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창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창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예로부터 중요한 지역으로 발전해왔다. 기원전 202년에 건설되어 당나라 시대에는 홍주로 불리며 크게 성장했고, 1927년에는 난창 봉기가 일어난 곳으로 중국 인민해방군의 탄생지로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현재는 장시성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항공기, 자동차, 야금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난창은 간강과 푸허강 하류에 위치하며, 포양호에 인접해 수운 교통이 발달했다. 또한,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과 철도망을 통해 중국 전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난창 궤도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등왕각, 포양호, 바기 광장 등이 있으며, 난창 대학을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창시 - 포양호
    포양호는 장시성에 위치한 중국 최대 담수호로, 장강 흐름 변화와 감강 유입으로 형성되었으나 싼샤 댐 건설 후 수위 변화로 면적이 줄어 환경 및 야생 생물에 대한 우려가 있다.
  • 난창시 - 둥화 이공대학
    둥화 이공대학은 1956년 산시성 타이구 지질 학교로 설립되어 우라늄 광석 탐사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는 장시성 정부 등과 함께 원자력 과학 및 지구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종합대학으로 운영된다.
  • 장시성의 지급시 - 잉탄시
    잉탄시는 장시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1983년 상요 지구에서 승격되었으며 웨후 구, 위장 구, 구이시 시를 관할하고, 여러 철도 및 고속도로 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지이며 용호산 풍경구가 있는 관광지이다.
  • 장시성의 지급시 - 신위시
    신위시는 1,700년 역사를 지닌 중국 장시성 중서부의 지급시로, 철강 산업과 간펑 리튬 본사가 있으며 위수구, 펀이현, 선녀호 풍경구, 가오신 기술 경제 개발구를 관할하고 대한민국 제천시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도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도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난창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난창 스카이라인, 앞쪽에 [[등왕각]]이 위치함
난창 스카이라인, 앞쪽에 등왕각이 위치함
난창의 일출
난창의 일출
[[신사군]] 사령부
신사군 사령부
[[난창 스타]]
난창 스타
[[바이 광장]]
바이 광장
별칭홍청 (, "웅장한 도시" 의미)
홍두 (, "웅장한 대도시" 의미)
위장 ()
위치중국 장시성
행정 구역6개 구, 3개 현
시 정부 소재지홍구탄구
면적7,194 km²
도시 면적4,588 km²
해발 고도37 m
인구 (2020년)6,255,007명
도시 인구 (2020년)3,929,660명
도시 지역 인구 (2020년)5,382,162명
시간대중국 표준시 (CST)
우편 번호330000
차량 번호판 접두사,
시화중국 장미
시목녹나무
웹사이트난창 시 정부 웹사이트
행정
국가중국
장시성
행정 구역 등급지급시
정부 형태지급시
CCP 서기우 샤오쥔
인민대표대회 주임우 웨이주
시장거 광밍
CPPCC 주석류 자푸
경제
GDP (2016년)CN¥ 4,000억 (US$ 642억)
1인당 GDP (2016년)CN¥ 75,879 (US$ 12,183)
기타 정보
ISO 3166-2CN-JX-01

2. 역사

등왕각


난창의 역사 지도


난창 지역은 춘추 시대부터 예장(豫章)으로 불렸으며, 진나라 때 중국 영토에 편입되었다.[6] 기원전 202년, 한 고조 유방의 명을 받은 관영이 이곳에 성을 쌓은 것이 난창 건성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이듬해 예장군의 행정 중심지가 되면서 '남쪽의 번영'이라는 의미의 난창(南昌)이라는 이름을 얻었다.[6]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이어갔다. 수나라 때는 홍주(洪州)로 개칭되었고, 당나라 때는 장시성의 성도가 되어 크게 번성했다.[6] 특히 7세기 중반에 세워진 등왕각은 시인 왕발의 「등왕각서」를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여러 차례의 소실과 재건을 거쳐 오늘날까지 강남 3대 명루 중 하나로 꼽힌다.[7][8][9] 오대 십국 시대에는 남당의 수도인 남도(南都)가 되기도 했으며, 송나라 때는 융흥부(隆興府)로 불리며 중요한 도시로 기능했다. 원나라 때는 장시 행성의 수도였고, 명나라청나라 시대를 거치며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유지했다.[10][11]

근현대에 들어 난창은 중요한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1927년 8월 1일, 주은래, 주덕, 하룡 등이 이끈 난창 봉기는 중국 공산당 최초의 독자적인 무장 봉기로 평가받으며, 중국인민해방군 창설의 기원이 되었다. 이 때문에 난창은 '영웅의 도시'로 불리기도 하며, 8월 1일은 중국의 건군기념일로 지정되어 있다.[6]

2. 1. 고대

춘추 시대부터 난창 지역은 예장(豫章)으로 불렸으며, 처음에는 오나라의 영토였으나 전국 시대에 오나라가 초나라에 멸망하면서(기원전 553년) 초나라의 일부가 되었다.

