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임 서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임 서버는 인터넷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을 구현하는 서버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변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크게 권한 있는 네임 서버, 재귀적 네임 서버, 캐싱 네임 서버로 구분되며, DNS 콘텐츠 서버와 캐시 서버의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DNS 서버는 BIND, Dnsmasq, Microsoft DNS Server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되며, 한국에서는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와 같은 ISP가 자체 DNS 서버를 운영하고, 구글 공용 DNS와 Cloudflare의 공용 DNS 서버도 널리 사용된다. DNS 서버는 보안 위협에 취약하며, DNSSEC, DoS 공격 방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다양한 보안 대책이 필요하다. 운영체제는 네트워크 설정에서 DNS 서버의 IP 주소를 지정하며, DHCP 서버를 통해 DNS 서버 정보를 받을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버 - 슈퍼 서버
    슈퍼 서버는 TCP 래퍼를 통해 접근 권한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서버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메모리 사용량 감소 및 시스템 관리 효율성을 높이지만, 높은 연결 요청 빈도에서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inetd, launchd, systemd, ucspi-tcp, xinetd 등이 대표적인 구현체이다.
  • 서버 - 씨마이크로
    씨마이크로는 2007년 설립되어 투자 유치 후 AMD에 인수된 서버 개발 회사로, SM10000, SM15000 시리즈 등의 제품을 개발하고 버라이즌과의 협력 및 여러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 슈퍼 서버
    슈퍼 서버는 TCP 래퍼를 통해 접근 권한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서버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메모리 사용량 감소 및 시스템 관리 효율성을 높이지만, 높은 연결 요청 빈도에서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inetd, launchd, systemd, ucspi-tcp, xinetd 등이 대표적인 구현체이다.
  •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 시스코 IOS
    시스코 IOS는 시스코 시스템즈의 네트워크 장비 운영체제로, 라우터용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하드웨어 기능과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적응하며 CLI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IOS XR, IOS XE 등 후속 운영 체제가 등장했다.
  • 인터넷 표준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 인터넷 표준 - IPv6
    IPv6는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로, 128비트 주소 체계를 통해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IP 주소를 제공하며, 주소 자동 설정, 패킷 처리 효율성 향상, 보안 기능 강화 등의 특징을 갖는다.
네임 서버
일반 정보
종류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목적다른 컴퓨터에게 서비스를 제공
상세 정보
역할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게 자원, 데이터, 서비스 제공
하드웨어파일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웹 서버, 메일 서버, 프린트 서버 등
소프트웨어아파치 HTTP 서버
작동 방식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요청을 받고 응답
구성 요소
하드웨어CPU, 메모리, 저장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소프트웨어운영 체제, 서버 애플리케이션
종류 (소프트웨어)
웹 서버웹 페이지를 제공
데이터베이스 서버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제공
메일 서버이메일 전송 및 수신
파일 서버파일 저장 및 공유
게임 서버온라인 게임 환경 제공
DNS 서버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변환
관련 기술
운영 체제윈도우 서버, 리눅스, 유닉스
프로그래밍 언어자바, 파이썬, C++
네트워크 프로토콜TCP/IP, HTTP, HTTPS

2. 도메인 네임 서버

인터넷은 도메인 네임 계층과 IP 주소 시스템이라는 두 가지 주요 네임스페이스를 유지한다.[1][2]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은 도메인 네임스페이스를 유지하고 이 두 네임스페이스 간의 변환 서비스를 제공한다.[3]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통신할 때, URL 등에는 주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대상을 기술한다. 도메인 이름에서 IP 주소 등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네트워크상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도메인 네임 시스템이며, 이를 담당하는 서버가 DNS 서버이다.

인터넷 네임 서버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구현하며, 인터넷 주소 자원 관리 기구(ICANN)의 위임을 받아 관리되는 루트 네임 서버가 최상위 계층을 담당한다. 전 세계에 위치한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특정 도메인을 통해 어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지 제어한다.

DNS 서버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1 노드로서 기능한다. DNS 네임 서버는 주소(A, AAAA) 레코드, 네임 서버(NS) 레코드, 메일 교환기(MX) 레코드와 같은 DNS 레코드를 도메인 이름에 대해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쿼리에 대한 답변으로 응답한다.

