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탄 자이베르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탄 자이베르그는 1956년 이스라엘에서 태어난 이론 물리학자이다. 그는 텔아비브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자이베르그는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자이베르그 이중성 및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발견했고, 끈 이론, 등각장론, 비가환 양자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996년 맥아더 펠로우십, 1998년 대니 하이네만 수학물리상, 2012년 기초 물리학 분야 브레이크스루상 등을 수상했으며,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및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 데이비드 도이치
    이스라엘 태생의 영국 물리학자 데이비드 도이치는 양자 컴퓨팅 이론의 선구자로서 양자 알고리즘 연구와 도이치-조자 알고리즘 개발에 기여했으며, 생성자 이론 연구와 과학적 설명 기준으로 불변량 제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 유리 골판드
    유리 골판드는 위키백과의 빈 문서 처리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며, 빈 문서의 생성 원인, 유형, 처리 방침을 설명하고, 다국어 통합, 관리, 예방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 텔아비브 대학교 동문 - 아리엘 샤론
    아리엘 샤론은 이스라엘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서, 이스라엘 방위군 장군으로 여러 전쟁에서 활약하고 총리를 역임했으며, 사브라-샤틸라 학살 논란과 가자 지구 철수 계획 실행 등 찬반 논쟁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다.
  • 텔아비브 대학교 동문 - 이츠하크 헤르초그
    이스라엘 제11대 대통령인 이츠하크 헤르조그는 전 대통령의 아들이자 노동당 대표 및 장관직을 역임한 정치인 출신으로, 사회 통합과 국제 관계 증진에 힘쓰고 있으나 일부 발언으로 논란을 겪고 있다.
  • 끈이론학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끈이론학자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나탄 자이베르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나탄 자이베르그
원어 이름(히브리어)
로마자 표기Natan Jai-beu-reu-geu
영어 이름Nathan Seiberg
출생일1956년 9월 22일
출생지이스라엘 텔아비브
국적미국, 이스라엘
학문 분야
분야이론물리학
직장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럿거스 대학교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모교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텔아비브 대학교
지도교수하임 하라리()
저명한 업적합리적 정형 장론
사이베르그-위튼 이론
사이베르그-위튼 불변량
사이베르그 이중성
3차원 거울 대칭
사이베르그-위튼 사상
수상맥아더 펠로십 (1996년)
대니 하이너먼 수리물리학상 (1998년)
기초물리학상 (2012년)
디랙 메달 (2016년)
저명한 제자시라즈 민왈라

2. 생애

1956년 9월 22일 텔아비브에서 태어났다. 1977년에 텔아비브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77년부터 1982년까지 이스라엘 방위군에 복무하였다. 1982년에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이후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럿거스 대학교 교수를 거쳐 1997년부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1]

3. 주요 업적

나탄 자이베르그는 초대칭 게이지 이론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mathcal N=1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의 자이베르그 이중성\mathcal N=2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의 자이베르그-위튼 이론 발견은 4차원 다양체의 위상수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4]

에드워드 위튼과 함께 4차원 N=2 초대칭 이론의 역학을 연구하여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만들었고, 갇힘, 카이랄 대칭 깨짐, 전기-자기 이중성 등 현상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하는 정확한 표현식을 찾았다.[14]

그의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이안 애플렉, 마이클 다인과 함께 초대칭 장론에서 비섭동 효과를 연구하여, 4차원 장론의 비섭동 효과가 초대칭 비재규화 정리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다.[4]
  • 마이클 다인과 함께 끈 이론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했다. 특히, 글루이노 응축 기반 초대칭 깨짐 메커니즘을 제안했다.[5]
  • 그레고리 무어와 함께 유리 등각장론을 연구하여 모듈러 텐서 범주를 발명했다.[8]
  • 케네스 인트릴리게이터와 함께 2차원 거울 대칭을 연상시키는 3차원 N=4 초대칭 이론에서 새로운 종류의 이중성인 3차원 거울 대칭을 발견했다.[16]
  • BFSS 행렬 모델 연구의 일환으로 작은 끈 이론을 발견했다.[21]
  • 에드워드 위튼과 함께 열린 끈을 포함하는 이론의 특정 저에너지 극한(자이베르그-위튼 극한)을 식별하고, 이 극한에서 역학이 비가환 양자장론이 됨을 보였다.[22]
  • 다비데 가이오토, 안톤 카푸스틴, 브라이언 윌렛과 함께 고차 형식 전역 대칭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 속성과 응용을 연구했다.[24]