진나라 시대에 이르러 이 지역은 백월 민족으로부터 정복되어 중국 영토에 최초로 편입되었고, 구강군으로 조직되었다.[6] 기원전 202년, 한나라의 고조 유방은 영양후 관영에게 명하여 난창 일대를 지키게 했다. 이듬해인 기원전 201년, 관영은 현재 난창 역 동남쪽 약 4km 지점에 토성을 쌓아 관성(灌城)이라 불렀는데, 이것이 난창 건성의 시작이다. 이후 이 지역은 예장군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고, 관성은 '남쪽의 번영' 또는 '창대한 남쪽 변경'이라는 의미를 담아 난창(南昌)으로 불리게 되었다.[6] 이 이름은 전통적으로 한 고조가 중국 남부 개발을 장려하며 내세운 구호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6]

서기 589년 수나라 시대에 예장군은 홍주라는 주로 개편되었다. 당나라 시대인 763년 이후 홍주는 장시성의 성도가 되었고, 12세기까지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성 중 하나로 성장하는 등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당대에는 특히 조선업, 제지업, 인쇄업, 직물 산업, 도자기 제조업이 발달했으며, 홍주요(洪州窯)는 청자의 발상지 중 하나로 유명하여 이후 중국 6대 명요(名窯)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653년, 당 태종 이세민의 동생인 등왕(滕王) 이원영이 이곳에 등왕각을 세웠다. 675년에는 시인 왕발이 이 누각을 주제로 한 시적 서문인 「등왕각서」를 지어 등왕각과 난창을 중국 문학계에 널리 알렸다.[7] 등왕각은 역사 속에서 여러 차례 파괴되고 재건되기를 반복했으며[8], 오늘날 강남 3대 명루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현재의 건물은 중국 내전 중인 1929년에 파괴된 후 1980년대에 재건된 것이다.[9]

오대 십국 시대에는 남당의 황제 이경이 959년 이곳을 남창부(南昌府)로 승격시켰고, 961년에는 '남도'(南都)로 칭하며 수도로 삼았다. 그러나 981년 송나라에 정복되면서 다시 홍주라는 이름으로 돌아갔다. 남송 시대인 1164년, 효종은 이곳을 융흥부(隆興府)로 개명했으며, 이때 난창은 중국 전역의 5대 조선 도시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조선업이 더욱 발전했다. 융흥부라는 명칭은 1368년까지 사용되었다.

원나라 시대에 난창은 광둥성까지 포함하는 광대한 장시 행성의 수도였다. 이 시기 도자기 무역의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0] 원나라 말기에는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과 경쟁 군벌이었던 진우량 사이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명나라 시대에는 16세기 초 정덕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영왕 주진호의 세력 기반이 되었다. 만력제 통치기에는 황위 계승 문제로 추방된 황실 친척들이 이곳에 많이 거주하게 되었는데, 당시 도시 인구의 약 4분의 1이 황족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마테오 리치가 베이징으로 가기 전에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11]

1850년대 태평천국의 난(1850–1864)으로 인해 난창은 큰 피해를 입었다. 19세기 후반에는 광저우로 가는 육상 교역로가 연안 증기선 서비스로 대체되면서 상업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했지만, 여전히 장시성의 지역 중심지로서의 지위는 유지했다.

2. 2. 근현대

1850년대 태평천국의 난 (1850–1864)으로 인해 난창은 큰 피해를 입었고, 19세기 후반에는 광저우(廣州)로 가는 육로가 연안 증기선 서비스로 대체되면서 상업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이 감소했다. 그러나 난창은 장시성의 명실상부한 지역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6]

1927년 8월 1일, 주은래, 주덕, 하룡, 엽정, 류백승 등이 이 지역에서 무장 봉기(난창 봉기)를 일으켰다. 이는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일련의 봉기 중 하나로, 소련의 지휘 아래 친공산주의 국민당 장교들이 이끌었다. 봉기군은 며칠 동안 도시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 사건은 이후 중국 인민해방군(PLA)이 발전하는 데 핵심적인 병력과 조직 방식을 제공했다. 이 사건으로 난창은 중국 인민해방군의 발원지가 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이후 이 날은 중국의 건군기념일로 여겨진다.[6]

1939년에는 제2차 중일 전쟁 중 중국 국민혁명군일본 제국 육군 간의 격렬한 전투인 난창 전투가 벌어졌다.[12][13][14]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당시 난창은 식품 가공업 외에는 산업이 거의 없는 구식 행정 및 상업 도시였으며, 인구는 약 275,000명이었다. 난창은 1915년에 처음으로 철도 연결을 얻었고, 양쯔강을 통해 항구 도시인 지우장과 연결되었다. 이후 여러 철도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남동쪽의 린촨과 궁치까지 노선이 완공되었다.[6]

1949년 이후 난창은 광범위하게 산업화되었다. 현재 직물면사의 대규모 생산지이며, 제지와 식품 가공(특히 쌀 제분) 또한 주요 산업이다. 중공업은 1950년대 중반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대규모 화력 발전소가 설치되었으며, 남쪽 펑청시에서 철도로 운송된 석탄을 사용한다. 기계 산업도 성장하여 처음에는 주로 농업 장비 및 디젤 엔진 생산에 집중했다. 난창은 이후 중국의 자동차 산업의 작은 중심지가 되어 트럭과 트랙터는 물론 타이어와 같은 부품도 생산했다. 지역 산업에 공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철 제련 공장이 1950년대 후반에 설치되었다. 또한 농약, 살충제 및 의약품을 생산하는 대규모 화학 산업도 있다.[6]

