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트 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이트 판은 네이트닷컴 게시판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춘 온라인 커뮤니티이다. 홈, 문화, 뷰티, 리뷰, 여행, 요리, 톡톡, 판포토, 동영상 섹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이다. 특히 10대, 20대 여성층의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익명성을 기반으로 한 악성 댓글, 허위 정보 유포, 혐오 표현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이트 - 네이트 개인정보 유출 사건
네이트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2011년 해커의 악성코드 유포로 발생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경찰청은 이스트소프트를 악성코드 유포 경로로 지목했으며, 피해자들은 SK커뮤니케이션즈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SK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 젠더비판적 여성주의 - 메갈리아
메갈리아는 2015년 디시인사이드 메르스 갤러리에서 시작된 인터넷 페미니즘 운동 및 웹사이트로, 남성 혐오에 대항하는 '미러링' 전술을 사용하며 사회 운동을 전개했으나, 과격한 언행과 남성 혐오 논란, 웹사이트 폐쇄 등으로 한국 페미니즘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남겼다. - 젠더비판적 여성주의 - 워마드
워마드는 극단적 여성 우월주의와 남성 혐오를 표방하는 대한민국의 웹사이트로, 사회적 이슈에 적극 참여하며 논란을 일으키고 각종 혐오 사건들로 비판받고 있다. - 반대한민국 감정 - 일베저장소
일베저장소는 디시인사이드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시작된 온라인 커뮤니티로, 혐오 표현과 극우 성향의 정치적 입장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갈등과 윤리적 문제점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반대한민국 감정 - 헬조선
헬조선은 대한민국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청년 실업, 경제적 불평등 등을 지옥에 비유하는 신조어이다.
네이트 판 | |
---|---|
네이트 판 | |
종류 | |
종류 | 온라인 커뮤니티 |
개설 | |
개설일 | 2005년 |
운영 | |
운영 주체 | SK커뮤니케이션즈 |
특징 | |
특징 | 익명 기반 커뮤니티 다양한 주제의 게시판 운영 연령대별, 관심사별 커뮤니티 존재 |
주요 기능 | |
주요 기능 | 게시글 작성 및 댓글 기능 쪽지 기능 검색 기능 신고 기능 |
논란 및 사건 사고 | |
논란 및 사건 사고 | 신상털기 문제 허위 사실 유포 악성 댓글 운영 미숙 |
기타 | |
기타 | 과거 '오늘의 톡'이라는 인기 게시판 존재 다양한 이슈를 다루는 공간으로 활용 사회적 영향력 존재 |
2. 변천사
네이트 판은 2006년 8월 네이트닷컴의 게시판으로 개설된 이후, 사용자들의 요구와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지속적인 개편과 기능 추가를 통해 발전해왔다. 2012년 4월까지의 주요 변천사는 하위 섹션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2006년 개설 이후, 판은 2007년에 게시판 통합, 댓글 관리 기능, 판TV 신설, 제한적 본인 확인제 시행, 디자인 개편, 엠파스와의 서비스 통합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2008년에는 엠파스 판이 네이트 판에 통합되었다. 2009년에는 검색 기능, 판포토, 글쓰기 기능이 강화되고, 싸이월드 광장과 통합, 추천 기능이 개선되었다. 2010년에는 꼬리말 기능과 판TV 서비스가 종료, 작성자명 표시 방식이 변경되었고, 대규모 개편으로 카테고리 정비, 신규 섹션, 트위터 연동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1년에는 10대 이야기 카테고리가 신설, 동영상 섹션 채널이 통합되었다. 2012년에는 남성 전용, 동물 관련 카테고리가 신설되었다.[3]
2. 1. 2006년 ~ 2012년 4월 주요 개편 내용
