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사이먼스 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사이먼스 이론은 천싱선과 제임스 시몬스가 정의한 천-사이먼스 형식을 기반으로 하는 이론으로, 3차원 다양체에서 정의되는 위상 양자장론의 일종이다. 이 이론은 굽힘의 성질을 드람 코호몰로지로 나타내는 천-베유 이론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응집물질물리학 분야에서 분수 양자 홀 효과 및 위상 절연체 연구에 활용된다. 수학적으로는 유향 콤팩트 3차원 매끄러운 다양체와 리 군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천-사이먼스 범함수를 통해 정수 레벨을 갖는 양자 이론을 얻는다. 고전적 천-사이먼스 이론은 평탄한 주접속을 가지며, 해밀턴 역학, 양자화, 초대칭 이론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응용 분야로는 3차원 양자 중력, 분수 양자 홀 효과, 끈 이론 등이 있으며, 맥스웰 이론이나 양자 홀 효과 등에도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듭 이론 - 꼬임군 (위상수학)
    꼬임군은 n개의 가닥 꼬기 연산을 연구하는 수학적 구조로, 꼬임들의 연결을 통해 군 연산을 수행하며 매듭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매듭 이론 - 소 매듭
    소 매듭은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매듭의 기본 요소로, 유한 개의 유향 소 매듭들의 연결합으로 모든 유향 매듭을 표현할 수 있으며, 교차수에 따라 분류되어 세잎 매듭과 8자 매듭 등이 있다.
  • 양자장론 - 페르미-디랙 통계
    페르미-디랙 통계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는 페르미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양자 통계로, 금속 내 전자 현상 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페르미 입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를 점유할 확률을 나타낸다.
  • 양자장론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천-사이먼스 이론
개요
유형3차원 위상 양자장론
작용천-사이먼스 형식
관련 항목
연관된 수학적 구조매듭 이론
바일 대수
푸아송 다양체

2. 역사적 배경

"천-사이먼스"라는 이름은 이 이론의 작용이 수학적으로 3차 천-사이먼스 형식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이는 천싱선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가 정의하였다.

1940년대 S. S. 천A. 베유는 매끄러운 다양체의 전역적인 곡률 성질을 드람 코호몰로지(천-베유 이론)로 연구했는데, 이는 미분 기하학에서 특성류 이론의 중요한 단계였다.

1974년 S. S. 천과 J. H. 사이먼스는 (2''k'' - 1)-형식 ''df''(''ω'')를 구체적으로 구성했다. 이 형식을 천-사이먼스 형식이라고 한다.

천-사이먼스 불변량 CS(''M'')은 순수한 조합론적 공식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경계 항이다. 또한, 천-사이먼스 항은 아티야, 패토디, 싱어가 정의한 에타 불변량으로 설명된다.

게이지 불변성과 메트릭 불변성은 천-베유 이론에서 수반 리 군 작용 하에서의 불변성으로 볼 수 있다. 물리학의 양자장론의 작용 적분(경로 적분 공식)은 천-사이먼스 형식과, ''M'' 위의 벡터 다발의 홀로노미인 윌슨 루프의 라그랑지안 적분으로 간주된다.

3. 수학적 기초

천-사이먼스 이론은 3차원 유향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서 정의되는 주접속들의 공간을 수학적 기반으로 한다.

3. 1. 천-사이먼스 범함수

Chern–Simons functional영어 (천-사이먼스 범함수)는 3차원 유향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 M 위의 주접속들의 공간을 게이지 변환군으로 나눈 몫공간 \mathcal A(M,G) = \frac{\Omega^1(M;\mathfrak g)}{\mathcal C^\infty(M,G)}에서 U(1)으로 가는 함수이다. 여기서 G연결 단일 연결 콤팩트 단순 리 군이며, \mathfrak g는 그 실수 리 대수이다.

:\exp(2\pi\mathrm iS) \colon \mathcal A(M,G) \to \operatorname U(1)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우선, G-주다발 P의 주접속 A \in \operatorname{Conn}(P)가 주어졌을 때, 다음을 선택한다.

