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아의 7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아의 7법은 유대교에서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일곱 가지 율법으로, 바빌로니아 탈무드와 토세프타에 기록되어 있다. 이 법들은 우상 숭배 금지, 신성 모독 금지, 살인 금지, 간음 또는 성적 부도덕 금지, 절도 금지, 살아있는 동물에서 뜯어낸 살점 먹는 행위 금지, 사법 제도 확립을 포함한다. 탈무드에 따르면, 이 법은 아담에게 처음 주어졌고 노아에게 다시 주어졌다. 유대교는 이 법을 따르는 비유대인을 '게르 토샤브'로 인정하며, 다가올 세상에 들어갈 수 있다고 본다. 현대에는 하바드-루바비치 등 정통 유대교 랍비들을 중심으로 노아의 7법을 전파하는 노아주의 운동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아 - 라멕 (노아의 아버지)
    라멕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담의 8대손이자 므두셀라의 아들이며 노아의 아버지로, 노아의 이름을 통해 미래를 예언하고 고된 노동으로부터 위안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희망을 표현한 인물이다.
  • 유대-기독교 주제 - 윤리학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고대부터 다양한 사상이 발전해 왔으며, 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가치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 유대-기독교 주제 - 유대교
    유대교는 야훼를 유일신으로 섬기며 토라를 중심으로 율법과 계명을 지키는 종교로, 바리새파에서 발전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율법 해석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 고대 법전 - 함무라비 법전
    함무라비 법전은 함무라비 왕이 제정한 법전으로, 아카드어 쐐기문자로 새겨진 282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당시 사회 규범을 담고 있으나, 계층에 따른 차별적 법 적용으로 현대적 법치주의 관점에서는 한계를 지닌다는 비판도 받는다.
  • 고대 법전 - 다르마샤스트라
    다르마샤스트라는 고대 인도 법전 문학으로, 넓게는 기원전 2천년기부터 기원후 12세기까지의 법전을 포괄하고 좁게는 특정 시기의 산스크리트 운문 법전을 지칭하며, 다르마(의무, 윤리, 법)에 관한 규범과 관습, 사법 절차, 속죄 등의 영역을 다루고 역사적, 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노아의 7법

2. 7법의 내용

탈무드와 토세프타(Tosefta) ''아보다 자라(Avodah Zarah)''에 따르면, 노아의 7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번호법의 내용설명
1우상 숭배 금지우상 숭배를 해서는 안 된다. 출애굽기 20:3-4에도 관련 내용이 있다.[90]
2신성 모독 금지신의 이름을 모독해서는 안 된다.
3살인 금지살인을 해서는 안 된다.
4성적 부도덕 금지간음이나 성적 부도덕한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5절도 금지절도를 해서는 안 된다.
6동물 학대 금지살아있는 동물에게서 뜯어낸 살점을 먹는 행위는 금지된다. 창세기 9장 4절에 관련 내용이 있다.[88]
7사법 제도 확립사법 제도를 확립하여 앞선 여섯 가지 법의 준수를 판결해야 한다.



랍비들은 시나이 산에서 모세에게 계시된 '모세의 십계명' 이전에, 신이 노아를 통해 노아의 세 아들 , , 야벳과 그 후손(비유대인 포함)에게 적용되는 법(계율)을 주었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창세기 기록을 바탕으로 "노아의 7계"를 도출했다. "모세의 십계명"을 포함하는 율법이 유대인에게 적용되는 반면, "노아의 7계"는 인류 전체에 적용된다고 보았다.

아담에게는 여섯 가지 계명이 주어졌고, 대홍수 후 "살아있는 동물의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는 일곱 번째 계명이 추가되었다.[87] 노아의 아들들의 계율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홍수 후에 신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과 맺은 무지개 언약 속의 말씀(창세기 9장 1-7절)에 존재한다.[89]

2. 1. 기본 7법

탈무드에 따르면, 노아의 7법은 다음과 같다.[87]

# 우상 숭배 금지.

# 신성 모독 금지.

# 살인 금지.

# 간음 또는 성적 부도덕 금지.

# 절도 금지.

# 살아있는 동물에서 뜯어낸 살점 먹는 행위 금지.

# 사법 제도 확립.

이 일곱 가지 법은 처음 아담에게 주어졌고, 그 후 노아에게 주어졌다고 한다. 타나임(Tannaim)과 아모라임(Amoraim)의 랍비 현자(1-6세기)들은 아담에게 주어진 노아의 법의 정확한 숫자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여섯 가지 법은 창세기의 구절에서 해석학적으로 유래되었으며, 일곱 번째는 사법 제도의 확립이었다.

토세프타(Tosefta)에서 찾을 수 있는 노아의 일곱 가지 법에 대한 초기 랍비 버전은 다음과 같다.[89]

랍비들은 시나이 반도의 시나이 산에서 모세에게 계시된 '모세의 십계명' 이전에, 신이 노아를 통해 인류 전체를 구속하는 법(계율)을 주었다고 생각했다. "모세의 십계명"을 포함하는 율법이 유대인을 구속하는 데 반해, "노아의 7계"는 비유대인을 포함한 인류 전체에 적용된다고 보았다.

아담에게는 다음 여섯 가지 계명이 주어졌다.[88]

# 우상을 숭배하지 말 것.

# 신의 이름을 모독하지 말 것.

# 사법 재판소를 설치할 것.

# 살인하지 말 것.

# 간음하지 말 것.

# 빼앗지 말 것.

대홍수 후에는 "살아있는 동물의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는 일곱 번째 계명이 추가되었다 (창세기 9장 4절).[90]

노아의 아들들의 계율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창세기 9장 1-7절에 나타난 무지개 언약 속의 말씀에 존재한다.