2007년 4월, 네이트 게시판의 '판'과 '톡톡' 섹션이 통합되었다. 시사/경제, 연예/생활정보 등 주제별 채널도 통합되어 한 곳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성인마당' 게시판은 '언더월드'로 이름이 바뀌었다.[3]2007년 6월 1일, 사용자가 직접 댓글을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3]
2007년 7월 4일, 사용자 제작 동영상 공유 공간인 '판TV'가 신설되었다.[3]
2007년 7월 27일, 제한적 본인 확인제가 시행되어 본인 확인 절차가 도입되었다.[3]
2007년 8월, 디자인 개편이 이루어졌다. 말풍선 모양의 새 로고가 도입되었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꼬리말 기능과 퍼가기 버튼이 추가되었다.[3]
2007년 9월 28일, SK커뮤니케이션즈와 엠파스의 합병으로 엠파스에서도 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3]
2008년 12월 29일, 엠파스 판이 네이트 판에 통합되었다.[3]
2009년 2월 26일, 검색 기능이 강화되었다. 검색 결과 페이지 개선, 채널 내 검색, 닉네임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다.[3]
2009년 4월 21일, 이미지 및 사진 공유 공간인 '판포토'가 신설되었다.[3]
2009년 6월 18일, 글쓰기 기능이 강화되었다. 이미지 첨부 기능이 개선되었고, 동영상 업로드 기능이 추가되었다. 다양한 편집 기능도 지원되었다.[3]
2009년 8월 5일, 싸이월드 광장[4]과 통합되어 다양한 판 채널(이슈토론, 생활정보, 뷰티•패션, 요리•맛집•여행, 나도 스타 등)이 개설되었다.[3]
2009년 10월 29일, 관련 판 자동 추천 기능과 관련 채널 추천 기능이 개선되었다.[3]
2009년 12월 3일, '꼬리말' 기능이 종료되었다.[3]
2010년 1월 27일, '판TV' 섹션 서비스가 종료되었다.[3]
2010년 3월 8일, 작성자명 기본 노출이 '닉네임으로 쓰기'에서 '실명으로 쓰기'로 변경되었다.[3]
2010년 11월 19일, 대규모 개편이 있었다. 36개 카테고리가 정비되었고, 세대별/성별 카테고리가 신설되었다. '이어지는 글' 기능이 추가되었고, 카테고리별 인기글이 제공되었다. 리뷰, 뷰티, 문화, 여행, 요리 섹션이 신설되었고, 특화 콘텐츠가 추가되었다. 트위터 연동 기능, 판포토와 동영상 섹션이 개선되었다.[3]
2011년 6월 1일, '10대 이야기' 카테고리가 신설되었고, 동영상 섹션 스페셜 채널이 통합되었다.
변경 전 | 변경 후 |
---|---|
별별동영상, 뮤직갤러리, 추천영화 | 별별동영상 |
인터뷰/메이킹, 특별영상, 예고편, 영화OST | 예고편 |
스타쉽 | 스타쉽 |
싸이BGM | 싸이BGM |
플럭서스뮤직 | 플럭서스뮤직 |
유니버셜뮤직 | 유니버셜뮤직 |
[3]
네이트 판은 홈, 문화, 뷰티, 리뷰, 여행, 요리, 톡톡, 동영상 등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섹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012년 3월, 남성 전용 카테고리('남자들끼리만', '남자들의 속깊은이야기') 및 동물 관련 카테고리('동물/분양/노하우')가 신설되었다.[3]
3. 구성
3. 1. 홈
네이트 판에 처음 접속하면 '홈' 화면이 나타난다. 이 화면에서는 판 게시판의 여러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다.
정보 섹션에서는 문화, 뷰티, 리뷰, 여행, 요리 카테고리의 주요 내용이 제공된다. 톡톡 섹션에서는 오늘의 톡, 판포토, 톡커들의 선택을 볼 수 있다. 동영상 섹션에서는 베스트 동영상 1위부터 10위까지 표시된다.
페이지 아래쪽에는 각 섹션의 인기 키워드와 날짜별 오늘의 판이 제공된다.
3. 2. 문화
문화 섹션은 공연/전시, 인테리어, 가정/육아, 재테크, 취미, 연애/결혼, 생활의 팁 카테고리로 이루어져 있다. 각 카테고리에는 주제와 맞는 다양한 인터넷 기사들이 올라오기도 하고 사용자가 직접 쓴 글이 올라오기도 하나 사용도가 높은 편은 아니다. 간혹 카테고리와 상관없는 정치적, 상업적 기사가 올라오기도 해 불만이 제기되기도 한다.
3. 3. 뷰티
네이트 판의 뷰티 섹션은 패션, 뷰티, 건강, 다이어트, 쇼핑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들이 작성한 글보다는 광고성 기사가 주를 이룬다. 게시되는 인터넷 기사도 이미지 등을 통해 간접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활성도가 높은 편은 아니다. 패션 카테고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등의 광고가, 뷰티 카테고리에서는 화장품 회사 등의 광고가 많다.
3. 4. 리뷰
리뷰 섹션은 자동차, 영화, 게임, 스마트 기기, 책, IT/디카, 음악 카테고리로 이루어져 있다. 관련 행사나 신상품을 소개하는 기사들이 주로 올라온다.