DNS 서버가 가진 "'''존 정보'''"(존 파일)를 다른 DNS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동기화하는 시스템을 "'''DNS 존 전송'''"이라고 한다.

2. 1. 네임 서버의 종류

DNS 서버는 크게 권한 있는(Authoritative) 네임 서버와 재귀적(Recursive) 네임 서버, 그리고 캐싱(Caching) 네임 서버로 나눌 수 있다.[4] DNS 서버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1 노드로서 기능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콘텐츠 서버: 자체 "존"(도메인 이름 공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질의에 응답한다. 독자적인 도메인 이름을 도메인 레지스트라에 등록할 때, "그 도메인 이름을 관리하는 DNS 서버"로 지정하는 것이 바로 이 콘텐츠 서버이다.
  • 캐시 서버: 의뢰받은 질의에 응하여 콘텐츠 서버에 필요한 질의를 하고, 결과를 의뢰처에 반환한다. 결과를 재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자체적으로 캐시한다. 풀 리졸버, 풀 서비스 리졸버, 캐시 DNS 서버라고도 불린다.


오늘날 일반적인 관행은 아니지만, 네임 서버는 일부 존에 대한 쿼리에 권한 있는 답변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모든 존에 대해서는 캐싱 네임 서버 역할을 하는 경우 권한 있는 서버이자 재귀적인 서버일 수 있다.

2. 1. 1. 권한 있는 네임 서버

권한 있는 네임 서버는 존 내의 이름에 대한 쿼리에 응답하는 네임 서버로, 관리자가 특별히 구성한 도메인 이름에 대한 쿼리에만 응답한다.[5]

권한 있는 네임 서버는 '주(Primary) 서버' 또는 '보조(Secondary) 서버'일 수 있다. 존의 주 서버는 해당 존의 모든 레코드의 최종 버전을 저장하는 서버이며, SOA (Start-of-Authority) 리소스 레코드에서 식별된다. 존의 보조 서버는 DNS 존 전송과 같은 자동 업데이트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존에 대한 주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동일한 복사본을 유지 관리한다. DNS는 존의 내용이 변경되었을 때 존의 주 서버가 해당 존의 모든 알려진 보조 서버에 알릴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5]

모든 도메인 이름은 하나 이상의 권한 있는 네임 서버에서 제공되는 존에 나타난다. 존의 권한 있는 네임 서버의 정규화된 도메인 이름은 해당 존의 NS 레코드에 나열된다. 존의 서버가 해당 부모 존에 대한 권한도 없는 경우, 부모 존의 서버는 존에 대한 위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6]

도메인이 도메인 이름 등록 기관에 등록되면, 존 관리자는 해당 도메인을 포함하는 존에 대해 권한 있는 네임 서버 목록(일반적으로 중복성을 위해 최소 2개)을 제공한다.[7] 등록 기관은 이러한 서버의 이름을 해당 존을 포함하는 최상위 도메인에 대한 도메인 레지스트리에 제공한다. 도메인 레지스트리는 차례로 각 존 서버에 대한 위임으로 해당 최상위 도메인에 대한 권한 있는 네임 서버를 구성한다. 존에 대한 네임 서버의 정규화된 도메인 이름이 해당 존 내에 나타나는 경우, 존 관리자는 해당 네임 서버의 IP 주소를 제공하며, 이는 글루 레코드로 부모 존에 설치된다. 그렇지 않으면 위임은 해당 존의 NS 레코드 목록으로 구성된다.[8]

2. 1. 2. 재귀적 네임 서버

재귀 해석기(재귀 네임 서버라고도 함)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재귀 쿼리를 수락한 다음, 이전 결과의 캐시에서 찾거나 하나 이상의 권한 있는 서버에 질의하여 해당 쿼리를 해결하는 DNS 네임 서버이다.[9]

