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리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리쿰은 오늘날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독일 일부 지역에 걸쳐 있던 고대 지역으로, 일리리아인에서 기원한 민족들이 거주했다. 켈트족의 이주 이후 켈트-리구리인 부족이 지배했고, 노리키인들이 주요 부족이었다. 이 지역은 철, 금, 소금, 향료 등 풍부한 자원을 보유했으며, 특히 노리쿰 강철은 로마 무기 제작에 널리 사용되었다.

기원전 800년경 할슈타트 문화가 번성했으며, 기원전 450년경에는 켈트 문화와 융합되었다. 노리쿰은 로마 공화정 시대부터 로마에 무기를 공급했고, 기원전 16년 로마 제국에 병합되어 속주가 되었다. 로마 시대에 노리쿰은 노리쿰 리펜세와 노리쿰 메디테라니움으로 분할되었으며, 주요 도시로는 비르눔, 테우르니아 등이 있었다. 1919년 오스트리아 공화국 수상이 '노리쿰 공화국' 명칭을 제안하기도 했다. 현재는 명목상 관구로, 아그눈툼, 비루눔 등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시대의 오스트리아 - 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판노니아 수페리오르는 로마 제국의 속주로, 현재의 오스트리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일부 지역을 포함했으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총독으로 재임했고,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회의를 주재했으며, 프랑크 왕국과 오스트리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 로마 시대의 오스트리아 - 판노니아 속주
    판노니아 속주는 켈트족의 침략을 받은 지역으로 로마 제국 시대에 일리리쿰 속주에서 분할되었으며, 판노니아 수페리오르와 판노니아 인페리오르로 나뉘어 통치되었고, 아퀴쿰 등의 도시가 있었으며 농업과 다양한 종교가 존재했다.
  • 로마 시대의 슬로베니아 - 동고트 왕국
    동고트 왕국은 5세기 말 테오도리크 대왕이 오도아케르를 정복하고 이탈리아에 건국하여 서로마 제국의 주요 영토를 통치했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동로마 제국의 침공으로 쇠퇴하여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고트 전쟁으로 553년 멸망하였다.
  • 로마 시대의 슬로베니아 - 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판노니아 수페리오르는 로마 제국의 속주로, 현재의 오스트리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일부 지역을 포함했으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총독으로 재임했고,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회의를 주재했으며, 프랑크 왕국과 오스트리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 슬로베니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 슬로베니아의 역사 - 슬로벤인 크로아트인 세르브인국
    슬로벤인 크로아트인 세르브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과정에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으나, 국제적 승인 없이 세르비아 왕국과의 통합으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이 되었다.
노리쿰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노리쿰
국가로마 제국
수도비루눔
존속 기간기원전 16년 ~ 476년
역사
시작 사건속주로 편입 (기원전 16년)
분할기원후 296년경 노리쿰 리펜세와 노리쿰 메디테라네움으로 분할
종료 사건오도아케르의 정복 및 그의 이탈리아 왕국에 통합 (476년)
이전
이전 국가노리쿰 왕국
이후
이후 국가노리쿰 리펜세
노리쿰 메디테라네움
이탈리아 왕국

2. 범위와 민족

노리쿰은 오늘날의 슈타이어마르크주 대부분, 케른텐주, 오버/니더외스터라이히 주, 서쪽, 잘츠부르크, 바이에른주 일부, 슬로베니아 일부를 합친 지역과 일치한다. 초기에는 일리리아인들로 구성되었으나, 갈리아인들의 대이주 이후, 여러 켈트-리구리인 부족들에게 종속되었다. 이 부족들의 족장들은 로마 자료에서 타우리스키인들과 동일시되는 노리키인들 (Norici, 노레이아를 수도로 삼았기 때문에 이렇게 불림)이었다.[22]

노리쿰은 산이 많고 동남쪽을 제외하면 토양이 상대적으로 나빴지만, 철이 풍부하여 판노니아, 모이시아, 북부 이탈리아에 있는 무기 제작소에 재료를 공급했다. 이곳의 유명한 노리쿰 강철은 로마의 무기 제작에 널리 사용되었다.[23] 금과 소금도 상당한 양이 발견되었다. 살리운카(라벤더의 친척 중 하나인 야생 또는 켈트 감송)라는 식물이 풍부하게 자라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향수로 사용되었다.[24]

이곳의 거주민들은 농업보다는 가축 사육에 더 신경을 쓰는 호전적인 사람들이었다. 켈트인들이 일리리아인들을 몰아내면서, 노리쿰은 북방 켈트인들의 남쪽 최전선지가 되었으며, 철기 시대 후기에는 이탈리아에 대한 그들의 공격 시작지였다.