우상 숭배 금지에 관해서는, 출애굽기 20:3-4에도 기술이 존재한다.

2. 2. 확장된 법

탈무드에 따르면, 이 일곱 가지 법은 처음 아담에게 주어졌고, 그 후 노아에게 주어졌다. 타나임(Tannaim)과 아모라임(Amoraim)의 랍비 현자(1-6세기)들은 원래 아담에게 주어진 노아의 법의 정확한 숫자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일곱 가지 법 중 여섯 가지는 창세기의 구절에서 해석학적으로 유래되었으며, 일곱 번째는 사법 제도의 확립이었다. 노아의 일곱 가지 법에 대한 가장 초기의 완전한 랍비 버전은 토세프타(Tosefta)에서 찾을 수 있다.

3. 기원

창세기 홍수 이야기에 따르면, 대홍수는 땅의 폭력적인 타락으로 인해 전 세계를 덮쳐 노아, 그의 아내, 아들, 며느리, 그리고 방주에 탄 동물들을 제외한 모든 지상 생물을 죽였다. 성경 이야기에 따르면, 모든 현대 인류는 노아의 후손이며, 따라서 "노아의 7계명"이라는 이름은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율법을 가리킨다.[3] 홍수 이후, 야훼는 노아와 언약을 맺으며 다음과 같은 훈계를 내렸다.[20]


  • 살아있는 동물의 살코기: "그러나, 생피가 들어 있는 살코기는 먹지 말라." (창세기 9:4)
  • 살인과 재판: "또한, 너희 생명을 위한 피를 내가 찾으리니, 모든 짐승에게도 내가 찾을 것이며, 사람의 형제에게도 사람의 피를 찾으리라. 사람의 피를 흘리는 자는 사람에게 그의 피가 흘려지리니, 이는 야훼께서 사람을 자신의 형상대로 만드셨음이니라." (창세기 9:5–6)


탈무드를 편찬한 랍비들은 시나이 반도의 시나이 산에서 모세에게 계시된 '모세의 십계명' 이전에, 신이 노아를 통해 노아의 세 아들 셈, 함, 야벳과 그 후손인 비유대인을 포함한 인류 전체를 구속하는 법(계율)을 주었다고 생각했다.

아담에게는 여섯 가지 계명이 주어졌고, 대홍수 후 "살아있는 동물의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는 일곱 번째 계명이 추가되었다는 것이 랍비들의 견해이다.

일반적으로 기원전 1세기로 추정되는 유빌리서[3][21] 7:20-25절에는 이와는 다른 6가지 계명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3]

3. 1. 성경적 기원

창세기 홍수 이야기에 따르면, 대홍수로 인해 노아와 그의 가족, 방주에 탄 동물을 제외한 모든 지상 생물이 죽었다. 성경에 따르면 모든 현대 인류는 노아의 후손이며, "노아의 7계명"은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율법을 가리킨다.[3] 홍수 이후, 야훼는 노아와 언약을 맺었다.[20]

탈무드를 편찬한 랍비들은 창세기를 바탕으로, 시나이 반도의 시나이 산에서 모세에게 주어진 십계명 이전에 신이 노아를 통해 인류 전체에게 적용되는 법(계율)을 주었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노아의 7계"이다. 랍비들은 율법이 유대인에게 적용되는 반면, "노아의 7계"는 비유대인을 포함한 인류 전체에게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랍비들은 아담에게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계명이 주어졌다고 보았다.[87]

# 우상 숭배 금지

# 신성 모독 금지

# 재판소 설치

# 살인 금지

# 간음 금지

# 강도 금지

대홍수 후에는 "살아있는 동물의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는 일곱 번째 계명이 추가되었다(창세기 9장 4절).[88]

노아의 아들들의 계율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홍수 후에 신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과 맺은 무지개 언약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계율은 탈무드의 산헤드린 편 등에 기록되어 있으며,[89] 우상 숭배 금지에 관해서는 출애굽기 20:3-4에도 언급되어 있다.[90]

3. 2. 유빌리서

유빌리서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세기로 추정되며,[3][21] 7:20–25절에서 다음과 같은 6가지 계명을 포함하는 상당히 다른 목록을 담고 있다.[3]

  • 의를 지킬 것
  • 육체의 수치를 가릴 것
  • 창조주를 축복할 것
  • 부모를 공경할 것
  • 이웃을 사랑할 것
  • 간음, 부정한 것, 모든 불의를 경계할 것[22]

4. 현대적 해석

요세프 알보는 ''세페르 하이카림''에서 노아의 법과 모세의 율법이 모두 신성하며, 서로 다른 민족들이 인간의 행복을 얻도록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고 보았다. 그러나 랍비 슐로모 요세프 제빈은 토라를 받은 후 유대인들은 더 이상 노아의 아들들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마이모니데스는 7계명이 토라의 일부라고도 하였다.[7] 메나헴 멘델 슈네에르손은 노아의 7 율법이 시나이 산의 모세를 통해 다시 주어졌으며, 토라를 통해 현재의 효력을 얻게 되었다고 보았다.[23]

학계에서는 노아의 7법이 토라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2세기 랍비들이 창세기를 해석하여 도출해낸 것으로 보기도 한다.[25] 또한, 중세 시대에 유대인들이 기독교이슬람교 세계에서 겪었던 불안정한 삶의 조건 때문에 노아의 7법의 관련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26] 데이비드 노박은 노아의 7법의 기원에 대해 히브리 성서, 히타이트 법, 마카베오 시대, 로마 시대 등 다양한 이론을 제시했다.[27]

4. 1. 랍비 전통

요세프 알보의 ''세페르 하이카림''에 따르면, 노아의 7법과 모세의 율법은 모두 신성하며, 서로 다른 민족들이 인간의 행복을 얻도록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7] 비록 두 법이 얻을 수 있는 행복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이는 근본적인 차이가 아니며, 법 자체에 대한 검토는 항상 동일한 종류라고 설명한다.