3. 1. 초대칭 게이지 이론

자이베르그는 \mathcal N=1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 대한 자이베르그 이중성\mathcal N=2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 대한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발견하였다. 후자는 4차원 다양체의 위상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4]

1990년대에 자이베르그는 홀로모피가 섭동 초대칭 비재규화 정리의 근본적인 이유라는 것을 깨달았고,[10] 이를 사용하여 4차원의 여러 N=1 초대칭 게이지 이론을 포함한 복잡한 장론에서 정확한 결과를 찾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이론들은 카이랄 대칭 깨짐의 유무에 따른 갇힘 현상과 새로운 종류의 전기-자기 이중성인 자이베르그 이중성과 같은 예상치 못한 풍부한 현상을 보여준다.[11] 케네스 인트릴리게이터와 자이베르그는 더 많은 모델을 연구하고 강의 노트를 통해 이 주제를 요약했다.[12] 나중에 인트릴리게이터, 자이베르그, 그리고 데이비드 시는 이러한 역학에 대한 이해를 사용하여 준안정 진공에서 동역학적 초대칭 깨짐을 갖는 4차원 모델을 제시했다.[13]

자이베르그와 에드워드 위튼은 4차원 N=2 초대칭 이론의 역학을 연구하여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만들었다. 그들은 몇 가지 관심 있는 양에 대한 정확한 표현식을 찾았다. 이는 갇힘, 카이랄 대칭 깨짐, 전기-자기 이중성과 같은 흥미로운 현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14] 이러한 통찰력은 위튼에 의해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을 도출하는 데 사용되었다. 나중에 자이베르그와 위튼은 그들의 연구를 3차원으로 축소된 4차원 N=2 이론으로 확장했다.[15]

3. 2. 초끈 이론 및 기타

자이베르그는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 중요한 발견들을 했다. 특히, 자이베르그 이중성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은 4차원 다양체의 위상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4]

그의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초대칭 장론의 비섭동 효과 연구: 이안 애플렉, 마이클 다인과 함께 초대칭 장론에서 비섭동 효과를 연구하여, 4차원 장론의 비섭동 효과가 초대칭 비재규화 정리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다. 이를 통해 동역학적인 초대칭 깨짐을 갖는 4차원 모델을 발견했다.[4]

  • 끈 이론 연구: 마이클 다인과 함께 끈 이론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했다. 특히, 글루이노 응축 기반 초대칭 깨짐 메커니즘을 제안하고,[5] 파예-일리오풀로스 D-항과 유사한 항이 끈 이론에서 발생함을 보였다.[6] 또한, 끈 세계면에서 인스턴턴을 연구했다.[7]

  • 유리 등각장론 연구: 그레고리 무어와 함께 유리 등각장론을 연구하여 모듈러 텐서 범주를 발명하고 그 속성을 설명했다.[8] 또한, 위튼의 위상적 천-사이먼스 이론과 해당 유리 등각장론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여, 이는 나중에 수학과 물질의 위상적 위상 연구에 사용되었다.[9]

  • 4차원 N=1 초대칭 게이지 이론 연구: 홀로모피가 섭동 초대칭 비재규화 정리의 근본 이유임을 깨닫고,[10] 이를 통해 4차원의 여러 N=1 초대칭 게이지 이론을 포함한 복잡한 장론에서 정확한 결과를 찾는 연구를 시작했다. 이 이론들은 갇힘 현상, 자이베르그 이중성 등 예상치 못한 현상을 보였다.[11] 케네스 인트릴리게이터와 함께 더 많은 모델을 연구하고 강의 노트를 통해 요약했으며,[12] 이후 준안정 진공에서 동역학적 초대칭 깨짐을 갖는 4차원 모델을 제시했다.[13]

  • 3, 4, 5, 6차원 초대칭 이론 연구: 다양한 협력자들과 함께 3, 4, 5, 6차원에서 많은 초대칭 이론을 연구했다. 3차원 N=2 초대칭 이론[17]과 그 이중성이 4차원 N=1 이론과 관련 있음을 보였고,[18] 5차원 N=2 초대칭 이론을 발견[19]하고 분석했다.[20]

  • 작은 끈 이론 발견: BFSS 행렬 모델 연구의 일환으로 작은 끈 이론을 발견했다.[21] 이는 국소 양자장 이론이 아닌 끈 이론의 중력 없는 극한이다.