할슈타트 도자기에 대한 집중적인 고고학 연구는 역사에 기록되기 몇 세기 이전부터 이 지역에 활발한 문명이 있었음을 알려주었지만, 할슈타트 문명은 켈트족의 침입 이전에 초창기 일리리아에 가까운 문화적 표현 방식이었다. 할슈타트 무덤에는 청동기 시대에서 변화의 시기를 거쳐 할슈타트 문화로, 즉 초기 철기 시대로 완전한 변화가 이뤄진 당시의 무기와 장신구들이 있었다.

2. 1. 언어

대륙 켈트어군 중 하나인 노리쿰어는 프투이에서 하나[27][28]와 그라펜슈타인에서 두 개[29][30]의 불완전한 비문으로만 알려져 있으며, 이 비문들은 노리쿰어의 성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27][29]

3. 역사

기원전 16년, 노리쿰은 로마 제국에 합병되었다. 그 이전 오랜 기간 동안 노리쿰인들은 자체 군주들의 통치 아래 독립을 유지하며 로마인들과 상업 활동을 하였다. 기원전 48년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의 내전에서 카이사르 편에 섰다. 기원전 16년, 노리쿰인들은 판노니아인들과 함께 이스트리아를 침공했다가 일리리쿰프로콘술인 푸블리우스 실리우스 네르바에게 패배했다.[35] 이후 노리쿰은 로마의 속주로 불렸지만, '노리쿰 왕국'이라는 명칭을 유지하며 제국의 프로쿠라토르가 통치하는 자치 지역이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41년–54년)에 노리쿰은 별다른 저항 없이 로마 제국에 완전히 합병되었다. 안토니누스 피우스 시대에는 이탈리카 제2군단 피아(Pia) (이후 이탈리카로 개명)가 노리쿰에 주둔했으며, 군단 지휘관이 속주 총독을 겸임했다.[35]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기(245년–313년)에 노리쿰은 도나우강으로부터 남쪽 방향에 있는 ''노리쿰 리펜세''(Noricum ripense, "강을 낀 노리쿰")와 산악 지역인 남쪽의 ''노리쿰 메디테르라네움''(Noricum mediterraneum, "내륙 노리쿰")으로 분할되었다. 경계선은 동알프스 중앙부를 따라 이어졌다.[35] 각 행정 구역은 프라이세스가 통치했으며, 두 지역 모두 이탈리아 프라이토리오 관구 내 일리리쿰 관구에 속했다. 이 시기(서기 304년)에 이 지역에서 장교로 복무하던 기독교인 성 플로리아노가 신앙을 위해 순교했고, 이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36]

로마의 주요 도시 및 식민지는 다음과 같았다.

도시위치
비루눔클라겐푸르트 북쪽 마리아살 인근
테우르니아슈피탈안데어드라우 인근
플라비아 솔바라이프니츠 인근
켈레이아 (Celeia)오늘날 슬로베니아 첼레
유바붐 (Juvavum)잘츠부르크
오빌라바 (Ovilava)벨스
라우리아쿰 (Lauriacum)옛 아니수스강인 엔스강 하구 로르히



로마령 노리쿰에 대한 인식은 19세기 오스트리아의 금석학자 리하르트 크나블의 연구로 인해 결정적으로 확장되었다.

3. 1. 로마 이전 시대

기원전 800년경, 이 지역은 주로 할슈타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기원전 450년경, 독일 남서부 지역과 프랑스 동부의 켈트족과 융합되었다.[25][26] 할슈타트 유적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초기 철기 시대에 이르는 유물이 발견되어, 이 지역에 활발한 문명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윌리엄 리지웨이는 호메로스의 아카이아인들의 발상지가 노리쿰과 그 인근 지역이라는 이론을 주장하기도 했다.[25][26]

3. 2. 로마와의 관계

기원전 200년경부터 노리쿰의 부족들은 노레이아를 수도로 하는 하나의 왕국, 즉 레그눔 노리쿰(Regnum Noricum)으로 점차 통합되었다.[22] 노리쿰은 로마 공화정의 핵심 동맹국이 되어, 로마의 군사적 보호를 받는 대가로 고품질의 무기와 도구들을 제공했다.[12] 비록 공식적인 군사 동맹 조약은 없었지만, 노리쿰인들은 로마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할 수 있었다.