탈무드 백과사전을 편집한 랍비 슐로모 요세프 제빈은 토라를 받은 후 유대인들은 더 이상 노아의 아들들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명시하였다.[7] 마이모니데스는 일곱 계명이 토라의 일부이기도 하다고 지적하며,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유대인들이 이방인들이 의무를 지는 모든 일에 대해 의무를 진다고 명시하였다.[7] 대부분의 중세 유대교 권위자들은 일곱 계명이 모두 아담에게 주어졌다고 생각했지만, 마이모니데스는 식단 율법이 노아에게 주어졌다고 생각했다.[7]

메나헴 멘델 슈네에르손은 노아의 일곱 율법이 시나이 산의 모세를 통해 다시 주어졌으며, 토라를 통해 현재의 효력을 얻게 되었다고 보았다.[23] 또한, 유대 민족이 나머지 세계를 노아의 일곱 율법을 준수하도록 이끄는 의무가 있다고 하였다.[24]

탈무드를 편찬한 랍비들은 시나이 반도의 시나이 산에서 모세에게 계시된 '모세의 십계명' 이전에, 신이 노아를 통해 인류 전체를 구속하는 법(계율)을 주었다고 생각했다. 창세기의 기록을 바탕으로 "노아의 7계"를 도출했는데, 이는 모세의 십계명을 포함하는 율법이 유대인을 구속하는 데 반해, "노아의 7계"는 비유대인을 포함한 인류 전체를 구속한다고 보았다.

랍비들은 아담에게 여섯 가지 계명이 주어졌다고 선언했다.

  • 우상을 숭배해서는 안 된다.[87]
  • 신의 이름을 모독하지 말 것.
  • 사법 재판소를 설치할 것.
  • 살인하지 말 것.
  • 간음하지 말 것.
  • 빼앗지 말 것.


대홍수 후에는 "살아있는 동물의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는 일곱 번째 계명이 추가되었다(창세기 9장 4절).[88]

노아의 아들들의 계율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창세기 9장 1-7절에 나타난 무지개 언약 속의 말씀에 존재한다.[88] 여기서 다산과 생식의 계율과 함께, 피를 흘리는 것(살인)과 "영혼의 고기"를 먹는 것(살아있는 동물의 장기로 해석)이 금지되었다.[89] 다른 계율은 탈무드의 산헤드린 편 등에 기술되어 있다.[89]

우상 숭배 금지에 관해서는, 출애굽기 20:3-4에도 기술이 존재한다.[90]

4. 2. 학술적, 세속적 관점

몽클레어 주립 대학교의 철학 및 종교학 교수 마이클 S. 코건은 노아의 7법이 토라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2세기 랍비들이 창세기를 주석적으로 해석하여 도출했으며, 이를 토세프타에 기록했다고 설명한다.[25]

히브리 대학교 예루살렘의 중동학 및 이슬람학 교수 아담 J. 실버스타인은 유대 신학자들이 중세 기독교 왕국과 이슬람 세계에서 유대인들의 불안정한 삶의 조건 때문에 중세 시대에 노아의 7법의 관련성과 적용 가능성을 재고하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유대교-기독교 관계, 유대교-이슬람교 관계 참조) 이는 기독교인무슬림 모두 아브라함을 아브라함 전통의 통일된 인물로, 또한 일신론적인 하느님 개념과 함께 인정하기 때문이다.[26] 실버스타인은 유대 신학이 "노아 법"으로 인해 특정 유형의 비유대인을 의롭고 내세에서 삶을 누릴 자격이 있는 자로 인정할 수 있는 개념과 틀을 포함하게 되었다고 설명하며, 두 개의 "토라", 즉 유대인을 위한 토라와 이방인 "노아의 자손"을 위한 토라가 있다고 본다. 이론적으로는 노아 법이 보편적이어야 하지만, 신성 모독과 우상 숭배에 대한 금지로 인해 실제로는 비우상 숭배적인 유신론자에게만 적용되었으며, 따라서 유대인들은 이 개념을 논의할 때 일반적으로 기독교인 및/또는 무슬림을 고려했다.[26]

토론토 대학교의 유대교 신학 및 윤리 교수 데이비드 노박은 노아의 7법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이론( 히브리 성서 자체, 히타이트 법, 마카베오 시대, 로마 시대 포함)을 제시한다.[27] 그는 현대 노아 운동과 관련하여 "유대인이 이방인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말하는 것은 제국주의의 한 형태"라고 비난했다.[61]

5. 유대교 내 적용

탈무드에 따르면, 노아의 7법은 모든 인류에게 적용된다.[3][7][16] 유대교에서 "브네이 노아"(בני נח|브네이 노아he)는 "노아의 아들들"이라는 뜻으로,[14] 모든 인류를 지칭한다.[7] 탈무드는 또한 "모든 민족의 의로운 사람들은 다가올 세상에서 몫을 가진다"고 말하며,[28] 이 법을 따르는 비유대인은 이방인 중 의로운 사람으로 여겨진다.[16]

탈무드에 따르면, 7가지 법은 처음에는 아담에게, 그 다음에는 노아에게 주어졌다.[2][3][7][16] 이 중 여섯 가지는 창세기의 구절에서 해석적으로 파생되었으며,[2][6][7][16] 일곱 번째는 정의의 법정 설립이다.[2][6][7][16]