'''행정 구역 변천'''

연도날짜내용
1949년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난창시 발족. 1구~7구 설치. (7개 구)
1949년10월1구~5구 폐지. 6구·7구가 난창 전구 난창현에 편입. (1개 시)
1951년8월 18일1구~4구 설치. 난창 전구 난창현 일부를 분리하여 5구·6구 발족. (6개 구)
1952년5월5구·6구 일부를 합병하여 7구 발족. (7개 구)
1953년2월 8일2구 일부를 분리하여 수상구 발족. (8개 구)
1955년5월 14일1구→둥후구, 2구→텅왕구, 3구→푸허구, 4구→시후구, 5구→차오왕저우구, 6구→칭윈푸구, 7구→탕산구로 개칭. (8개 구)
1956년5월 12일차오왕저우구·칭윈푸구·탕산구를 합병하여 자오구 발족. (6개 구)
1957년5월수상구가 텅왕구에 편입. (5개 구)
1958년8월 23일난창 전구 난창현·신젠현 편입. (5개 구 2개 현)
1958년10월자오구 일부를 분리하여 칭윈푸구 발족. (6개 구 2개 현)
1961년9월 16일난창현·신젠현이 이춘 전구에 편입. (6개 구)
1968년9월 11일자오구가 이춘 전구 난창현·신젠현으로 분할 편입. (5개 구)
1969년10월이춘 전구 신젠현·안이현, 주쟝 전구 융슈현 일부를 합병하여 메이링 관리구 발족. (6개 구)
1971년5월 28일이춘 지구 난창현·신젠현 편입. (6개 구 2개 현)
1972년3월 10일메이링 관리구를 완리 관리구로 개칭. (6개 구 2개 현)
1972년3월난창현·신젠현 일부를 합병하여 자오구 발족. (7개 구 2개 현)
1981년3월 18일완리 관리구를 완리구로 개칭. 텅왕구를 둥후구에 편입. 푸허구를 시후구에 편입. (5개 구 2개 현)
1981년5월 27일이춘 지구 안이현, 주쟝 지구 융슈현 일부가 완리구에 편입. (5개 구 2개 현)
1983년7월 27일이춘 지구 안이현, 푸저우 지구 진셴현 편입. (5개 구 4개 현)
1985년3월 15일완리구 일부가 신젠현에 편입. (5개 구 4개 현)
1986년1월 6일난창현 일부가 자오구에 편입. (5개 구 4개 현)
1987년1월 6일자오구 일부가 신젠현에 편입. (5개 구 4개 현)
1994년8월 26일자오구 일부가 칭윈푸구에 편입. (5개 구 4개 현)
1995년6월 21일난창현 일부가 자오구에 편입. (5개 구 4개 현)
1997년9월 1일신젠현 일부가 둥후구에 편입. (5개 구 4개 현)
1998년1월 5일자오구 일부가 칭윈푸구에 편입. (5개 구 4개 현)
2002년6월 6일자오구를 칭산후구로 개칭. (5개 구 4개 현)
2004년9월 7일시후구·칭산후구 일부가 둥후구에 편입. 칭산후구 일부가 시후구에 편입. 시후구·칭산후구 일부가 칭윈푸구에 편입. 둥후구·시후구 일부가 칭산후구에 편입. (5개 구 4개 현)
2014년9월 1일칭산후구 일부가 둥후구에 편입. (5개 구 4개 현)
2015년7월 23일신젠현이 구제 시행하여 신젠구가 됨. (6개 구 3개 현)
2016년3월 15일신젠구 일부가 둥후구에 편입. (6개 구 3개 현)
2019년12월 13일완리구가 신젠구에 편입. 둥후구·신젠구 일부를 합병하여 훙구탄구 발족. (6개 구 3개 현)
2021년12월 24일신젠구 일부가 훙구탄구에 편입. (6개 구 3개 현)
2022년6월 27일신젠구 일부가 훙구탄구에 편입. (6개 구 3개 현)


3. 지리

난창 위성 이미지 (2005년)


난창을 흐르는 간강


간강의 야경


난창시는 장시성 중부의 약간 북쪽에 위치하며, 간강과 푸허 하류에 자리 잡고 있다. 중국에서 가장 큰 담수호인 포양호와 접해 있다. 지리적으로는 양쯔강에서 남쪽으로 약 130km 떨어져 있으며, 간강의 오른쪽 강둑, 진강과의 합류 지점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포양호로 흘러드는 지점에서는 남서쪽으로 약 40km 거리에 있다.

난창시의 지형은 대부분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북쪽에는 구릉 지대가 펼쳐져 있다. 시 전체의 평균 해발고도는 25m이다. 서부 지역에는 서산산맥이 있으며, 난창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메이링 주봉의 시야오펑으로 해발 841.4m에 달한다.

