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바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바 강은 라도가 호에서 발원하여 핀란드 만으로 흘러드는 길이 74km의 강으로, 핀란드어, 카렐리아어, 에스토니아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관통하며, 26개의 지류와 42개의 섬이 있는 삼각주를 형성한다. 12월 초부터 4월 초까지 얼어붙으며, 라도가 호의 유량으로 인해 홍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네바 강은 1240년 네바 강변 전투와 같은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과 함께 도시의 중심 역할을 해왔다. 오늘날에는 수운, 용수 공급, 어업 등 상업적으로 이용되며, 주변에는 다양한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하지만, 산업 폐수 등으로 인해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강 - 폰탄카강
폰탄카강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흐르는 강으로, 18세기에는 도시의 남쪽 경계였으며 로마노프 왕가와 귀족들의 저택 건설로 중요한 지역이 되었고, 화강암 제방, 신고전주의 및 바로크 양식 건축물, 그리고 문화적 영감의 원천과 역사를 반영하는 다리들이 특징이다. - 네바 강 유역 - 발다이 구릉
발다이 구릉은 러시아 중앙 고원의 북쪽 연장선에 위치한 빙하 퇴적 지형으로, 주요 강의 발원지이자 유역 분리지 역할을 하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역사적인 도시들로 인해 관광지로 활용되고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네바 강 유역 - 애글래호
- 레닌그라드주의 강 - 스비리강
오네가 호에서 발원하여 라도가 호로 흘러드는 러시아의 스비리 강은 과거 수상 교역로의 일부였으나, 현재는 수력발전소 건설과 특정 구간의 좁은 강폭으로 인해 선박 통항에 어려움이 있으며, 람사르 협약 등록지인 삼각주와 역사적 장소를 포함하고 있는 격동의 역사를 지닌 강이다. - 레닌그라드주의 강 - 루가강
루가강은 러시아 노브고로드주에서 발원하여 핀란드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일부 구간은 선박 통행이 가능하고 하구에는 킹기세프 소수력발전소와 우스트-루가 항구가 위치한다.
네바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네바강 |
원어 이름 | Нева |
로마자 표기 | Neva |
로마자 표기 (영국식) | Neyva |
다른 이름 | 니바 (소형) |
위치 정보 | |
위치 | 북유럽 |
국가 | 러시아 연방 |
지역 | 레닌그라드 주, 상트페테르부르크 |
도시 | 슐리셀부르크, 키롭스크, 오트라드노예, 상트페테르부르크 |
지리적 특징 | |
길이 | 74km |
최소 폭 | 210m |
평균 유량 | 2,628 m³/s |
최대 유량 | 4,550 m³/s |
발원지 | 라도가호 |
발원지 좌표 | 59°57′10″N 31°02′10″E |
발원지 고도 | 4.3m |
하구 | 네바만 |
하구 좌표 | 59°57′50″N 30°13′20″E |
하구 고도 | 0m |
유역 면적 | 282,300km² |
왼쪽 지류 | 므가 강, 토스나 강, 이조라 강 |
오른쪽 지류 | 옥타 강 |
이미지 정보 | |
![]() |
2. 어원
네바(Neva)라는 이름은 핀우그리아어족 언어에서 유래했다. 핀란드어로는 "빈약한 늪(poor fen)", 카렐리어어로는 "수로(watercourse)", 에스토니아어로는 "수로(waterway)"를 의미한다. [1] 기원전 2000년에서 기원전 1250년 사이에 강의 흐름이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new)"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형용사 ''newā''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러한 영향을 받은 지역 지명들은 8세기경 스칸디나비아 상인들과 슬라브족이 이 지역에 주요 정착지를 건설한 시기와 일치한다. [1] 이는 네바 강이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강임을 시사한다. 실제로 네바 강의 삼각주는 전형적인 삼각주와 달리, 고생대 바다였던 지역의 빙하 침식과 빙하 후퇴, 그리고 빙하 반동에 따른 라도가 호의 범람으로 형성된 의사 삼각주(pseudodelta)이다.[2][3][4][5] 기원전 1410~1250년 사이에 므가 강의 물길이 침식을 통해 토스나 강/네바 강 하류 계곡으로 유입되면서 현재의 네바 강이 형성되었고, 이 과정에서 이바노보 급류가 생겨났다.[3] 2,500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이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4]
네바 강은 라도가 호에서 발원하여 핀란드 만으로 흘러들어가는 강으로, 총 길이는 74km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내를 28km 흐르며, 평균 강폭은 400~600m, 최대 수심은 24m이다. 하구 부근에는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삼각주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중심지를 이룬다. 유역에는 유럽에서 가장 큰 라도가 호와 두 번째로 큰 오네가 호가 위치한다. 강은 세 곳에서 급격하게 굴곡한다. 네바 강은 슐리셀부르크 근처의 라도가 호에서 발원하여 네바 저지대를 통과, 발트 해의 핀란드 만으로 흘러든다. 길이는 74km이며, 발원지에서 하구까지의 최단 거리는 45km이다. 강둑은 낮고 완만하며, 평균 높이는 3~6m이고 하구에서는 2~3m이다. 세 곳의 급격한 굴곡이 존재하는데, 우스트-슬라뱌얀카 지역의 네프스키 숲 공원에 있는 이바노프스키 급류(소위 "굽은 무릎"이라고 함), 스몰니 교육원 근처, 옥타 강 하구 아래에 있다.[5] 발원지와 하구 사이의 고도 차이는 4.27m이다.[8] 강은 한 지점에서 빙퇴석 능선을 가로지르며 이바노프스키 급류를 형성한다. 