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바깥요도조임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깥요도조임근은 소변이 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근육으로,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속요도조임근과 함께 작용한다. 이 근육은 오누프핵에서 시작하여 척수신경 S2-S4를 통과하는 음부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몸신경계의 제어를 통해 수의적인 소변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배뇨는 바깥요도조임근의 이완으로 시작되며, 사정 시에는 바깥요도조임근이 열리고 속요도조임근이 닫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뇨계 - 오줌
오줌은 신장에서 혈액을 여과하여 생성되는 액체 노폐물로, 체내 수용성 노폐물 배출과 삼투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건강 상태 지표가 될 수 있는 색깔, 냄새, pH, 비중 등을 가진다. - 비뇨계 - 방광
방광은 골반저에 위치하여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속이 빈 근육 기관으로, 요관과 요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배뇨근으로 팽창과 수축을 하고, 뇌간의 배뇨 중추에 의해 배뇨가 조절된다. - 몸통 근육 - 마름근
마름근은 등 상부에 위치한 큰마름근과 작은마름근으로 나뉘는 근육으로, 등뼈와 목뼈에서 시작하여 어깨뼈를 척추 방향으로 당기고 회전시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과 목의 움직임 및 자세 유지에 관여하며 등쪽어깨신경의 지배를 받아 승모근과 함께 어깨뼈를 안정적으로 지탱한다. - 몸통 근육 - 갈비사이근
갈비사이근은 갈비뼈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바깥갈비사이근, 속갈비사이근, 가장 안쪽 갈비사이근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흡기와 날숨을 돕고 늑간신경과 늑간 동맥의 지배 및 공급을 받으며 사각근 또한 일부로 분류되어 흡기에 관여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남성 바깥요도조임근 | |
---|---|
개요 | |
라틴어 | musculus sphincter urethrae externus urethrae masculinae, musculus sphincter urethrae membranaceae |
영어 | Sphincter urethrae membranaceae muscle |
세부 정보 | |
이는곳 | 두덩뼈와 궁둥뼈 아래가지의 접합부에서 1.25 ~ 2cm 범위 |
닿는곳 | 궁둥두덩가지 |
혈액 공급 | 음경등동맥 |
신경 분포 | 음부신경을 통한 S2-S4 몸신경 섬유 |
작용 | 요도를 수축시키고 오줌 배설을 막음 |
2. 기능
바깥요도조임근은 속요도조임근과 함께 오줌이 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깥요도조임근은 몸신경계의 지배를 받아 수의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소변이 나가는 것을 의식적으로 참을 수 있게 한다.[4][5]
배뇨는 바깥요도조임근을 수의적으로 이완시키면서 시작된다. 사정 시에는 바깥요도조임근이 열리고 속요도조임근이 닫힌다.[6][3]
2. 1. 신경 지배
바깥요도조임근은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속요도조임근과 함께 오줌이 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바깥요도조임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오누프핵에서 시작하여 척수신경 S2-S4를 통과해 온 음부신경이다.[4][5] 음부신경은 근육에 시냅스하여 바깥요도조임근을 수축시킨다. 즉 바깥요도조임근은 속요도조임근과 다르게 몸신경계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소변이 나가는 걸 수의적으로 막는다.[1][2][3][4][5]배뇨는 바깥요도조임근의 수의적인 이완으로 시작된다. 이는 다리뇌배뇨중추에서 발생하여 내림그물척수신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신호가 오누프핵에 있는 몸신경계 뉴런을 억제하면서 촉진된다. 사정하는 동안에는 바깥요도조임근이 열리고 속요도조임근이 닫힌다.[3][6]
2. 2. 배뇨 과정
바깥요도조임근은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속요도조임근과 함께 오줌이 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바깥요도조임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오누프핵에서 시작하여 척수신경 S2-S4를 통과해 온 음부신경이다. 음부신경은 근육에 시냅스하여 바깥요도조임근을 수축시킨다. 즉 바깥요도조임근은 속요도조임근과 다르게 몸신경계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소변이 나가는 걸 수의적으로 막는다.[4][5]배뇨는 바깥요도조임근의 수의적인 이완으로 시작된다. 이는 다리뇌배뇨중추에서 발생하여 내림그물척수신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신호가 오누프핵에 있는 몸신경계 뉴런을 억제하면서 촉진된다. 사정하는 동안에는 바깥요도조임근이 열리고 속요도조임근이 닫힌다.[6]
2. 3. 사정과의 관계
사정하는 동안에는 바깥요도조임근이 열리고 속요도조임근이 닫힌다.[6][3]3. 추가 이미지
참조
[1]
논문
Clinical and Functional Anatomy of the Urethral Sphincter
2012-09
[2]
논문
Continence and micturition: An anatomical basis
http://pure-oai.bham[...]
2014-11
[3]
논문
The Musculature of the Bladder-neck of the Male in Health and Disease
1934-11
[4]
논문
Clinical and Functional Anatomy of the Urethral Sphincter
2012-09
[5]
논문
Continence and micturition: An anatomical basis
http://pure-oai.bham[...]
2014-11
[6]
논문
The Musculature of the Bladder-neck of the Male in Health and Disease
193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