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가지숭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가지숭어과는 몸이 길쭉하고 가슴 지느러미에 실 모양의 기조가 있는 어류 분류군이다.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연안 및 기수역에서 주로 서식한다. 실꼬리돔은 게맛살의 재료로 사용되며, 하와이에서는 양식 대상이 되기도 한다. 날가지숭어과는 8개 속에 43종으로 분류되며, 과거에는 숭어과와 유연관계가 지적되었으나, 최근에는 민어과의 자매군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날가지숭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정보 | |
학명 | Polynemidae |
명명자 | Rafinesque, 1815 |
속 | 본문 참조 |
형태 정보 | |
일반적인 크기 | 약 11 cm |
최대 크기 | 약 2 m |
2. 형태
몸은 길쭉하고 방추형이며, 가시가 있는 부드러운 등지느러미가 넓게 분리되어 있다.[7] 꼬리 지느러미는 크고 깊게 갈라져 있어 속도와 민첩성을 나타낸다. 입은 크고 하악이며, 무딘 주둥이가 멀리 튀어나와 있다. 턱과 입천장에는 융모(섬유) 모양의 이빨 띠가 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지느러미인 가슴 지느러미이다.[7] 이 지느러미는 두 개의 뚜렷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쪽은 3개에서 7개의 길고 실과 같은 독립적인 기조로 구성되어 있다. ''Polynemus'' 종은 이러한 변형된 기조를 최대 15개까지 가질 수 있다.
날가지숭어과 어류는 전 세계 열대·아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대부분은 연안 해역 및 기수역에서 생활하며, 보르네오 섬 등 일부 지역에서는 하천으로 진출한 종류도 알려져 있다. 모래나 펄로 이루어진 해저 부근에서 활발하게 헤엄치며, 저서생물을 주로 포식한다.
날가지숭어는 표해성 산란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많은 작고 부유성이 있는 알을 물기둥으로 방출하여 플랑크톤의 일부가 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알은 부화할 때까지 해류를 따라 자유롭게 떠다닌다.
날가지숭어과 어류는 전 세계 열대·아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대부분은 연안 해역 및 기수역에서 생활하는 한편, 보르네오 섬 등 일부 지역에서는 하천으로 진출한 종류도 알려져 있다. 모래나 펄로 이루어진 해저 부근에서 활발하게 헤엄치며, 저서생물을 주로 포식한다.
왕족 실고기(''Pentanemus quinquarius'')와 같은 일부 종에서는 실과 같은 기조가 꼬리 지느러미를 훨씬 넘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인 이름인 실고기와 과명인 Polynemidae를 설명하며, 이는 "많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poly''와 "필라멘트"를 의미하는 ''nema''에서 유래되었다. 숭어(과 Mugilidae) 및 밀크피쉬(과 Chanidae)와 같은 유사한 종은 실 모양의 지느러미 가슴 지느러미 기조가 없다는 점으로 인해 실고기와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날가지숭어과 어류는 다소 길쭉한 체형을 가지며, 최대 종은 1.8m까지 성장한다. 등지느러미 또한 전반부의 가시줄 부분과 후반부의 연조 부분으로 나뉘며, 양자 사이의 간격은 넓다. 배지느러미는 복부의 약간 앞쪽에 위치하며, 꼬리지느러미는 깊게 두 갈래로 갈라진다. 척추의 수는 24-25개이다. 아래턱이 현저하게 작아, 없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아고나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3. 분포 및 서식지
실꼬리돔은 광염성으로 알려져 다양한 염분 수준을 견딜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기수역과 심지어 강에도 들어갈 수 있다. 진흙, 모래 또는 실트 바닥이 있는 열린 얕은 물에서 자주 발견되며, 암초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가슴 지느러미 줄기는 촉각 구조 역할을 하여 퇴적물 내에서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로 갑각류와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
일본 근해에는 적어도 2속 4종이 분포한다. 수가 많지 않아 일본에서는 잘 이용되지 않지만, 동남아시아 등 열대 지역에서는 식용어로 중요한 존재가 되고 있다.
4. 생태
5. 인간과의 관계
일본 근해에는 적어도 2속 4종이 분포한다. 수가 많지 않아 일본에서는 잘 이용되지 않지만, 동남아시아 등 열대 지역에서는 식용어로 중요한 존재가 되고 있다.