급류 시작 부분에서 강의 가장 좁은 부분은 210m이다. 급류에서의 평균 유속은 약 0.8~1.1m/s이다. 강을 따라 평균 너비는 400~600m이다. 가장 넓은 곳은 1000~1250m이며, 삼각주, 해상 무역항 입구, 토스나 강 합류점 근처 이바노프스키 급류 끝, 그리고 발원지 근처 파브린치니 섬 근처에 있다. 평균 수심은 8~11m이며, 최대 수심 24m는 리테이니 다리 위에서, 최소 수심 4.0~4.5m는 이바노프스키 급류에서 나타난다.[6] 네바 강 유역에서는 강수량이 증발량을 크게 초과하며, 증발량은 네바 강의 수분 소비량의 37.7%에 불과하고 나머지 62.3%는 지표 유출량이다.[7] 1859년 이후, 가장 많은 유량 116km³는 1924년에, 가장 적은 유량 40.2km³는 1900년에 관측되었다.[2] 평균 연간 유출량은 78.9km³ 또는 평균 2500m³/s이다.[8] 라도가 호에서 네바 강으로의 일정한 수류로 인해 일 년 내내 홍수와 봄철의 해당 수위 상승이 거의 없다. 네바 강은 12월 초부터 4월 초까지 완전히 얼어붙는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내부의 얼음 두께는 0.3~0.4m이고 다른 지역에서는 0.5~0.6m이다. 겨울에 강 상류에 얼음이 막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때때로 상류 쪽 홍수를 일으킨다. 라도가 호의 총 얼음량 10.6km³ 중 5% 미만이 네바 강으로 유입된다.[7] 평균 여름철 수온은 17~20°C이고, 수영 시즌은 약 1.5개월 지속된다. 물은 담수이며 탁도는 중간 정도이고, 평균 염도는 61.3 mg/L이며 중탄산칼슘 함량은 7 mg/L이다.[5]
네바 강은 라도가 호에서 발원하여 핀란드 만의 발트 해로 흘러들며, 길이는 74km이다. 강둑은 낮고 가파르며, 세 곳의 급격한 굴곡이 있다. [5] 발원지와 하구의 고도 차이는 4.27m이고, 평균 유속은 0.8~1.1m/s, 평균 너비는 400~600m, 평균 수심은 8~11m이다. [6][8] 12월 초부터 4월 초까지 얼어붙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의 얼음 두께는 0.3~0.4m이다. [7] 라도가 호의 일정한 수류로 인해 홍수가 거의 없고, 평균 연간 유출량은 78.9km³이다.[8] 물은 담수이며, 평균 염도는 61.3 mg/L이다. [5]
네바 강 유역 면적은 5,000km²이며, 라도가 호와 오네가 호 유역을 포함한다. [9] 네바 강으로 직접 흘러드는 강은 26개이고, 주요 지류로는 므가 강, 토스나 강, 이조라 강, 슬라뱌얀카 강, 옥타 강 등이 있다. [5]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 이후 수많은 운하와 연못이 건설되었고, 삼각주의 지형도 크게 변화했다. 1972년 기준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내에는 42개의 섬이 남아있으며, 그 중 가장 큰 섬은 바실리예프스키 섬이다. [2] 네바 강은 하류에서 여러 갈래로 나뉘며, 주요 수로로는 볼샤야 네바, 말라야 네바, 볼샤야 네프카, 말라야 네프카 등이 있다. [10]
3. 지리
{{wikitable|class="wikitable"
|+ 평균 유량. 괄호 안의 값은 연간 값의 백분율입니다.[7]
|-
! 항목
! 4월~6월
! 7월~9월
! 10월~11월
! 12월~3월
! 합계
|-
| 유출량, km3|| 22.7 (28.5%)|| 23.5 (29.4%)|| 14.1 (17.7%)|| 19.4 (24.4%)|| 79.7
|-
| 부유물질, kt|| 162 (31.7%)|| 136 (26.7%)|| 143 (28.0%)|| 69 (13.6%)|| 510
|-
| 저질 퇴적물, kt|| 26.5 (40.8%)|| 15.8 (24.3%)|| 21.3 (32.7%)|| 1.4 ( 2.2%)|| 65.0
|-
| 이온 유출량, kt|| 735 (25.6%)|| 729 (25.4%)|| 712 (24.8%)|| 694 (24.2%)|| 2870
|-
| 열 흡수량, 1015 cal|| 168 (28.4%)|| 359 (60.7%)|| 63 (10.7%)|| 1 (0.2%)|| 591
|-
| 얼음 유출량, km3|| 0.57 (81.4%)|| –|| 0.13 (18.6%)|| –|| 0.7
}}
라도가 운하 하구와 네바 강 전경, 이조라 강 하구의 네바 강, 표트르 대제 다리 근처의 네바 강, 성 트리니티 다리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본 전경
네바 강 유역의 면적은 5,000km²[9]이며, 라도가 호와 오네가 호의 유역(281,000km²)을 포함한다. 유역에는 2만 6300개의 호수와 4만 8300개가 넘는 강이 복잡한 수문 네트워크를 형성하지만, 네바 강으로 직접 흘러드는 강은 26개뿐이다. 주요 지류로는 왼쪽에 므가 강, 토스나 강, 이조라 강, 슬라뱌얀카 강, 무르진카 강이 있고, 오른쪽에는 옥타 강과 초르나야 레치카 강이 있다.[5]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발전 과정에서 수문 네트워크는 역사 전반에 걸쳐 변화되어 왔다.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 당시 이 지역은 낮고 습지였기 때문에 배수를 위해 운하와 연못을 건설해야 했다. 건설 중에 파낸 흙은 도시를 높이는 데 사용되었다. 19세기 말 네바 강 삼각주는 48개의 강과 운하, 101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오보드니 운하 건설 전에는 이 지역의 왼쪽 지류가 볼코프카였는데, 합류 지점의 일부는 현재 모나스티르카라고 불린다. 라도가 운하는 네바 강 기슭에서 시작하여 라도가 호 남쪽 해안을 따라 볼호프 강과 연결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삼각주의 일부 운하가 매립되어 1972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내에 42개의 섬만 남았다. 가장 큰 섬은 1050ha 크기의 바실리예프스키 섬, 570ha 크기의 페트로그라드스키 섬, 420ha 크기의 크레스토프스키 섬, 410ha 크기의 데카브리스토프 섬이고, 그 외에 자야치 섬, 옐라긴 섬, 카멘니 섬 등이 있다.[2] 네바 강의 발원지인 슐리셀부르크 근처에는 오레호비 섬과 파브리치니 섬이라는 두 개의 작은 섬이 있다. 글라브리바 섬은 오트라드노예 (레닌그라드주) 마을 위쪽 강 상류에 있다.