  • M에서 공집합으로 가는 보충 경계 \tilde M. 즉, \tilde M은 유향 4차원 경계다양체이며, \partial\tilde M = M이다. (이러한 \tilde M은 항상 존재한다.)
  • \partial\tilde M의 근방 U 및 미분 동형 U \cong M \times [0,1).
  • 매끄러운 단면 s\in\Gamma(P). 이는 표준적으로 동형 사상 \operatorname{Conn}(P) \cong \Omega^1(M;\mathfrak g)를 정의한다. 즉, 아핀 공간의 원점을 정의하여 벡터 공간으로 만든다. 따라서 A \in \Omega^1(M;\mathfrak g)로 간주할 수 있다.
  • 표준적 사영 함수 \pi\colon U \cong M\times[0,1) \to M에 대하여, \tilde A \restriction U = \pi^*A \in \Omega^1(U;\mathfrak g)가 되는 \tilde A \in \Omega^1(\tilde M;\mathfrak g).


그러면, 다음을 정의한다.

:S(A) = \frac12\int_{\tilde M} \operatorname{tr}\left(\frac F{2\pi}\wedge \frac F{2\pi}\right)

이 값은 (\tilde M,U,\tilde A)의 선택에 대하여 불변이다.

사실, 구체적으로

:F^2 = \mathrm d\operatorname{CS}[\tilde A]

가 되는 3차 미분 형식 \operatorname{CS}[\tilde A]\in\Omega^1(\tilde M;\mathfrak g)가 존재하며, 이를 '''천-사이먼스 형식'''이라고 한다. \mathfrak g의 임의의 충실한 행렬 표현에서 이는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CS}[A] = \operatorname{tr}\left(F\wedge A - \frac13 A\wedge A\wedge A\right)

스토크스 정리에 따라서

:S = \frac1{2(2\pi)^2}\int_M \operatorname{CS}[A]

이다.

S는 일반적으로 주다발 매끄러운 단면 s \in \Gamma(P)의 선택에 의존한다. 주다발의 정의에 의하여, \Gamma(P)는 게이지 변환군 \mathcal C^\infty(M,G)의 주동차 공간(principal homogeneous space, torsor영어)이다. 즉, 임의의

:s,s'\in \Gamma(P)

에 대하여 항상

:s' = sg

인 게이지 변환 g \in \mathcal C^\infty(M,G)가 존재한다. s에 게이지 변환을 가하는 것은 A \in \Omega^1(M;\mathfrak g)에 게이지 변환을 가하는 것과 동치이다.

이 경우, S는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

:S[A\cdot g] = S[A] + \deg g

여기서 \deg g \in\mathbb Z정수이다.

따라서, S\mathcal A=\Omega^1(M;\mathfrak g) / \mathcal C^\infty(M,G) 위에 잘 정의되지 않는다. 그러나

:\exp(2\pi\mathrm iS) \colon \mathcal A \to \operatorname U(1)

은 잘 정의된다.

4. 고전적 천-사이먼스 이론

고전적 천-사이먼스 이론은 천-사이먼스 범함수를 작용으로 하는 고전 장론이다. 이 경우,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의 해는 천-사이먼스 범함수의 변분이 0이 되게 하는 주접속, 즉 평탄 주접속이다.[37]

천-사이먼스 이론은 경계가 있든 없든 모든 위상 3-다양체 ''M''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이 이론은 슈바르츠 형 위상장론이므로 ''M''에 계량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

천-사이먼스 이론은 게이지 이론으로, 게이지 군 ''G''를 갖는 ''M'' 위의 천-사이먼스 이론에서 고전적 구성은 ''M'' 위의 주 ''G''-다발에 의해 설명된다. 이 다발의 접속은 접속 1-형식 ''A''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리 대수 '''g'''의 리 군 ''G''에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접속 ''A''는 개별 좌표 패치에서만 정의되며, 서로 다른 패치에서의 ''A'' 값은 게이지 변환이라고 하는 맵에 의해 관련된다. 이는 공변 미분, 즉 외 미분 연산자 ''d''와 접속 ''A''의 합이 게이지 군 ''G''의 수반 표현으로 변환된다는 주장으로 특징지어진다. 자기 자신과의 공변 미분의 제곱은 곡률 형식 또는 장 세기라고 하는 '''g'''-값을 갖는 2-형식 ''F''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수반 표현으로 변환된다.