탈무드 현자들은 노아의 법 안에서 보편적 도덕의 개념을 확장하여, 탈무드와 토세프타에 열거된 7가지 외에도 여러 가지 법을 추가했다.[2][3][6][7] 예를 들어, 근친상간, 동물 학대, 다른 종의 동물을 짝짓기, 다른 종류의 나무 접목, 거세, 고환 적출, 동성애, 소아성애, 마법 등을 금지하는 것이 있다.[2][3][6][7][16][29][30] 일부 현자들, 예를 들어 울라는 30가지 법의 목록을 만들 정도로 확장했다.[2][3][6][31] 탈무드는 7가지 법의 범위를 613개의 미츠봇 중 약 100개까지 확장한다.[32]

다양한 랍비 문헌은 7가지 율법이 범주로 세분화되는 방식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다. 미쉬네 토라에서 마이모니데스는 나무 접붙이기를 포함시켰고,[40] 탈무드와 마찬가지로 살인 금지를 낙태 금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했다.[46][47] 다비드 벤 솔로몬 이븐 아비 지므라는 마이모니데스의 주석가로, 탈무드에 언급된 거세와 마법을 그가 빠뜨린 것에 대해 놀라움을 표했다.[48]

탈무드 학자인 울라는 노아의 자손들이 스스로 받아들인 30개의 율법에 대해 기록했다. 그는 단지 이방인들이 따르는 세 가지, 즉 남성 간의 케투바를 만들지 말 것, 시장에서 동물의 시체나 인육을 팔지 말 것, 그리고 토라를 존중할 것만 나열했다. 나머지 율법들은 언급되지 않았다.[49] 비록 권위자들은 울라의 30가지 계명이 원래의 7가지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듯하지만, 추가적인 30가지 율법도 그 기록에서 가능하다. 30가지 율법에 대한 두 개의 다른 목록이 존재한다. 두 목록 모두 7가지 율법의 세분화 또는 확장에 해당하는 23개의 미츠보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는 16세기 작품인 라비 메나헴 아자리아 다 파노의 ''아사라 마아마로트''에서, 다른 하나는 10세기 사무엘 벤 호프니의 것으로, 카이로 게니자에서 발견된 그의 유대-아랍어 저술에서 최근 출판되었다.[50][51] 라비 츠비 히르쉬 차예스는 메나헴 아자리아 다 파노가 열거한 계명들은 처음 7가지와 관련이 없으며 성경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구전으로 전해진 것이라고 주장한다.[52]

5. 1. 탈무드

바빌로니아 탈무드의 산헤드린 56a-b와 토세프타 아보다 자라 9:4에 전통적으로 열거된 노아의 7법은 다음과 같다.[3][7][16]

# 우상 숭배 금지.

# 신성 모독 금지.

# 살인 금지.

# 간음 또는 성적 부도덕 금지.

# 절도 금지.

# 살아있는 동물에서 뜯어낸 살점 먹는 행위 금지.

# 사법 제도 확립.

탈무드에 따르면, 이 일곱 가지 법은 처음 아담에게 주어졌고, 그 후 노아에게 주어졌다.[2][3][7][16] 타나임과 아모라임의 랍비 현자(1-6세기)들은 원래 아담에게 주어진 노아의 법의 정확한 숫자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일곱 가지 법 중 여섯 가지는 창세기의 구절에서 해석학적으로 유래되었으며, 일곱 번째는 사법 제도의 확립이었다.[2][6][7][16] 노아의 일곱 가지 법에 대한 가장 초기의 완전한 랍비 버전은 토세프타에서 찾을 수 있다.

탈무드에 따르면, 노아의 7법은 모든 인류에게 적용된다.[3][7][16] 유대교에서, "B'nei Noach"(בני נח|브네이 노아he)[14]이라는 용어는 모든 인류를 지칭한다.[7] 탈무드는 또한 "모든 민족의 의로운 사람들은 다가올 세상에서 몫을 가진다"고 말한다.[28] 이 법에 따라 사는 비유대인은 이방인 중 의로운 사람으로 여겨진다.[16]

탈무드 현자들은 노아의 법 안에서 보편적 도덕의 개념을 확장하여, 탈무드와 토세프타에 열거된 일곱 가지 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법을 추가했는데, 이는 다양한 랍비들에게 귀속된다.[2][3][6][7] 예를 들어, 근친상간, 동물 학대, 다른 종의 동물을 짝짓기, 다른 종류의 나무 접목, 거세, 고환 적출, 동성애, 소아성애, 마법 등을 금지하는 것 등이 있다.[2][3][6][7][16][29][30] 일부 현자들, 예를 들어 울라는 30가지 법의 목록을 만들 정도로 확장했다.[2][3][6][31] 탈무드는 일곱 가지 법의 범위를 613개의 미츠봇 중 약 100개까지 확장한다.[32]

5. 2. 처벌

유대교 율법은 사형 집행을 매우 어렵게 규정하고 있다. 어떤 이방인도 노아의 7법을 위반하여 처형된 기록은 없다.[27] 탈무드에 기록된 사형의 몇 가지 범주는 실제로 한 번도 시행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랍비들이 다가올 메시아 시대를 예상하여 이에 대한 논의를 포함시킨 것으로 여겨진다.[33]

산헤드린 56a에 따르면,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를 저지른 노아인에게 허용된 유일한 처형 방법은 참수형이며,[34] 이는 가장 가벼운 사형 중 하나로 간주된다.[35] 다른 자료에서는 유대인 약혼녀와 성관계를 가진 경우 돌로 쳐 죽이고, 유대인 여성이 결혼식을 마쳤지만 아직 관계를 맺지 않은 경우에는 목을 졸라 죽여야 한다고 명시한다. 유대교 율법에서 죽음으로 처벌받을 수 있는 유일한 신성 모독은 표현할 수 없는 이름을 모독하는 것이다.[36] 일부 탈무드 랍비들은 유대인이 처형될 수 있는 범죄만 이방인에게 금지된다고 주장했다.[37] 탈무드 랍비들은 어떤 범죄와 하위 범죄가 사형에 해당하는지, 어떤 범죄가 단순히 금지된 범죄인지에 대해 논의한다.[38]