노리쿰의 동전, 기원전 2세기 중반


노리쿰 왕국은 로마 공화정 중기부터 로마군에게 주요 무기를 공급했다.[12] 로마 검은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최고 품질의 강철인 ''칼립스 노리쿠스(chalybs Noricus)''로 만들어졌다.[12] 케른텐 (남부 노리쿰)에서 채굴된 철광석은 망간 함량이 풍부하고 인 함량이 적어 강철의 강도를 높이는 데 매우 적합했다.[11] 노리쿰의 켈트인들(주로 타우리스키족)은 기원전 500년경에 뛰어난 강철을 만드는 법을 발견하고 주요 강철 산업을 세웠다.[34] 특히 무기 제조 등 금속 제작 기술에 특화된 수많은 대장장이들이 있었던 마그달렌스베르크에 주요 생산 및 무역 중심지가 세워졌다.[34] 완성된 생산품은 주로 남쪽 지방의 기원전 180년에 세워진 로마의 식민지 아퀼레이아로 수출됐다.

기원전 113년, 튜턴족이 노리쿰을 침략하자, 노리쿰은 로마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12] 이에 로마 집정관 그나이우스 파피리우스 카르보는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어 노레이아에서 이들을 공격했다.

3. 3. 로마 통치 시대

기원전 16년, 노리쿰은 로마 제국에 합병되었다. 그 이전 오랜 기간 동안 노리쿰인들은 자체 군주들의 통치 아래 독립을 유지하며 로마인들과 상업 활동을 하였다. 기원전 48년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의 내전에서 카이사르 편에 섰다. 기원전 16년, 노리쿰인들은 판노니아인들과 함께 이스트리아를 침공했다가 일리리쿰프로콘술인 푸블리우스 실리우스 네르바에게 패배했다.[35] 이후 노리쿰은 로마의 속주로 불렸지만, '노리쿰 왕국'이라는 명칭을 유지하며 제국의 프로쿠라토르가 통치하는 자치 지역이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41년–54년)에 노리쿰은 별다른 저항 없이 로마 제국에 완전히 합병되었다. 안토니누스 피우스 시대에는 이탈리카 제2군단 피아(Pia) (이후 이탈리카로 개명)가 노리쿰에 주둔했으며, 군단 지휘관이 속주 총독을 겸임했다.[35]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기(245년–313년)에 노리쿰은 ''노리쿰 리펜세''(Noricum ripense, "강을 낀 노리쿰", 다뉴브강으로부터 남쪽 방향)와 ''노리쿰 메디테르라네움''(Noricum mediterraneum, "내륙 노리쿰", 산악 지역인 남쪽)으로 분할되었다. 경계선은 동알프스 중앙부를 따라 이어졌다.[35] 각 행정 구역은 프라이세스가 통치했으며, 두 지역 모두 이탈리아 프라이토리오 관구 내 일리리쿰 관구에 속했다. 이 시기(서기 304년)에 이 지역에서 장교로 복무하던 기독교인 성 플로리아노가 신앙을 위해 순교했고, 이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36]

로마의 주요 도시 및 식민지는 다음과 같았다.

도시위치
비루눔클라겐푸르트 북쪽 마리아살 인근
테우르니아슈피탈안데어드라우 인근
플라비아 솔바라이프니츠 인근
켈레이아 (Celeia)오늘날 슬로베니아 첼레
유바붐 (Juvavum)잘츠부르크
오빌라바 (Ovilava)벨스
라우리아쿰 (Lauriacum)옛 아니수스강인 엔스강 하구 로르히


4. 로마 무기와 강철

로마 공화정 중기부터 노리쿰 왕국은 로마군의 주요 무기 공급처였다. 로마 검은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최고 품질의 강철인 ''칼리브스 노리쿠스''(chalybs Noricus)로 만들어졌다. 강철의 강도는 성분과 열처리에 따라 결정되는데,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생산된 단강은 도구와 무기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물렀다. 반면에 노리쿰에서 채굴한 광석은 더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10]

노리쿰의 철광석은 망가니즈가 풍부하고, 강철을 약화시키는 을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아 우수한 강철 생산에 적합했다.[11] 특히 케른텐(남부 노리쿰)에서 채굴된 광석이 이러한 조건을 잘 충족했다.[33] 기원전 500년경, 노리쿰의 켈트족, 특히 타우리스키족은 자신들의 광석으로 우수한 강철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주요 강철 산업을 구축했다.[12]

마그달렌스베르크에는 주요 생산 및 무역 중심지가 있었는데, 이곳의 전문 대장장이들은 금속 제품과 무기를 제작했다. 완성된 무기는 기원전 180년에 설립된 로마 식민지인 아퀼레이아로 수출되었다.