4. 기후

난창은 온난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a'')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다. 겨울은 짧고 비교적 추우며 가끔 서리가 내린다. 날씨는 대체로 맑고 건조하게 시작하지만 점차 습하고 흐려진다. 봄은 비가 많고 일조량이 적으며, 특히 4월부터 6월까지는 장마와 집중 호우가 내려 각 달의 강수량이 220mm 이상이다. 난창의 연간 강수량은 1300mm에서 1900mm 사이로 중국 대륙에서 가장 높은 편에 속하며, 중국 대륙 전체 집중 호우와 홍수의 약 8%를 차지한다.[41][42][43] 여름은 길고 덥고 습하며, 중국의 주요 도시 중 기온이 가장 높은 곳 중 하나이다. 7월과 8월에는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어 연중 가장 화창한 시기이다. 가을은 따뜻하거나 온화하며 연중 강수량이 가장 적다.

연평균 기온은 18.5°C이며, 월평균 기온은 1월 5.9°C에서 7월 29.6°C 사이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704mm이다. 월별 평균 일조율은 3월 27%에서 7, 8월 56% 사이이며, 연평균 일조 시간은 1,809시간이다. 1951년 이후 기록된 극값은 -9.7°C와 40.6°C 사이였다.[15][16][17][18]

5. 행정 구역

난창시 행정구역


난창의 빌딩들


난창 지도(NAN-CH'ANG)


난창시는 현재 6개의 시할구와 3개의 을 관할하고 있다.

'''시할구'''

'''현'''

구역 코드[21]영어 명칭중국어병음면적 (km2)[22]소재지우편 번호하위 구역[23]
가도거주 지역
360100난창南昌市Nánchāng Shì7194km2[24]훙구탄구3300003249316251161
360102둥후구东湖区Dōnghú Qū30km2궁위안 가도 (公园街道)330000915921
360103시후구西湖区Xīhú Qū43km2차오양저우 가도 (朝阳洲街道)33000010113613
360104칭윈푸구青云谱区Qīngyúnpǔ Qū40km2산자뎬 가도 (三家店街道)330000516312
360111칭산후구青山湖区Qīngshānhú Qū250km2징둥 (京东镇)33000036116101
360112신젠구新建区Xīnjiàn Qū2160km2창렁 (长堎镇)33010010939300
360113훙구탄구红谷滩区Hónggǔtān Qū사징 가도 (沙井街道)33010021
360121난창현南昌县Nánchāng Xiàn1811km2롄탕 (莲塘镇)33020011747311
360123안이현安义县Ānyì Xiàn660km2룽진 (龙津镇)3305007316105
360124진셴현进贤县Jìnxián Xiàn1946km2민허 (民和镇)3317009237263


  • 훙구탄 신구 (红谷滩新区)는 경제 관리 구역이며 공식 행정 구역은 아니다.


'''행정 구역 변천사'''