{{wikitable|class="wikitable"
|+ 네바 강 삼각주의 주요 수로.[10]
|-
! 이름
! 지역
! 길이 (km)
|-
| rowspan = "2"|대네바 강|볼샤야 네바|| 폰탄카 강 어귀에서 블라고베슈첸스키 다리까지|| 2.40
|-
| 블라고베슈첸스키 다리에서 궁전 다리까지|| 1.22
|-
| 소네바 강|말라야 네바|||| 4.85
|-
| 예카테리노프카|||| 3.60
|-
| 즈다노프카 강|즈다노프카|||| 2.20
|-
| 스몰렌카 강|스몰렌카|||| 3.30
|-
| rowspan = "3"|대네프카 강|볼샤야 네프카|| 네바 강에서 소네프카 강까지|| 3.70
|-
| 소네프카 강에서 중네프카 강까지 || 2.05
|-
| 중네프카 강에서 네바 만까지|| 2.15
|-
| 중네프카 강|세레드냐야 네프카|||| 2.60
|-
| 소네프카 강|말라야 네프카|||| 4.90
|-
| 카르포프카 강|카르포프카|||| 3.00
|-
| 크레스토프카|||| 0.74
|-
| 폰탄카 강|폰탄카|||| 6.70
|-
| 모이카 강|모이카|||| 4.67
|-
| 그리보예도프 운하|그리보예도프 운하|||| 5.00
|-
| 프랴시카|||| 1.32
|-
| 크류코프 운하|||| 1.15
|-
| 오보드니 운하|오보드니 운하|||| 8.08
}}
네바 강의 주요 수원은 라도가 호, 토스나 강(Tosna River, река Тосна), 이조라 강이다. 네바 강은 하류에서 여러 갈래로 나뉘는데, 우안으로는 볼쇼이 네프카 강, 카르포프카 강, 말리 네프카 강, 스레드냐야 네프카 강, 말라야 네바 강이 있고, 좌안으로는 폰탄카 강, 모이카 강, 그리보예도프 운하, 짐니 운하가 있다.
3. 1. 삼각주 형성 역사
네바 강의 삼각주는 강의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전형적인 삼각주가 아니다. 고생대(3억~4억 년 전)에는 현재의 네바 강 삼각주 지역 전체가 바다였으며, 현재의 고지대는 빙하 침식으로 형성되었다. 빙하가 후퇴하면서 리토리나 해가 형성되었고, 이 해의 수위는 현재 발트 해보다 약 7~9m 높았다. 당시 토스나 강은 현재 네바 강 하류와 같은 위치를 통해 리토리나 해로 흘러들었다. 카렐리야 지협 북쪽에서는 넓은 해협을 통해 라도가 호와 연결되어 있었고, 므가 강은 라도가 호 동쪽, 현재 네바 강 발원지 근처로 흘러들었다. 따라서 므가 강은 당시 토스나 강/네바 강 하류 유역과는 분리되어 있었다.[2]
빙하 반동으로 인해 라도가 호 근처 육지가 빠르게 융기하면서 배수 불가능한 호수가 형성되었고, 이 호수의 물이 넘쳐 흐르면서 므가 강 계곡 전체를 침식하여 토스나 강/네바 강 하류 계곡으로 유입되었다. 현대 네바 강의 이바노보 급류는 이 돌파 과정에서 생겨났다. 초기에는 기원전 2000년경에 이러한 돌파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1410~1250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네바 강은 비교적 젊은 강임을 알 수 있다.[3]
네바 강 삼각주를 구성하는 계곡은 빙하성 및 빙하 이후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2,500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다.[4] 삼각주는 강의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것이 아니라 과거 퇴적물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것이므로, 기술적으로는 의사 삼각주(pseudodelta)라고 부를 수 있다.[5]
3. 2. 지형 및 수문학
네바 강은 슐리셀부르크 근처의 라도가 호에서 발원하여 네바 저지대를 통과하여 핀란드 만의 발트 해로 흘러든다. 길이는 74km이며, 발원지에서 하구까지의 최단 거리는 45km이다. 강둑은 낮고 가파르며, 평균 높이는 3~6m이고 하구에서는 2~3m이다. 세 곳의 급격한 굴곡이 있는데, 우스트-슬라뱌얀카 지역의 네프스키 숲 공원에 있는 이바노프스키 급류(소위 "굽은 무릎"이라고 함), 그리고 스몰니 교육원 근처, 옥타 강 하구 아래에 있다.[5] 발원지와 하구 사이의 고도 차이는 4.27m이다.[8] 강은 한 지점에서 빙퇴석 능선을 가로지르며 이바노프스키 급류를 형성한다. 급류 시작 부분에서 강의 가장 좁은 부분은 210m이다. 급류에서의 평균 유속은 약 0.8~1.1m/s이다. 강을 따라 평균 너비는 400~600m이다. 가장 넓은 곳은 1000~1250m이며, 삼각주, 해상 무역항 입구, 토스나 강 합류점 근처 이바노프스키 급류 끝, 그리고 발원지 근처 파브린치니 섬 근처에 있다. 평균 수심은 8~11m이며, 최대 수심 24m는 리테이니 다리 위에서, 최소 수심 4.0~4.5m는 이바노프스키 급류에서 나타난다.[6]
네바 강 유역에서는 강수량이 증발량을 크게 초과하며, 증발량은 네바 강의 수분 소비량의 37.7%에 불과하고 나머지 62.3%는 지표 유출량이다.[7] 1859년 이후, 가장 많은 유량 116km³는 1924년에, 가장 적은 유량 40.2km³는 1900년에 관측되었다.[2] 평균 연간 유출량은 78.9km³ 또는 평균 2500m³/s이다.[8] 라도가 호에서 네바 강으로의 일정한 수류로 인해 일 년 내내 홍수와 봄철의 해당 수위 상승이 거의 없다. 네바 강은 12월 초부터 4월 초까지 완전히 얼어붙는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내부의 얼음 두께는 0.3~0.4m이고 다른 지역에서는 0.5~0.6m이다. 겨울에 강 상류에 얼음이 막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때때로 상류 쪽 홍수를 일으킨다. 라도가 호의 총 얼음량 10.6km³ 중 5% 미만이 네바 강으로 유입된다.[7] 평균 여름철 수온은 17~20°C이고, 수영 시즌은 약 1.5개월 지속된다. 물은 담수이며 탁도는 중간 정도이고, 평균 염도는 61.3 mg/L이며 중탄산칼슘 함량은 7 mg/L이다.[5]
