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리스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리스강은 벨라루스 북부에서 발원하여 리투아니아를 거쳐 네만강으로 합류하는 강이다. 리투아니아어로는 네리스, 벨라루스어로는 빌리야로 불리며, 빌뉴스 등 도시 지명에도 두 이름이 모두 사용되었다. '네리스'는 "잠수하다, 하류로 헤엄치다"를 의미하는 발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총 유역 면적은 25,100 km²로 벨라루스와 리투아니아에 걸쳐 있다. 주요 지류로는 벨라루스 지역의 나라치강, 세르바치강, 스트라차강 등이 있고, 리투아니아 지역의 제이메나강, 무세강, 슈벤토이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강 - 네만강
네만강은 벨라루스에서 발원하여 리투아니아와 러시아를 거쳐 쿠르슈 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유럽에서 14번째로 긴 강으로, 유역은 리투아니아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경제 활동에 활용되지만 수질 오염 등의 환경 문제에 직면해 관련 국가들이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리투아니아의 강 - 셰슈페강
셰슈페 강은 리투아니아 남서부와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를 가로지르는 약 298km 길이의 강으로, 역사적으로 국경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농업, 어업, 레크리에이션에 활용되는 중요한 강이다. - 벨라루스의 강 - 다우가바강
다우가바강은 동유럽의 강으로, 러시아, 벨라루스, 라트비아를 거쳐 흐르며 역사적으로 무역로의 중요한 부분이었고 현재는 수력 발전 자원으로 활용된다. - 벨라루스의 강 - 네만강
네만강은 벨라루스에서 발원하여 리투아니아와 러시아를 거쳐 쿠르슈 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유럽에서 14번째로 긴 강으로, 유역은 리투아니아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경제 활동에 활용되지만 수질 오염 등의 환경 문제에 직면해 관련 국가들이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유럽의 국제 하천 - 라인강
라인강은 스위스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북해로 흐르는 1,036.20km의 유럽 주요 강으로, 6개국을 지나며 군사적·문화적 요충지이자 수운로로서 기능해 왔으나, 수질 오염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문제 또한 안고 있다. - 유럽의 국제 하천 - 도루강
도루강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스페인에서 발원하여 포르투갈을 거쳐 대서양으로 흘러들어가며, 포트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네리스강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이름 | 네리스강 |
원어 이름 (리투아니아어) | Neris |
원어 발음 (리투아니아어) | [[파일:Lt-Neris.oga|듣기]] |
다른 이름 | 빌리야 (벨라루스어: Вілія/Vilija) 빌리야 (러시아어: Вилия) [[파일:Ru-Вилия.ogg|듣기]] 빌리아 (폴란드어: Wilia) |
강 길이 | 510 km |
지리 | |
발원지 위치 | 벨라루스 |
하구 | 네만강 |
유역 | 네만강 |
국가 |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
도시 | 빌뉴스 카우나스 |
평균 방류량 | 182 m³/s |
유역 면적 | 24942.3 km² |
왼쪽 지류 | 옥스나 |
추가 정보 | |
지도 프레임 정보 | }} |
2. 명칭
네리스강은 리투아니아어로는 '네리스'(Neris), 벨라루스어로는 '빌리야'(Вілія/Viliya)라고 불린다.[2] 빌뉴스와 카우나스 등 도시 지명에도 두 이름이 모두 사용된 흔적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빌뉴스에는 '파네리아이'와 '파네리슈케스'와 같이 '네리스'가 들어간 강변 지명이 있고, '발라캄피아이'는 리투아니아어로 "빌리야의 각도"를 의미한다.[2] 카우나스에서는 네리스강 인근의 도시 일부가 빌리얌폴레 (빌리야 + 폴리스, 빌리야 옆의 폴리스)로 불린다.
''네리스''가 이 강의 원래 이름이고, ''빌리야''는 이차적으로 파생된 이름이라는 주장이 있지만,[4] 이중 명칭은 역사적인 슬라브/발트 접경 지역에서 네리스강(나라치강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라치 호수에서 발원)과 벨랴강의 합류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각 민족은 합류 지점부터 강에 자체 이름을 붙였다.[2] 더욱이 ''네리스''라는 이름이 합류 지점까지 벨랴강의 이름을 짓는 데 사용된 적이 없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고대 발트인들은 나라치강을 네리스의 상류로 간주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
2. 1. 어원
'네리스'라는 이름은 발트어 기원으로, 리투아니아어 ''nerti''와 어원상 관련이 있으며, "잠수하다, 하류로 헤엄치다"를 의미한다.[4] 초기에는 "흐름"[9] 또는 "빠르고 소용돌이치는 흐름"[11]과 같은 더 일반적인 의미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이 이름은 수계지명의 일종으로, 리투아니아어 Narotis, Narasa(강), Narutis (호수), 옛 프로이센어 Narus, Nara (모스크바 근처) 등이 있다.[12] 이들은 리투아니아어 ''narus'', "깊은"과 관련이 있다.