  •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난창시'''가 발족하여 1구부터 7구까지 7개 구를 성립했다.
  • 1949년 10월: 1구부터 5구까지 폐지하고, 6구와 7구는 난창 전구 난창현에 편입되었다. (1개 시)
  • 1951년 8월 18일: 1구부터 4구까지 다시 설치하고, 난창 전구 난창현 일부를 분리하여 '''5구'''와 '''6구'''를 발족했다. (6개 구)
  • 1952년 5월: 5구와 6구의 각 일부를 합병하여 '''7구'''를 발족했다. (7개 구)
  • 1953년 2월 8일: 2구 일부를 분리하여 '''수상구'''를 발족했다. (8개 구)
  • 1955년 5월 14일: 1구를 '''둥후구'''로, 2구를 '''텅왕구'''로, 3구를 '''푸허구'''로, 4구를 '''시후구'''로, 5구를 '''차오왕저우구'''로, 6구를 '''칭윈푸구'''로, 7구를 '''탕산구'''로 각각 개칭했다. (8개 구)
  • 1956년 5월 12일: 차오왕저우구, 칭윈푸구, 탕산구를 합병하여 '''자오구'''를 발족했다. (6개 구)
  • 1957년 5월: 수상구가 텅왕구에 편입되었다. (5개 구)
  • 1958년 8월 23일: 난창 전구 '''난창현'''과 '''신젠현'''을 편입했다. (5개 구 2개 현)
  • 1958년 10월: 자오구 일부를 분리하여 '''칭윈푸구'''를 발족했다. (6개 구 2개 현)
  • 1961년 9월 16일: 난창현과 신젠현이 '''이춘 전구'''에 편입되었다. (6개 구)
  • 1968년 9월 11일: 자오구가 이춘 전구 난창현과 신젠현으로 분할 편입되었다. (5개 구)
  • 1969년 10월: 이춘 전구 신젠현, 안이현, 주쟝 전구 융슈현의 각 일부를 합병하여 '''메이링 관리구'''를 발족했다. (6개 구)
  • 1971년 5월 28일: 이춘 지구 '''난창현'''과 '''신젠현'''을 편입했다. (6개 구 2개 현)
  • 1972년 3월 10일: 메이링 관리구를 '''완리 관리구'''로 개칭했다. (6개 구 2개 현)
  • 1972년 3월: 난창현과 신젠현의 각 일부를 합병하여 '''자오구'''를 발족했다. (7개 구 2개 현)
  • 1981년 3월 18일: 완리 관리구를 '''완리구'''로 개칭하고, 텅왕구를 둥후구에, 푸허구를 시후구에 편입했다. (5개 구 2개 현)
  • 1981년 5월 27일: 이춘 지구 안이현과 주쟝 지구 융슈현의 각 일부가 완리구에 편입되었다. (5개 구 2개 현)
  • 1983년 7월 27일: 이춘 지구 '''안이현'''과 푸저우 지구 '''진셴현'''을 편입했다. (5개 구 4개 현)
  • 1985년 3월 15일: 완리구 일부가 신젠현에 편입되었다. (5개 구 4개 현)
  • 1986년 1월 6일: 난창현 일부가 자오구에 편입되었다. (5개 구 4개 현)
  • 1987년 1월 6일: 자오구 일부가 신젠현에 편입되었다. (5개 구 4개 현)
  • 1994년 8월 26일: 자오구 일부가 칭윈푸구에 편입되었다. (5개 구 4개 현)
  • 1995년 6월 21일: 난창현 일부가 자오구에 편입되었다. (5개 구 4개 현)
  • 1997년 9월 1일: 신젠현 일부가 둥후구에 편입되었다. (5개 구 4개 현)
  • 1998년 1월 5일: 자오구 일부가 칭윈푸구에 편입되었다. (5개 구 4개 현)
  • 2002년 6월 6일: 자오구를 '''칭산후구'''로 개칭했다. (5개 구 4개 현)
  • 2004년 9월 7일: 둥후구, 시후구, 칭윈푸구, 칭산후구 간 경계 조정이 있었다. (5개 구 4개 현)
  • 2014년 9월 1일: 칭산후구 일부가 둥후구에 편입되었다. (5개 구 4개 현)
  • 2015년 7월 23일: 신젠현이 구로 승격하여 '''신젠구'''가 되었다. (6개 구 3개 현)
  • 2016년 3월 15일: 신젠구 일부가 둥후구에 편입되었다. (6개 구 3개 현)
  • 2019년 12월 13일: 완리구를 신젠구에 편입하고, 둥후구와 신젠구의 각 일부를 합병하여 '''훙구탄구'''를 발족했다. (6개 구 3개 현)
  • 2021년 12월 24일: 신젠구 일부가 훙구탄구에 편입되었다. (6개 구 3개 현)
  • 2022년 6월 27일: 신젠구 일부가 훙구탄구에 편입되었다. (6개 구 3개 현)

6. 경제

난창시는 장시성 최대의 공업 도시이며, 신 중국 최초의 비행기, 최초의 트랙터, 최초의 오토바이, 최초의 미사일이 이곳에서 탄생했다.

1949년까지 난창은 식품 가공업 외에는 산업이 거의 없는 구식 행정 및 상업 도시였으며, 당시 인구는 약 275,000명이었다. 1915년에 처음으로 철도가 연결되었고, 양쯔강을 통해 항구 도시인 지우장과 연결되었다. 이후 여러 철도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남동쪽 루강 계곡의 린촨과 궁치까지 노선이 완공되었다.

1949년 이후 난창은 광범위하게 산업화되었다. 현재 직물면사의 대규모 생산지이며, 제지와 식품 가공(특히 쌀 제분) 또한 주요 산업이다. 중공업은 1950년대 중반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대규모 화력 발전소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남쪽 펑청에서 철도로 운송된 석탄을 사용한다. 기계 산업도 성장하여 초기에는 주로 농업 장비 및 디젤 엔진 생산에 집중했다. 이후 난창은 중국 자동차 산업의 작은 중심지가 되어 트럭과 트랙터는 물론 타이어와 같은 부품도 생산했다. 지역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철 제련 공장이 1950년대 후반에 설치되었으며, 농약, 살충제 및 의약품을 생산하는 대규모 화학 산업도 발전했다.

난창 시내 셩리 로드


개혁 개방 이후, 비행기 제조, 자동차 제조, 야금, 전기, 방적, 화학공업, 의약품 등의 공업이 더욱 발달했으며, 정보 산업이나 생명 공학 기술 등의 새로운 산업도 성장하고 있다. CHTC킨윈 계열의 버스 제조 기업인 BLK(BONLUCK)의 본사가 난창시에 있다. 또한 포드 자동차 회사(Ford Motor Company)는 난창에 공장을 두고 장링 자동차(Jiangling Motor)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포드 트랜짓(Ford Transit) 밴을 조립한다.[25] 난창의 주요 산업은 항공기 제조, 자동차 제조, 야금, 전기 기계, 섬유, 화학 공학, 중국의학, 제약 등을 중심으로 한다.[26]

훙구탄의 난창 그린랜드 센터 스퀘어


난창은 장시성 농업 생산의 지역 허브이기도 하며, 2000년 곡물 생산량은 1,614만 6천 톤에 달했다. 쌀과 오렌지 같은 농산물이 경제의 주요 품목이다.