항목 | 4월~6월 | 7월~9월 | 10월~11월 | 12월~3월 | 합계 |
---|---|---|---|---|---|
유출량, km3 | 22.7 (28.5%) | 23.5 (29.4%) | 14.1 (17.7%) | 19.4 (24.4%) | 79.7 |
부유물질, kt | 162 (31.7%) | 136 (26.7%) | 143 (28.0%) | 69 (13.6%) | 510 |
저질 퇴적물, kt | 26.5 (40.8%) | 15.8 (24.3%) | 21.3 (32.7%) | 1.4 ( 2.2%) | 65.0 |
이온 유출량, kt | 735 (25.6%) | 729 (25.4%) | 712 (24.8%) | 694 (24.2%) | 2870 |
열 흡수량, 1015 cal | 168 (28.4%) | 359 (60.7%) | 63 (10.7%) | 1 (0.2%) | 591 |
얼음 유출량, km3 | 0.57 (81.4%) | – | 0.13 (18.6%) | – | 0.7 |
라도가 운하 하구와 네바 강 전경 이조라 강 하구의 네바 강 표트르 대제 다리 근처의 네바 강 성 트리니티 다리에서 본 전경
3. 3. 유역, 지류 및 분류
네바 강 유역의 면적은 5,000km²[9]이며, 라도가 호와 오네가 호의 유역(281,000km²)을 포함한다. 유역에는 2만 6300개의 호수와 4만 8300개가 넘는 강이 복잡한 수문 네트워크를 형성하지만, 네바 강으로 직접 흘러드는 강은 26개뿐이다. 주요 지류로는 왼쪽에 므가 강, 토스나 강, 이조라 강, 슬라뱌얀카 강, 무르진카 강이 있고, 오른쪽에는 옥타 강과 초르나야 레치카 강이 있다.[5]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발전 과정에서 수문 네트워크는 역사 전반에 걸쳐 변화되어 왔다.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 당시 이 지역은 낮고 습지였기 때문에 배수를 위해 운하와 연못을 건설해야 했다. 건설 중에 파낸 흙은 도시를 높이는 데 사용되었다. 19세기 말 네바 강 삼각주는 48개의 강과 운하, 101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오보드니 운하 건설 전에는 이 지역의 왼쪽 지류가 볼코프카였는데, 합류 지점의 일부는 현재 모나스티르카라고 불린다. 라도가 운하는 네바 강 기슭에서 시작하여 라도가 호 남쪽 해안을 따라 볼호프 강과 연결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삼각주의 일부 운하가 매립되어 1972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내에 42개의 섬만 남았다. 가장 큰 섬은 1050ha 크기의 바실리예프스키 섬, 570ha 크기의 페트로그라드스키 섬, 420ha 크기의 크레스토프스키 섬, 410ha 크기의 데카브리스토프 섬이고, 그 외에 자야치 섬, 옐라긴 섬, 카멘니 섬 등이 있다.[2] 네바 강의 발원지인 슐리셀부르크 근처에는 오레호비 섬과 파브리치니 섬이라는 두 개의 작은 섬이 있다. 글라브리바 섬은 오트라드노예 마을 위쪽 강 상류에 있다.이름 | 지역 | 길이 (km) | |
---|---|---|---|
볼샤야 네바 | 폰탄카 강 어귀에서 블라고베슈첸스키 다리까지 | 2.40 | |
블라고베슈첸스키 다리에서 드보르초비 다리까지 | 1.22 | ||
말라야 네바 | 4.85 | ||
예카테리노프카 | 3.60 | ||
즈다노프카 | 2.20 | ||
스몰렌카 | 3.30 | ||
볼샤야 네프카 | 네바 강에서 말라야 네프카까지 | 3.70 | |
소네프카 강에서 중네프카 강까지 | 2.05 | ||
중네프카 강에서 네프스키 만까지 | 2.15 | ||
세레드냐야 네프카 | 2.60 | ||
말라야 네프카 | 4.90 | ||
카르포프카 | 3.00 | ||
크레스토프카 | 0.74 | ||
폰탄카 | 6.70 | ||
모이카 | 4.67 | ||
그리보예도프 운하 | 5.00 | ||
프랴시카 | 1.32 | ||
크류코프 운하 | 1.15 | ||
오보드니 운하 | 8.08 |
네바 강의 주요 수원은 라도가 호, 토스나 강(Tosna River, река Тосна), 이조라 강이다. 네바 강은 하류에서 여러 갈래로 나뉘는데, 우안으로는 볼쇼이 네프카 강(Bolshaya Nevka River), 카르포프카 강(Karpovka River), 말리 네프카 강(Malaya Nevka River), 스레드냐야 네프카 강(Middle Nevka River), 말라야 네바 강(Malaya Neva River)이 있고, 좌안으로는 폰탄카 강, 모이카 강, 그리보예도프 운하, 짐니 운하(Winter Canal)가 있다.
4. 역사
네바 강의 역사는 중세 시대부터 시작된다. 폭이 넓고 항해가 가능하여 발트해 연안과 동양을 잇는 중요한 무역로 역할을 했다. 1240년에는 네바 강변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 전투에서 노브고로드 공국의 알렉산드르 네프스키가 승리하여 러시아를 침략으로부터 지켜냈다. 이 승리로 그는 "네프스키"(네바의 승리자)라는 이름을 얻었다.