3. 5. 여행
여행 섹션은 여행 코스나 방문해 볼 만한 국내외 장소들을 소개하는 글들이 게시되는 채널이다. 국내 여행, 해외여행, 데이트 코스, 레포츠 카테고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종 축제들에 대한 소개 글도 많다. 여행지를 소개하는 글이 대부분이나 그 외에도 가끔 여행 후기 등의 글이 올라오기도 한다.
3. 6. 요리
요리 레시피, 맛집 탐방, 요리 노하우, 푸드 정보 카테고리로 이루어져 있는 요리 섹션은 다양한 먹을거리에 대한 글들을 다룬다. 여러 가지 요리의 레시피나 전국의 맛집을 소개하는 글이 대부분이다.
3. 7. 톡톡
톡톡은 네이트 판 내에서 가장 활성화되어 있고 규모도 가장 큰 섹션이다. 보통 네이트 판 유저라고 하면 톡톡 섹션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톡톡은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마에 맞는 사진들을 모아 게시할 수 있는 판포토 서비스도 제공한다. 사용자들이 올린 게시글 중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화제가 된 인기글은 '오늘의 톡'이나 '톡커들의 선택'이 된다. 추천수와 댓글 수가 많은 글이 선정되며, 인기글은 톡톡 섹션 메인 화면에 소개된다.[1]
3. 7. 1. 톡톡 카테고리
톡톡 섹션은 사용자들이 개인적인 경험이나 사연을 공유하는 곳으로, 네이트 판에서 가장 활성화되어 있고 규모도 가장 크다. 보통 네이트 판 유저라고 하면 톡톡 섹션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톡톡 섹션은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마에 맞는 사진들을 모아 게시할 수 있는 판포토 서비스도 제공한다.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화제가 된 인기 게시글은 '오늘의 톡'이나 '톡커들의 선택'이 되며, 추천수와 댓글 수가 많은 글이 선정된다. 인기글은 톡톡 섹션 메인 화면에 소개된다.[1]
톡톡 섹션의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다.[1]3. 8. 판포토
판포토는 사용자들이 한 주제를 정해 그에 관련된 사진들을 모아 게시할 수 있는 곳이다. 연예인 사진, 동물 사진, 음식 사진 등 다양한 주제의 사진들이 업로드되나 연예인 사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게시된 사진에 대한 댓글을 작성할 수 있으며 '원본 보기'를 클릭해 갤러리 형식이 아닌 일반 게시글로 열람할 수 있다.
3. 9. 동영상
네이트 판 동영상 섹션은 연예/방송, 뉴스/사건사고, 뮤직비디오, 스포츠/게임, 영화/애니메이션, 공연/취미/요리, 유머/패러디, 가족/아기/동물, 노래/연주/댄스, 기타 등 10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들이 직접 촬영하거나 외부에서 가져온 동영상을 공유하며, 인기도에 따라 급상승 동영상이나 베스트 동영상으로 선정되어 메인 화면에 게시되기도 한다.
플럭서스 뮤직, 예고편, 별별동영상, 스타쉽, 유니버설 뮤직, 싸이BGM, 드림캠페인, 스타크래프트영상 등 스페셜 채널이 있으며, 이슈에 따라 이벤트성 채널이 생겼다가 사라지기도 한다. 메인 화면에는 스타/연예, 컬쳐n뉴스, 나도!스타 등의 채널도 있다.
4. 특징
판의 가장 큰 특징은 사업자가 정해 놓은 주제만 이야기하는 다른 게시판과 달리, 사용자가 스스로 자유롭게 주제를 만들어 토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이트에서 운영하는 게시판보다 개인적인 이야기가 더 많이 다뤄진다. 글쓴이가 글을 작성할 때 어떤 인물의 실명이나 거주지 등의 정보를 누설하면 개인 정보 침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1] 특히 남을 비방하는 글에 상대방의 정보를 언급하면, 판 사용자들이 그 인물을 찾아내 개인 홈페이지에 욕설을 남기거나 쪽지로 비난하는 등의 일이 자주 일어난다.[1] 비슷한 커뮤니티로는 디시인사이드, 일베저장소, 다음 아고라 카페, 쭉빵카페, 뉴쭉빵카페 등이 거론되지만, 각각 내용과 성격에 분명한 특징이 있어 구별된다.[1]
5. 같이 보기
참조
[1]
문서
판
[2]
인용
프랑스 인권 선언 제 5조
1789
[3]
문서
싸이월드와 네이트 통합 관련 설명
SK커뮤니케이션즈
2009-09-30
[4]
문서
싸이월드 게시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