마이모니데스는 일곱 가지 율법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은 처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세상이 이 율법을 따르도록 강요하셨기 때문이다.[39] 다만, 나무 접붙이기와 수간과 같은 다른 금지에 대해서는 노아의 자손이 처형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40] 나흐마니데스는 마이모니데스의 추론에 동의하지 않으며, 일곱 가지 율법을 시행해야 할 의무를 비유대인 당국으로 제한하여 유대인의 손에서 이 문제를 벗어난다. 토사포트는 나흐마니데스의 추론에 동의하는 것으로 보인다.[41] 일부 의견에 따르면, 개인의 위반 행위가 율법을 알고 저지른 것이든 모르고 저지른 것이든 처벌은 동일하다.[42]

일부 권위자들은 비유대 사회가 더 공정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증거에 관한 노아 법을 수정할 수 있는지 (예: 처벌 전에 더 많은 증인을 요구하거나 정황 증거를 허용하는 경우)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43] 유대교 율법은 두 명의 증인을 요구하지만, 람밤, 힐코트 멜라킴 9:14에 기록된 노아 법은 사형 집행에 필요한 증거로 단 한 명의 목격자의 증언을 받아들일 수 있다. 유죄 자백은 유대 법정에서는 증거로 인정되지 않지만, 노아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내릴 충분한 근거가 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다.[44]

이러한 법을 위반했을 때 이상적인 처벌이 사형인지, 아니면 법원이 어떤 처벌이 가장 적합한지 결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도 있다. 탈무드를 단순히 읽으면 이상적인 처벌이 사형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랍비 요세프 엘리야후 헨킨을 포함한 많은 저명한 해설가들은 법원이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5]

5. 3. ''게르 토샤브'' (거주 외국인)

성경 시대에 이스라엘 땅에 살면서 유대교로 개종하기는 원치 않지만 노아의 7법을 스스로에게 구속력 있는 것으로 받아들인 이방인에게 ''게르 토샤브'' (גר תושב|게르 토샤브he)라는 법적 지위가 부여되었다.[6][53][54][55] ''게르''는 "외국인" 또는 "이방인"을, ''토샤브''는 "거주자"를 뜻하며, 문자 그대로 "거주 외국인"을 의미한다. 따라서 ''게르 토샤브''는 일반적으로 "의로운 이방인" (חסיד אומות העולם|하시드 우모트 하올람he)으로 여겨지며,[5][6][8][12][13][14] 다가올 세상 (''올람 하바'')에 들어갈 수 있도록 보장된다.[5][6][8][12][13][14]

유대인과 이방인의 관계에 관한 랍비 규정은 ''게르 토샤브''의 경우 수정된다.[13] 받아들여진 할라차적 의견은 ''게르 토샤브''는 세 명의 ''하베림''(권위 있는 남자) 앞에서,[55] 또는 랍비 전통에 따르면, ''베트 딘''(유대교 랍비 법정) 앞에서 일곱 가지 노아 법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13] 그는 유대인 공동체로부터 특정 법적 보호와 특권을 받게 되며, 필요할 때 그를 도와야 할 의무가 있다. 안식일에 유대인을 위해 이방인이 일하게 하는 것에 대한 제한]]도 이 이방인이 ''게르 토샤브''인 경우에는 더 크다.[13]

유대 철학자이자 교수인 메나헴 켈너의 마이모니데스 텍스트에 대한 연구 (1991)에 따르면, ''게르 토샤브''는 "의로운 이방인" (גר צדק|게르 체데크he)이 되는 과도기적 단계, 즉 완전한 유대교 개종자일 수 있다.[56] 그는 마이모니데스에 따르면, 완전한 ''게르 체데크''만이 메시아 시대에 발견될 것이라고 추측한다.[56] 또한 켈너는 정통 유대교 내에서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존재론적 분열"이 있다는 가정에 대해 비판하며,[57] 이는 그가 생각하기에 마이모니데스와 토라의 가르침에 위배된다고 믿으며,[57] "이방인과 유대인 모두 하나님의 형상으로 완전히 창조되었다"고 언급한다.[57]

예일 대학교에서 고전 유대교의 종교 연구 스털링 교수를 역임하고 있는 고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의 미국 학자인 크리스틴 헤이즈에 따르면, ''게림''은 현대적 의미에서든 랍비적 의미에서든 히브리 성경에서 반드시 이방인 개종자는 아니었다.[58]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스라엘 땅에 살 때 많은 권리와 특권을 부여받았다.[58] 예를 들어, 그들은 희생을 바치고, 이스라엘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 세대 동안 그들의 독특한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부족 할당량을 상속받을 수 있었다.[58]

5. 4. 마이모니데스와 비판

이베리아 반도의 유대 문화 황금기 동안, 중세 유대 철학자이자 랍비마이모니데스(1135–1204)는 할라카 법전인 ''미쉬네 토라''에서 이방인은 노아의 7법만을 준수해야 하며, 토라 연구를 하거나 미츠바를 수행하는 것, 안식일에 휴식을 취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고 썼다.[59] 그는 또한 이방인이 올바른 할라카 절차에 따라 노아의 7법 외에 유대교 율법을 수행하고 싶어하면, 이를 막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6][60] 마이모니데스에 따르면, 모든 유대인은 비유대인에게 노아의 7법을 가르칠 의무가 있으며, 이는 그 자체로 율법이다.[61]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세기에 걸쳐 대부분의 랍비 유대교 권위자들은 마이모니데스의 의견을 거부했으며, 지배적인 할라카적 합의는 유대인이 비유대인에게 노아 법을 전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다.[61]

