着1410火災鎮火排水…』 "#S1804十四戦隊日誌(4)"
[132]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4) p.10「GF電令作特第一号(GFキデ230758)ニ依リ多摩、木曽ハ丁四号輸送部隊ヨリ除カル」 "#S1804十四戦隊日誌(4)"
[133] 문서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417頁『米潜の機動部隊搭乗員の救助と「間宮」の救援』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34]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3) p.16「(3)五十鈴ハGF電令作第760号ニ依リ敵潜ノ雷撃ヲ受ケ航行不能ノ間宮曳航ノ為12日2230分離現場ニ急行セシム」 "#S1804十四戦隊日誌(3)"
[135] 문서 軽巡二十五隻 136頁「危うくかわす魚雷三本」 "#軽巡二十五隻"
[136]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4) p.14「第二輸送隊21日0845上海発22日0213及0217ノ二回ニ亙リ雷撃2(位置{{coor dm|28|40|N|124|10|E|}})ヲ受ケタルモ被害ナシ、那珂山雲ヲシテ攻撃制圧セシム」 "#S1804十四戦隊日誌(4)"
[137] 문서 軽巡二十五隻 141頁(後日艦内調査で漏水箇所発見、魚雷胴体擦過時の損傷と推定) "#軽巡二十五隻"
[138] 문서 戦隊行動調書 p.14「10.30 17dg(浦風磯風)指揮下ニ入ル」 "#戦隊行動調書"
[139]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4) p.18 "#S1804十四戦隊日誌(4)"
[140] 문서 S1804十四戦隊日誌(4) pp.18-19「1129、{{coor dm|2|00|S|151|31|E|}}ニ於テ第一次B-24型19機来襲銃爆撃、当隊之ト交戦1220第二次B-24型21機再ビ来襲、之ト交戦敵機ハ爆撃セズ1254之ヲ撃退セリ」 "#S1804十四戦隊日誌(4)"
[141] 문서 那珂(司令部ヲ含ム)戦死 准士官以上1 下士官兵6/重軽傷 准士官以上8 下士官兵12
[142] 문서 1215|磯風ハ清澄丸ノ左舷、那珂ハ右舷ヲ警戒セシム(略)1445|五十鈴ハ清澄丸ヲ曳航開始速力約七節、那珂ハ前方、磯風ハ後方警戒ニ当ラシム
[143] 문서 当隊救難警戒ノタメ若月ヲ急派セラレ4日0040来着当隊合同セシモNTFキデ032043ニ依リ4日0420分離「ラバウル」ニ先行セシム
[144] 문서 四日1020 十七駆(浦風)護国丸「ラバウル」着
[145] 문서 四日0700 第十四戦隊、清澄丸(五十鈴曳航)、磯風、水無月「カビエン」泊地着
[146] 서적 軽巡二十五隻
[147] 서적 佐藤 艦長(文庫)
[148] 문서 1629 出港時磯風推進器附近ニ触雷 磯風清澄丸ハ「カビエン」ニ残シ那珂、五十鈴ノミヲ率ヒ1630「ラバウル」ニ向ケ「カビエン」発
[149] 문서 11月4日1817GF電令作第786号ニ依リ17駆(浦風、磯風)ヲNTB(南東方面部隊)YBニ編入
[150] 서적 佐藤 艦長(文庫)
[151] 문서 戦果 撃墜15-6機(重複アルベシ) 被害ナシ
[152] 서적 軽巡二十五隻
[153] 문서 第十四戦隊及護国丸6日0430「トラック」ニ向ケ「ラバウル」発9日0015「トラック」着
[154] 문서 第三次輸送隊(野分、舞風、山雲、日枝丸)及神威丸、日威丸7日1100「トラック」着
[155] 문서 改編丁四号輸送部隊(四駆、日枝丸)NTB電令作第128号(NTBキデ081047)ニ依リ9日0430「ラバウル」ニ向ケ「トラック」発
[156] 서적 タラワ増援作戦部隊の編成
[157] 서적 在ポナペ甲支隊のギルバートへの増援準備
[158] 서적 ギルバートへの増援逆上陸の中止と甲支隊及び南洋第一支隊のクサイ、ミレへの転進
[159] 서적 彼我の死傷者数及びギルバート作戦の及ぼす影響
[160] 서적 米機動部隊マーシャル来襲
[161] 문서 11.11〜12.10「マーシャル」方面陸軍輸送
[162] 서적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63] 서적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64] 간행물 昭和19年1月10日(発令1月1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96号 p.45 C130720952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5] 서적 松永、ネイビー
[166] 서적 那珂の戦闘状況
[167] 문서 (リ)十六日阿賀野「トラック」発佐世保回航中一六四五北緯十度十分東経百五十一度四十分ニ於テ敵潜ノ雷撃ヲ受ケ二本命中十七日〇一四五沈没
[168] 문서 UNB機密第161842番電 UNB信電令第37號 一.十四戰隊司令官ハ那珂ヲ率ヰ準備出来次第出港阿賀野ノ救難ニ任ズベシ/二.第四工作部長ハ救難隊ヲ那珂ニ乗艦セシメ右救難ニ関シ十四戰隊司令官ノ指揮ヲ受ケシムベシ/三.四根司令官ハ艦艇航空機ヲシテ之ガ警戒ニ任ゼレムベシ
[169] 서적 軽巡二十五隻
[170] 서적 軽巡二十五隻
[171] 서적 軽巡二十五隻
[172] 서적 軽巡二十五隻
[173] 서적 死闘九時間の果てに
[174] 서적 名取短艇隊
[175] 문서 その後の「那珂」の運命
[176] 書籍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77] 書籍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78]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9年2月28日(発令2月28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48号
[179] 書籍 戦隊行動調書
[18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9年3月6日(発令3月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56号
[181] 内令 内令昭和19年3月(5)
[182] 内令 内令昭和19年3月(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