16세기에는 네바 강 하구 부근에 스웨덴의 니엔샨츠 요새가, 라도가 호수 출구에는 러시아의 슈리셀리부르크 요새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강 하구의 요새는 1703년, 바다에 더 가까운 페테르와 파울로의 요새로 이전되었고, 이 요새가 있는 하레스섬은 오늘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기원이 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건설 이후 네바 강은 도시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대대적인 하천 정비 사업과 운하 건설, 제방 축조 등이 진행되었다. 1777년과 1824년에는 기록적인 홍수가 발생했으며, 1963년 8월 21일에는 여객기 불시착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대북방전쟁 이후 네바 강 유역은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1703년 5월 16일에는 네바 강 어귀에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건설되어 1712년에는 러시아의 수도가 되었다.[26]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레닌그라드 포위전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1941년 8월 30일 독일군이 Mga를 점령하고 네바 강에 도달, 9월 8일에는 슐리셀부르크를 점령하여 레닌그라드로 가는 모든 육로와 수로를 차단했다. 포위 공격은 1943년 1월에 부분적으로 해제되었고, 1944년 1월 27일에 완전히 종식되었다.[26] 전후에는 네바 강 수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4. 1. 1700년 이전
네바 강 유역에서는 최대 9,000년 전의 고대 유적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기원전 1만 2천년경 우랄 산맥에서 발트 핀란드계 민족(베표트족과 이조리아인)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25] 서기 8세기와 9세기에는 주로 화전 농업, 사냥, 어업에 종사하는 동슬라브족이 거주하였다. 8세기부터 13세기까지 네바 강은 스칸디나비아에서 비잔티움 제국으로 이어지는 수로 역할을 하였다. 9세기에는 벨리키 노브고로드에 속해 있었다.[26] 네바 강은 이미 13세기의 ''알렉산데르 네프스키의 전기''에 언급되어 있다.[27] 당시 벨리키 노브고로드는 스웨덴과 거의 끊임없는 전쟁을 치렀다. 1240년 7월 15일 이조라 강과 네바 강의 합류 지점에서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다. 20세의 왕자 알렉산데르 네프스키가 이끄는 러시아군은 스웨덴의 침략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스웨덴군은 패배하였고, 왕자는 전투에서 개인적인 용기를 보여주었으며 "네프스키"라는 명예로운 이름을 얻었다.[28][29] 1610년부터 1617년까지 일어난 잉그리아 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하고 스톨보보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네바 강 유역은 스웨덴령 잉그리아의 일부가 되었다. 1642년부터 잉그리아의 수도는 뉴엔샨츠 요새 근처의 도시인 뉘엔이 되었다. 재정적 및 종교적 탄압으로 인해 많은 정교회 신자들이 네바 지역을 떠났고, 1620년까지 마을의 60%가 비어 있었다. 버려진 지역은 카렐리야 지협과 사보니아 출신의 사람들에 의해 채워졌다.[30] 폭이 넓고 항해가 가능하여 중세 시대부터 발트해 연안과 동양 간의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240년에는 이 강을 둘러싸고 네바 강변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러시아를 침략으로부터 지켜낸 노브고로드 공국의 알렉산데르 네프스키에게는 "네바의 승리자"를 의미하는 "네프스키"라는 이름이 주어졌다. 16세기에는 강 하구 부근에 스웨덴의 요새 니엔샨츠가 건설되었고, 라도가 호수 출구에는 러시아의 슈리셀리부르크 요새가 건설되었다. 그 후, 강 하구의 요새는 1703년에 바다에 더 가까운 페테르와 파울로의 요새로 이전되었다. 하레스섬에 있는 이 요새가 오늘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기원이 되었다. 1777년과 1824년에 기록적인 홍수가 발생했다. 1963년 8월 21일에는 여객기가 이 강에 불시착했다.4. 2. 러시아 시대
대북방전쟁(1700~1721) 결과로 네바 강 유역은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1703년 5월 16일, 네바 강 어귀에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건설되었고,[26] 1712년에는 러시아의 수도가 되었다.[26] 네바 강은 도시의 중심이 되면서 하천 정비, 운하 건설, 제방 축조 등의 대대적인 사업이 진행되었다. 1715년에는 해군성 건물과 여름 정원 사이에 최초의 목조 제방 건설이 시작되었고,[5] 1760년대 초에는 화강암으로 제방을 덮는 공사와 함께 네바 강과 운하, 지류를 가로지르는 다리(예: 에르미타주 다리) 건설이 시작되었다.[5] 1727년부터 1916년까지 이삭 광장과 바실리섬 사이에는 임시적인 이삭 부교가 건설되었고, 여름 정원에서 페트로그라드 섬까지 이어지는 트리니티 부교(길이 약 500m)도 설치되었다.[5] 네바 강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영구 다리인 블라고베시첸스키 다리는 1850년에, 두 번째 다리인 리테이니 다리는 1879년에 개통되었다.[5] 1858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합자 주식회사 급수 시스템"이 설립되어 도시 최초의 상수도망이 건설되었고,[5] 1911년에는 2단계 정수장이 건설되었다. 하수도 시스템 개발은 10월 혁명 이후인 1920년에 시작되었고, 1941년까지 하수도망의 길이는 약 1130km에 달했다.[5] 1895년부터 1910년까지 매년 겨울, 상원 광장, 바실리섬, 궁전 제방 등을 연결하는 전기 트램이 강의 얼음 위에 설치되어 운영되었다.[31][32][33][34] 겨울 궁전과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사이의 네바 강 하류 전경(1753년 판화). 궁전 제방(1826년). 스몰니 수녀원 전경(1851년). 얼어붙은 네바 강 위의 트램(더 많은 이미지). 폭이 넓고 항해가 가능한 네바 강은 중세 시대부터 발트해 연안과 동양 간의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240년에는 네바 강변 전투가 벌어졌고, 이 전투에서 승리한 알렉산드르 네프스키는 "네바의 승리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16세기에는 강 하구 부근에 스웨덴의 니엔샨츠 요새가, 라도가 호수 출구에는 러시아의 슈리셀리부르크 요새가 건설되었으며,[5] 강 하구의 요새는 1703년 페테르와 파울로의 요새로 이전되었다. 하레스섬에 있는 이 요새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기원이 되었다. 1777년과 1824년에는 기록적인 홍수가 발생했고,[26] 1963년 8월 21일에는 여객기가 네바 강에 불시착하는 사고가 있었다.4. 3. 소련 및 현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9월 8일부터 1944년 1월 27일까지 레닌그라드는 파괴적인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겪었다. 1941년 8월 30일 독일군은 Mga를 점령하고 네바 강에 도달했으며, 9월 8일에는 슐리셀부르크를 점령하여 레닌그라드로 가는 모든 육로와 수로를 차단했다. 포위 공격은 1943년 1월에 부분적으로 해제되었고, 1944년 1월 27일에 완전히 종식되었다.[26] 전후에는 네바 강의 수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1970년에는 볼로다르스키 다리 위에 대형 선박 10척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강변 정거장이 건설되었고, 1978년 크라스노셀스크, 1979년부터 1983년까지 벨리 섬, 1987년부터 1994년까지 올기노에 폐수 처리장이 건설되었다. 남서부 폐수 처리장은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건설되었다.[2]5. 수로 교통
백해와 발트해를 잇는 네바 강은 모스크바와 볼가 강 유역 도시들을 카스피해와 흑해로 연결하는 중요한 수상 교통로 역할을 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이러한 네바 강의 지리적 이점 덕분에 일찍이 발트해의 주요 무역항으로 성장했다. 네바 강은 여울이 거의 없고 강둑이 가파른 지형적 특징 덕분에 수운에 매우 적합하다. 19세기 후반에는 사용하지 않는 선박을 정박시키기 위한 우트키노 분지가 건설되기도 했다. 네바 강은 주요 볼가-발틱 수로 볼가-발틱 수로와 백해-발틱 운하 백해-발틱 운하의 일부이지만, 강의 너비, 수심, 다리 등의 제약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운송 용량이 낮아 5,000톤 미만의 선박만 이용 가능하다.