실꼬리돔은 게맛살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하와이에서는 날가지숭어가 상업적인 개방 해양 케이지 해상 양식의 대상이다.[4][5]
5. 1. 식용
실꼬리돔은 게맛살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5. 2. 양식
하와이에서는 날가지숭어가 상업적인 개방 해양 케이지 해상 양식의 대상이다.[4][5]
6. 계통 분류
다음은 2016년 해링턴(Harringto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2]
{| class="wikitable"
|-
! 전갱이류
|-
|
{| class="wikitable"
|-
| 꼬치고기과
|-
|
{| class="wikitable"
|-
| 눈볼개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물총고기과 |
렙토브라마과 |
|-
|
{| class="wikitable"
|-
| 배불뚝치과
|-
! 돛새치목
|-
|
돛새치과 |
황새치과 |
|}
|}
|-
! 전갱이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빨판상어과
|-
|
날새기과 |
만새기과 |
|}
|-
! 전갱이과
|-
|
동갈방어아과 |
전갱이아과 |
|}
|-
! 전갱이과
|-
|
가시전갱이아과 |
빨판매가리아과 |
|}
|}
|-
|
{| class="wikitable"
|-
| 날가지숭어과
|-
! 가자미목
|-
|
{| class="wikitable"
|-
| 마찰넙치과
|-
|
{| class="wikitable"
|-
| 풀넙치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신월가자미과
|-
|
|}
|-
|
아키루스과 |
남극가자미과 |
|}
|-
|
{| class="wikitable"
|-
| 대문짝넙치과
|-
|
{| class="wikitable"
|-
|
가자미과 |
넙치과 |
|-
|
둥글넙치과 |
키클롭세타과 |
|}
|}
|}
|}
|}
|}
|}
|}
|}
|}
|}
날가지숭어과에는 8속 41종이 기재되어 있다. 과거에는 숭어과・꼬치고기과와의 유연관계가 지적되어 독립된 날가지숭어아목(Polynemoidei)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8], 최근에는 민어과의 자매군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아졌다.[7][9]。
7. 하위 분류
날가지숭어과에는 8개 속에 43종이 속한다.
- ''Eleutheronema''
- * 네날가지 (''E. tetradactylum'') (Shaw, 1804)
- * ''E. tridactylum'' (Bleeker, 1849)
- * ''Eleutheronema rhadinum'' (Jordan & Evermann, 1902) (동아시아 네손가락 날가지숭어)
- ''Filimanus''
- * ''F. heptadactyla'' (Cuvier, 1829)
- * ''F. hexanema'' (Cuvier, 1829)
- * ''F. perplexa'' Feltes, 1991
- * ''F. sealei'' (Jordan & Richardson, 1910)
- * ''F. similis'' Feltes, 1991
- * ''F. xanthonema'' (Valenciennes, 1831)
- ''Galeoides''
- * ''G. decadactylus'' (Bloch, 1795)
- ''Leptomelanosoma''
- * ''L. indicum'' (Shaw, 1804)
- ''Parapolynemus''
- * ''P. verekeri'' (Saville-Kent, 1889)
- ''Pentanemus''
- * ''P. quinquarius'' (Linnaeus, 1758)
- 날가지숭어속 (''Polydactylus'')
- * ''P. approximans'' (Lay & Bennett, 1839)
- * ''P. bifurcus'' Motomura, Kimura & Iwatsuki, 2001
- * ''P. longipes'' Motomura, Okamoto & Iwatsuki, 2001
- * ''P. macrochir'' (Günther, 1867)
- * ''P. macrophthalmus'' (Bleeker, 1858)
- * ''P. malagasyensis'' Motomura & Iwatsuki, 2001
- * ''P. microstomus'' (Bleeker, 1851)
- * ''P. mullani'' (Hora, 1926)
- * 다방날가지숭어 (''P. multiradiatus'') (Günther, 1860)
- * 검정깃날가지 (''P. nigripinnis'') Munro, 1964
- * ''P. octonemus'' (Girard, 1858)
- * ''P. oligodon'' (Günther, 1860)
- * ''P. opercularis'' Seale & Bean, 1907
- * ''P. persicus'' Motomura & Iwatsuki, 2001
- * 날가지숭어 (''P. plebeius'') (Broussonet, 1782)
- * ''P. quadrifilis'' (Cuvier, 1829)
- * ''P. sexfilis'' (Valenciennes, 1831)
- * 흑점날가지 (''P. sextarius'') (Bloch & Schneider, 1801)
- * ''P. siamensis'' Motomura, Iwatsuki & Yoshino, 2001
- * ''P. virginicus'' (Linnaeus, 1758)
- ''Polynemus''
- * ''P. aquilonaris'' Motomura, 2003
- * ''P. bidentatus'' Motomura & Tsukawaki, 2006
- * ''P. dubius'' Bleeker, 1854
- * ''P. hornadayi'' Myers, 1936
- * ''P. multifilis'' Temminck & Schlegel, 1843
- * ''P. paradiseus'' Linnaeus, 1758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웹사이트
Inserts for pages 437–441
https://81a86d48-a-6[...]
John Wiley & Sons Limited
2020-04-13
[3]
FishBase
[4]
논문
Partial recovery of infaunal communities during a fallow period at an open-ocean aquaculture
https://www.int-res.[...]
[5]
논문
Temporal changes in the polychaete infaunal community surrounding a Hawaiian mariculture operation
https://www.int-res.[...]
[6]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threadfin fishes (Polynemidae) using ultraconserved elements
https://onlinelibrar[...]
[7]
서적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8]
서적
Fishes of the World Second Edition
[9]
서적
日本の海水魚
[10]
간행물
スリナム・ギアナ沖の魚類
海洋水産資源開発センター
[11]
FishBase
[12]
논문
Phylogenomic analysis of carangimorph fishes reveals flatfish asymmetry arose in a blink of the evolutionary ey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