네임 서버가 DNS 캐시에 해당 호스트에 대한 항목이 없어 쿼리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 계층 구조 상위의 네임 서버에 반복적으로 질의할 수 있다.[9] 이를 '''재귀 쿼리''' 또는 '''재귀 조회'''라고 한다. 재귀 쿼리를 제공하는 서버는 '''재귀 네임 서버''' 또는 '''재귀 DNS'''라고 하며, '''recdns'''로 줄여 쓰기도 한다.[10]

원칙적으로는 권한 있는 네임 서버만으로도 인터넷 운영에 충분하다. 그러나 권한 있는 네임 서버만 운영할 경우, 모든 DNS 쿼리는 DNS 루트존에서 재귀 쿼리로 시작해야 하며, 각 사용자 시스템은 재귀적 작동이 가능한 리졸버 소프트웨어를 구현해야 한다.

2. 1. 3. 캐싱 네임 서버

캐싱 네임 서버(''DNS 캐시'')는 각 도메인 이름 레코드의 설정(TTL, Time-to-live)에 의해 결정된 기간 동안 DNS 쿼리 결과를 저장하는 재귀 확인자이다.[1] DNS 캐시는 인터넷 트래픽을 줄이고, 특히 루트 네임 서버와 같은 권한 있는 네임 서버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DNS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1] 또한 더 빠르게 질문에 답변할 수 있기 때문에 DNS를 사용하는 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성능도 향상시킨다.[1]

캐싱 네임 서버는 종종 재귀 네임 서버이기도 하다.[1] 즉, 수신하는 모든 DNS 쿼리에 답변하는 데 필요한 모든 단계를 수행한다.[1] 이를 위해 네임 서버는 DNS 루트 존에서 시작하여 각 권한 있는 네임 서버에 차례로 쿼리를 보낸다.[1] 쿼리된 도메인 이름을 포함하는 존의 권한 있는 서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1] 해당 서버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거나, 답할 수 없다고 명확하게 말하며, 그러면 ''캐싱 확인자''는 이 응답을 질문한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1]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일반적으로 고객에게 캐싱 확인자를 제공한다.[1] 또한 많은 홈 네트워킹 라우터는 로컬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캐싱 확인자를 구현한다.[1]

3. DNS 콘텐츠 서버와 캐시 서버

DNS 서버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정보를 제공하는 '''DNS 콘텐츠 서버'''이고, 다른 하나는 이름 확인에 사용되는 '''DNS 캐시 서버'''이다. 이 둘은 역할이 다르지만, "DNS 서버"라는 용어로 통칭된다.[13]


  • DNS 콘텐츠 서버: 도메인 소유자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한다. 대부분 프로바이더나 렌탈 서버 업체 등이 제공하는 것을 이용한다.[13]
  • DNS 캐시 서버: 네트워크 사용자(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사용자)가 이름 확인에 사용한다. 접속 프로바이더 등이 대부분의 경우에 마련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한 기기 설정"에 그 설정이 포함되어 있거나, DHCP로 IP 주소 등과 함께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3]


DNS 서버 소프트웨어(예: BIND)로 콘텐츠 서버와 캐시 서버 양쪽 설정을 할 수 있는데, 잘못된 설정으로 인해 보안에 취약한 상태로 운용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4]

3. 1. DNS 콘텐츠 서버

DNS 콘텐츠 서버는 도메인 관리 정보, 즉 자신이 관리하는 서버의 IP 주소 등 각종 리소스 레코드(RR)와 도메인 위임에 관한 정보를 보관하고, 쿼리 요청에 응답한다.[5] DNS 콘텐츠 서버는 프라이머리 서버와 세컨더리 서버로 나뉜다.

  • 프라이머리 서버: 존 정보를 직접 관리하며, 자신의 존 정보에 대한 질의에 응답하거나 세컨더리 서버로 존 정보를 배포한다. 윈도우 서버(Windows Server)의 액티브 디렉터리(Active Directory) 통합 존은 프라이머리 서버 기능을 확장한 것이다.[15]
  • 세컨더리 서버: 프라이머리 서버로부터 받은 존 정보를 보관하며, 담당하는 존에 대한 질의에 응답한다.


도메인 네임에서 IP 주소를 검색하는 것을 정방향 조회라 하고, IP 주소에서 도메인 이름을 검색하는 것을 역방향 조회라 한다.