마이모니데스는 이방인이 노아의 7법을 준수하고 이를 모세의 저작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다가올 세상 (''올람 하-바'')에 참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2][14][16][62] 마이모니데스에 따르면, 그러한 비유대인들은 ''카시드 우못 하-올람''( "세상의 경건한 사람들")의 지위를 얻게 되며,[14] 단지 도덕적/윤리적 이성만을 근거로 노아 법을 지키는 사람들과는 다르다.[14]

''미쉬네 토라''의 일부 후기 판본에는 "그들의 현명한 자도 아니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더 좁은 의미를 갖는다. 어느 쪽으로 읽든, 마이모니데스는 철학적인 노아 법 준수자를 "의로운 이방인"으로 간주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으로 보인다.[14] 그에 따르면, 진정으로 "의로운 이방인"은 7가지 법이 신성하게 계시되었기 때문에 이를 따르며, 따라서 하나님께 순종하기 위해 이를 따른다.[14][65][64]

15세기 세파르딕 정통파 랍비 요세프 카로는 초기 아하로님 중 한 명이자 ''슐찬 아루크''의 저자로서, 단지 이성에 따라 노아 법을 지키는 이방인에게 다가올 세상에 대한 접근을 거부하는 마이모니데스의 주장을 반합리주의적이고 근거 없는 것으로 거부하며, 그러한 견해를 탈무드에서 옹호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62] 17세기 세파르딕 철학자 바루흐 스피노자는 마이모니데스가 "도 아니다"를 사용한다고 읽고, 그를 편협하고 특정주의적이라고 비난했다.[62] 모세 멘델스존과 헤르만 코헨과 같은 스피노자의 영향을 받은 다른 유대 철학자들도 노아의 7법에 대한 더욱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해석을 공식화했다.[62][65]

모세 멘델스존은 하스칼라 (유대교 계몽주의)의 주요 옹호자 중 한 명으로서, 마이모니데스의 의견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대신 유대교의 일신론적 신 개념을 믿지 않고 윤리적, 도덕적 또는 철학적 이성에 따라 노아 법을 준수하는 이방인은 "의로운 이방인"의 지위를 유지하며 여전히 다가올 세상 (''올람 하-바'')에 도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66] 스티븐 슈바르츠쉴드에 따르면, 마이모니데스의 입장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도덕적 진리에 도달하는 이성의 능력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채택한 데서 비롯되었으며,[67] "유대교의 가장 뛰어난 대변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이 입장에 강력하게 반대했는데, 이는 다른 유대 사상가들에 비해 "개인적이고 다소 괴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68]

20세기에 아슈케나지 정통파 랍비 아브라함 아이작 쿡에 의해 제기된 마이모니데스 입장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계시보다는 철학적 신념에 따라 계명을 따르는 비유대인(마이모니데스가 "그들의 현명한 자 중 하나")도 ''또한'' 다가올 세상을 얻는다는 것이다. 이는 철학적 지혜를 따르는 것이 계시적 명령을 따르는 것보다 더 발전한다는 마이모니데스의 일반적인 접근 방식과 일치한다.[69]

6. 현대 노아 운동

메나헴 멘델 슈네에르손은 여러 차례에 걸쳐 하바드-루바비치 추종자들에게 노아의 7법을 설교하도록 권장했으며,[8][61] 자신의 연설 중 일부를 이 법전에 할애했다.[23][24][70] 1990년대 이후,[8][12] 정통 유대교 랍비들은 이스라엘 출신으로, 특히 하바드-루바비치 및 종교적 시오니스트 단체와 관련된 랍비들과[8][12][71] 성전 연구소를 포함하여,[8][12][71] 현대 노아주의 운동을 시작했다.[8][12][71]

종교적 시오니스트와 정통파 랍비들이 이끄는 이 노아주의 단체들은 비유대인을 대상으로 개종을 통해 노아주의 법을 따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12][71] 이들은 종종 제3성전 운동과 관련되어 있으며,[8][12][71] 유대인이 신의 선택받은 민족이며 비유대인보다 인종적으로 우월하다는 믿음으로 구성된 인종차별적이고 우월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설파한다는 비판을 받는다.[8][12][71] 이들은 예루살렘의 성전 산에 제3성전을 재건하여 유대교 사제를 재설립하고 의례적 제물을 드리고, 노아주의 공동체의 지원을 받는 유대교 신정 정치를 이스라엘에 수립하는 것으로 메시아 시대가 시작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노아주의자들을 지도한다.[8][12][71]

1980년대에 랍비 메나헴 멘델 슈네에르손은 이전 세대에는 하지 않았던 노아의 7법에 대해 비유대인들에게 알리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추종자들에게 촉구했다.[61][72] 하바드-루바비치 운동은 노아 법을 단순히 인정하는 것만으로도 비유대인들에게 영적, 사회적 가치가 있다고 믿으며, 노아 법을 알리는 활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8][12][61][72]

1990년, 메이르 카하네는 텍사스주 포트워스에서 열린 최초의 노아주의 모임인 제1회 국제 노아의 자손 회의에서 기조 연설을 했다.[8][12][71] 같은 해 메이르 카하네 암살 이후, 예루살렘 성전 산에 제3 유대교 성전을 재건하는 것을 옹호하는 성전 연구소도 노아주의 법을 홍보하기 시작했다.[8][71]

하바드-루바비치는 미국의 대통령 포고문에 노아의 7법에 대한 언급을 포함시키기도 했다.