주요 수송품으로는 아르한겔스크와 블로고다의 목재, 콜라 반도의 아파타이트, 화강암, 섬록암, 체레포베츠의 주철과 강철, 도네츠크와 쿠즈네츠크의 석탄, 우랄의 황철석, 솔리캄스크의 염화칼륨, 볼가 지역의 석유 등이 있다. 모스크바, 아스트라한, 로스토프, 페름, 니즈니 노브고로드, 발람 등 여러 지역을 오가는 많은 여객 노선도 운영된다.[36] 네바 강의 항해 가능 기간은 4월 말부터 11월까지이다.[37]
슐리셀부르크 서쪽에는 티만-페초라 지층, 서시베리아, 우랄, 카자흐스탄, 프리모르스크의 석유를 핀란드 만으로 공급하는 발틱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일부인 송유관이 강 아래로 지나간다. 774m 길이의 이 송유관은 강 바닥 아래 7~9m에 매설되어 있으며, 연간 약 4,200만 톤의 석유를 운송한다.[38]
라도즈스키 다리 근처에는 노르트스트림 1 가스 파이프라인을 위한 수중 터널이 있다. 이 터널은 직경 2m, 길이 750m이며 최대 수심 25m에 매설되어 있다.[39]
네바 강은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그 주변 지역의 주요 용수원(96%)으로 활용되며, 2009년 6월 26일부터는 염소 소독 대신 자외선 처리 방식을 통해 식수를 공급하고 있다.[40] 또한 네바 강에서는 상업용 및 레크리에이션용 어업이 활발하다.[2]
6. 상업적 이용
네바 강은 여울이 거의 없고 강둑이 가파른 지형 덕분에 예로부터 수운에 적합했다. 19세기 후반에는 사용하지 않는 선박을 정박시키기 위해 우트키노 분지가 건설되기도 했다. 네바 강은 주요 볼가-발틱 수로볼가-발틱 수로와 백해-발틱 운하백해-발틱 운하의 일부지만, 강의 너비, 수심, 그리고 다리 등의 제약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운송 용량은 낮은 편이다. 5,000톤 미만의 선박만 이용 가능하다. 주요 수송품은 아르한겔스크주아르한겔스크와 블로고다주블로고다에서 생산되는 목재, 콜라 반도콜라 반도의 아파타이트와 화강암, 섬록암, 체레포베츠체레포베츠의 주철과 강철, 도네츠크도네츠크와 쿠즈네츠크쿠즈네츠크의 석탄, 우랄의 황철석, 솔리캄스크솔리캄스크의 염화칼륨, 그리고 볼가 지역의 석유 등이 있다. 여객 수송도 활발하여 모스크바모스크바, 아스트라한아스트라한, 로스토프(야로슬라블주)로스토프, 페름페름, 니즈니 노브고로드니즈니 노브고로드, 발람발람 등 여러 지역을 오가는 많은 여객 노선이 운영된다.[36] 항해 시즌은 4월 말부터 11월까지다.[37]
슐리셀부르크 서쪽에는 발틱 파이프라인 시스템발틱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일부인 송유관이 강 아래로 지나간다. 이 송유관은 티만-페초라 지층, 서시베리아 경제 지역서시베리아, 우랄 경제 지역우랄, 카자흐스탄카자흐스탄, 프리모르스크(레닌그라드주)프리모르스크에서 생산된 석유를 핀란드 만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길이 774m의 이 송유관은 강 바닥 아래 7~9m 깊이에 매설되어 있으며, 연간 약 4,200만 톤의 석유를 운송한다.[38] 라도즈스키 다리라도즈스키 다리 근처에는 노르트스트림 1노르트스트림 1 가스파이프라인을 위한 수중 터널이 있는데, 직경 2m, 길이 750m이며 최대 수심 25m에 매설되어 있다.[39]
네바 강은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그 주변 지역의 주요 용수원으로, 전체 식수의 96%를 공급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는 2009년 6월 26일부터 소독을 위한 염소 사용을 중단하고 자외선 살균 방식으로 식수를 처리하고 있다.[40] 또한 네바 강에서는 상업용 및 레크리에이션용 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2]
7. 생태적 조건
러시아 연방 수문기상환경감시청은 네바 강을 "심각하게 오염된" 강으로 분류한다. 주요 오염 물질은 구리, 아연, 망간, 아질산염, 질소 등이다.[21] 네바 강의 주요 지류인 므가, 슬라뱐카, 오흐타, 체르나야 강 또한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21]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수많은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와 정기적인 석유 운송으로 인해 매년 8만 톤의 오염 물질이 유입된다.[23] 특히 발전소 2호기, 플라스트폴리머, 오부호프 주립 공장오부호프 주립 공장이 심각한 오염원으로 지목되며, 레닌그라드주에서는 슐리셀부르크, 키로프스크, 오트라드노예 도시와 키로프 열병합 발전소열병합 발전소가 주요 오염원이다. 매년 40건 이상의 기름 유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22] 2008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연방 서비스는 네바 강의 어떤 해변도 수영에 적합하지 않다고 발표했다.[23]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폐수 처리 사업은 1979년에 시작되어 1997년까지 약 74%의 정화율을 달성했고, 2005년 85%, 2008년 91.7%로 증가했다. 펠릭스 카람지노프는 주 하수 처리장 확장 공사 완료 시점인 2011년에는 거의 10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24]
7. 1. 동식물