난창은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루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20개 도시 중 15위를 차지했으며, 향후 중국과 세계에서 가장 발전 가능성이 높은 도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2008년 난창의 지역 총생산(GDP)은 1,660억 위안(243억달러)이었고, 1인당 GDP는 36,105위안(5285USD)이었다. 총 수출입액은 34억달러였으며, 총 재정 수입은 230억 위안이었다.[27]

2017년 난창시의 GDP는 5,003억 1,900만 위안(800.3억달러)으로 전년 대비 9.0% 증가했다. 이 중 1차 산업 부가가치는 192억 1,300만 위안(4.0% 증가), 2차 산업 부가가치는 2,666억 1,000만 위안(8.4% 증가), 3차 산업 부가가치는 2,144억 9,600만 위안(10.2% 증가)이었다. 1인당 GDP는 81,598위안으로, 연평균 환율 기준 12285USD에 해당한다. 연간 총 재정 수입은 782억 8,2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4.3% 증가했다.

간장(贛江)에서 바라본 훙구탄의 풍경


금융업에서도 난창은 화중 지역의 중심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훙구탄에 중앙상업지구(CBD)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7. 산업 지구

난창시는 장시성 최대의 공업 도시이며, 신 중국 최초의 비행기, 최초의 트랙터, 최초의 오토바이, 최초의 미사일이 이 땅에서 탄생했다. 개혁 개방 이후 비행기 제조, 자동차 제조, 야금, 전기, 방적, 화학 공업, 의약품 등의 전통적인 공업이 발달했으며, 정보 산업 및 생명 공학 등의 새로운 산업도 발달하고 있다.

CHTC 킨윈 계열의 버스 제조 기업인 BLK(Bonluck)의 본사가 난창시에 있다. 또한, 여러 국가급 및 성급 개발구와 경제 특별 구역이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28] 금융업에서는 화중 지역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훙구탄 중앙상업지구(CBD)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7. 1. 국가급 개발구


  • '''난창 수출 가공구'''[28]

난창 국가 수출 가공구는 난창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에 위치하며, 2006년 5월 8일 국무원의 승인을 받았고, 2007년 9월 7일 국가 검수를 통과했다. 계획 면적은 1km2이며 현재 0.31km2가 건설되었다. 난창 국가 수출 가공구와 난창 국가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NCHDZ) 모두 간편하고 편리한 통관 절차와 특별 우대 정책을 누릴 수 있다.[29]

  • '''난창 국가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28]

난창 국가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NCHDZ)는 장시성의 유일한 국가급 하이테크 개발구로, 1991년 3월에 설립되었다. 이 구역은 231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그중 32km2가 완공되었다. NCHDZ는 전자 산업을 유치하기에 좋은 자연 조건과 건실한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NCHDZ는 단지 0.4%의 토지 면적을 사용하여 난창시에 25%의 산업 부가가치와 50%의 산업 이익 및 세수를 가져왔다.[30]

  • '''난창 경제 기술 개발구'''[28][31]

7. 2. 성급 개발구


  • 장시 상하이 경제 기술 개발구[28]
  • 난창 잉슝 경제 기술 개발구[28]

7. 3. 경제 특별 구역


  • 훙구탄 신구 간장 신구[28]


난창시는 금융업에서 화중 지역의 중심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훙구탄 중앙상업지구(CBD)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8. 교통

난창시는 유리한 지리적 위치와 편리한 교통을 갖추고 있어, 장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 하이시 지구(海西地区)의 성간 교통 회랑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국의 국가 종합 교통 허브 중 하나이며, 장시성 내에서도 가장 중요한 통합 교통 허브로 기능한다.

난창은 중국 남동부의 중요한 철도 허브로, 징주 철로, 상하이-쿤밍 철로, 샹탕-푸톈 철로, 난창-주장 간 철도 등 여러 주요 철도 노선이 교차한다. 주요 여객역으로는 난창역과 난창 서역이 있으며, 중국철로고속(CRH)을 통해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

항공 교통의 중심은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KHN)이다. 이 공항은 장시성에서 유일하게 국제선을 운항하며, 중국 본토의 주요 도시들과 연결된다.[32]

도로 교통 인프라도 잘 갖추어져 있어, G105 국도, G320 국도, G316 국도 등 여러 국도와 푸인 고속도로(G70), 난창 순환 고속도로(G70_01)가 도시를 통과한다. 난창 장거리 버스 터미널과 쉬팡 버스 터미널을 통해 시외 및 성내 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난창 궤도 교통은 장시성 최초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2015년 12월 26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이는 중국 본토에서 25번째로 개통된 지하철 시스템이다. 1999년에 계획이 시작되어 2009년에 착공했으며, 현재 여러 노선이 운행 중이다.

또한, 간강, 푸강(抚河) 등이 흐르고 샹후호(象湖), 칭산호(青山湖), 아이시호(艾溪湖) 등이 있어 수운 교통도 발달했다. 간강 최대 항구인 난창항을 통해 여객 및 화물 운송이 이루어진다.