  • 비가환 양자장론 연구: 에드워드 위튼과 함께 열린 끈을 포함하는 이론의 특정 저에너지 극한(자이베르그-위튼 극한)을 식별하고, 이 극한에서 역학이 비가환 양자장론이 됨을 보였다. 또한, 표준 게이지 이론과 비가환 공간상의 게이지 이론 사이의 맵(자이베르그-위튼 맵)을 제시했다.[22] 시라즈 민왈라, 마크 반 라암스동크와 함께 비가환 공간상의 장론에서 UV/IR 혼합 현상을 발견했다.[23]

  • 고차 형식 전역 대칭 연구: 다비데 가이오토, 안톤 카푸스틴, 브라이언 윌렛과 함께 고차 형식 전역 대칭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 속성과 응용을 연구했다.[24]

4. 수상 경력

나탄 자이베르그는 1996년 맥아더 펠로우십 수상자였으며,[1] 1998년 대니 하이네만 수학물리상을 수상했다.[2] 2012년 7월에는 물리학자이자 인터넷 기업가인 유리 밀너가 제정한 기초 물리학 분야 브레이크스루상의 초대 수상자였다.[3] 2016년에는 ICTP 디랙 메달을 수상했다. 그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및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다.

연도상 이름
1995년오스카 클라인 메달
1998년하이네만상 수리물리 부문
2012년기초물리학 브레이크스루상
2016년ICTP 디랙 메달


참조

[1] 웹사이트 Array of Contemporary American Physicists: Nathan Seiberg http://www.aip.org/h[...]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11-07-20
[2] 웹사이트 Heineman Prize: Nathan Seiberg http://www.aps.org/p[...] American Physical Society 2011-07-20
[3] 웹인용 New annual US$3 million Fundamental Physics Prize recognizes transformative advances in the field https://breakthrough[...] 2012-08-03
[4] 논문 Dynamical supersymmetry breaking in supersymmetric QCD 1984
[5] 논문 Gluino condensation in superstring models 1985
[6] 논문 Fayet-Iliopoulos Terms in String Theory 1987
[7] 논문 Nonperturbative effects on the string world sheet 1986
[8] 논문 Classical and Quantum Conformal Field Theory 1989
[9] 간행물 Lectures on RCFT https://www.physics.[...] 1989
[10] 논문 Naturalness versus supersymmetric nonrenormalization theorems 1993
[11] 논문 Exact results on the space of vacua of four-dimensional SUSY gauge theories 1994
[12] 논문 Lectures on supersymmetric gauge theories and electric-magnetic duality 1996
[13] 논문 Dynamical SUSY breaking in meta-stable vacua 2006
[14] 논문 Electric - magnetic duality, monopole condensation, and confinement in N=2 supersymmetric Yang-Mills theory 1994
[15] 간행물 Gauge dynamics and compactification to three-dimensions 1996
[16] 논문 Mirror symmetry in three-dimensional gauge theories 1996-10
[17] 논문 Aspects of N=2 supersymmetric gauge theories in three-dimensions 1997
[18] 논문 3d dualities from 4d dualities 2013
[19] 논문 Five-dimensional SUSY field theories, nontrivial fixed points and string dynamics 1996
[20] 논문 Extremal transitions and five-dimensional supersymmetric field theories 1997
[21] 논문 New theories in six-dimensions and matrix description of M theory on T**5 and T**5 / Z(2) 1997
[22] 논문 String theory and noncommutative geometry 1999
[23] 논문 Noncommutative perturbative dynamics 2000
[24] 논문 Generalized Global Symmetries 201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