네바 강에는 수생 식물이 거의 없다. 강둑은 대부분 모래, 포드졸, 글레이솔, 이탄, 그리고 습지 이탄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다.[11] 수 세기 전, 네바 저지대 전체는 소나무와 가문비나무 이끼 숲으로 덮여 있었으나, 산불과 벌채로 인해 점차 감소했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숲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상류 지역에서도 40~50%까지 감소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12] 전쟁 후에는 가문비나무, 소나무, 시다(Cedrus), 시베리아 낙엽송(Larix sibirica), 참나무, 노르웨이 단풍나무(Acer platanoides), 느릅나무, 미국 물푸레나무(Fraxinus), 사과나무, 마가목 등을 심어 숲을 복구하려는 노력이 있었다.[13] 관목으로는 매자나무(Berberis), 라일락(Syringa), 재스민, 개암나무, 인동덩굴, 산사나무(Crataegus), 해당화, 가막살나무, 주니퍼, 딱총나무(Sambucus), 서양 팥배나무(Amelanchier) 등이 많다.[13] 현재 강 상류 지역은 자작나무와 소나무-자작나무 초지-관목 숲이 주를 이루고, 중류 지역에는 습지 소나무 숲이 있다.[11]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네바 강변에는 여름 정원, 마르스 광장(Field of Mars (Saint Petersburg)), 류먄체프 정원, 스몰니 수녀원(Smolny Convent), 알렉산더 정원(Alexander Garden (Saint Petersburg)),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수도원 정원 등 많은 정원과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14] 급류, 찬물, 그리고 수생 식물 부족으로 네바 강의 어종 다양성은 낮다. 농어, 망둑어, 납자루(Rutilus) 등 환경 적응력이 높은 종들이 주로 서식한다. 빙어(European smelt), 시스코(Coregonus albula), 그리고 일부 연어과(Salmonidae) 어류 등 상업적 가치가 있는 어종들도 일시적으로 서식한다.[15]8. 홍수
상트페테르부르크 홍수는 네바 강 삼각주의 범람과 네바 만 동부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광산 연구소 수위계 기준, 수위가 160cm 이상 상승하면 홍수로 기록된다.[16][17][18] 1703년 도시 건설 이후 300회 이상의 홍수가 발생했으며,[15] 그중 1824년 11월 7일(421cm), 1924년 9월 23일(369cm), 1777년 9월 10일(321cm)의 홍수는 특히 심각했다.[15] 하지만 1691년에는 무려 760cm에 달하는 더 큰 홍수가 기록되었다.[19] 조수 외에도 1903년, 1921년, 1956년에는 눈 녹은 물로 인한 홍수가 발생했다.[20]
1824년 11월 7일, 볼쇼이 극장(Bolshoi Kamenny Theatre) 앞 | 1824년 11월 7일 | 1903년 11월 15일, 구 니콜스키 시장 근처 사도바야 거리(Sadovaya Street) | 1903년 11월 25일, 볼샤야 포디아체스카야 거리(Bolshaya Podyacheskaya Street)
1924년 9월 23일 홍수 당시 바실리예프스키 섬(Vasilievsky Island)의 배 운송 | 1924년 홍수 이후 블라디미르스키 가(Vladimirsky Avenue) | 1967년 10월 18일 홍수 당시 부두 | 1967년 10월 18일 상트페테르부르크 광산 연구소(Saint Petersburg Mining Institute) 근처
9. 다리
네바 강에는 여러 개의 다리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다리들을 소개한다. 라도즈스키 다리는 1981년 돌 기둥 위에 건설된 가동교 형태의 다중 경간 금속 다리다. 볼쇼이 오부호프스키 다리는 2004년 오부호프스키 방어대로와 10월 제방을 연결하는 케이블교로 건설되었다. 리테이니 다리(구 알렉산더 2세 다리)는 1879년 리테이니 프라스펙트를 아카데미시안 레베데프 거리와 비보르크와 연결하는 가동식 6단 분절 아치형 다리로 건설되었다. 블라고베셴스키 다리(구 중위 슈미트 다리)는 1850년 노동 광장을 바실리예프스키섬 7번째 도로와 연결하는 가동식 7단 분절 철 다리이다. 이 외에도 볼로다르스키 다리, 핀란드 철도교, 알렉산더 네프스키 다리, 표트르 대제 다리, 트리니티 다리, 궁전 다리 등 많은 다리가 네바 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특히 궁전 다리는 도시의 상징 중 하나로 꼽힌다. 쿠즈민스키 철도교는 1940년 건설된 가동식 3단 분절 철도교이다. 2011년 이전에는 가동식 도개교인 노보-아드미랄테이스키 다리 건설이 승인되었으나, 실제 건설은 시작되지 않았다.[41] [5]
10. 명소
네바 강변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자리 잡고 있다. 1323년 건설된 오레셰크 요새는 네바 강 발원지 부근, 슐리셀부르크 시 인근에 위치한 역사적인 요새로, 표트르 1세의 기념비가 강변에 세워져 있다.[42] 슐리셀부르크 도시에는 1764년부터 1795년 사이에 건설된 블라 고베셴스키 대성당과 1739년에 지어진 성 니콜라스 정교회 교회가 있으며, 강둑에는 2007년에 재건된 성모 수태고지 교회가 있다. 이 교회는 1708년 건설되었으나 1963년 화재로 소실된 역사적인 교회의 목조 복제품으로, 유명한 키지 섬의 목조 교회군의 전신으로 여겨진다.[43][44] 또한 18세기 초 건설된 구 라도가 운하는 라도가 호와 네바 강을 잇는 수운 교통로로, 1832년 건설된 다리와 1836년 건설된 화강암 수문 등 역사적인 구조물이 남아있다.[42]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내에는 여름 정원과 스몰니 수도원 등 다른 많은 관광 명소가 네바 강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11. 주목할 만한 사건
1963년 8월 21일, 소련의 쌍발제트 여객기 Tu-124가 핀란드 철도교 부근 네바 강에 비상 수상 착륙했다. 이 항공기는 탈린(TLL)에서 승객 45명과 승무원 7명을 태우고 모스크바-브누코보(VKO)로 향하던 중이었다. 이륙 후, 주기어가 접히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 승무원은 짙은 안개로 인해 레닌그라드(LED)로 회항 지시를 받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상공 약 500m 고도에서 선회 도중, 연료 부족 등의 이유로 두 엔진이 모두 정지했다. 승무원은 네바 강에 비상 착륙하여 여러 다리와 1898년 건조된 증기 예인선을 간신히 피했다. 예인선은 곧바로 항공기를 해안으로 예인했다. 항공기 조종사는 처음 해고되었으나, 이후 복직되어 붉은 별 훈장을 받았다.[45][46][47]
참조
[1]
웹사이트
Muinaiskarjalan uralilainen tausta
https://www.academia[...]