8. 1. 항공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IATA: KHN)은 1996년에 건설된 주요 국제 공항이다. 공항은 도심(CBD) 지역에서 북쪽으로 26km 떨어진 러화 타운(乐化镇)에 위치해 있다. 창베이 국제공항은 장시성에서 유일하게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는 공항이며, 선전, 광저우, 하이커우, 상하이, 베이징 등 중국 본토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32]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은 장시성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공항이다. 2014년에는 10개의 국제선 노선을 개설했으며, 해당 연도에 725만 명의 승객을 처리하여 전년 대비 6.3% 증가했다. 특히 국제선 승객은 28만 명 이상으로 약 40% 증가하며 공항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었다. 2017년 12월 6일에는 연간 여객 처리량 1,000만 명을 돌파하여 중국 내 31번째 '천만 공항'이 되었다. 2017년 전체 여객 처리량은 1,093만 명으로 전년 대비 39.0% 증가했고, 순증 인원은 307만 명에 달했다. 같은 해 항공편 운항은 89,000회로 전년 대비 35.2% 증가했으며, 화물 및 우편 처리량은 52000ton으로 3.3% 증가했다.

최근에는 베이징-주룽 고속철도 및 난창 북역 공항 복합 교통 허브 건설과 연계하여 대규모 확장 및 시설 개선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난창현 롄탕(联圩镇) 인근에는 군과 민간이 함께 사용하는 공항이 있다.

8. 2. 철도

난창시는 중국 남동부의 중요한 철도 허브이다. 베이징-주룽 철로, 상하이-쿤밍 철로(구 저장-장시 또는 저간 철로), 샹탕-푸톈 철로, 난창-주장 간 철도가 난창에서 교차한다. 난창 철도국은 장시성과 인접한 푸젠성의 철도 네트워크 대부분을 운영한다.

난창역과 난창 서역은 이 도시의 주요 여객 철도역이다. 난창역은 징주선이 지나가는 중요한 기점이며, 난창 서역은 후쿤 여객 전용선이 운행한다. 난창은 CRH를 통해 항저우, 창사, 상하이와 연결된다.

2015년 12월 26일에는 난창 지하철이 개업했다.

'''주요 철도 노선'''

  • 중국 국가 철로 집단
  • * 후쿤 여객 전용선
  • * 창간 여객 전용선 (昌赣客运专线)
  • * 창지우 도시간 철도 (昌九城际线)
  • * 창푸선 (昌福铁路)
  • * 징주선
  • * 후쿤선
  • 난창 지하철
  • * 1호선
  • * 2호선
  • * 3호선
  • * 4호선

8. 3. 도로

난창시는 광범위한 도로 교통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베이징에서 주하이를 잇는 G105 국도, 상하이에서 쿤밍을 잇는 G320 국도, 푸저우에서 란저우를 잇는 G316 국도 등 여러 국도가 시를 통과한다. 푸인 고속도로(G70)와 2007년에 개통된 난창 순환 고속도로(G70_01)도 난창을 지난다.

주요 운송 회사로는 창안 운송 유한공사 등이 있으며, 난창 장거리 버스 터미널과 쉬팡 버스 터미널이 운영되고 있다. 난창 장거리 버스 터미널은 난징, 선전, 허페이 등 장시성 외부 도시로 가는 장거리 노선을, 쉬팡 버스 터미널은 장시성 내 도시와 현으로 가는 노선을 주로 담당한다.

  • 고속도로
  • -- 후쿤 고속도로 (G60)
  • -- 푸인 고속도로 (G70)
  • -- 난창 순환 고속도로 (G6001, G70_01)
  • -- 난사오 고속도로 (G6011)
  • S36 더창 고속도로
  • S38 창리 고속도로
  • S40 창퉁 고속도로
  • -- 펑성 고속도로 (S49)

  • 국도
  • G105 국도
  • G316 국도
  • G320 국도

8. 4. 수운

난창시는 간강, 푸강, 샹후호, 칭산호, 아이시호 등 여러 물길이 지나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난창시의 수로는 예로부터 경제, 무역, 해운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강에 위치한 난창항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항구이다. 난창항에서는 배를 타고 징강산이나 텅왕거 등 주변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포양호, 스벨산, 포양호 조류 보호 구역, 다구산과 같은 관광 명소를 연결하는 여객선도 운항하고 있다.

9. 관광



바기 광장 야경


승금탑


청운보

  • 등왕각: 간강 동쪽에 위치한 높은 누각으로, 653년에 지어졌다. "중국 4대 명루" 중 하나로 꼽힌다.
  • 포양호: 중국에서 가장 큰 담수호이며 "철새들의 낙원"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 난창의 별: 홍구탄구에 위치한 관람차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관람차였다.[33]
  • 추수광장: 2004년 1월 28일에 설립되었으며,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음악 분수 그룹을 갖추고 있다.
  • 인민공원: 난창 시내에서 가장 큰 공원이다.[34]
  • 바기 광장과 기념관: 난창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1927년 8월 1일(중국어: 八一, 바기)에 일어난 난창 봉기를 기념하는 곳으로, 이 봉기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립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 장시성 박물관
  • 바다 산인 전시관
  • 승금탑
  • 청운보 (팔대산인 기념관)
  • 우민사
  • 난창 만수궁
  • 옥륭 만수궁
  • 백화주
  • 행화루
  • 홍애단정
  • 왕산토고
  • 이도소주작방유지
  • 난창 한대 해혼후국 국가고고유지공원
  • 매령 국가삼림공원
  • 자금성 성지와 철하 고묘군
  • 덩샤오핑 구거와 노동차간

10. 교육

난창시는 Nature Index가 추적한 바에 따르면 세계 과학 연구 성과 상위 100개 도시에 포함되는 주요 도시이다.[5]

주요 고등 교육 기관(전일제 학사 과정 중심)은 다음과 같다.