천-사이먼스 이론의 작용 ''S''는 천-사이먼스 3-형식의 적분에 비례한다.

:S=\frac{k}{4\pi}\int_M \text{tr}\,(A\wedge dA+\tfrac{2}{3}A\wedge A\wedge A).

상수 ''k''는 이론의 ''레벨''이라고 불린다. 천-사이먼스 이론의 고전 물리학은 레벨 ''k''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고전적으로 이 시스템은 장 ''A''의 변화에 대한 작용의 극값인 운동 방정식으로 특징지어진다. 장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표현된다.

:0=\frac{\delta S}{\delta A}=\frac{k}{2\pi} F.

그러므로 고전적인 운동 방정식은 곡률이 모든 곳에서 사라질 때에만 만족되며, 이 경우 연결은 ''평탄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G'' 천-사이먼스 이론에 대한 고전적 해는 ''M'' 위의 주 ''G''-다발의 평탄한 연결이다. 평탄한 연결은 기본 ''M'' 위의 비축약 사이클 주변의 홀로노미에 의해 완전히 결정된다. 더 정확하게는, 이는 ''M''의 기본군에서 게이지 군 ''G''로의 준동형 사상의 동치류와 일대일 대응을 이룬다.

만약 ''M''이 경계 ''N''을 가지면, ''N'' 위의 주 ''G''-다발의 자명화 선택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데이터가 있다. 이러한 선택은 ''N''에서 ''G''로의 사상을 특징짓는다. 이 사상의 역학은 레벨 ''k''에서 ''N''에 대한 베스-주미노-위튼 모형(WZW) 모형에 의해 설명된다.

4. 1. 해밀턴 역학

천-사이먼스 이론은 해밀턴 역학으로 묘사할 수 있으며, 이는 기하학적 양자화에 유용하다. 이를 위해 시공간 M이 시간과 공간의 곱공간, 즉 M = \Sigma \times \mathbb R의 꼴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Sigma는 유향 콤팩트 곡면이다.

M의 꼴 때문에, A=(A_0,A_1,A_2)에 대해 '''바일 게이지''' (Weyl gauge영어)라는 게이지 고정 조건을 가할 수 있다.

:A_0=0

천-사이먼스 형식의 두 항

:\operatorname{tr}(A\wedge\mathrm dA)

:\operatorname{tr}(A \wedge A \wedge A) \propto f_{abc} A_0^a A_1^b A_2^c

가운데, 둘째 항은 항상 A_0을 포함하므로 0이 되며, 첫째 항의 경우 오직

:A_1 \partial_0 A_2 - A_2 \partial_0 A_1

만이 살아남는다. 즉, 이 게이지에서 작용은 다음과 같다.

:S=\frac k{8\pi}\int_0^1\mathrm dt\int_\Sigma\mathrm d^2x\,\epsilon^{ij}\operatorname{Tr}A_i\dot A_j

여기서 i,j=1,2이며, \Sigma 위의 부피 형식 \epsilon^{ij}을 임의로 골랐다. \Sigma가 2차원이므로, 이는 심플렉틱 다양체의 구조와 같다.

이 게이지에서 운동 방정식은 자명하다.

:\dot A_i=0

또한, 게이지 고정 조건에 의한 다음과 같은 제약 조건이 존재한다.[37]

:F_{ij}=0

따라서, 고전적으로 위상 공간\Sigma 위의 G-평탄 주접속(의 게이지 변환에 대한 동치류)의 모듈라이 공간 \mathcal M(\Sigma,G)이다.