2018-12-31
[2]
서적
Climate development and history of the North Atlantic realm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1-12-03
[3]
학술지
Shoreline displacement of Lake Ladoga — new data from Kilpolansaari
[4]
서적
География Ленинграда
https://books.google[...]
Lenizdat
2021-12-03
[5]
서적
St. Petersburg: Encyclopedia
Russian Political Encyclopedia
[6]
서적
География Ленинграда
Lenizdat
[7]
서적
Ленинград. Историко-географический атлас
Main Office of Geodesy and Cartography under the Council of Ministers of the USSR
[8]
서적
Река Нева и Невская губа
https://books.google[...]
Gidrometeoizdat
2015-10-25
[9]
웹사이트
Neva, river
http://www.encspb.ru[...]
2018-12-10
[10]
서적
Leningrad. Historical atlas
https://books.google[...]
Main Office of Geodesy and Cartography under the Council of Ministers of the USSR
[11]
서적
Atlas of Leningrad Oblast
https://books.google[...]
GUGK at USSR Council
2021-12-03
[12]
서적
Ленин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 (Leningrad oblast)
https://books.google[...]
[13]
웹사이트
Невский лесопарк
http://www.aroundspb[...]
[14]
서적
Историко-географический атлас "Ленинград"
GUGK CM USSR
[15]
웹사이트
Все о реке Неве: мосты, притоки, наводнения...
http://www.nevariver[...]
2022-11-29
[16]
서적
Frommer's 500 Places to See Before They Disappear
https://books.google[...]
Frommer's
[17]
간행물
The Neva Bay (Russia) – antropogenic lagoon
http://balticlagoons[...]
All-Russia Research Geological Institute
2010-06-23
[18]
웹사이트
Water pollution in the hydroelectric power plants area
http://www.edu.joens[...]
[19]
웹사이트
ПОЛНЫЙ ХРОНОЛОГИЧЕСКИЙ СПИСОК НАВОДНЕНИЙ В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Е (ПЕТРОГРАДЕ, ЛЕНИНГРАДЕ)
http://www.nevariver[...]
[20]
뉴스
Из-за паводка в Петербурге могут разобрать мост
http://spb.kp.ru/onl[...]
2010-02-26
[21]
웹사이트
КАЧЕСТВО ПОВЕРХНОСТНЫХ ВОД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web.archive.[...]
2010-06-23
[22]
웹사이트
Clean Neva
https://web.archive.[...]
Greenpeace
2010-06-23
[23]
웹사이트
Clean Neva
https://web.archive.[...]
Greenpeace
2010-06-23
[24]
뉴스
В ближайшие два года Петербург будет очищать почти 100% сточных вод
http://eco.rian.ru/s[...]
RIA Novosti
2009-10-20
[25]
서적
History of St. Petersburg. 1703. Book studies
https://books.google[...]
Journal Neva
[26]
서적
Ленин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 исторический очерк
https://books.google[...]
Lenizdat
[27]
웹사이트
Electronic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Russian Literature (Pushkin House), RAS
http://lib.pushkinsk[...]
2013-07-13
[28]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Volume 1
https://books.google[...]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2021-12-03
[2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Finlan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웹사이트
В "ПЛЕНУ" У ШВЕДОВ
http://www.sablino.r[...]
[31]
웹사이트
Трамвай в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е
http://www.opeterbur[...]
[32]
웹사이트
Через Неву по льду
http://babs71.livejo[...]
[33]
뉴스
За три копейки через Неву
http://vppress.ru/st[...]
Vechernii St. Petersburg
2010-02-05
[34]
서적
From horsecar to tram: History of transport in St. Petersburg
https://books.google[...]
2021-12-03
[35]
서적
Bridges of St. petersburg
Glagol
[36]
웹사이트
Russian river fleet and tourism INFOFLOT.RU
http://www.map.infof[...]
2013-07-13
[37]
웹사이트
Водный транспорт
http://www.st-peters[...]
2010-06-23
[38]
웹사이트
Transneft has finished laying a tunnel under the Neva
http://www.vsluh.ru/[...]
2013-07-13
[39]
웹사이트
Под Невой проложен тоннель для "Северного потока"
http://www.energospa[...]
2010-06-23
[40]
웹사이트
Технологии очистки
http://www.vodokanal[...]
[41]
웹사이트
Ново-Адмиралтейский мост через Неву
http://spb-projects.[...]
[42]
웹사이트
Староладожский и Новоладожский каналы
http://www.map.infof[...]
[43]
문서
Ethnographic and open-air museums
http://unesdoc.unesc[...]
UNESCO
[44]
웹사이트
Church of the Intercession
http://www.bogoslovk[...]
2013-07-13
[45]
웹사이트
A320 splashed on the Hudson, as the Tu-124 on the Neva River in 1963
http://www.aviaport.[...]
AviaPort
2010-06-23
[46]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0-06-23
[47]
웹사이트
The plane could land on the city but landed... on Neva
http://www.nevariver[...]
Petrovsky Courier, No 41 (211)
2010-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