콘텐츠 서버에서 "프라이머리 서버"와 "세컨더리 서버"는 마스터-슬레이브 관계이다. 운영 체제 네트워크 구성에서 지정하는 "DNS 서버 설정"의 "기본", "대체"와는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 wikipedia.org의 DNS 콘텐츠 서버 예

: 이 DNS 콘텐츠 서버는 ja.wikipedia.org, www.wikipedia.org 등 wikipedia.org 존의 리소스 레코드를 보관한다. org 존에 보관된 IP 주소는 알지 못한다(잘못된 설정으로 org의 NS 레코드를 캐싱하는 서버도 있다). 이 DNS 콘텐츠 서버는 ja.wikipedia.org의 IP 주소를 요청받으면, 보관 중인 콘텐츠에서 ja.wikipedia.org의 IP 주소를 찾아 응답한다.

3. 1. 1. 리소스 레코드 예


  • A 레코드: 이름에 대한 IPv4 주소
  • AAAA 레코드: 이름에 대한 IPv6 주소
  • PTR 레코드: IP 주소에 대한 이름 (역방향 조회). 예를 들어 198.51.100.234라는 IP 주소를 역방향 조회하려면 234.100.51.198.in-addr.arpa라는 이름의 PTR 레코드를 쿼리하면 된다.
  • NS 레코드: 해당 존의 권한 있는 DNS 콘텐츠 서버의 이름
  • MX 레코드: 해당 존의 메일 서버의 이름
  • SOA 레코드: 존 자체의 정보
  • CNAME 레코드: 해당 이름에 대한 별칭
  • TXT 레코드: 텍스트 정보
  • DNSKEY 레코드/RRSIG 레코드: DNSSEC를 위한 공개 키/서명

3. 2. DNS 캐시 서버

DNS 캐시 서버는 DNS 클라이언트(예: 웹 브라우저)로부터 재귀적 질의를 받아 이름 해결 요청을 처리한다. 이 서버는 비재귀적 질의를 수행하여 이름을 해결한다.[9]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www.wikipedia.org 와 같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컴퓨터는 먼저 DNS 캐시 서버로 가서 이름 해결을 요청한다.

DNS 캐시 서버는 보통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고객에게 제공하거나, 홈 네트워킹 라우터에 구현되어 로컬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름 확인 쿼리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쿼리 유형설명동작 방식
재귀적 쿼리이름 확인이 완료되면 완전한 결과를, 완료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음"이라는 완전한 결과를 요구한다.사용자 PC와 같은 단말에서 DNS 캐시 서버로 전송된다.
비재귀적 쿼리 (반복 쿼리)DNS 콘텐츠 서버가 자신이 가진 정보나 위임 정보를 반환한다.DNS 캐시 서버가 DNS 콘텐츠 서버군에 반복적으로 쿼리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루트 서버부터 도메인 트리를 따라감)[10]



최근의 리눅스 환경 등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시작될 때 DHCP를 통해 DNS 캐시 서버의 IP 주소를 받거나, 네트워크 설정 스크립트에 기록된 설정을 사용한다. 또는 고전적으로는 /etc/resolv.conf 파일에 정적인 설정으로 기록되었다.

4. DNS 서버 소프트웨어

대표적인 DNS 서버 소프트웨어로는 다음이 있다.


  • BIND
  • djbdns - 콘텐츠 서버인 tinydns와 캐시 서버인 dnscache로 구성
  • Dnsmasq
  • Microsoft DNS Server
  • NSD
  • Unbound
  • Knot DNS
  • PowerDNS
  • Yadifa
  • XACK DNS - 국산 DNS 제품


DNS 서버 중에는 DNS 콘텐츠 서버와 DNS 캐시 서버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고, 두 가지 기능을 모두 탑재하는 경우도 있다.