평탄 주접속은 홀로노미

:\pi_1(\Sigma) \to G

에 의하여 완전히 분류된다. 여기서 \pi_1(-)은 (임의의 밑점에 대한) 곡면의 기본군이다. 이 위에는 G가 게이지 변환으로 작용하므로, 모듈라이 공간

:\mathcal M = \frac{\hom_{\operatorname{Grp}}(\pi_1(\Sigma),G)}G

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오비폴드를 이룬다. \Sigma심플렉틱 다양체 구조(부피 형식)로부터, \mathcal M은 (오비폴드 특이점을 무시하면) 심플렉틱 다양체 구조를 갖는다.

특히, 만약 \Sigma =\mathbb S^2가 2차원 구일 경우, \pi_1(\mathbb S^2) = 1(자명군)이므로 \mathcal M 역시 한원소 공간이다. 반면, 만약 M = \mathbb T^2(원환면)인 경우,

:\pi_1(\mathbb T^2) = \mathbb Z \times \mathbb Z

이므로

:\mathcal M(\mathbb T^2,G) = \frac{T \times T}{\operatorname{Weyl}(G)}

이다. 여기서 TG의 임의의 극대 원환면이며, \operatorname{Weyl}(G)는 그 위에 작용하는 바일 군이다.

5. 양자 천-사이먼스 이론

천-사이먼스 이론은 기하학적 양자화를 통해 양자화할 수 있다.[37][38] 양자장론은 일반적으로 경로 적분으로 정의되는데, 이 경우 경로 적분이 잘 정의되기 위해서는 특정 값(k)이 정수여야 한다. 이 정수 값을 (양자) 천-사이먼스 이론의 '''준위'''(level|레벨영어)라고 한다.

k = 0인 경우는 자명한 이론을 얻으며, k의 부호를 바꾸는 것은 매끄러운 다양체 M방향을 뒤집는 것과 같다. 따라서 일반성을 잃지 않고 k를 양의 정수로 놓을 수 있다.

위상 양자장론의 공리계에 따라, 3차원 다양체 \Sigma\times[0,1]에서 \Sigma에 대응하는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mathcal H(\Sigma)이 존재해야 한다. 평탄 주접속모듈라이 공간 \mathcal M은 자연스럽게 심플렉틱 구조를 가지며, \Sigma에 임의의 복소구조 J를 부여하면 \mathcal M은 켈러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켈러 구조의 기하학적 양자화를 사용할 수 있다.

5. 1. 힐베르트 공간

천-사이먼스 이론의 힐베르트 공간은 같은 리 군베스-추미노-위튼 모형의 등각 블록 공간과 표준적으로 동형이다.[37] 예를 들어, 리만 구의 경우 힐베르트 공간은 1차원이다. 원환면의 경우 힐베르트 공간은 아핀 리 대수의 무게 k(준위)의 적분 가능 표현들의 공간이다. 윌슨 고리를 삽입한 경우의 힐베르트 공간은 베스-추미노-위튼 모형에서 중간에 진공이 아닌 자명하지 않은 상태를 삽입한 등각 블록에 대응한다.

힐베르트 공간 \mathcal H_J는 곡면 \Sigma의 복소구조 J에 의존하며, 복소구조의 모듈라이 공간(타이히뮐러 공간 T_\Sigma) 위의 벡터 다발을 이룬다. 그러나 이 벡터 다발은 사영적으로 평탄한 주접속(projectively flat connection)을 지녀서, 사영 힐베르트 공간 P(\mathcal H)는 복소구조에 의존하지 않는다.

정준 양자화를 통해, M 내의 각 2차원 곡면 Σ에 대한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상태는 힐베르트 공간 내의 광선에 해당하며, Σ를 따라 M을 절단하면 경계를 가진 다양체가 되고, 이 경우 고전적으로 Σ의 역학은 WZW 모델에 의해 설명된다. 이 대응 관계는 양자역학적으로도 성립하며, 상태의 힐베르트 공간은 유한 차원이고, 레벨 k에서 G WZW 모델의 컨포멀 블록 공간과 정준적으로 동일하게 식별될 수 있다.