더 먼 관련성은 불분명하지만, 원시인도유럽어 어근이 존재할 가능성으로, 포코르니가 제시한 *''ner-'' ("아래"), 데르크센의 *''nerH-'' (o-grade *''norH-'') 등이 있다.[12] 그리스 신화의 네레우스와 연관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3]
3. 지리
네리스강은 벨라루스 북부에서 발원하여 리투아니아를 거쳐 네만강으로 합류한다. 총 유역 면적은 25,100 km²이며, 벨라루스(10,920 km²)와 리투아니아(13,849 km²)에 걸쳐 있다.[1][7][14]
; 벨라루스 유역
네리스강은 벨라루스에서 빌리야강(벨라루스어: Вілія)으로 불린다. 벨라루스 최대의 저수지인 빌레이카 저수지가 빌레이카 근처에 있다.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우안 지류
- 나라치 강(나루티스 강)
- 세르바치 강(세르베치우스 강)
- 스트라차 강(스트레체 강)
- 좌안 지류
- 일리야 강
- 우샤 강
- 아슈먄카 강
; 리투아니아 유역
리투아니아 내 네리스강 유역 면적은 13,849 km²이다.[15] 네리스강이 리투아니아 국내를 흐르는 구간은 유역 전체의 56%에 해당하며, 네만강(네무나스) 유역 북동부의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15] 비교적 투수성이 뛰어난 토양이 중심이며, 삼림 피복률은 28%, 습지는 약 10%, 호수는 2.5%이다.[15] 흐르는 방향은 북서에서 남동으로, 유역 면적의 66%는 강의 우안, 34%는 좌안에 있다.[15]
리투아니아 지역 호수의 성질은 크게 다르며, 우안에는 특히 넓은 호수가 많은 제이메나 분지(Žeimena basino)와 슈벤토이 분지(Šventoji baseino)가 위치하며, 전체의 3%이다. 좌안은 0.1%이다.[15] 분지는 4개의 지형으로 나뉘며, 중앙의 좁은 저지는 동유럽 평원에 이어지고, 북동부의 발트해 고원, 남동 평야, 빌리하-나로치우스 저지, 리투아니아-벨라루스 고원에 분포한다.[15]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우안 지류 | 좌안 지류 |
---|---|
| |
기타 지류로는 우안의 체코네 강(체코네/Čekonėlt)과 리에타바 강(리에타바/Lietavalt)이 있다. 체코네 강은 매우 아름답고 급류가 있으며, 강폭은 하구에서 평균 2~2.5m이며, 상류에서 0.5~1m이다. 다른 지류에 비해 자갈이 많다. 리에타바 강은 리투아니아 국명의 유래가 된 강으로, 전장 11 km이다.
3. 1. 벨라루스 유역
네리스강은 벨라루스에서 빌리야강(벨라루스어: Вілія)으로 불린다. 벨라루스 최대의 저수지인 빌레이카 저수지가 빌레이카 근처에 있다.네리스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우안 지류
- 나라치 강(나루티스 강)
- 세르바치 강(세르베치우스 강)
- 스트라차 강(스트레체 강)
; 좌안 지류
- 일리야 강
- 우샤 강
- 아슈먄카 강
3. 2. 리투아니아 유역
리투아니아 내 네리스강 유역 면적은 13,849 km²이다.[15] 네리스강이 리투아니아 국내를 흐르는 구간은 유역 전체의 56%에 해당하며, 네만강(네무나스) 유역 북동부의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15] 비교적 투수성이 뛰어난 토양이 중심이며, 삼림 피복률은 28%, 습지는 약 10%, 호수는 2.5%이다.[15] 흐르는 방향은 북서에서 남동으로, 유역 면적의 66%는 강의 우안, 34%는 좌안에 있다.[15]리투아니아 지역 호수의 성질은 크게 다르며, 우안에는 특히 넓은 호수가 많은 제이메나 분지(Žeimena basino)와 슈벤토이 분지(Šventoji baseino)가 위치하며, 전체의 3%이다. 좌안은 0.1%이다.[15] 분지는 4개의 지형으로 나뉘며, 중앙의 좁은 저지는 동유럽 평원에 이어지고, 북동부의 발트해 고원, 남동 평야, 빌리하-나로치우스 저지, 리투아니아-벨라루스 고원에 분포한다.[15]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우안 지류 | 좌안 지류 |
---|---|
| |
기타 지류로는 우안의 체코네 강(체코네/Čekonėlt)과 리에타바 강(리에타바/Lietavalt)이 있다. 체코네 강은 매우 아름답고 급류가 있으며, 강폭은 하구에서 평균 2~2.5m이며, 상류에서 0.5~1m이다. 다른 지류에 비해 자갈이 많다. 리에타바 강은 리투아니아 국명의 유래가 된 강으로, 전장 11 km이다.
4. 역사
4. 1. 고대
4. 2. 중세 이후
5. 생태
6. 문화
7. 현대적 의의
8.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Main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public of Belarus.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argest rivers of Belarus
http://landofancesto[...]
Data of th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Republic of Belarus.
2013-09-27
[2]
뉴스
Mysterious Neris
http://www.neriespar[...]
2005-07-23
[3]
간행물
Narutis ir Neris
[4]
서적
Senosios Lietuvos valstybės vardyna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5]
문서
Prūsų kalbos etimologijos žodynas
L-P, V.
[6]
웹사이트
Neries mažųjų intakų (su Nerimi) pabaseinis
http://vanduo.gamta.[...]
[7]
웹사이트
Main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public of Belarus [ベラルーシの主な地勢]
http://landofancesto[...]
ベラルーシ政府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2013-09-27
[8]
논문
Mysterious Neris
http://www.neriespar[...]
2005-07-23
[9]
서적
Senosios Lietuvos valstybės vardyna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10]
논문
Narutis ir Neris
[11]
서적
Prūsų kalbos etimologijos žodynas
L-P, V.
[12]
문서
「under」の意。Pokorny『印欧語源辞典』765–766頁。
[13]
문서
Partridge, Origins(1983)
[14]
웹사이트
Neries mažųjų intakų (su Nerimi) pabaseinis
http://vanduo.gamta.[...]
[15]
문서
『ソビエト・リトアニア百科事典』第3巻205–207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