2004년 1월, 이스라엘의 드루즈 공동체의 정신적 지도자인 셰이크 무와파크 타리프는 하바드-루바비치의 대표와 만나 이스라엘의 모든 비유대인들에게 노아 법을 준수할 것을 촉구하는 선언문에 서명했다. 아랍 도시인 셰파-아므르 (슈파람)의 시장도 이 문서에 서명했는데, 이곳은 무슬림, 기독교인, 드루즈 공동체가 함께 거주하는 곳이다.[75]

2016년 3월, 세파르딕 이스라엘 최고 랍비인 이츠하크 요세프는 설교 중에 유대 율법에 따르면 노아 법을 따르는 비유대인만 이스라엘에 거주할 수 있다고 선언하여 논란이 되었다.[76][77] 그는 "유대 율법에 따르면 비유대인이 이스라엘 땅에 사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 노아의 7법을 받아들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 만약 비유대인이 이러한 법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를 사우디 아라비아로 보낼 수 있습니다. ... 완전하고 진정한 구원이 있을 때, 우리는 그렇게 할 것입니다."[76]라고 발언했다. 또한, "비유대인은 이스라엘 땅에 살아서는 안 됩니다. ... 만약 우리 손이 굳건하고, 우리가 통치할 힘이 있다면, 비유대인은 이스라엘에 살아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우리 손은 굳건하지 않습니다. [...] 그렇지 않으면 누가 하인이 되겠습니까? 누가 우리의 조력자가 되겠습니까? 이것이 우리가 그들을 이스라엘에 남겨두는 이유입니다."[78]라고 덧붙였다. 요세프의 설교는 이스라엘에서 분노를 촉발시켰고, 여러 인권 단체, 비정부 기구국회의원으로부터 격렬한 비판을 받았다.[76] 조나단 그린블랫, 반명예훼손 연맹의 CEO이자 전국 이사, 그리고 캐롤 누리엘, 반명예훼손 연맹 이스라엘 지부 임시 이사는 요세프의 설교에 대해 강력하게 비난했다.[76][78]

최근 몇 년 동안 "노아인"이라는 용어는 노아의 7법에 따라 살아가려고 노력하는 비유대인을 지칭하게 되었다. "준수하는 노아인" 또는 "토라 중심의 노아인"이라는 용어가 더 정확하지만,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13]