5. 한국의 DNS 서버

한국에서는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주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자체 DNS 서버를 운영하며,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구글 공용 DNS(8.8.8.8, 8.8.4.4)나 Cloudflare의 1.1.1.1과 같은 공용 DNS 서버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안정적이고 빠른 인터넷 환경 구축의 일환으로, 공공 DNS 서버의 확충과 보안 강화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DNS 보안 강화를 위해 DNSSEC(DNS Security Extensions) 확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6. DNS 보안

DNS 서버는 인터넷의 핵심 인프라로서, 보안 위협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DNS 서버가 응답 불능 상태가 되면 관리하고 있는 존 내의 컴퓨터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며, 잘못된 정보를 응답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의도하지 않은 노드에 접속하게 된다.[16]

건전한 이용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DNS 서버의 리소스 레코드 위조나 DoS 공격을 방지하도록 DNS 서버 소프트웨어 및 OS의 설정과 보안 업데이트 프로그램 적용, 콘텐츠 서버의 다중화(세컨더리 서버를 공개하고, 프라이머리 서버는 비공개로 하는 등), 방화벽이나 침입 방지 시스템의 도입 등으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전자 서명을 사용하여 DNS 응답이 올바르다는 것을 검증하는 DNSSEC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DNSSEC에서 전자 서명의 정당성 검증에 사용되는 최상위 암호 키인 "루트 존 KSK"를 갱신할 때 EDNS에 의한 IP 단편화가 발생하는 크기의 응답 데이터가 발생하지만, 통신 설정이 대응되지 않는 DNS에서 통신이 불가능해져 DNSSEC에 의한 정당성 검증이 불가능해지고 인터넷 이용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루트 존 KSK"가 2016년까지 갱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2016년 10월부터 2018년 3월에 걸쳐 순차적으로 변경하게 되면서 현저하게 나타난 문제이다. 특히 2017년 9월 19일, 2017년 12월 20일, 2018년 1월 11일부터 시작되는 갱신에서는 IP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는 12,800억를 초과하는 14,140억~14,240억의 응답 데이터가 발생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기본적으로는 DNS의 운영 책임자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나 설정 변경으로 대응해야 하지만, 일반 소비자용 라우터에 내장된 DNS 프록시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인터넷 이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7. OS에서의 DNS 서버 설정

Windows, macOS, iOS, Android 등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운영체제에는 네트워크 설정에서 DNS 서버의 IP 주소를 지정하는 항목이 있다.[17]。 일반적인 경우 gethostbyname(3)과 같은 라이브러리 함수를 통해[18], 이러한 설정에 따라 DNS 캐시 서버에 문의한다.

DHCP 서버를 통해 관리되는 네트워크에서는, DHCP 서버로부터 할당 IP 주소와 함께 DNS 서버 정보를 받을 수 있다.[19]。 관리 정책에 따라, 이를 따르도록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DNS 서버는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다. DNS 서버에 문의할 때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수행하며, 응답이 없으면 (해당 DNS 서버 중지, 통신 경로 장애 등) 차순위 (대체) DNS 서버에 문의한다.

참조

[1] 간행물 Domain Names—Concepts and Facilities The Internet Society 1987-11
[2] 간행물 Internet Protocol—DARPA Internet Program Protocol Specification Information Sciences Institute 1981-09
[3] 간행물 Domain Names — Implementation and Specification The Internet Society 1987-11
[4] IETF DNS Terminology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2015-12-17
[5] IETF Dynamic Updates in the Domain Name System (DNS Updat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2015-12-17
[6] IETF Clarifications to the DNS Specification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2015-12-17
[7] 웹사이트 Name Server definition at techterms.com http://www.techterms[...]
[8] IETF Domain Names - Domain Concepts and Facilities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2015-12-17
[9] 웹사이트 Composite Application Manager for Internet Service Monitoring, Reference Guide http://www-01.ibm.co[...] IBM 2012-02-15
[10] 웹사이트 Network setup for Cambridge's new DNS servers https://fanf.livejou[...] 2018-02-05
[11] 서적 Linux administration handbook "//books?id=GB_O89fn[...] Addison-Wesley Professional 2012-02-14
[12] 문서
[13] 문서
[14] 웹사이트 DNSサーバの脆弱性に関する再度の注意喚起:IPA 独立行政法人 情報処理推進機構 https://www.ipa.go.j[...] 2022-03-10
[15] URL http://technet.micro[...]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