5. 2. 준위의 재규격화

양자화를 가하면, 천-사이먼스 이론의 준위 k가 바뀌게 된다. 즉, 게이지 군이 G이고, 고전적으로 준위가 k인 천-사이먼스 이론을 양자화하면, 측도의 게이지 변환 성질에 의하여 유효 천-사이먼스 준위가

:k'=k+h^\vee(G)

가 된다.[20][21] 여기서 h^\vee(G)G의 이중 콕서터 수이다.

다음과 같은 이론들을 생각하자.

  • 게이지 군이 G인 3차원 \mathcal N=0,1,2,3 양-밀스 이론에, 준위 k의 (초대칭) 천-사이먼스 항을 추가

이는 물론 위상 양자장론이 아니며, 오직 \mathcal N\le3만이 가능하다.[22] 이 경우, 초대칭의 수 \mathcal N에 따라 준위의 재규격화가 달라진다.[23] \mathcal N=1 (두 개의 초전하, 하나의 마요라나 페르미온)인 경우, 준위의 재규격화는 이중 콕서터 수의 절반이다. 이 경우 양자화 조건은 재규격화된 준위가 정수라는 것이다.

:k'=k+h^\vee(G)/2\in\mathbb Z

따라서, 이중 콕서터 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고전적 준위 k반정수가 된다. \mathcal N=2,3인 경우 재규격화가 없다.

초대칭 수 \mathcal N준위의 변화
\mathcal N=0k'=k+h^\vee(G)
\mathcal N=1k'=k+h^\vee(G)/2
\mathcal N=2,3k'=k



만약 천-사이먼스 게이지 이론에 물질을 추가하면, 일반적으로 더 이상 위상수학적이지 않게 된다. 하지만, 만약 n개의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추가하면, 패리티 이상 현상으로 인해 적분했을 때, 순수한 천-사이먼스 이론으로 이어지며 천-사이먼스 레벨이 −''n''/2만큼 일-루프 재규격화된다. 다시 말해, 페르미온 n개를 가진 레벨 k 이론은 페르미온이 없는 레벨 ''k'' − ''n''/2 이론과 동일하다.

6. 초대칭 천-사이먼스 이론

순수 천-사이먼스 이론에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추가하여 '''초대칭 천-사이먼스 이론'''(supersymmetric Chern–Simons theory영어)을 만들 수 있다.[25][26] 이 경우 페르미온은 운동 에너지 항이 없어 국소적 자유도를 갖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mathcal N=1,2,4 초대칭 천-사이먼스 이론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thcal N=1 초대칭 천-사이먼스 이론의 경우, 게이지 보손 A에 대응하는 마요라나 게이지노 \lambda를 추가하면 작용은 다음과 같다.

:S=\frac k{4\pi}\int_M\operatorname{tr}\left(A\wedge\mathrm dA-\frac23iA\wedge A\wedge A-\bar\lambda\lambda\,\operatorname{vol}_M\right)

여기서


  • \lambda는 3차원 마요라나 스피너 장이다. 굽은 공간에서, 이는 필바인을 통해 정의된다.
  • \operatorname{vol}_MM의 (3차) 부피 형식이다.


게이지노 장 \lambda의 작용은 리만 계량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는 운동항이 없어 보조장이므로, 페르미온의 경로 적분을 계산할 수 있고, 이렇게 페르미온을 적분해 없애면 원래 천-사이먼스 이론만이 남는다.

이 작용의 초대칭은 다음과 같다.[26]

:\delta A_i = \mathrm i\bar\epsilon \gamma_\mu\lambda

:\delta\chi = \frac12\gamma^{\mu\nu}F_{\mu\nu}\epsilon

여기서 \epsilon은 초대칭 매개 변수이다.