참조

[1] 서적 Origins and Method: Towards a New Understanding of Judaism and Christianity Sheffield Academic Press
[2] 간행물 Noahide Law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8-01-14
[3] 논문 Les lois noaẖides: Une mini-Torah pré-sinaïtique pour l'humanité et pour Israël Éditions in Press 2013-05
[4] 서적 Jewish-Christian Dialogue: A Jewish Justif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The Noahide Laws https://www.myjewish[...] 2018
[6] 간행물 Noachian Laws http://jewishencyclo[...] Kopelman Foundation
[7] 간행물 BEN NOAH https://books.google[...] Yad Harav Herzog (Emet)
[8] 웹사이트 The Bnei Noah (Children of Noah) https://wrldrels.org[...] 2017-10-08
[9] Tanakhverse Genesis
[10] 서적 Beyond the Persecuting Society: Religious Toleration Before the Enlightenm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udaism and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논문 The Children of Noah: Has Messianic Zionism Created a New World Religion?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8-08
[13] 간행물 "Ger Toshav", Section 1 Yad Harav Herzog (Emet)
[14] 서적 Mishneh Torah Sefaria
[15] 논문 World Religions and the Noahide Prohibition of Idolatry https://hcommons.org[...]
[16] 간행물 Jewish Concepts: The Seven Noachide Laws https://www.jewishvi[...] American–Israeli Cooperative Enterprise (AICE)
[17] Webarchive Sanhedrin 56a/b http://www.halakhah.[...] 2017-11-06
[18] 웹사이트 Tosefta Avodah Zarah 9:4 https://www.sefaria.[...]
[1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eligious Convers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 Tanakhverse Genesis
[21] 서적 The Book of Jubilees https://books.google[...] Sheffield Academic Press
[22] 간행물 Noachide Laws:In Jewish Law Thomson Gale
[23] 서적 Likkutei Sichos Kehot Publication Society
[24] 서적 Likkutei Sichos Kehot Publication Society
[25] 서적 Opening the Covenant: A Jewish Theology of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Abrahamic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Image of the Non-Jew in Judaism: An Historical and Constructive Study of the Noahide Laws Liverpool University Press
[28] 문서 Sanhedrin 105a
[29] 서적 Judaism in the Roman World: Collected Essays Brill Publishers
[30] Webarchive Sanhedrin http://www.halakhah.[...] 2017-11-06
[31] 문서 Chullin 92a-b
[32] 서적 Learn Torah With 1994–1995 Torah Annual: A Collection of the Year's Best Torah https://books.google[...] Torah Aura Productions
[33] 웹사이트 Jewishvirtuallibrary.org https://www.jewishvi[...]
[34] 웹사이트 Sanhedrin http://halakhah.com/[...] Halakhah.com 56a
[35] 문서 Maimonides, Mishneh Torah, Judges, Laws of Sanhedrin, chapter 14, law 4
[36] 백과사전 Blasphemy http://www.jewishenc[...] Kopelman Foundation 2020-11-09
[37] 웹사이트 Sanhedrin http://halakhah.com/[...] Halakhah.com 56b 2015-02-25
[38] 웹사이트 Sanhedrin http://halakhah.com/[...] Halakhah.com 57a-b 2015-02-25
[39] 웹사이트 Mishneh Torah Shoftim, Laws of Kings and their wars: 8.13 http://halakhah.com/[...] Halakhah.com 2015-02-25
[40] 웹사이트 Mishneh Torah Shoftim, Laws of Kings and their wars: 10:8 http://halakhah.com/[...] Halakhah.com 2015-02-25
[41] 서적 War and Peace in the Jewish Tradition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Inc.
[42] 문서 Babylonian Talmud, Makkot 9a, commentary of Rashi
[43] 문서 Law and the Noahides https://www.daat.ac.[...]
[44] 문서 Contemporary Halakhic Problems, Vol II, Part II, Chapter XVII Capital Punishment in the Noachide Code III. Rules of Evidence in the Noachide Code Contemporary halakhic problems, by J. David Bleich, 1977-2005
[45] 웹사이트 Ask the Rabbi: Does Jewish law promote the death penalty? https://www.jpost.co[...] 2016-08-18
[46] 웹사이트 Mishneh Torah Shoftim, Laws of Kings and their wars: 9:6 http://halakhah.com/[...] Halakhah.com 2015-02-25
[47] 웹사이트 Sanhedrin http://halakhah.com/[...] Halakhah.com 57b 2015-02-25
[48] 문서 Sanhedrin 56b
[49] 문서 Chullin 92a, and see Rashi
[50] 문서 Mossad HaRav Kook edition of the Gaon's commentary to Genesis
[51] 웹사이트 The Thirty Mitzvot of the Bnei Noach http://www.noachide.[...] noachide.org.uk 2014-11-15
[52] 문서 Kol Hidushei Maharitz Chayess I, end Ch. 10
[53]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erdmans
[54] 서적 Contemporary Halakhic Problems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Yeshiva University Press)
[55] 백과사전 Proselyte: Semi-Converts http://jewishencyclo[...] Kopelman Foundation 2020-11-09
[56] 서적 Maimonides on Judaism and the Jewish peopl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57] 웹사이트 Orthodoxy and "The Gentile Problem" https://www.jewishid[...] Marc D. Angel 2020-11-10
[58] 서적 Gentile Impurities and Jewish Identities: Intermarriage and Conversion from the Bible to the Talmud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Mishneh Torah Sefaria 2020-08-10
[60] 서적 Mishneh Torah Sefaria 2020-08-10
[61] 웹사이트 The Modern Noahide Movement https://www.myjewish[...] 2020-11-09
[62] 간행물 Noachisme et philosophie: Destin d'un thème talmudique de Maïmonide à Cohen en passant par Spinoza Centre Sèvres 2011-12
[63]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FINAL CHAPTER OF THE RAMBAM'S MISHNEH TORAH http://halakhah.com/[...] Halakhah.com 2014-05-26
[64] 서적 Maimonides: Life and Though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5-26
[65] 서적 Maimonid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05-26
[66] 서적 Opening the Covenant: A Jewish Theology of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67] 간행물 Do Noachite Have to Believe in Revelation? (Continue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2-07
[68] 간행물 Do Noachite Have to Believe in Revelation? (Continue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2-07
[69] 문서 Iggerot HaReiyah 1:89, quoted in Law and the Noahides https://www.daat.ac.[...]
[70] 서적 Likkutei Sichot Kehot Publication Society
[71] 뉴스 The Messianic Zionist Religion Whose Believers Worship Judaism (But Can't Practice It) https://www.haaretz.[...] Haaretz 2018-09-12
[72] 간행물 The Gentiles Who Act Like Jews: Who are these non-Jews practicing Orthodox Judaism? https://www.tabletma[...] 2016-01-26
[73] 웹사이트 Ronald Reagan, 40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1981–1989 – Proclamation 4921—National Day of Reflection https://www.preside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1982-04-03
[74] 웹사이트 George Bush, 41st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1989–1993 – Proclamation 5956—Education Day, U.S.A., 1989 and 1990 https://www.preside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1989-04-14
[75] 뉴스 Druze Religious Leader commits to Noachide "Seven Laws" https://www.israelna[...] 2004-01-18
[76] 뉴스 Non-Jews in Israel must keep Noahide laws, chief rabbi says http://www.jpost.com[...] 2016-03-28
[77] 웹사이트 Israel 2016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Israel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2019-01-01
[78] 웹사이트 ADL: Israeli Chief Rabbi Statement Against Non-Jews Living in Israel is Shocking and Unacceptable https://www.adl.org/[...] Anti-Defamation League 2016-03-28
[79] 서적 Gentile: Gentiles May Not Be Taught the Torah http://jewishencyclo[...] Kopelman Foundation
[80] 웹사이트 Sanhedrin http://halakhah.com/[...] Halakhah.com 59a-b 2015-02-25
[81] 서적 Tikkun Olam: Social Responsibility in Jewish Thought and Law Jason Aronson Inc.
[82] 논문 The Noachide Commandments and New Testament Ethics: with Special Reference to Acts 15 and Pauline Halakhah Peeters Publishers 1995-01-01
[83]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Yale University Press
[84] 웹사이트 Karl Josef von Hefele's commentary on canon II of Gangra http://www.ccel.org/[...]
[85] 서적 Saul of Tarsus: His Missionary Travels http://jewishencyclo[...] Kopelman Foundation
[86] 서적 New Testament: Spirit of Jewish Proselytism in Christianity http://jewishencyclo[...] Kopelman Foundation
[87] 문서 ただし「偶像」ではない「真の神」であれば拝んで良い。
[88] 웹사이트 Genesis.9.1-7 https://www.sefaria.[...] Sefaria 2024-11-01
[89] 웹사이트 Sanhedrin 56a:24 https://www.sefaria.[...] Sefaria 2024-11-01
[90] 웹사이트 Exodus 20 https://www.sefaria.[...] Sefaria 2024-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