5. 현대 정치학에서

1919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마지막 수상 하인리히 람마슈는 고대 노리쿰의 경계가 당시 신생 공화국의 경계와 유사했기 때문에 '노리쿰 공화국'이라는 명칭을 제안했다.[37] 그러나 신생 공화국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계승국으로 여겨지기를 바라지 않았고, 독립적이고 중립적이며 평화로운 국가가 되기를 원했다.[38]

6. 주교 관구

교황청 연감에 노리쿰의 주교좌는 명목 주교좌로 등재되어 있으며, 아그눈툼과 비루눔이 포함된다.[18][39]

참조

[1] 논문 The state of research on the 'Norican' silver coinage
[2]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3] 서적 The Ancient Celts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Origin of Metallic Currency and Weight Standard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Naturalis Historia
[6] 논문 Ein römerzeitlisches Keramikgefäs au Ptuj (Pettau, Poetovio) in Slowien mit Inschrift in unbekanntem Alphabet und epichorischer (vermutlich keltischer) Sprache http://av.zrc-sazu.s[...]
[7] 웹사이트 Vase de Ptuj http://www.arbre-cel[...]
[8] 서적 The Celtic languages Routledge
[9] 웹사이트 Tuile de Grafenstein http://www.arbre-cel[...]
[10] 문서 Buchwald (2005) 124
[11] 문서 Buchwald (2005) 115
[12] 문서 Healy (1978) 236
[13] 논문 Eugippius and the Closing Years of the Province of Noricum Ripense https://archive.org/[...]
[14] 서적 Geschichte des regulirten Chorherrn-Stiftes St. Florian: ein Beitrag zur Geschichte des Landes Österreich ob der Enns https://books.google[...] Haslinger
[15]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16] 문서 Anna Maria Drabek, Der Österreichbegriff und sein Wandel im Lauf der Geschichte, in: Marktgemeinde Neuhofen/Ybbs (ed.): Ostarrichi Gedenkstätte Neuhofen/Ybbs, no date (1980), pp. 32–41
[17] 뉴스 "Zum Wohle Österreichs. Vor 90 Jahren starb Heinrich Lammasch," http://www.austria-l[...] Die Furche 2010-02-18
[18] 문서 Annuario Pontificio 2013
[19] 논문 The state of research on the ‘Norican’ silver coinage
[20]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21] 서적 The Ancient Celts https://archive.org/[...]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22] 논문 Taurisci und Norici
[23] 서적 The Origin of Metallic Currency and Weight Standards https://books.google[...]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소
[24] 문서 박물지
[25] 문서 William Ridgeway, The Early Age of Greece https://books.google[...]
[26] 서적 Chronology of iron and steel https://books.google[...] Pittsburgh Iron & Steel Foundries Company
[27] 논문 Ein römerzeitlisches Keramikgefäs au Ptuj (Pettau, Poetovio) in Slowien mit Inschrift in unbekanntem Alphabet und epichorischer (vermutlich keltischer) Sprache http://av.zrc-sazu.s[...] 2018-03-30
[28] 웹인용 Vase de Ptuj http://www.arbre-cel[...]
[29] 서적 The Celtic languages Routledge
[30] 웹인용 Tuile de Grafenstein http://www.arbre-cel[...]
[31] 문서 Healy (1978) 231
[32] 문서 Buchwald (2005) 124
[33] 문서 Buchwald (2005) 115
[34] 문서 Healy (1978) 236
[35] 논문 Eugippius and the Closing Years of the Province of Noricum Ripense https://archive.org/[...]
[36] 서적 Geschichte des regulirten Chorherrn-Stiftes St. Florian: ein Beitrag zur Geschichte des Landes Österreich ob der Enns Haslinger
[37] 서적 Der Österreichbegriff und sein Wandel im Lauf der Geschichte Marktgemeinde Neuhofen/Ybbs (ed.) 1980
[38] 뉴스 Zum Wohle Österreichs. Vor 90 Jahren starb Heinrich Lammasch http://www.austria-l[...] Die Furche 2010-02-18
[39] 간행물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