이는 물론 위상 양자장론으로서 (비초대칭) 천-사이먼스 이론과 같지만, 만약 천-사이먼스 항을 3차원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 추가할 경우 위와 같이 적절히 초대칭화된 천-사이먼스 항을 사용해야 한다.

7. 응용

천-사이먼스 이론은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응집물질물리학에서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설명하는 데 쓰인다.[31] 1989년에 2+1차원 천-사이먼스 이론이 분수 양자 홀계에 처음 사용되었다.[16] 천-사이먼스 이론은 라플린 파동 함수를 포함하며, 애니온의 존재를 예측한다.

끈 이론에서 초대칭 천-사이먼스 이론은 자주 나타난다. D-막의 세계부피 이론은 천-사이먼스 형태의 항들을 포함하며, 겹친 M2-막 위에 존재하는 이론(ABJM 이론) 또한 천-사이먼스 이론의 한 종류이다.

7. 1. 3차원 양자 중력

3차원 양자 중력은 천-사이먼스 이론의 일종으로,[27][28][29][30] 3차원에는 중력자가 국소적 질량껍질자유도를 갖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1982년, 스탠리 데저, 로먼 재키우와 S. 템플턴은 3차원에서 중력 이론의 아인슈타인-힐베르트 작용에 천-사이먼스 항을 추가하여 수정하는 천-사이먼스 중력 이론을 제안했다.

7. 2. 분수 양자 홀 효과

응집물질물리학에서, 천-사이먼스 이론은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설명하는 데 쓰인다.[31] 1989년에 2+1차원 천-사이먼스 이론이 분수 양자 홀계에 처음 사용되었다.[16]

천-사이먼스 이론이 분수 양자 홀계를 잘 기술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는 균일 밀도의 평균장 해로서 라플린 파동 함수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라플린 파동 함수는 홀수 분모의 란다우 준위 분수 양자 홀계의 매우 좋은 근사 기저 중 하나이다. (로버트 B. 라플린은 이 파동 함수의 발견으로 199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러나 짝수 분모의 분수 양자 홀계를 잘 기술하는지에 대해서는 2013년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천-사이먼스 이론의 들뜬 상태로서 천-사이먼스 게이지장의 요동이 소용돌이 모양이 되고 소용돌이도가 양자화되는 상태가 있다. 천-사이먼스 이론으로부터 예측되는 흥미로운 상태로 애니온의 존재가 있다. 애니온은 비가환 통계를 따르는 입자이지만, 천-사이먼스 이론은 애니온의 존재를 예측한다.

물성 물리학에서는 천-사이먼스 이론이 유효 이론이므로, 천-사이먼스 이론이 애니온을 기술한다고 해도 그것은 "애니온처럼 보이는" 것일 뿐이지만, 이러한 상태를 이용하여 양자 계산을 하려는 시도가 있다. 예를 들어, 5/2 분수 양자 홀계가 실현 가능한 애니온의 후보로 여겨지고 있다.[17]

7. 3. 끈 이론

초대칭 천-사이먼스 이론은 끈 이론에서 자주 나타난다. D-막의 세계부피 이론은 천-사이먼스 형태의 항들을 포함하며, 겹친 M2-막 위에 존재하는 이론(ABJM 이론) 또한 천-사이먼스 이론의 한 종류이다. 또한, 천-사이먼스 이론은 등각 장론의 하나인 베스-추미노-위튼 모형과도 관련되어 있다.[1]

끈 이론의 관점에서, 6차원 다양체 ''X''의 방향성을 가진 라그랑지안 3-부분 다양체 M에서 정의된 ''U''(''N'') 천-사이먼스 이론은 ''X''를 감싸는 D-브레인 위에 끝나는 열린 끈의 끈장 이론으로, ''X'' 위의 A-모델 위상 끈 이론에서 나타난다. D5-브레인 묶음의 공간을 채우는 세계 부피에 대한 B-모델 위상 열린 끈 장 이론은 홀로모픽 천-사이먼스 이론으로 알려진 천-사이먼스 이론의 6차원 변형이다.[1]