}

|-

| 장시 사범 대학교 ||

|-

| 장시 재경 대학교 ||

|-

| 난창 항공 대학교 ||

|-

| 장시 농업 대학교 ||

|-

| 화둥 자오퉁 대학교 ||

|-

| 둥화 리공 대학교 (난창 캠퍼스) ||

|-

| 장시 중의약 대학교 || (구 장시 중의학원)

|-

| 장시 의과 대학 ||

|-

| 난창 공정 학원 ||

|-

| 장시 과학기술 사범 대학교 ||

|-

| 장시 제조 직업 기술 학원 ||

|-

| 장시 교육 학원 ||

|-

| 장시 외국어외무 학원 ||

|-

| 난창 수리 수력 발전 전문 학교 ||

|-

| 장시 경제 관리 간부 학원 ||

|-

| 장시 경찰 학원 ||

|}

주요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중국어 명칭
난창 대학{{lang|zh-Hans|南昌大学|}
}

|-

| 장시 사범 대학교 부속 중학교 ||

|-

| 난창 제2 중학교 ||

|-

| 난창 제1 중학교 ||

|-

| 난창 제3 중학교 ||

|-

| 난창 제10 중학교 ||

|}

국제학교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중국어 명칭
난창 외국어 학교{{lang|zh-Hans|南昌市外国语学校|}
}

|}

11. 자매 도시

학교명중국어 명칭
난창 국제 학교{{lang|zh-Hans|南昌国际学校|}
국가도시
대한민국나주시
일본다카마쓰시
북마케도니아스코페
브라질소로카바
뉴질랜드화카타네


참조

[1] 웹사이트 China: Jiāngxī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 서적 《江西统计年鉴-2016》 http://www.jxstj.gov[...] 中国统计出版社 2016-08
[3] 백과사전 Nanchang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Chinese Communism and the Rise of Mao Harper & Row
[5] 웹사이트 Leading 200 science cities https://www.nature.c[...] 2024-11-21
[6] 서적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
[7] 문서 Wang
[8] 문서 Wang
[9] 문서 Wang
[10] 웹사이트 Wang Dayuan - Singapore History https://eresources.n[...] 2021-04-01
[11] 서적 Mission to China: Matteo Ricci and the Jesuit Encounter with the East
[12] 서적 History of the Sino-Japanese War (1937–1945) Chung Wu Publishing
[13] 서적 The battle for China : essays on the military history of the Sino-Japanese War of 1937-1945 Stan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Sino-Japanese Air War 1937–45 http://surfcity.kund[...] 2015-08-13
[15] 웹사이트 无标题文档 http://cdc.cma.gov.c[...] 2013-02-18
[16]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04-15
[17]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12
[18] 웹사이트 http://cdc.cma.gov.c[...]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08
[19] 웹사이트 Main Data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https://www.stats.go[...] 2024-01-24
[20] 웹사이트 Modern Urban District - Nanchang Municipal People's Government http://www.nc.gov.cn[...] 2024-01-24
[21]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2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문서
[25] 웹사이트 Jiangling Motors Corporation, Ltd. website http://www.jmc.com.c[...]
[26] 웹사이트 http://english.nc.go[...] 2010-04-14
[27] 웹사이트 Jiangxi http://www.unescap.o[...] Unescap.org
[28] 웹사이트 NanChang China http://english.nc.go[...] English.nc.gov.cn 2012-01-16
[29] 웹사이트 Nanchang Export Processing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2012-01-16
[30] 웹사이트 Nanchang High-Tech Industrial Development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2012-01-16
[31] 웹사이트 Nanchang Economic & Technological Development Zone http://rightsite.asi[...] RightSite.asia 2012-01-16
[32] 웹사이트 Nanchang Transportation, Get to the City: by Air, Train, Bus, Water http://www.travelchi[...] Travelchinaguide.com 2012-01-16
[33] 뉴스 China claims world's largest Ferris wheel - Boston.com http://www.boston.co[...]
[34] 웹사이트 http://news.xinhuane[...] Xinhua 2008-04-01
[35] 논문 The Founder of Plant Taxonomy in China: HU Hsen-Hsu https://doi.org/10.1[...] 2022-04-01
[36] 웹사이트 Zhi Yueying: Nurturing Children in the Mountain http://www.chinatoda[...] 2024-09-14
[37] 웹사이트 WTA http://www.wtatennis[...] 2018-10-03
[38]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39] 웹사이트 江西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40] 웹사이트 CMA台站气候标准值(1991-2020) https://experience.a[...] 2023-05-14
[41]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15
[42] 웹인용 CMA台站气候标准值(1991-2020)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9-12
[43] 웹인용 中国气象局 国家气象信息中心 https://web.archive.[...] 중국기상국 2010-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