참조

[1] 논문 On framings of 3-manifolds https://doi.org/10.1[...] 1990
[2] arXiv A spinning construction for virtual 1-knots and 2-knots, and the fiberwise and welded equivalence of virtual 1-knots
[3] arXiv Virtual Knot Theory
[4] arXiv Supersymmetric gauge theory and the Yangian 2013
[5] 논문 Gauge Theory And Integrability, I 2018
[6] 논문 Gauge Theory And Integrability, II 2018
[7] arXiv Gauge Theory And Integrability, III 2019
[8] 논문 Self-dual Chern–Simons vortices on Riemann surfaces
[9] 논문 Effect of Chern-Simons dynamics on the energy of electrically charged and spinning vortices
[10] 논문 Quantum Field Theory and the Jones Polynomial http://projecteuclid[...]
[11] arXiv Topological Quantum Computation 2002-09-20
[12] 웹사이트 Topological Quantum Computation http://web.math.ucsb[...]
[13] 논문 Remarks on the canonical quantization of the Chern-Simons-Witten theory 1989-10-30
[14] arXiv A spinning construction for virtual 1-knots and 2-knots, and the fiberwise and welded equivalence of virtual 1-knots
[15] arXiv Talks at MSRI Meeting in January 1997, AMS Meeting at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in March 1997, Isaac Newton Institute Lecture in November 1997, Knots in Hellas Meeting in Delphi, Greece in July 1998, APCTP-NANKAI Symposium on Yang-Baxter Systems, Non-Linear Models and Applications at Seoul, Korea in October 1998, Virtual knot theory, European J. Combin. 20 (1999) 663-690,
[16] 논문 Effective-Field-Theory Model for the Fractional Quantum Hall Effect
[17] 논문 Topologically Protected Qubits from a Possible Non-Abelian Fractional Quantum Hall State
[18] 저널 Aspects of Chern–Simons theory https://archive.org/[...] 1999
[19] 저널 Chern–Simons gauge theory: ten years after 1999
[20] 저널 Operator formalism for Chern-Simons theories http://www-fp.usc.es[...] 2013-12-05
[21] 저널 Chern-Simons theory and conformal blocks 1989-09-14
[22] 저널 Self-Dual Chern-Simons Higgs Systems with an N=3 Extended Supersymmetry
[23] 저널 The Chern-Simons Coefficient in Supersymmetric Yang-Mills Chern-Simons Theories https://archive.org/[...] 1995-06-26
[24] 저널 Supersymmetric index of three-dimensional gauge theory https://archive.org/[...] 1999-04-11
[25] 저널 Chern–Simons theories with supersymmetries in three dimensions 1993
[26] 저널 Superconformal Chern–Simons theories 2004-11
[27] 저널 A Chern–Simons action for three-dimensional anti-De Sitter supergravity theories 1986
[28] 저널 (2+1)-dimensional gravity as an exactly soluble system http://srv2.fis.puc.[...] 1988-12-19
[29] 저널 Three-dimensional gravity revisited https://archive.org/[...] 2007-06-22
[30] 저널 Lecture notes on Chern–Simons (super-)gravities https://archive.org/[...] 2008-03-21
[31] 저널 Fermionic Chern-Simons Field Theory for the Fractional Hall Effect https://archive.org/[...] 1997-04-07
[32] 저널 The partition function of degenerate quadratic functional and Ray-Singer invariants 1978-01
[33] 저널 A mass term for three dimensional gauge fields 1981-07-13
[34] 저널 Three-dimensional massive gauge theories 1982-04-12
[35] 저널 Topologically massive gauge theories 1982-05
[36] 서적 Mathematical Aspects of String Theor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Mathematical Aspects of String Theory, California, USA, August 1986 World scientific 1987-09
[37] 저널 Quantum field theory and the Jones polynomial http://projecteuclid[...] 1989
[38] 저널 Geometric quantization of Chern–Simons gauge theory http://projecteuclid[...]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